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383A - 2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2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383A
KR20030068383A KR1020020073090A KR20020073090A KR20030068383A KR 20030068383 A KR20030068383 A KR 20030068383A KR 1020020073090 A KR1020020073090 A KR 1020020073090A KR 20020073090 A KR20020073090 A KR 20020073090A KR 20030068383 A KR20030068383 A KR 2003006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ressure
entran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057B1 (ko
Inventor
사토히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6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16K17/196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spring-lo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71Bi-directional flow valves
    • Y10T137/7772One head and seat carried by head of another
    • Y10T137/7777Both valves spring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71Bi-directional flow valves
    • Y10T137/778Axes of ports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과제) 유통기류의 혼란에 의한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부드러운 유통기류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2방향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제 1 밸브체(2)에 형성된 유통로(25)를 개폐하는 상기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42)가, 상기 제 1 밸브체(2)의 외측에서 상기 유통로(25)에 형성된 제 2 밸브 시트(24)에 맞닿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2방향 밸브{TWO-WAY VALVE}
본 발명은, 2개의 출입구를 가지며, 이들 출입구간의 압력차가 소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 정/부압의 정/역에 상관없이 밸브를 열도록 구성된 2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연료탱크 내가 소정 압력의 범위보다 높아진 경우 및 소정 압력의 범위보다 낮아진 경우에 밸브를 열어서, 연료탱크 내를 소정 압력으로 유지하는 체크 밸브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2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의 사이에는, 통상 체크 밸브로 불리는 2방향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탱크 내가 소정치 이상의 정압상태가 된 경우에 이 체크 밸브가 열려서 탱크 내의 압력을 캐니스터로 개방함과 아울러, 탱크 내가 소정치 이하의 감압상태가 된 경우에도 체크 밸브가 열려서 탱크 내의 감압상태를 해소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상기 체크 밸브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9-60744호에 개시된 2방향 밸브가 알려져 있다.
상기 2방향 밸브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탱크에 접속되는 2갈래 파이프(a1)가 일체로 연결된 케이스 본체(a)와 캐니스터에 접속되는 파이프(bl)가 일체로 연결된 덮개체(b)로 이루어지는 밸브 케이스(c)와,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밸브 본체(d)와 이 밸브 본체(d)에 감착고정되는 밸브 시트 캡(e)으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 케이스(c) 내에 배치된 제 1 밸브체(f)와, 이 제 1 밸브체(f)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g)과, 상기 제 1 밸브체(f) 내에 수용되는 제 2 밸브체(h)와, 이 제 2 밸브체(h)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i)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스(c)의 케이스 본체(a)에 형성된 제 1 출입구(a2)에는 케이스 내로 돌출하는 링형상의 제 1 밸브 시트(a3)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체(b)에 형성된 제 2 출입구(b2)의 주위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g)의 일단이 지지되는 링돌 조(b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밸브체(f)를 구성하는 밸브 본체(d)의 저벽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돔형상의 밸브머리(d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머리(d1)에는 유통구(d2)가 뚫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밸브체(f)를 구성하는 밸브 시트 캡(e)에도 밸브 본체(d)의 개구단을 폐색하는 벽부에 유통구(e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통구(e2)의 내주연(內周緣)이 제 2 밸브 시트(e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밸브체(f)는, 상기 링돌조(b3)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밸브 시트 캡(e)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된 상기 코일 스프링(g)에 의해서 상기 제 1 출입구(a2)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밸브체(h)는 선단부가 대략 돔형상으로 폐색된 통형상의 것으로서, 이 돔형상으로 형성된 선단부가 밸브머리(h1)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체(h)는 상기 제 1 밸브체(f)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제 1 밸브체(f) 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i)에 의해서 상기 제 2 밸브 시트(e3)를 향해서 탄지되어 있다.
