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6047B1 - 압력개폐밸브 - Google Patents

압력개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047B1
KR100676047B1 KR1020040070390A KR20040070390A KR100676047B1 KR 100676047 B1 KR100676047 B1 KR 100676047B1 KR 1020040070390 A KR1020040070390 A KR 1020040070390A KR 20040070390 A KR20040070390 A KR 20040070390A KR 100676047 B1 KR100676047 B1 KR 10067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housing
pressure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072A (ko
Inventor
사토히로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25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1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either side
    • F16K17/19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 F16K17/196Equalising valves predominantly for tanks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71Bi-directional flow valves
    • Y10T137/7772One head and seat carried by head of another
    • Y10T137/7777Both valves spring bi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afety Valv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과제) 작동의 원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개폐밸브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 1 포트{유체통로(6)}와 제 2 포트{호스 접속구(4)}를 구비한 하우징{하우징 본체(3) 및 하우징 캡(5)}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스프링{대경 코일 스프링(8)}에 의해서 탄지되어 제 1 포트를 통상은 폐색하고 또한 제 1 포트와 제 2 포트와의 압력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개방하는 밸브체{정압 밸브체(7)}를 가지는 압력개폐밸브(1)에 있어서, 밸브체에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한 탄지력의 축선이, 밸브체가 맞닿는 밸브시트{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압력개폐밸브{PRESSURE OPENING AND CLOSING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압력개폐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압력개폐밸브의 폐쇄시를 나타낸 단면도(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압력개폐밸브의 정압 개방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압력개폐밸브의 부압 개방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코일 스프링의 다른 예(실시예 2)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력개폐밸브 3 - 하우징 본체
4 - 호스 접속구 5 - 하우징 캡
6 - 유체통로 7 - 정압 밸브체
8 - 대경(大徑) 코일 스프링 10 - 부압 밸브체
11 - 소경(小徑) 코일 스프링 13 - 정압 밸브시트
25 - 스프링 지지부 26 - 대경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관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밸브체의 전후 압력차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된 압력개폐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소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2방향 밸브에 매우 적합한 압력개폐밸브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탱크와 캐니스터와의 사이에는,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소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서, 2방향에 대해서 개별로 역지(逆止)작용을 구비한 압력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개폐밸브는, 급유시에는 연료탱크 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서 연료가 가득 차게 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양방향 모두 폐쇄하고, 온도 상승 등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소정값을 넘었을 때에는 연료탱크 내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캐니스터에 흡착시키는 방향으로 개방하고, 연료탱크 내가 대기압보다 감압된 때에는 캐니스터측으로부터 대기압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압력개폐밸브로서, 연료탱크측이 정압시에 개방되는 정압 밸브체 내에 연료탱크측이 부압시에 개방되는 부압 밸브체를 조립한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 평9-60744호 공보 참조).
상기한 종래의 압력개폐밸브에 있어서는, 연료탱크 내의 정압시에 정압 밸브 체를 수용한 하우징의 내주면과 정압 밸브체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유체가 흐를 때 난류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진동하는 정압 밸브체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타격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차체의 진동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가 하우징 내에서 요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타격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타격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압 밸브체가 하우징 내에서 요동하지 않도록 양자의 끼워맞춤간격을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원활한 정압 밸브체의 작동을 확보한 상태에서는 타격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종래의 압력개폐밸브는 원활한 작동을 확보한 상태에서 타격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즉 작동의 원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개폐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포트{유체통로(6)}와 제 2 포트{호스 접속구(4)}를 구비한 하우징{하우징 본체(3) 및 하우징 캡(5)}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스프링{대경 코일 스프링(8)}에 의해서 탄지되어 상기 제 1 포트를 통상은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와의 압력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개방하는 밸브체{정압 밸브체(7)}를 가지는 압력개폐밸브(1)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지력의 축선이 상기 