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369A -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 Google Patents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369A
KR20030068369A KR1020020062769A KR20020062769A KR20030068369A KR 20030068369 A KR20030068369 A KR 20030068369A KR 1020020062769 A KR1020020062769 A KR 1020020062769A KR 20020062769 A KR20020062769 A KR 20020062769A KR 20030068369 A KR20030068369 A KR 2003006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up
suction
flow control
duct
su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벨로니프랑코
Original Assignee
제트. 바벨로니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 바벨로니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제트. 바벨로니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6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는 진공 소스에 연결하는 하단 흡입 덕트(10) 및 상단 흡입 덕트(11)에 각각 연결된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하단 흡입 컵(3) 및 상단 흡입 컵(4)을 구비한 흡입 컵 몸체(2)를 포함한다. 하단 흡입 덕트(10)를 제어하기 위하여 흐름 제어 부재(20)가 더 추가되어 흡입 컵 몸체(2)가 작업면(15) 상에 위치할 때 하단 흡입 컵(3)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영역에 자유롭게 연결된다.

Description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 {SUCTION CUP ELEMENT FOR RETAINING PLATE-LIKE ELEMENTS, PARTICULARLY FOR MACHINES FOR WORKING GLASS PLAT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에 관한 것이다.
판형 부재를 지지하는데 필요한 분야, 특히 유리판 가공 기계는 작업면 상에 배열되어, 상이한 처리를 하게 될 판형 부재를 제 위치에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설계된 흡입 컵 부재를 현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실시예에서의 흡입 컵 부재는 진공 소스에 연결하는 하단 흡입 덕트 및 상단 흡입 덕트에 각각 연결된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하단 흡입 컵 및 상단 흡입 컵을 갖는 흡입 컵 몸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시, 종래에는 흡입 컵을 가공면의 원하는 지점에 정밀하게 위치시키고, 흡입 컵을 릴리스하기 전에 하단 영역을 진공 소스에 연결함으로써 흡입 컵이 가공면 상에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유형의 흡입 컵 부재에는 몸체 상에 반동이 생겨 이 컵 부재의 위치가 어긋날 수 있기 때문에 나선형 흡입 덕트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그 길이가 흡입 컵 부재와 진공 소스에 연결되는 분배부(distribution unit)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흡입 호스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특히 작업자는 흡입 컵을 표면 상에 순차로 위치시킨 다음 이 흡입 컵이 표면 상에 고정되도록 진공 소스에 연결하고 나서 후속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분명한 것은, 상기 접근 방법은 상당히 번잡스럽고, 대부분 흡입 컵을 위치시킬 때마다 진공 분배부 상에서의 작업이 필요하여 흡입 컵이 진공 분배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는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컵을 작업면 상에 위치시킬 때 별도의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하단 흡입 컵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영역이 진공 소스에 자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선형 또는 고리형 흡입 호스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유형의 호스로 모든 배치 지점을 커버할 수 있는 흡입 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컵 부재를 위치시키는 모든 단계를 상당히 간소화시켜, 작업자가 매번의 배치 작업 도중에 진공 소스에 연결된 분배부 상에서 작업하지 않아도 되는 흡입 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부재 및 소재로 얻을 수 있고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더 경쟁력이 있는 흡입 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는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은 진공 소스에 연결하는 하단 흡입 덕트 및 상단 흡입 덕트에 각각 연결되는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하단 흡입 컵 및 상단 흡입 컵이 제공된 흡입 컵 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흡입 컵 부재는 작업면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하단 흡입 컵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영역에 자유롭게 연결되기에 적합한 상기 하단 흡입 덕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비한정적인 예를 들어 예시된 바와 같은,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에 대한 한정적인 아닌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대한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작업면 상에 위치되기 전 상태인 흡입 컵 부재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작업면 상에 위치된 상태인 흡입 컵 부재의 도면이다.
도 3은 하단 흡입 덕트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1)는 일반적으로 하단 흡입 덕트(10) 및 상단 흡입 덕트(11)에 연결되는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하단 흡입 컵(3) 및 상단 흡입 컵(4)을 갖는 흡입 컵 몸체(2)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 덕트(10, 11)는 흡입 컵 부재를 사용하는 기계에 제공된 진공 소스에 공지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하단 흡입 덕트, 특히 흡입 흐름을 제어하고, 흡입 컵 부재가 가공면(15) 상에 위치될 때 하단 흡입 컵(3)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영역에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는 적합한 제어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지만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원뿔대형이면서 상기 시트(21)를 하단 흡입 덕트에 연결하는 통로 또는 연결부(10a)를 형성하는 링에 의하여 형성된 원뿔대형 시트(21)에 수용되는 플러그 또는 피스톤과 같은 흐름 제어 부재(20)용으로 제공된다.
링(22)은 밀봉 상태로 수용되며 흡입 컵 몸체(2)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하단 흡입 덕트에 연결하는 커넥터(10a)의 개구를 벌리도록 실제로 배열된 두 개의 밀봉 개스킷(25)이 제공된 흐름 제어 부재(20)를 수용한다.
시트(21) 내에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흐름 제어 부재(20)를 밀어 넣는 탄성 부재인 스프링(30)으로 구성된 탄성 푸셔 수단이 또한 제공된다.
흐름 제어 부재(20)는 흡입 컵 몸체의 하단면에 대하여 돌출하는 하단면(20a)을 갖도록 규격화되어, 흡입 컵 몸체(2)가 가공면(15)에 위치될 때, 흡입 컵 몸체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흐름 부재(20)가 병진 운동하여 흡입 덕트(10)와의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흡입 컵 부재가 작업면 상에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수단은 흡입 컵 몸체(2)에 밀봉 상태로 연결되는 부시형 링(43)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템(stem)(42)에 연결된 플랜지 형상부(41)를 갖는 판형 흐름 제어 부재(40)를 포함한다.
플랜지 형상부(41)는, 스템(42)이 통과하는 구멍 둘레에 밀봉부를 형성하고 흐름 제어 부재를 수용하는 리세스(46)의 바닥 상에서 작용하며 흡입 덕트(10)에 연결되는 푸셔 스프링(45)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려지는 전방 개스킷(44)을 갖는다.
흡입 컵 부재를 작업면 상에 위치시키면 스템(42)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 형상부(41)가 개스킷(44)에 대하여 이격됨으로써, 흡입 컵 부재가 작업면 상에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하단 흡입 컵 부재용 진공 소스에 연결하기 위하여 다른 유형의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흡입 컵 부재가 원하는 위치로 릴리스될 때, 이 흡입 컵 부재는 진공 소스에 순간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 위치에 즉시 고정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하다.
상기 실시예는 모든 종류의 유리 가공 기계, 특히 흡입 컵 부재를 위치시키는 자동 수단을 갖는 기계에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모든 상세 내역은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부재로 또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소재는 물론 이에 따른 형상 및 치수는 요구에 따라 임의로 될 수 있다.