이 2방향 밸브는, 상시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밸브체(h)의 밸브머리(h1)가 상기 제 2 밸브 시트(e3)에 맞닿고, 제 1 밸브체(f)의 내공부가 폐색된 상태로 상기 제 1 밸브체(f)의 밸브머리(d1)가 상기 제 1 밸브 시트(a3)에 맞닿아서, 제 1 출입구(a2)가 폐색된 상태로 닫혀 있다.
이 상태에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제 1 출입구(a2)측이 제 2 출입구(b2)측보다 소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출입구(a2)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제 1 밸브체(f)가 코일 스프링(g)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제 1 밸브체(f)의 밸브머리(d1)가 제 1 밸브 시트(a3)로부터 이간되어서 제 1 출입구(a2)가 열리고, 연료탱크측의 압력이 제 1 출입구(a2)로부터 제 1 밸브체(f)의 외주면(外周面)과 밸브 케이스(c)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여, 제 2 출입구(b2)를 통과해서 캐니스터측으로 개방된다.
역으로 연료탱크 내가 감압이 되어 제 2 출입구(b2)측이 제 1 출입구(a2)측보다 소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출입구(b2)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제 2 밸브체(h)가 코일 스프링(i)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제 2 밸브체(f)의 밸브머리(h1)가 제 2 밸브 시트(e3)로부터 이간되어서 유통구(e2)가 열리고, 캐니스터측의 압력이 제 2 출입구(b2)에서 유통구(e2)를 통과하여 제 2 밸브체(h)의 외주면과 제 1 밸브체(f)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고, 유통구(d2) 및 제 1 출입구(a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연료탱크로 유입되어, 연료탱크 내의 감압상태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2방향 밸브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가 소정의 압력범위를 넘어서 가압 또는 감압된 경우에, 밸브를 열어서 탱크 내의 정압 또는 부압을 캐니스터측으로 개방하여 연료탱크 내를 항상 소정의 압력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2방향 밸브는, 연료탱크측의 정압을 캐니스터측으로 개방할 때에 진동이나 큰 이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밸브의 제 1 출입구(a2)측이 고압상태가 되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출입구(a2)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제 1 밸브체(f)가 이동하고, 이 제 1 밸브체(f)의 밸브머리(d1)가 제 1 밸브 시트(a3)로부터 이간되어서 제 1 출입구(a2)가 열려, 연료탱크측의 압력을 캐니스터측으로보낼때, 상기 종래의 밸브에서는, 제 1 밸브체(f)의 밸브머리(d1)에 유통구(d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출입구(a2)로부터 밸브 내로 유입된 기류가 이 유통구(d2)를 지나서 제 1 밸브체(f) 내로 유입되어 제 1 밸브체(f) 내에 심한 난류(亂流)가 생기는 동시에, 밸브머리(d1)의 외측을 흐르는 기류에도 난류가 발생하며, 이들 난류의 발생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이 발생한다.