밸브체가 맞닿는 밸브시트{정압 밸브시트 (13)}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체가 개방되었을 때에 하우징의 내주면에 밸브체{정압 밸브체(7)}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진 상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포트{유체통로(6)}와 제 2 포트{호스 접속구(4)}를 구비한 하우징{하우징 본체(3) 및 하우징 캡(5)}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연료탱크 내의 정압에 맞서서 항시 폐쇄되도록 스프링{대경 코일 스프링(8)}에 의해서 탄지되고 소정의 정압값으로 된 때에 개방되는 정압 밸브체(7)와, 연료탱크 내의 부압에 맞서서 항시 폐쇄되도록 스프링{소경 코일 스프링(11)}에 의해서 탄지되고 소정의 부압값으로 된 때에 개방되는 부압 밸브체(10)를 가지며, 연료탱크 내의 액면 상측의 공간과 캐니스터를 잇는 통로 내에 설치된 압력개폐밸브(1)에 있어서, 상기 정압 밸브체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지력의 축선이 상기 정압 밸브체가 맞닿는 밸브시트{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체가 개방되었을 때에 하우징의 내주면에 밸브체{정압 밸브체(7)}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진 상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압력개폐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코일 스프링{대경 코일 스프링(8)}으로 하고, 상기 밸브시트{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에 대해서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되는 스프링 시트{스프링 지지부(25)}를 상기 하우징{하우징 캡(5)}에 형성하고, 자연상태시의 축선이 상기 밸브시트{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시트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스프링이 양단의 중심을 서로 오프셋시켜서 감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력개폐밸브에 의하면, 밸브체에 작용하는 탄지력의 축선이 하우징의 중심축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면에 대해서 의도적으로 밸브체를 중심으로부터 치우치게 하여 맞닿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과 밸브체와의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벌려 두더라도 하우징 내에서 밸브체가 요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타격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서 작동의 원활성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타격음의 발생 억제에 다대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또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2방향 밸브로서의 압력개폐밸브(1)를 나타낸다.
상기 압력개폐밸브(1)는 호스 접속체(2)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3)와, 제 2 포트를 이루는 호스 접속구(4)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캡(5)과, 호스 접속체(2) 내에 형성된 제 1 포트를 이루는 유체통로(6)와 하우징 본체(3)와의 사이의 연통을 단속하는 정압 밸브체(7)와, 정압 밸브체(7)를 탄지하는 대경(大徑) 코일 스프링(8)과, 정압 밸브체(7)의 중심부에 형성된 부압통로(9)를 개폐하는 부압 밸브체(10)와, 부압 밸브체(10)를 탄지하는 소경(小徑) 코일 스프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3)는 호스 접속체(2)의 반대측이 넓게 벌어진 대략 주발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호스 접속체(2)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내측, 즉 유체통로(6)의 하우징 본체(3) 내로의 개구부에는 유체통로(6)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확대된 부압 밸브체 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압 밸브체 수용부(12)의 하우징 본체(3) 내로 향하는 개구부의 주위에는 하우징 본체(3)측을 향해서 넓게 벌어지는 원추면을 이루는 정압 밸브시트(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압 밸브체 수용부(12)의 내주면에는 소경 코일 스프링(11)을 지지하기 위한 축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돌조(14)가 원주를 등분할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캡(5)은 그 중심부에 호스 접속구(4)가 결합된 실질적으로 원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하우징 본체(3)의 개구단에 예를 들면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접착 고정되어 있다.
정압 밸브체(7)는 대략 바닥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바닥벽 중앙부에 관통구멍(15)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관통구멍(15)에 연이어 형성되어 부압통로(9)를 획정하는 관형상부(16)가 정압 밸브체(7)의 내측을 향해서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형상부(16)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4개의 돌조(17)가 원주를 등분할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정압 밸브체(7)에는 축방향을 따르는 4개의 돌조(18)가 그 외주면에 있어서의 원주를 등분할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5)의 외측에는 외주면이 대략 반구(半球)형상을 이루는 환형상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15)의 내측, 즉 부압통로(9)의 개구부에는 부압 밸브체 수용부(12) 측을 향해서 넓게 벌어 지는 원추면으로 이루는 부압 밸브시트(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압 밸브체(7)는 그 환형상 돌출부(19)가 하우징 본체(3)의 정압 밸브시트(13)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하우징 본체(3) 내에 배치되며, 그 바닥벽의 내면과 하우징 캡(5)의 내면과의 사이에 장착된 대경 코일 스프링(8)에 의해서 상기 환형상 돌출부(19)가 정압 밸브시트(13)에 맞닿는 방향으로 항시 탄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압 밸브시트(13)에 대해서 환형상 돌출부(19)를 접촉ㆍ이탈시킴에 의해서 개폐밸브의 작용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부압 밸브체(10)는 밸브 머리부(21)와 축부(2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관형상부(16)의 내주면에 형성된 4개의 돌조(17) 사이로 축부(22)를 삽입시킴으로써, 정압 밸브체(7)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그리고, 밸브 머리부(21)의 축부(22)측의 외면에는 반구형상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압 밸브체(10)는 부압 밸브체 수용부(12) 내에 기단부가 지지된 소경 코일 스프링(11)에 의해서 반구형상부(23)가 부압 밸브시트(20)에 맞닿는 방향으로 항시 탄지되어 있으며, 부압 밸브시트(20)에 대해서 반구형상부(23)를 접촉ㆍ이탈시킴에 의해서 개폐밸브의 작용을 발휘하도록 하고 있다.