Claims (8)

  1.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 부재에 있어서,
    진공 소스에 연결하는 하단 흡입 덕트(10) 및 상단 흡입 덕트(11)에 각각 연결되는 영역의 범위를 정하는 하단 흡입 컵(3) 및 상단 흡입 컵(4)을 구비한 흡입 컵 몸체(2)를 포함하고,
    작업면(15) 상에 위치될 때 상기 하단 흡입 컵(3)에 의하여 범위가 정해진 상기 영역에 자유롭게 연결하기에 적합한 상기 하단 흡입 덕트(10)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흡입 컵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흡입 컵 몸체(2)의 하단면에 대하여 돌출하며 상기 흡입 컵 부재(2)가 작업면(15) 상에 위치할 때 상기 하단 흡입 덕트(10)를 자유롭게 하도록 자신의 시트(2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하단 흡입 덕트(10)용 흐름 제어 부재(20)를 포함하는 흡입 컵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부재(20)는, 상기 흡입 컵 몸체(2)의 하단면에 연결되고 상기 하단 흡입 덕트(10)에 연결부(10a)를 구비한 링(22)에 의하여 형성된 시트(21)내에 수용되는 흡입 컵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흡입 덕트(10)에 연결된 상기 영역에 걸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두 개의 밀봉 개스킷(25)을 상기 흐름 제어 부재(20) 상에 더 포함하는 흡입 컵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신의 하단면(20a)을 밀어 상기 흡입 컵 몸체(2)의 하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흐름 제어 부재(20) 상에서 작용하는 탄성 부재(30)를 더 포함하는 흡입 컵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어 부재(20)는 실질적으로 원뿔대 형상인 흡입 컵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플랜지 형상부(41)를 갖고 병진 운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컵 몸체(2)에 밀폐되어 연결되는 부시형 링(43)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템(42)을 구비한 판형 흐름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 형상부(41)는 상기 스템(42)이 통과하는 구멍 둘레에서 작용하는 전면 밀봉 개스킷(44)을 지지하는 흡입 컵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형상부(41)와 상기 판형제어 부재(41)를 수용하는 리세스(46) 바닥 사이에서 작용하는 푸셔 스프링(45)을 더 포함하는 흡입 컵 부재.
KR1020020062769A 2002-02-12 2002-10-15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KR20030068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02MI000266A ITMI20020266A1 (it) 2002-02-12 2002-02-12 Elemento a ventosa per il trattenimento di elementi lasriformi in particolare per macchine per la lavorazione di lastre di vetro e simili
ITMI2002A000266 2002-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69A true KR20030068369A (ko) 2003-08-21