이 경우, 연료탱크 내의 압력은 급유시나 고온하에서 가솔린이 요동함으로써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밸브 내를 통과하는 기류는 대단히 고속이 되기 때문에, 상기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은 허용할 수 없는 정도가 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밸브를 열어서 압력을 개방함으로써 압력조정을 할 때에, 유통기류의 혼란에 의한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부드러운 유통기류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2방향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2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일측의 출입구측이 가압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2방향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타측의 출입구측이 가압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2방향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2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5는 상기 2방향 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는 일측의 출입구측이 가압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2방향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타측의 출입구측이 가압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2방향 밸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밸브 케이스 11 - 케이스 본체
111 - 제 1 출입구 112 - 제 1 밸브 시트
113 - 단차부 12 - 덮개체
121 - 제 2 출입구2 - 제 1 밸브체
21 - 유통로 23 - 밸브머리부
24 - 제 2 밸브 시트 3 - 코일 스프링(제 1 탄지수단)
4 - 제 2 밸브체 41 - 축체
42 - 밸브머리부 43 - 밸브 시트 맞닿음부
44 - 단차부 5 - 코일 스프링(제 2 탄지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로 대향해서 설치된 2개의 출입구를 가지며, 일측의 출입구에 제 1 밸브 시트가 형성된 밸브 케이스와, 이 밸브 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출입구에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에 맞닿아서 상기 출입구를 폐색하는 제 1 밸브체와, 이 제 1 밸브체를 상기 일측의 출입구를 향해서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과, 상기 제 1 밸브체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 2 밸브 시트가 형성된 유통로와, 이 유통로의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아서 상기 유통로를 폐색하는 제 2 밸브체와, 이 제 2 밸브체를 상기 유통로의 제 2 밸브 시트를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의 출입구측의 압력이 타측의 출입구측의 압력보다 소정압력 높아졌을 때, 상기 제 1 밸브체가 상기 제 1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일측의 출입구를 개방하여 타측의 출입구측으로 압력을 보내며, 타측의 출입구측의 압력이 상기 일측의 출입구측의 압력보다 소정압력 높아졌을 때, 상기 제 2 밸브체가 상기 제 2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상기 유통로를 개방하여 이 유통로를 통과해서 일측의 출입구측으로 압력을 보내도록 구성된 2방향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체의 밸브머리가, 상기 제 1 밸브체의 외측에서 상기 유통로에 설치된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는 것인 2방향 밸브를 제공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2방향 밸브는, 제 1 밸브체에 형성된 유통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의 밸브머리가, 제 1 밸브체의 외측에서 유통로에 형성된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역 어느 방향으로 압력을 보내는 경우라도, 기류의 유로에 폐색된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아, 큰 난류를 일으키는 일 없이 부드럽게 기류를 유통시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게 압력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 2 밸브체의 밸브머리를 대략 원뿔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에 의해서 밸브 케이스 내를 유통하는 기류가, 이 밸브머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밸브 케이스 내주면측으로 부드럽게 유도되어, 난류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여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2방향 밸브에 의하면, 밸브 내를 유통하는 기류의 혼란에 의한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부드러운 유통기류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2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2방향 밸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접속되는 파이프(11a)가 일체로 연결된 케이스 본체(11)와 캐니스터에 접속되는 파이프(12a)가 일체로 연결된 덮개체(12)로 이루어지는 밸브 케이스(1)와, 대략 원통형상의 제 1 밸브체(2)와, 이 제 1 밸브체(2)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3)(제 1 탄지수단)과, 제 1 밸브체(2) 내에 형성된 유통로(21)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4)와, 이 제 2 밸브체(4)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5)(제 2 탄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스(1)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에는, 파이프(11a)의 접속부에 파이프(11a)보다 약간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제 1 출입구(111)가 형성되고, 이 제 1 출입구(111)의 파이프(11a)측 단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5)의 단부가 지지되는 단차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출입구(111)의 케이스본체(11)측 단부의 내주면은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112)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른 복수의 돌조(114)가 균등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프(11a)에는 연료탱크에 설치된 연료차단밸브에 접속되는 2개의 분기 파이프(11b)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케이스(1)를 구성하는 덮개체(12)에는 파이프(12a)의 접속부에 제 2 출입구(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체(12)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개방단에 초음파용착에 의해서 접착고정되어, 상기 덮개체(12)와 상기 케이스 본체(11)로 밸브 케이스(1)가 구성된다.
