KR20030068610A -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 Google Patents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610A
KR20030068610A KR1020020008069A KR20020008069A KR20030068610A KR 20030068610 A KR20030068610 A KR 20030068610A KR 1020020008069 A KR1020020008069 A KR 1020020008069A KR 20020008069 A KR20020008069 A KR 20020008069A KR 20030068610 A KR20030068610 A KR 2003006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ower
body structure
upper panel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432B1 (ko
Inventor
박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차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차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차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4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62D25/07Fixed roofs having water drainage or guide means integral with roof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탑 상부바디구조는 일정두께(약 5~10cm)를 가지는 상부판넬을 측면판넬의 상측으로 얹어서 커버판넬로서 리벳팅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탑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게되어 차량의 연비악화의 주원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부판넬과 측면판넬의 결합과 방수를 위해 일정두께(약 3~4mm)를 가지는 측면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가 올경우 탑의 상면에 일정양의 빗물이 고여있게 되고, 상기 고여있는 빗물이 상부판넬과 커버판넬의 틈사이로 스며들어 탑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탑 내에 탑재되는 물품에 악영향을 미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부재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크로스멤버를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얇은 재질의 상부판넬을 결합하여 낮시간에 햇빛이 탑 내부로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탑 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크로스멤버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상부판넬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비가와도 빗물이 탑의 상면에 고여있지 않도록 하므로서, 빗물의 탑내부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전체적인 탑의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The upper part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낮시간에 햇빛이 탑 내부로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탑 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탑의 상부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비가와도 빗물이 탑의 상면에 고여있지 않도록 하므로서, 빗물의 탑내부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전체적인 탑의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특정 물품을 운반하는 수단으로서 상용차의 후단에 일정크기의 탑을 설치하여 이 탑 내부에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탑재하여 운반하는 특장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탑을 이용하여 운반되는 물품은 대부분이 수분의 침투를 방지해야만 하는 물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비가오더라도 탑의 내부에 빗물이 침투하지 않아야 하는 특징을 가져야만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 1 과 도 2 는 종래의 탑 상부바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용차(1)의 후단 적재부에 일정크기의 탑(2)이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탑(2)의 상부구조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의 측면부재(3) 상측으로 일정두께를 가지는 상부판넬(4)을 결합한 후 방수를 위해서 측면부재(3)와 상부판넬(4)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별도의 커버판넬(5)을 맞댄 후 리벳(6)으로서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탑 상부바디구조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상부판넬을 측면판넬의 상측으로 얹어서 커버판넬로서 리벳팅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탑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게되어 차량의 연비악화의 주원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부판넬과 측면판넬의 결합과 방수를 위해 일정두께(약 3~4mm)를 가지는 측면판넬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가 올경우 탑의 상면에 일정양의 빗물이 고여있게 되고, 상기 고여있는 빗물이 상부판넬과 커버판넬의 틈사이로 스며들어 탑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탑 내에 탑재되는 물품에 악영향을 미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부재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크로스멤버를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얇은 재질의 상부판넬을 결합하여 낮시간에 햇빛이 탑 내부로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탑 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크로스멤버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상부판넬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비가와도 빗물이 탑의 상면에 고여있지 않도록 하므로서, 빗물의 탑내부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전체적인 탑의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특장차용 탑에 있어서,
탑의 양측면에 세워지는 측면부재의 상측에 다단 절곡된 모양으로 형성된 일정크기의 보조판넬을 안착시키고, 상기 보조판넬의 상부에 형성되어지는 단차부에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사이드레일을 안착시켜 보조판넬과 사이드레일의 하단부를 리벳으로서 측면부재에 고정하며,
스퀘어타입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크로스멤버를 측면부재의 상측으로부터 하강시켜 보조판넬과의 접촉부위를 용접 결합한 후,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판넬을 크로스멤버의 상측에 안착시키되, "" 모양으로 형성된 마감재를 상부판넬과 사이드레일을 감싸도록 외측으로부터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멤버를 볼록한 형상으로 곡면지게 형성하여 이 크로스멤버에 얹혀지는 상부판넬의 중앙부위가 볼록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레일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부판넬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자유배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탑이 장착된 특장차를 보인 도면.