호스 접속체(2)에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내의 액면 상측의 공간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플로트 밸브의 출구에 고무호스를 통해서 접속되는 2개의 호스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호스구(24)의 방향 및 개수는 연료탱크의 형식에 따라서 적당하게 정할 수 있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각 부품은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하면 되며, 특히 가 솔린 비투과성이 우수한 폴리아세탈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압력개폐밸브(1)의 작동요령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압력개폐밸브(1)는, 유체통로(6)(제 1 포트)의 압력과 호스 접속구(4)(제 2 포트)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같은 통상시에는 도 2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정압 밸브체(7)에 형성된 부압 밸브시트(20)에 소경 코일 스프링(11)의 탄지력에 의해서 부압 밸브체(10)의 반구형상부(23)가 맞닿아 있음과 아울러, 부압 밸브체 수용부(12)의 개구부측에 형성된 정압 밸브시트(13)에 대경 코일 스프링(8)의 탄지력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7)의 환형상 돌출부(19)가 맞닿아 있다. 따라서, 유체통로(6)와 호스 접속구(4)와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유체통로(6)와 호스 접속구(4)와의 압력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통로(6)측의 정압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7)가 대경 코일 스프링(8)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호스 접속구(4)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7)의 환형상 돌출부(19)가 정압 밸브시트(13)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써 유체통로(6)와 호스 접속구(4)와의 사이가 서로 연통된다. 이 때, 부압 밸브체(10)는 소경 코일 스프링(11)의 탄지력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7)와 일체인 관계를 유지한 채로 정압 밸브체(7)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연료탱크 내에서 증발하는 연료가스가 압력개폐밸브(1)를 통해서 캐니스터측으로 흐름으로써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대기에 개방된다.
반대로, 연료탱크 내가 감압되어 유체통로(6)측보다도 호스 접속구(4)측이 고압으로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통로(6)측의 부압에 의해서 부압 밸브체(10)가 소경 코일 스프링(11)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유체통로(6)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부압 밸브체(10)의 반구형상부(23)가 정압 밸브체(7)에 형성된 부압 밸브시트(20)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써 정압 밸브체(7)의 중심부의 부압통로(9)가 연통된다. 이 때, 정압 밸브체(7)는 대경 코일 스프링(8)의 탄지력의 방향과 압력(유체통로측의 부압)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정압 밸브시트(20)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캐니스터측의 정압에 의해서 캐니스터에서 분리된 연료가스가 압력개폐밸브(1)를 통해서 연료탱크 내로 유입되며,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대기에 개방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압력개폐밸브(1)의 2방향 역지기능에 의해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을 항시 소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기한 압력개폐밸브(1)에서는, 하우징 캡(5)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부(스프링 시트)(25)에 있어서의 대경 코일 스프링(8)의 기단부가 맞닿는 맞닿음면이 하우징 본체(3)의 중심축에 대해서 직교하지 않고 적당한 경사각도(A)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자연상태에 있어서의 대경 코일 스프링(8)의 중심축이 하우징 본체(3)의 중심축과 평행하지 않게, 즉 하우징 본체(3)의 중심부에 형성된 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에 대해서 대경 코일 스프링(8)의 중심축이 적당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대경 코일 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우징 본체(3) 내에 정압 밸브체(7)를 장착하였을 때에는 대경 코일 스프링(8)의 탄지력이 작용하는 방향이 정압 밸브시트(13)의 축선과 평행하지 않게 된다. 즉, 정압 밸브체(7)의 환형상 돌출부(19)의 외주면이 정압 밸브시트(13)에 맞닿았을 때에, 그 추력축(推力軸)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정압 밸브체(7)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정압 밸브체(7)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18)와 하우징 본체(3)의 내주면과의 간격이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하우징 본체(3)의 내주면에 정압 밸브체(7)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맞닿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의도적인 맞닿음 형태에 의해서 하우징 본체(3) 내에서 정압 밸브체(7)가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유체의 난류나 차체 진동의 영향에 의한 타격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실시예 2)