상기 제 1 밸브체(2)는 바닥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밸브체로서, 그 저벽 중앙부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관통구와 연이어 통하는 관형상의 유통로(21)가 제 1 밸브체(2)의 내측을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벽 외면의 상기 관통구 주위는 단면 원호형상으로 팽출하여 링형상의 팽출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링형상의 팽출부(22)의 외주면부가 밸브머리부(23)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부가 제 2 밸브 시트(24)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통로(21)의 내면에는 축방향을 따른 4개의 돌조(25)가 90도씩 이간되어서 균등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밸브체(2)는, 상기 링형상의 팽출부(22)가 제 1 출입구(111)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밸브 케이스(1) 내에 배치되며, 제 1 밸브체(2)의 저벽 내면과 밸브 케이스(1)를 구성하는 상기 덮개체(12)의 제 2 출입구(121) 주위의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3)에 의해서 제 1 출입구(111)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제 2 밸브체(4)는, 둥근 막대형상의 축체(41)의 일단부에 대략 원뿔형상의 밸브머리부(42)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밸브머리부(42)의 저면 외주연부(外周緣部)가 역테이퍼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상기 제 2 밸브 시트(24)에 맞닿는 밸브 시트 맞닿음부(4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체(4)는, 상기 제 1 밸브체(2)의 유통로(21) 내에 축부(41)가 삽입되고 밸브머리부(42)가 제 1 밸브체(2)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제 2 밸브체(4)의 상기 밸브 시트 맞닿음부(43)에 형성된 단차부(44)에 지지되고, 타단이 밸브 케이스(1)의 일측의 출입구(111)의 내주부에 형성된 상기 단차부(113)에 지지된 코일 스프링(5)에 의해서 제 1 밸브체(2)의 내측을 향해서 탄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 케이스(1)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 및 덮개체(12), 제 1 밸브체(2) 및 제 2 밸브체(4)는, 연료 비투과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이들 형성재료는 폴리아세탈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수지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나 연료 비투과성이 뛰어난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이 2방향 밸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2방향 밸브는, 상시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에 형성된 밸브 시트 맞닿음부(43)가 상기 제 1 밸브체(2)의 제 2 밸브 시트(24)에 맞닿아 제 1 밸브체(2)의 유통로(21)가 폐색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밸브체(2)의 밸브머리부(23)가 밸브 케이스(1)의 상기 제 1밸브 시트(112)에 맞닿아 제 1 출입구(111)가 폐색된 상태로 닫혀 있다.
이 상태에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제 1 출입구(111) 측이 제 2 출입구(121)측보다 소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출입구(111)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제 1 밸브체(2)가 코일 스프링(3)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제 1 밸브체(2)의 밸브머리부(23)가 제 1 밸브 시트(112)로부터 이간되어서 제 1 출입구(111)가 열린다. 이 때, 제 2 밸브체(4)는 코일 스프링(5)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밸브체(2)의 유통로(21)를 폐색한 상태인채로 제 1 밸브체(2)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연료탱크측의 압력에 의한 기류가 제 1 출입구(111)로부터 케이스 본체(11) 내로 유입되어,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의 외주면을 따라서 케이스 본체(11)의 내주면측으로 유도되며, 제 1 밸브체(2)의 외주면과 케이스 본체(1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통과하고, 제 2 출입구(121)를 통과해서 캐니스터측으로 흘러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개방된다.
