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805A - 압력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805A
KR19990053805A KR1019970073506A KR19970073506A KR19990053805A KR 19990053805 A KR19990053805 A KR 19990053805A KR 1019970073506 A KR1019970073506 A KR 1019970073506A KR 19970073506 A KR19970073506 A KR 19970073506A KR 19990053805 A KR19990053805 A KR 1999005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inlet
outlet
operating member
relief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승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805A/ko
Publication of KR1999005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805A/ko

Links

Landscapes

  • Check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작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작동부재가 몸체의 입출구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출구부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에서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한 작동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작동부재는 어느 하나의 탄성스링의 끝단에 체크 볼이 갖추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릴리프 밸브
본 발명은 압력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크 볼을 갖는 작동부재가 반대방향에서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몸체 내에 설치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동작이 용이한 압력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릴리프 밸브는 유체 회로의 압력이 릴리프 밸브의 설정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유체의 일부나 전량을 배출시켜서 회로 내의 압력을 설정값 이하로 유지시켜주게 된다.
미국 특허 제 5,477,829호에서 기술된 압력 릴리프 밸브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출입구(11), (12)를 갖는 몸체(10)와, 그 내부에 설치되어 유압의 압력변화에 따라 개폐가능한 작동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20)는 서로 반대형상의 단차진 유로(21a), (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유로(21a), (21b)에는 체크볼(24)이 탄성지지를 받아 동작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압력 릴리프 밸브는 입구부(11)로 유입된 유체에 의해 어느 하나의 체크 볼(24)을 밀어 출구부(12)로 빠져나가게 되고, 반대쪽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다른 체크 볼을 밀어 유입구(11)쪽으로 압력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압력 릴리프 밸브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제조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몸체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작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작동부재가 몸체의 입출구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어느 한쪽으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압력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출구부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에서 탄성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슬라이드 가능한 작동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작동부재는 어느 하나의 탄성스프링의 끝단에 체크 볼이 갖추어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압력 릴리프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입구부
12 : 출구부 20 : 작동부재
21a, 21b : 유로 22 : 자리면
23 : 유로공 24 : 체크 볼
25a, 25b : 스프링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양단에 각각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입출구부(11), (12)를 따라 움직이면서 유로(21a), (21b)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합된 작동부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재(20)는 입구부(11)와 출구부(12)의 설정 압력값 변화에 따라 2개중 어느 하나의 유로(21a), (21b)를 개구가능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작동부재(20)는 상단이 절개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외주면에는 일부가 전체 원주면을 따라 절개되어 제 1스프링(25a)을 설치할 수 있는 자리면(22)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2단으로 단차진 유로공(23)이 형성되어 내부에 체크 볼(24)이 끼워져서 제 2스르링(25b)의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스프링(25a)은 제 2스프링(25b)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a 와 2b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릴리프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몸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 내부에 체크 볼(24)이 탄성지지를 받아 출구부(1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부재(20)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작동부재(20)가 반대방향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움직이게 하여, 상기 체크 볼(24)이 개구되는 경우와 작동부재(20)가 입구부(11)쪽으로 밀려나면서 외주면을 따라 각각 유로(21a), (21b)를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몸체를 나타낸다.
상기 몸체(10)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의 내부 공간부를 갖는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윗면과 아랫면에는 공간부와 연통가능한 입구부(11)와 출구부(12)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몸체(10)는 공간부가 입구부(11)에서 출구부(12)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공간부의 내주면은 작동부재(20)가 슬라이드 됨에 따라 유로((21b)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부호 20은 작동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부재(20)는 꼭지점 부위가 절개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공간부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작동부재(20)는 높이가 공간부보다 다소 작은 길이로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부재(20)는 첨부도면 2a에서와 같이 상부로 완전히 올라간 경우 몸체(10)의 상하부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20)는 윗면에 아랫면까지 연통가능하도록 2단으로 단차진 유로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로공(23)의 내부에는 제 2스프링(25b)의 탄성지지를 받는 체크 볼(24)이 단차진 부위를 완전하게 기밀유지를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스프링(25b)은 양단이 공간부 내부에서 입구부(11)쪽과 유로공(23) 내에 있는 체크 볼(24)을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부재(20)는 이 제 2스프링(25b)의 탄성지지를 받아 출구부(12)쪽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즉, 상기 체크 볼(24)은 제 2스프링(25b)의 탄성지지를 받아 유로공(23)을 막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입구부(11)로부터 탄성력보다 강한 압력으로 유체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면 이 체크 볼(24)이 위로 움직이면서 유로(21a)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20)는 외주면의 하부에 전체 원주면에 걸쳐 일정한 폭으로 절개되어 자리면(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자리면(22)에는 제 1스프링(25a)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스프링(25a)은 한쪽에 작동부재(20)가 끼워진 상태로 제 2스프링(20b)의 설치된 것과는 반대되는 형태가 되도록 다른 끝단이 입구부(11)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20)가 입구부(11)에서 출구부(12)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스프링(25a)은 제 2스프링(25b)의 탄성계수가 큰 스프링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작동부재(20)가 항상 출구부(12)와 밀착된 상태에서 입구부(11)쪽에 유체의 압력이 걸리게 되면 체크 볼(14)을 밀어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20)가 출구부(12)쪽의 압력이 높게 되는 경우에만 제 1스프링(25a)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아래로 움직이면서 과다한 압력이 입구부(11)쪽으로 배출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20)는 입구부(11)로부터 유체를 제공받아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제 1스프링(25a)의 탄성력과 유체의 압력으로 출구부(12)쪽으로 움직여서 밀폐된 형태가 되고, 이때 상기 체크 볼(24)은 제 2스프링(25b)의 설정된 탄성력보다 유압이 강하게 되면 출구부(12)쪽으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출구부(12)쪽의 압력이 입구부(11)보다 높게 되면 체크 볼(24)은 유로를 차단하여 더이상 유체가 입구부(11)로부터 출구부(12)쪽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며, 이 압력이 상기 제 1스프링(25a)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 작동부재(20)는 입구부(11)쪽으로 움직이면서 외주면과 몸체(10) 사이에 유로(21b)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지지를 받는 체크 볼의 조합으로 개폐가능한 유로를 갖는 작동부재를 몸체 내에 설치하고, 이 작동부재가 반대방향에서 탄성력을 받아 움직이면서 또 다른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압력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 발명은 양단에 각각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갖는 몸체(10)와, 이 몸체(10)에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입출구부(11), (12)를 따라 움직이면서 유로(21a), (21b)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합된 작동부재(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작동부재(20)는 입구부(11)와 출구부(12)의 설정 압력값 변화에 따라 2개중 어느 하나의 유로(21a), (21b)를 개구가능하도록 슬라이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20)는 상단이 절개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외주면에는 일부가 전체 원주면을 따라 절개되어 제 1스프링(25a)을 설치할 수 있는 자리면(22)이 형성되고, 윗면에는 2단으로 단차진 유로공(23)이 형성되어 내부에 체크 볼(24)이 끼워져서 제 2스프링(25b)의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프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프링(25a)은 제 2스프링(25b)의 탄성계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릴리프 밸브.
KR1019970073506A 1997-12-24 1997-12-24 압력 릴리프 밸브 KR19990053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506A KR19990053805A (ko) 1997-12-24 1997-12-24 압력 릴리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506A KR19990053805A (ko) 1997-12-24 1997-12-24 압력 릴리프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805A true KR19990053805A (ko) 1999-07-15