도 5는 정압 밸브체(7)에 대한 탄지력의 축선을 기울이는 다른 수법을 나타낸다. 이것은 자연상태에서 그 축선이 기울어지도록 감은 대경 코일 스프링(26)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정압 밸브시트(13)의 중심과 스프링 지지부(25)의 중심을 서로 합치시키고, 또한 스프링 지지부(25)에 있어서의 대경 코일 스프링(26)의 기단부가 맞닿는 맞닿음면이 하우징 본체(3)의 중심축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하여 두더라도, 정압 밸브체(7)와 스프링 지지부(25)와의 사이에 대경 코일 스프링(26)을 장착하였을 때에는 정압 밸브체(7)에 대한 대경 코일 스프링(26)의 탄지력의 중심이 정압 밸브시트(13)의 중심에서 어긋나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정압 밸브체(7)에 대한 탄지력의 축선을 기울이는 수법으로서는, 스프링 지지부(25)의 중심과 정압 밸브시트(13)의 중심을 서로 지름방향으로 오프셋시 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하우징 본체(3)의 내주면에 정압 밸브체(7)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스프링 지지부(25)의 중심을 어긋나게 할 경우에는 하우징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을 대형화시키지 않고 해결되는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 본체(3)의 호스 접속체(2)와의 결합부의 내주면의 윤곽 및 이것에 대향하는 정압 밸브체(7)의 외주면의 윤곽이 모두 아치형의 곡면을 이루고 있어, 여기에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곡률변화가 일층 더 원활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특히 연료탱크측의 정압에 의해서 캐니스터측으로 개방될 때에 강한 기류가 발생하기 쉬운 정압 밸브체(7)의 주위가 난류를 일으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유체가 흐르도록 되기 때문에, 정압 밸브체(7)의 진동억제효과를 일층 더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3)와 하우징 캡(5)의 용착에 대해서 언급해 둔다. 하우징 본체(3)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개구단부(32) 근방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31)와 개구단부(32)의 접속부에는 덧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 캡(5)에 있어서의 하우징 본체(3)와의 접합면에는, 하우징 본체(3)의 개구단부(32)가 끼워맞춰지는 환형상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3)의 개구단부(32)를 하우징 캡(5)의 환형상 홈(34)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3)와 하우징 캡(5)을 초음파 용착법 등에 의해서 서로 누름접촉시키면, 덧살부(33)가 용융되어 양자가 용착된다. 이 때, 개구단부(32)의 외주 측에서 용착되기 때문에, 잉여의 용융된 수지가 유출되더라도 하우징 본체(3)의 내측으로 흘러들지 않기 때문에, 버 등에 의한 밸브작동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 하우징 본체(3)의 개구단부(32)와 하우징 캡(5)의 환형상 홈(34)을 끼워맞춰서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소켓 삽입 결합에 비해 더 큰 결합력이 얻어진다.
이상, 2방향 밸브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부압 밸브체가 없는 일방향 체크벨브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압력개폐밸브는 각종 용기나 그 외 폐쇄된 공간 내의 가압상태 혹은 감압상태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밸브를 개폐하고, 각종 용기나 그 외 폐쇄된 공간 내의 압력을 일정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자동조압밸브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의 원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타격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압력개폐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어 상기 제 1 포트를 통상은 폐색하고 또한 상기 제 1 포트와 상기 제 2 포트와의 압력차가 소정값을 넘으면 개방하는 밸브체를 가지는 압력개폐밸브로서,
    상기 밸브체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지력의 축선이 상기 밸브체가 맞닿는 밸브시트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체가 개방되었을 때에 하우징의 내주면에 밸브체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진 상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
  2.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연료탱크 내의 정압에 맞서서 항시 폐쇄되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고 소정의 정압값으로 된 때에 개방되는 정압 밸브체와, 연료탱크 내의 부압에 맞서서 항시 폐쇄되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탄지되고 소정의 부압값으로 된 때에 개방되는 부압 밸브체를 가지며, 연료탱크 내의 액면 상측의 공간과 캐니스터를 잇는 통로 내에 설치된 압력개폐밸브로서,
    상기 정압 밸브체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에 의한 탄지력의 축선이 상기 정압 밸브체가 맞닿는 밸브시트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하고, 밸브체가 개방되었을 때에 하우징의 내주면에 정압 밸브체가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진 상태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압 밸브체에 작용하는 스프링을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상기 밸브시트의 축선에 대해서 직각 이외의 각도로 교차되는 스프링 시트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하고, 자연상태시의 축선이 상기 밸브시트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시트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압 밸브체에 작용하는 스프링이 양단의 중심을 서로 오프셋시켜서 감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개폐밸브.