또한, 역으로 연료탱크 내가 감압이 되어 제 2 출입구(121)측이 제 1 출입구(111)측보다 소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출입구(121)측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제 2 밸브체(4)가 코일 스프링(5)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에 형성된 밸브 시트 맞닿음부(43)가 제 1 밸브체(2)에 형성된 제 2 밸브 시트(24)로부터 이간되어서 제 1 밸브체(2)의 유통로(21)가 열리고, 캐니스터측의 압력에 의한 기류가 제 2 출입구(121)로부터 제 1 밸브체(2) 내로 유입되어 유통로(21) 내를 빠져나가고,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의 외주면과 케이스 본체(11)의 내주면과의 사이를통과하고, 제 1 출입구(111)을 통과해서 연료탱크로 유입되어 연료탱크 내의 감압상태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2방향 밸브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2방향 밸브와 같이, 연료탱크 내가 소정의 압력범위를 넘어서 가압 또는 감압된 경우에, 밸브를 열어서 탱크 내의 정압 또는 부압을 캐니스터측으로 개방하여, 연료탱크 내를 항상 소정의 압력범위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는, 유통로(21)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가, 제 1 밸브체(2)의 외측에서 제 2 밸브 시트(24)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도3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정/역 어느 방향으로 압력을 보내는 경우라도 기류의 유로에 폐색된 오목부가 형성되는 일이 없어, 큰 난류를 일으키는 일 없이 부드럽게 기류를 유통시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게 압력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연료탱크측의 정압을 캐니스터측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단히 강한 기류가 발생하기 쉽지만,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밸브체(4)의 밸브머리부(42)가 기류를 부드럽게 케이스 본체(11)의 내주면측으로 유도하여, 난류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여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에 의하면, 밸브내를 유통하는 기류의 혼란에 의한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부드러운 유통기류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에서는, 제 2 밸브체(4)가 제 1 밸브체(2)의 외측에서 유통로(21)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2 밸브체(4)를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5)이, 상기 제 2 밸브체(4)에 형성된 단차부(44)와 밸브 케이스(1)에 형성된 단차부(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밸브체(2) 내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해서 제 2 밸브체(4)를 탄지하는 경우와 같이, 스프링 받침자리를 제 1 밸브체(2) 내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밸브와 같이 제 1 밸브체(f)를 구성하는 밸브 본체(d)에 제 2 밸브체(h) 및 코일 스프링(i)을 배치한 후, 밸브 시트 캡(e)을 접착고정해서 밸브 본체(d)를 폐색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에서는 상기 종례에서의 밸브 시트 캡(e)에 상당하는 부품이 생략되어 있다.
또한 조립 작업은, 밸브 케이스(1)를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11) 내에 제 1 밸브체(2), 제 2 밸브체(4) 및 2개의 코일 스프링(3,5)을 배치하고, 이 케이스 본체(11)에 덮개체(12)를 초음파용착에 의해서 접착고정하여 케이스 본체(11)를 폐색하는 것만의 1단계의 조립공정에 의해서 완결하므로, 상기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밸브와 같이, 제 1 밸브체(f) 내에 제 2 밸브체(h) 및 코일 스프링(i)을 배치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밸브체(f) 및 코일 스프링(g)을 케이스 본체(c) 내에 배치하는 제 2 공정의 2단계의 조립공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2방향 밸브에 의하면, 종래의 밸브에 비해 부품수의삭감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의 삭감을 꾀하여 보다 저렴하게 2방향 밸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2방향 밸브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밸브 케이스(1), 제 1 밸브체(2), 제 2 밸브체(4) 및 탄지수단(3,5) 등의 각 부품의 형상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에 지장이 없다. 또 본 발명의 2방향 밸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지만, 그 용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용기나 기타의 폐쇄형상의 공간 부 내의 가압상태 또는 감압상태에 따라서 밸브를 개폐하여, 각종 용기나 기타의 폐쇄형상의 공간부 내의 압력을 일정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밸브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방향 밸브에 의하면, 밸브 내를 유통하는 기류의 혼란에 의한 진동이나 이음의 발생을 가급적 방지하여, 부드러운 유통기류에 의해서 진동이나 불쾌한 이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압력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대향해서 형성된 2개의 출입구를 가지며, 일측의 출입구에 제 1 밸브 시트가 형성된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케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의 출입구에 형성된 제 1 밸브 시트에 맞닿아서 상기 출입구를 폐색하는 제 1 밸브체과,
