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500B1 -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500B1
KR101952500B1 KR1020170048592A KR20170048592A KR101952500B1 KR 101952500 B1 KR101952500 B1 KR 101952500B1 KR 1020170048592 A KR1020170048592 A KR 1020170048592A KR 20170048592 A KR20170048592 A KR 20170048592A KR 101952500 B1 KR101952500 B1 KR 10195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base
holder
orifice base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989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호 filed Critical 박경호
Priority to KR102017004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5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 모듈의 밸브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가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는 위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수용 부분(111)이 형성된 밸브 몸체(11); 수용 부분(111)에 수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오리피스 베이스(12);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패킹 홀더(14);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 코어(131)가 수용된 보빈(13); 및 코어(131)의 위쪽에 결합되는 플런저(18)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베이스(12)는 수용 부분(1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A Valve Assembly with a Structure of Removing a Open-Close Module}
본 발명은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밸브 개폐 모듈의 밸브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에 의하여 가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와 같은 도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밸브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밸브 어셈블리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모듈은 반복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밸브 몸체와 같은 부분에 비하여 쉽게 마모가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개폐 모듈에 오작동이 발생되면 밸브 어셈블리 전체가 교체되어야 한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012-0003979호는 밸브 몸체; 보빈; 커버체 및 플런저로 이루어진 밸브 어셈블리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54383호는 보디; 밸브체; 및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면서 밸브체가 구멍부; 및 오리피스로 이루어진 전자밸브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어 유체의 이동을 개폐하는 플런저 또는 오리피스의 결합을 위한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잡하면서 정밀한 결합 구조는 개폐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예를 들어 테두리 부분과 같은 접촉 부분이 쉽게 마모가 되고 이로 인하여 개폐 모듈 자체의 오작동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의 개발이 요구되지만 선행기술은 이러한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2-0003979호(장효준, 2012년06월07일 공개) 솔레노이드 밸브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54383호(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2016년05월16일 공개) 전자밸브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몸체에서 개폐 모듈의 결합 부위가 속이 빈 원통 형상이 되어 개폐 모듈 전체 또는 일부가 밸브 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이 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밸브 몸체의 결합 부위가 속이 빈 원통 형상이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는 위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수용 부분이 형성된 밸브 몸체; 수용 부분에 수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오리피스 베이스; 오리피스 베이스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패킹 홀더; 오리피스 베이스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 코어가 수용된 보빈; 및 코어의 위쪽에 결합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베이스는 수용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런저의 아래쪽 끝으로 연장되어 아래쪽 부분이 패킹 홀더에 결합되는 푸시 핀을 더 포함하고, 푸시 핀은 패킹 홀더와 플런저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브 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보빈을 둘러싸면서 가장자리가 밸브 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고, 고정 프레임의 분리에 의하여 오리피스 베이스가 수용 몸체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패킹 홀더를 수용 부분의 바닥 면에 고정시키는 탄성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개폐 모듈이 밸브 몸체와 간단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가 된다. 이에 의하여 밸브 어셈블리의 가공이 간단하면서 일부분의 마모로 인한 오작동 또는 밸브 어셈블리 전체의 교체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플런저에 고정된 푸시 핀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개폐 모듈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인하여 일반 가정에서 솔레노이드 부분에 발생된 불량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유닛을 분리하여도 밸브 몸체로부터 가스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에서 밸브 몸체에 수용된 개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에서 개폐 모듈의 작동을 위한 개폐 작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10)는 위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수용 부분(111)이 형성된 밸브 몸체(11); 수용 부분(111)에 수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오리피스 베이스(12);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패킹 홀더(14);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 코어(131)가 수용된 보빈(13); 및 코어(131)의 위쪽에 결합되는 플런저(18)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베이스(12)는 수용 부분(1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밸브 몸체(11)는 다양한 형태의 유체 이송을 위한 서로 다른 이송 도관을 연결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가스의 이송을 위한 도관에 설치될 수 있다. 밸브 몸체(11)는 서로 다른 도관을 연결하는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개폐 모듈 및 개폐 모듈의 작동을 위한 개폐 작동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밸브 몸체(11)는 유동 경로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중간 부분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 수용 부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부분(111)은 전체적으로 밸브 몸체(1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이 되면서 원형의 바닥 면을 가질 수 있다. 수용 부분(111)의 위쪽은 개방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밸브 몸체(11)의 유동 경로와 연결되는 개폐 홀이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1, 2 개폐 홀은 유동 경로의 상하로 배치될 수 있지만 개폐 모듈의 작동 구조에 따라 개폐 홀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용 부분(111)에 전체적으로 원형 구조를 가지는 오리피스 베이스(12)가 배치될 수 있고, 오리피스 베이스(12)는 수용 부분(111)의 둘레 면을 접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내부에 1 또는 2 개폐 홀의 개폐를 위한 개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와 같은 유체가 밸브 몸체(11)의 좌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오리피스 베이스(12)를 경유하여 밸브 몸체(11)의 우측으로 흐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푸시 핀(16)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오링과 같은 1 실링 수단(R1)에 결합된 개폐 부분이 상하로 이동되어 오리피스 베이스(12)에 형성된 가스의 유입구가 개폐되어 가스의 흐름이 제어될 수 있다.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패킹 홀더(14)가 결합될 수 있고, 패킹 홀더(14)는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 부분을 폐쇄시키는 구조로 오리피스 베이스(12)에 결합될 수 있다.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부분은 수용 부분(111)의 위쪽 둘레 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고, 원형 구조를 가지는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면에 마그넷 홀더(17)가 결합될 수 있고, 마그넷 홀더(17)의 양쪽 측면에 한 쌍의 마그넷(17a, 17b)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홀더(17) 및 한 쌍의 마그넷(17a, 17b)의 위쪽에 중앙 부분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면서 보조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보빈(13)이 배치될 수 있다.