KR1020040070390A 2003-09-04 2004-09-03 압력개폐밸브 KR100676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2477A JP2005083395A (ja) 2003-09-04 2003-09-04 圧力開閉弁
JPJP-P-2003-00312477 2003-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072A KR20050025072A (ko) 2005-03-11
KR100676047B1 true KR100676047B1 (ko) 2007-01-29

Family

ID=3312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390A KR100676047B1 (ko) 2003-09-04 2004-09-03 압력개폐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51216A1 (ko)
JP (1) JP2005083395A (ko)
KR (1) KR100676047B1 (ko)
CN (1) CN100383448C (ko)
GB (1) GB24056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0853B3 (de) * 2005-05-02 2006-08-10 Fte Automotive Gmbh Zwischen einen Geber- und einen Nehmerzylinder eines hydraulischen Kraftübertragungssystems schaltbare Ventilanordnung zur Schwingungsentkopplung
US20080135110A1 (en) * 2006-12-08 2008-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i-directional positive/negative pressure relief valve
EP2326861B1 (en) * 2008-07-29 2013-03-13 OPW Fluid Transfer Group Europe B.V. Valve assembly
JP2011002086A (ja) * 2009-06-22 2011-01-06 Toyota Motor Corp 電磁弁
JP5570320B2 (ja) 2010-06-29 2014-08-13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DE102010052826A1 (de) * 2010-11-29 2012-05-31 Veritas Ag Ventilanordnung
DE102012003505A1 (de) * 2012-02-24 2013-08-29 Mann + Hummel Gmbh Ventil
DE102012208110A1 (de) * 2012-05-15 2013-11-21 Veritas Ag Druckhalteventilanordnung für eine Kraftstoffleitung
CN104051185A (zh) * 2013-03-11 2014-09-17 昆山大庚汽车配件有限公司 防自堵塞压力开关
CN105179332B (zh) * 2015-10-25 2017-03-29 吴立琴 一种伐木机械用油箱
EP3216640B1 (de) * 2016-03-10 2020-09-16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Ventilvorrichtung
JP2018020755A (ja) * 2016-07-25 2018-02-0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負圧式倍力装置用逆止弁
JP6867918B2 (ja) * 2017-09-08 2021-05-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チェックバルブ
JP6792534B2 (ja) 2017-10-11 2020-11-25 株式会社ニフコ 流体吐出機構、及び車両用カメラ又はセンサーに対する流体の吹き付け装置
GB2568335A (en) * 2017-11-09 2019-05-15 Eaton Intelligent Power Ltd Climb and dive valve
CN108916427A (zh) * 2018-09-25 2018-11-30 远大阀门集团有限公司 一种调节止回一体阀及具有该调节止回一体阀的管力阀
JP6999177B2 (ja) * 2018-11-08 2022-01-18 株式会社不二工機 弁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11428335B2 (en) * 2020-06-15 2022-08-30 Spike Brewing LLC Pressure valve for fermenter
CN114607816B (zh) * 2022-03-09 2023-04-07 江苏拓米洛高端装备股份有限公司 压力平衡结构及环境试验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174A1 (en) * 1983-03-14 1984-09-19 FIAT AUTO S.p.A. Double-acting breather valve, particularly for fuel tanks of motor vehicles
KR100236553B1 (ko) * 1991-09-25 2000-01-15 래리 시. 코스케라 도관들을 자동 차단시키는 밀봉 스프링을 갖춘 방화 밸브
JP2000199577A (ja) * 1999-01-08 2000-07-18 Aisan Ind Co Ltd チェックバルブ
KR20030068383A (ko) * 2002-02-14 2003-08-2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2방향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1050A (en) * 1966-07-13 1969-04-29 Itt Pressure equalizing valve
US3465787A (en) * 1967-04-12 1969-09-09 Gen Electric Spring-biased valve with anti-chattering feature
US3437082A (en) * 1967-06-23 1969-04-08 Standard Screw Flow metering device
US4347915A (en) * 1980-02-25 1982-09-07 General Screw Products Company Grease fitting
FR2577903B1 (fr) * 1985-02-28 1987-11-20 Thibonnet Bernard Dispositif d'equilibrage pour reservoir a carburant, notamment pour vehicules routiers