    상기 제 1 밸브체를 상기 일측의 출입구를 향해서 탄지하는 제 1 탄지수단과,
    상기 제 1 밸브체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 2 밸브 시트가 형성된 유통로와,
    상기 유통로의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아서 상기 유통로를 폐색하는 제 2 밸브체와,
    상기 제 2 밸브체를 상기 유통로의 제 2 밸브 시트를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일측의 출입구측의 압력이 타측의 출입구측의 압력보다 소정 압력 높아졌을 때, 상기 제 1 밸브체가 상기 제 1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일측의 출입구를 개방해서 타측의 출입구측으로 압력을 보내며, 또한 타측의 출입구측의 압력이 상기 일측의 출입구측의 압력보다 소정 압력 높아졌을 때, 상기 제 2 밸브체가 상기 제 2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이동하여, 상기 유통로를 개방해서 상기 유통로를 통과하여 일측의 출입구측으로 압력을 보내도록 구성된 2방향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체의 밸브머리가, 상기 제 1 밸브체의 외측에서 상기 유통로에 형성된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는 것인 2방향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체의 밸브머리가 대략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밸브 케이스 내를 유통하는 기류가 상기 밸브머리의 외주면을 따라서 밸브 케이스 내주면측으로 부드럽게 유도되도록 구성한 2방향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지수단이, 상기 제 2 밸브체과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면의 사이에 배치된 것인 2방향 밸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체가, 축체의 일단부에 밸브머리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그 축체가 상기 제 1 밸브체에 형성된 유통로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밸브머리부가 제 1 밸브체의 외측에서 유통로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 2 밸브 시트에 맞닿도록 배치된 2방향 밸브.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스가, 바닥을 가지는 통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의 개방단을 폐색하는 덮개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저벽에 상기 일측의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덮개체에 상기 타측의 출입구가 형성된 것인 2방향 밸브.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의 사이에 설치되며, 연료탱크 내를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는 체크 밸브로서, 상기 일측의 출입구가 연료탱크에 접속되고, 상기 타측의 출입구가 캐니스터에 접속되는 2방향 밸브.
KR10-2002-0073090A 2002-02-14 2002-11-22 2방향 밸브 KR10051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6892A JP3944706B2 (ja) 2002-02-14 2002-02-14 2方向バルブ
JPJP-P-2002-00036892 2002-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83A true KR20030068383A (ko) 2003-08-21
KR100513057B1 KR100513057B1 (ko) 2005-09-05

Family

ID=2765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090A KR100513057B1 (ko) 2002-02-14 2002-11-22 2방향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29025B2 (ko)
JP (1) JP3944706B2 (ko)
KR (1) KR100513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047B1 (ko) * 2003-09-04 2007-01-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압력개폐밸브
KR100892268B1 (ko) * 2008-08-08 2009-04-09 주식회사 한국유체기계 다기능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8405B2 (en) 2003-12-04 2005-07-19 Alfmeier Corporation Fill limit vent valve
WO2006055870A1 (en) * 2004-11-21 2006-05-26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CN101198814B (zh) * 2005-06-16 2011-04-27 拉瓦尔农业合作社有限公司 用于燃油系统的双止回阀
DE102005036932B8 (de) * 2005-08-05 2008-07-03 Alfmeier Präzision AG Baugruppen und Systemlösungen Entlüftungsventil für den Kraftstoffbehälter von Kraftfahrzeugen
IL175557A0 (en) * 2006-05-11 2006-09-05 Raval Acs Ltd Fuel vent valve and improvement thereof
US20090235994A1 (en) * 2008-03-19 2009-09-2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Coaxial pressure retention and relief mechanism
WO2010012782A1 (en) * 2008-07-29 2010-02-04 Opw Fluid Transfer Group Europe B.V. Valve assembly