Family

ID=1144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769A KR20030068369A (ko) 2002-02-12 2002-10-15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51182A1 (ko)
EP (1) EP1334804A3 (ko)
JP (1) JP2003238063A (ko)
KR (1) KR20030068369A (ko)
IT (1) ITMI20020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1156T1 (de) * 2008-04-18 2012-04-15 Luca Toncelli Automatische klemmvorrichtung für plattenmaterial und zugehöriges klemmverfahren
US9108319B2 (en) * 2011-02-01 2015-08-1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Electric suction cup
CN102886699B (zh) * 2012-10-29 2014-11-05 江苏科技大学 一种加工螺旋桨桨叶的支撑方法
CN103122919B (zh) * 2013-02-06 2016-02-03 厦门松霖科技有限公司 吸附装置
CN103921225A (zh) * 2013-09-18 2014-07-16 芜湖莫森泰克汽车科技有限公司 天窗玻璃安装位工装用吸盘定位装置
CN105972043A (zh) * 2016-06-19 2016-09-28 周冬娟 吸盘固定装置
CN109579773B (zh) * 2019-01-15 2020-10-27 蚌埠翰邦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玻璃变形量测量方法
CN110640482B (zh) * 2019-10-15 2021-06-08 台州市东部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机床
CN114654281A (zh) * 2022-04-24 2022-06-24 靳银霞 一种机械加工用降温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25207A1 (de) * 1983-07-13 1985-01-31 Peter-Uhren Gmbh, 7210 Rottweil Sauggreifer mit selbststeuernder saugoeffnung
FR2724644B1 (fr) * 1994-09-16 1996-12-27 Renault Ventouses de prehension et dispositif de prehension les comportant
US5553837A (en) * 1995-01-17 1996-09-10 Kahle; David A. Vacuum workpiece holding device for a work table
IT1299177B1 (it) * 1998-05-20 2000-02-29 Quintilio Lupi Sistema per la lavorazionme a contorno con maschera di lastre di marmo, pietra, vetro o simili
US6286822B1 (en) * 1999-07-20 2001-09-11 John Blick Machinable supports for close tolerance edge support
US6264185B1 (en) * 2000-04-19 2001-07-24 Shoda Iron Works Co., Ltd. Suction pad
DE10023323A1 (de) * 2000-05-12 2001-11-29 Karl Goeckel Tisch- oder konsolenartige Spann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020266A0 (it) 2002-02-12
EP1334804A3 (en) 2004-12-29
ITMI20020266A1 (it) 2003-08-12
EP1334804A2 (en) 2003-08-13
US20030151182A1 (en) 2003-08-14
JP2003238063A (ja)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804A (en) Apparatus for holding an object to a surface using valve controlled vacuum force
KR20030068369A (ko)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US4221356A (en) Vacuum operated holding fixture
US4858976A (en) Device for handling workpieces
US5177857A (en) Method for holding an object to a surface using valve controlled vacuum force
US6068014A (en) Pressure-reducing valve
CN105934151B (zh) 用于挤奶机的压力控制装置
JP2017503985A (ja) 負圧取扱装置または負圧クランプ装置のためのバルブ、ならびに負圧取扱装置
US5027063A (en) Vacuum-actuated test fixture for testing electronic components
EP0863346B1 (en) Suck back valve
US9623571B2 (en) Pick and place nozzle adaptor
JP2001520125A (ja) 真空固定保持装置
US3499641A (en) Fluid pressure actuated diaphragm workpiece clamping device
JP2001267271A (ja) 吸着装置
US9766145B2 (en) Active diaphragm seal assembly for pressure measurement
KR101610256B1 (ko) 진공 흡착 플레이트
US20040094096A1 (en) A device for milking an animal
CA2068834A1 (en) Milking cup and a milking set provided with one or more such milking cups and an automatic milking apparatus
KR101779197B1 (ko) 진공밸브
KR101829864B1 (ko) 디스크 상부에 탄성체가 구비된 안전밸브
KR101952500B1 (ko)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US5979792A (en) Suck back valve having diaphragm with thick walled section
US5494075A (en) Hydraulic time delay valve
KR101855367B1 (ko) 렌즈 가공용 지그
KR20150098470A (ko) 진공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