DE3627865A1 (de) * 1986-04-12 1988-02-25 Guenter Stein Rueckschlagventil
DE3732077A1 (de) * 1987-09-24 1989-04-06 Wabco Westinghouse Fahrzeug Rueckschlagventil, insbesondere fuer druckluft
JP2520510Y2 (ja) * 1990-03-14 1996-12-18 東芝精機株式会社 圧力調整弁
JP2827899B2 (ja) * 1994-04-25 1998-11-25 豊田合成株式会社 チェック弁
JPH0861554A (ja) * 1994-08-17 1996-03-08 Nabco Ltd 圧力制御弁
GB9416784D0 (en) * 1994-08-19 1994-10-12 Lucas Ind Plc Pressure regulation valve
US5503375A (en) * 1994-11-09 1996-04-02 Bal Seal Engineering Company, Inc. Coil spring with ends adapted for coupling without welding
JP3421828B2 (ja) * 1995-08-19 2003-06-3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バルブの構造
US6196258B1 (en) * 1998-04-16 2001-03-06 Calsonic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valve and evaporation fuel discharge control device
JP2000257514A (ja) * 1999-03-08 2000-09-19 Calsonic Kansei Corp 蒸発燃料放出抑制装置
JP3480808B2 (ja) * 1998-04-24 2003-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アバルブ
JP4249321B2 (ja) * 1999-04-15 2009-04-02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ばね付勢ディスク型逆止弁
JP3766767B2 (ja) * 1999-06-10 2006-04-19 中央発條株式会社 自動車用懸架コイルばね及び該懸架コイルばねを備えたストラット型懸架装置
JP3428926B2 (ja) * 1999-07-12 2003-07-22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パイロット作動流量調整弁
JP2002196429A (ja) * 2000-08-28 2002-07-12 Olympus Optical Co Ltd フィルムのスキャニング装置
JP3867498B2 (ja) * 2000-12-27 2007-01-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チェック弁及びそのチェック弁を用いたabsアクチュエータ
JP2003240143A (ja) * 2002-02-14 2003-08-27 Nifco Inc 2方向バル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19174A1 (en) * 1983-03-14 1984-09-19 FIAT AUTO S.p.A. Double-acting breather valve, particularly for fuel tanks of motor vehicles
KR100236553B1 (ko) * 1991-09-25 2000-01-15 래리 시. 코스케라 도관들을 자동 차단시키는 밀봉 스프링을 갖춘 방화 밸브
JP2000199577A (ja) * 1999-01-08 2000-07-18 Aisan Ind Co Ltd チェックバルブ
KR20030068383A (ko) * 2002-02-14 2003-08-2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2방향 밸브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40702598
10200300683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83395A (ja) 2005-03-31
CN1590820A (zh) 2005-03-09
GB2405684A (en) 2005-03-09
CN100383448C (zh) 2008-04-23
GB0419212D0 (en) 2004-09-29
GB2405684B (en) 2007-05-02
US20050051216A1 (en) 2005-03-10
KR20050025072A (ko)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047B1 (ko) 압력개폐밸브
JP4730218B2 (ja) 燃料遮断弁
JP5034084B2 (ja) 燃料蒸気ベントバルブのフロートアセンブリと、この製造方法
JP4017587B2 (ja) チェックバルブ一体型カットバルブ
JP2006206042A (ja) 吐出側連結管
JP2006266265A (ja) 逆向きに流通させる性能を備えた、低めの輪郭のオーバフィル制限装置
KR20030068383A (ko) 2방향 밸브
JPH09317933A (ja) 燃料流出防止弁
US20040007262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US5598872A (en) Check valve
US7013908B2 (en) Apparatus for inhibiting fuel from flowing out of fuel tanks
JP2006044586A (ja) 燃料タンク用チェックバルブ
US7146729B2 (en) Fuel vapor vent valve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to a tank
US6779545B2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JP2003083199A (ja) 燃料デリバリパイプ用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
JP6646423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4482806B2 (ja) 流量制御バルブ
JP3401875B2 (ja) チェック弁
JP2007261384A (ja) 燃料遮断弁
JP3794835B2 (ja) 圧力制御弁
JP2004183812A (ja) 流体継手
JP5058883B2 (ja) フロート弁装置
JP2008062878A (ja) 燃料タンク装着部品
JP7332396B2 (ja) 一方向弁
JP4432890B2 (ja) タンク用流路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