JP5145431B2 (ja) * 2008-12-02 2013-02-2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バルブ
CN101943283B (zh) * 2010-09-13 2013-04-24 上海远安流体设备科技有限公司 双用真空安全阀
US8770176B2 (en) * 2011-07-18 2014-07-08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US9326632B2 (en) * 2012-01-27 2016-05-03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Valve arrangement of a commercial cooking device and commercial cooking device
JP6338996B2 (ja) * 2014-10-10 2018-06-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バルブ
JP6275634B2 (ja) 2014-12-25 2018-02-07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CN105135004B (zh) * 2015-09-29 2018-05-11 王志娟 止回阀
CN105937640B (zh) * 2016-06-07 2018-04-03 温州天悦流体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阀
CN107255180B (zh) * 2017-04-26 2023-05-26 南京艾普能源科技有限公司 常压热水箱及其透气装置、透气方法
DE102017012291B3 (de) * 2017-08-08 2021-06-10 Honeywell Technologies Sarl Rückflussverhinderer und Sicherungsarmatur
JP6999177B2 (ja) * 2018-11-08 2022-01-18 株式会社不二工機 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7311612B2 (ja) * 2019-02-20 2023-07-19 ピールブルク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遮断弁用の通流制限装置
US11534054B2 (en) * 2020-06-12 2022-12-27 Karl Storz Endovision, Inc. Vent assembly
WO2022085569A1 (ja) * 2020-10-19 2022-04-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の流路面積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82A (en) * 1871-06-13 Improvement in combined pressure and vacuum valves
US4000828A (en) * 1975-06-02 1977-01-04 Stant Manufacturing Company, Inc. Gas tank cap with roll-over valving
US4498493A (en) * 1981-06-24 1985-02-12 Stant Inc. Pressure valve assembly for a fuel tank filler neck cap
DE3464657D1 (en) * 1983-03-14 1987-08-13 Fiat Auto Spa Double-acting breather valve, particularly for fuel tanks of motor vehicles
JPH01124440U (ko) * 1988-02-17 1989-08-24
JP2690961B2 (ja) * 1988-09-09 1997-1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力調整弁
US5311901A (en) * 1993-06-01 1994-05-17 Ostrom Charles R Pressure interrupter device
JP2853572B2 (ja) * 1994-04-28 1999-02-03 豊田合成株式会社 双方向弁および燃料遮断装置
GB9416784D0 (en) * 1994-08-19 1994-10-12 Lucas Ind Plc Pressure regulation valve
KR19990053805A (ko) * 1997-12-24 1999-07-15 정몽규 압력 릴리프 밸브
JP2000199577A (ja) * 1999-01-08 2000-07-18 Aisan Ind Co Ltd チェックバル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047B1 (ko) * 2003-09-04 2007-01-29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압력개폐밸브
KR100892268B1 (ko) * 2008-08-08 2009-04-09 주식회사 한국유체기계 다기능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50492A1 (en) 2003-08-14
JP2003240144A (ja) 2003-08-27
JP3944706B2 (ja) 2007-07-18
US6929025B2 (en) 2005-08-16
KR100513057B1 (ko) 200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3057B1 (ko) 2방향 밸브
US7290564B2 (en) Solenoid valve
EP1818749A1 (en) Valve device for high-pressure gas
IL166866A (en) Fluid control device
CN111720580B (zh) 流体控制阀
CA2525082C (en) Valve
US7175157B2 (en) Fluid controller
KR100676047B1 (ko) 압력개폐밸브
JPWO2008090657A1 (ja) 流量制御装置
JP2010261591A (ja) ガス弁
US10151399B2 (en) Solenoid valv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L190449B1 (pl) Impulsowy zawór gazowy sterowany elektromagnetycznie
JP2020524761A (ja) 通気バルブを備える軸方向流体スプレーノズル
JP4418267B2 (ja) チェックバルブ
KR20030068382A (ko) 2방향 밸브
JP4740048B2 (ja) 一方向バルブ及びドアチェック装置
JP2001330164A (ja) 二方向弁
JP3577432B2 (ja) チェック弁
JP6790317B2 (ja) 弁装置
WO2019097670A1 (ja) 呼吸弁
JP7033794B2 (ja) 逆止弁
KR10261302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3106788U (ja) チェックバルブ
JP2014152845A (ja) リリーフバルブ
JP2019051878A (ja) 圧力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