Family

ID=6609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506A KR19990053805A (ko) 1997-12-24 1997-12-24 압력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8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057B1 (ko) * 2002-02-14 2005-09-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2방향 밸브
KR20160108671A (ko) * 2015-03-04 2016-09-20 코웨이 주식회사 압력 조절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057B1 (ko) * 2002-02-14 2005-09-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2방향 밸브
KR20160108671A (ko) * 2015-03-04 2016-09-20 코웨이 주식회사 압력 조절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126B2 (en) Check valve and valve arrangement comprising such a check valve
US9081392B2 (en) Mixing valve
US6457697B1 (en) Foreign particle resistant valve
CA2629390A1 (en) Flow switchable check valve
WO2000004426A3 (en) A control valve trim for high-pressure fluid flow
CA2479083A1 (en) Oil filter assembly
IL166866A (en) Fluid control device
KR980010078A (ko) 역류방지수단이 부착된 전환밸브
KR100565493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960023957A (ko) 포핏형 방향전환밸브
US7066201B2 (en) Valve device having solid engaging structure
EP1031780B1 (en) Pilot valve
KR19990053805A (ko) 압력 릴리프 밸브
US7789373B2 (en) Ball poppet valve with contoured control stem
CA2332223A1 (en) High gai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JP2002250453A (ja) ポペット式スプール
JP3978343B2 (ja) ポペット弁
US6079694A (en) Fluid pressure device
JP4689318B2 (ja) 開放弁
JPS6396367A (ja) デジタルバルブ
KR101852833B1 (ko) 다단 포핏 밸브
US20060011882A1 (en) Control Valve with Elastomeric Valve Element
KR200244640Y1 (ko) 일방향 밸브
KR101428105B1 (ko) 오버플로어 밸브
JPH05433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