도 2 는 종래 탑의 상부바디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탑의 상부바디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조판넬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의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사이드레일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의 (c)는 본 발명에 적용된 마감재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탑의 상부바디구조가 적용된 탑을 보인 후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탑, 11: 측면부재,
12: 보조판넬, 13: 단차부,
14: 사이드레일, 15: 요입부,
16: 크로스멤버, 17: 상부판넬,
18: 마감재, 20: 리벳
이하,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도면부호 11은 탑의 양측면을 이루는 측면부재를 나타내는데, 이 측면부재(11)의 상단은 단차부(13)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재(11)의 상면을 감싸도록 도 5 의 (a)와 같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보조판넬(12)을 안착시키는데, 상기 보조판넬(12)은 금속재질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판넬(12)의 상측으로는 도 5 의 (b)와 같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사이드레일(14)을 결합하는데, 이때 보조판넬(12)의 상부에 형성되어있는 단차부(13) 위에사이드레일(14)이 얹혀지도록 하고, 이 보조판넬(12)과 사이드레일(14)의 하단부에 리벳(20)을 결합하여 측면부재(11)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4)의 상단에는 요입부(15)가 형성되는데, 이 요입부(15)는 비가올때 상부판넬(17)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의 자유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명과같이 보조판넬(12)과 사이드레일(14)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부재(11) 상측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단면이 스퀘어타입으로 형성된 다수의 크로스멤버(16)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한다.
크로스멤버(16)를 설치할때에는 크로스멤버(16)의 양측 끝단이 사이드레일(14)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측면부재(11)의 상면, 즉, 측면부재(11)의 상측을 덮고 있는 보조판넬(12)의 상측으로 밀착시키며, 크로스멤버(16)와 보조판넬(12)의 밀착부분(P)을 용접하여 크로스멤버(16)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크로스멤버(16)를 설치하는 이유는 크로스멤버(16)의 상측으로 얹혀지는 상부판넬(17)의 강도를 보강해주기 위함이며, 실제로 크로스멤버(16) 위에 얹혀진 상부판넬(17) 위로 작업자가 올라가더라도 상부판넬(17)이 파손되거나 휘어지지 않게된다.
크로스멤버(16)를 측면부재(11) 상측에 고정시킨 후 크로스멤버(16)의 상부에 빛의 투과가 가능한 반투명재질, 예를들면 FRP와같이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서 형성된 상부판넬(17)을 안착시키고, 상부판넬(17)의 가장자리와 사이드레일(14)의 상면을 일치시켜 도 5 의 (c)와 같이 "" 모양으로 형성된 마감재(18)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한다.
즉, 상기 상부판넬(17)과 사이드레일(14)의 끝부분을 일치시킨 후 그 외각으로부터 상기 마감재(18)를 끼워넣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감재(18)가 상부판넬(17)과 사이드레일(14)을 모두 감싸도록 한 후 마감재(18)의 상측으로부터 리벳(20)을 결합하여 상부판넬(17)과 사이드레일(14)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반투명재질의 상부판넬(17)을 사용하게 되면 해가 떠있는 낮시간에는 햇빛이 상기 상부판넬(17)을 통과하여 탑의 내부를 비춰주게 되므로 낮시간 작업시 탑의 내부에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멤버(16)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록한 형상으로 곡면지게 형성하게되면, 이 크로스멤버(16)의 상측에 얹혀지는 상부판넬(17) 역시 곡면형상을 유지하게되므로 비가 오더라도 탑의 상면에 빗물이 고여있지 않게되어 빗물의 탑 내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빗물이 상기 상부판넬(17)을 흘러 내리더라도 빗물이 측면부재(11)의 상측에 형성되어있는 사이드레일(14)의 요입부(15)를 통해서 자유배수되므로 빗물이 탑 내부로는 전혀 침투하지 못하게된다.
상기 설명과같은 본 발명의 탑의 상부바디구조를 이용하게되면 상부판넬(17)의 두께가 현저히 얇아지고, 재질 또한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는 FRP재질로 된 것을 사용하게 되므로 탑의 전체적인 중량이 현저히 감소하게되는 부가적인 효과를기대할 수 있고, 또한 햇빛이 상부판넬(17)을 통과하게 되므로 낮시간 작업시 탑 내부에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부판넬(17)이 곡면형상을 이루게되므로 비가 오더라도 탑의 상면에 빗물이 고여있지 않게되고, 또 빗물이 흘러내리더라도 사이드레일의 요입부를 통해 자유배수되므로 확실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측면부재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크로스멤버를 설치하고, 그 상단으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얇은 재질의 상부판넬을 결합하여 낮시간에 햇빛이 탑 내부로 투과되도록 하여 별도의 조명시설을 작동시키지 않고도 탑 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크로스멤버를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상부판넬이 곡면을 이루도록 하여 비가와도 빗물이 탑의 상면에 고여있지 않도록 하므로서, 빗물의 탑내부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며, 전체적인 탑의 하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특장차용 탑에 있어서,
    탑(10)의 양측면에 세워지는 측면부재(11)의 상측에 다단 절곡된 모양으로 형성된 일정크기의 보조판넬(12)을 안착시키고, 상기 보조판넬(12)의 상부에 형성되어지는 단차부(13)에 ""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일정길이의 사이드레일(14)을 안착시켜 보조판넬(12)과 사이드레일(14)의 하단부를 리벳(20)으로서 측면부재(11)에 고정하며,
    스퀘어타입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크로스멤버(16)를 측면부재(11)의 상측으로부터 하강시켜 보조판넬(12)과의 접촉부위(P)를 용접 결합한 후,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판넬(17)을 크로스멤버(16)의 상측에 안착시키되, "" 모양으로 형성된 마감재(18)를 상부판넬(17)과 사이드레일(14)을 감싸도록 외측으로부터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멤버(16)를 볼록한 형상으로 곡면지게 형성하여 이 크로스멤버(16)에 얹혀지는 상부판넬(17)의 중앙부위가 볼록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레일(14)에 요입부(15)를 형성하여 상부판넬(17)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이 자유배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KR10-2002-0008069A 2002-02-15 2002-02-15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KR10049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069A KR100497432B1 (ko) 2002-02-15 2002-02-15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069A KR100497432B1 (ko) 2002-02-15 2002-02-15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610A true KR20030068610A (ko) 2003-08-25
KR100497432B1 KR100497432B1 (ko) 2005-07-01

Family

ID=3222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069A KR100497432B1 (ko) 2002-02-15 2002-02-15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4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9967A (zh) * 2010-06-13 2011-04-20 贾秉成 一种车架部件
WO2011157205A1 (zh) * 2010-06-13 2011-12-22 Jia Bingcheng 一种车架部件
CN111959611A (zh) * 2020-08-31 2020-11-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顶盖与车体连接结构及汽车
CN114104122A (zh) * 2021-12-24 2022-03-01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厢式车厢组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28654D0 (en) * 1986-12-01 1987-01-07 York Trailer Co Ltd Trailer roof
JP2526581Y2 (ja) * 1991-06-18 1997-02-19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バン型車両における荷箱の上部側枠隅部の化粧構造
JPH09123941A (ja) * 1995-10-31 1997-05-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ルーフ体
KR19980050898U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상용차용 루프 트림부재
KR19990015913U (ko) * 1997-10-21 1999-05-15 토니헬샴 중장비용 운전실캡 천정도어 및 이의 개폐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9967A (zh) * 2010-06-13 2011-04-20 贾秉成 一种车架部件
WO2011157205A1 (zh) * 2010-06-13 2011-12-22 Jia Bingcheng 一种车架部件
CN111959611A (zh) * 2020-08-31 2020-11-2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顶盖与车体连接结构及汽车
CN114104122A (zh) * 2021-12-24 2022-03-01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厢式车厢组装结构
CN114104122B (zh) * 2021-12-24 2023-11-03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厢式车厢组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432B1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2624T3 (es) Habitaculo de pasajeros para un turismo.
JP3414822B2 (ja) 車輌のルーフ構造体
US8388046B2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7077459B2 (en) Vehicle frame mainly for buses
KR960013919A (ko) 자동차의 상부차체구조
EP0849149A3 (en) Fuel tank system of a motor bicycle
EP1101688A3 (en) Upper body structure for a vehicle
KR100497432B1 (ko) 특장차용 탑의 상부바디구조
EP2578767A1 (en) Retractable horizontal awning
US8020927B2 (en) Composite reinforcement member for a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US4685722A (en) Door for a motor vehicle
ES2134059T3 (es) Construccion de cobertura flexible cuyo techo al menos es constituido por un armazon metalico o compuesto.
CN205854296U (zh) 一种碳纤维客车
IE57456B1 (en) New seat support for public transport vehicles and seat fitted with this support
JP4676605B2 (ja) 船の構造
CZ291304B6 (cs) Zařízení pro upevnění boční plachty
KR20050061463A (ko) 루프 칼럼을 포함하는 차량을 위한 몸체
ATE477965T1 (de) Dachhimmel für ein kraftfahrzeugdach mit transparentem element
US8075042B2 (en) Folding top for a passenger vehicle
US3339813A (en) Luggage carrier
EP1495946A2 (en) Floor for a vehicle, in particular for a minibus
JP202007895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272581Y1 (ko) 승강장용 시설물의 수직지지대 고정구조
JP3316787B2 (ja) 車両のリアピラー補強構造
KR100302437B1 (ko) 버스의상부수평사이드필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