보빈(13)은 밸브 몸체(11)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F)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빈(13)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코어 공간이 배치될 수 있고, 코어 공간에 코어(131) 및 플런저(18)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보빈(13)은 고정 프레임(F)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F)은 보빈(13)을 둘러싸는 보호 덮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프레임(F)은 전체적으로 박스형 또는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지면서 아래쪽 가장자리가 수평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꺾인 형상이 될 수 있고, 볼트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밸브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코어 공간에 코어(131)와 플런저(18)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고, 플런저(18)의 위쪽 부분에 플런저(18)의 강제 작동을 위한 안전 스위치가 고정 프레임(F)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런저(18)와 코어(131)가 결합되는 부분에 댐퍼(152)가 배치되고, 패킹 홀더(14)의 위쪽 부분에 하부 댐퍼(151)가 배치되어 플런저(18) 또는 개폐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마그넷 홀더(17)가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부분과 결합되는 부분에 오리피스 실링(19)이 배치될 수 있다. 기밀성의 향상을 위한 오-링과 같은 실링 수단(R1, R2)의 서로 다른 유닛의 결합 부위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111)의 측면 벽과 접하는 부분에 1 실링 수단(R1)이 배치되고, 마그넷 홀더(17)와 코어(131)의 결합 부분에 2 실링 수단(R2)이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또는 밀폐를 위한 수단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푸시 핀(16)이 오리피스 베이스(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부분(111)의 바닥 면에 탄성 커버(SC)가 고정될 수 있고, 패킹 홀더(14)의 아래쪽 부분이 탄성 커버(SC)에 결합될 수 있다. 오리피스 베이스(12) 또는 푸시 핀(16)의 분리를 위하여 밸브 몸체(11)가 도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F)이 분리될 수 있다. 이후 탄성 커버(SC)의 고정 수단이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푸시 핀(16)의 분리를 위하여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111)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빈(13)이 오리피스 베이스(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푸시 핀(16)의 분리 과정에서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111)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도관에 유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체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푸시 핀(16)이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고,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b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수용 부분(111)은 바닥 면을 가지면서 위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되어 밸브 몸체(11)의 가공이 단순해지도록 한다. 또한 오리피스 베이스(12)를 포함하는 개폐 모듈 및 보빈(13)을 포함하는 개폐 작동 모듈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오리피스 베이스(12)의 내부에서 개폐 유닛이 이동되면서 밸브 몸체(11)에 형성된 유동 경로가 개폐되는 것에 의하여 접촉에 따른 마모가 감소되면서 작동 오류가 발생되지 않고, 개폐 유닛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각각의 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에서 밸브 몸체에 수용된 개폐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밸브 몸체(11)는 이송 도관에 연결되도록 양쪽 부분에 형성된 각 형성된 체결 부분(24a, 24b); 체결 부분(24a, 24b)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 부분(111); 및 수용 부분(111)과 각각의 체결 부분(24a, 24b)을 연결하는 경로 형성 부분(212, 2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 부분(111)의 양쪽으로 밸브 몸체(11)의 외부 둘레 면에 형성되어 고정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 부위(B11, B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부분(1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오피리스 베이스(1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면서 측면 방향으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오리피스 베이스(12)는 다수 개의 원통 또는 원판 형상이 적층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결합 부분(221); 결합 부분(22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1 수직 부재(222); 1 수직 부재(222)의 아래쪽 끝에 형성되면서 휠 또는 드럼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중간 고정 부분(221a); 중간 고정 부분(221a)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2 수직 부재(223); 및 수직 부재(223)의 아래쪽 끝에 형성되는 고정 테두리(2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부분(221)과 중간 고정 부분(221a)에 각각의 오-링과 같은 실링 수단의 결합을 위한 환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 부분에 패킹 홀더(14)가 수용될 수 있고, 고정 테두리(224)가 패킹 홀더(14)의 홀더 베이스(232)에 결합될 수 있다. 패킹 홀더(14)는 원판 형상의 기판과 기판을 마주보는 환형의 결합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홀더 베이스(232) 및 홀더 베이스(232)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수용 실린더(2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 베이스(232)를 형성하는 기판과 결합 테두리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수용 실린더(231)의 아래쪽에 원뿔 형상의 압력 조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 실린더(231)에 푸시 핀(16)이 결합될 수 있다.
푸시 핀(16)은 원통 형상으로 플런저에 결합되는 플런저 결합 부분(161) 및 플런저 결합 부분(161)의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용 실린더(231)의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실린더 결합 부분(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은 푸시 핀(16)은 독립적으로 수용 실린더(231)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패킹 홀더(14)와 오리피스 베이스(12)는 예를 들어 탄성 고정 수단에 의하여 수용 부분(111)의 바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에서 개폐 모듈의 작동을 위한 개폐 작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탐조하면,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탄성 커버(SC)가 배치되어 위에서 설명된 패킹 홀더와 오리피스 베이스(12)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커버(SC)는 원형 기판 형상의 바닥 베이스(331), 바닥 베이스(331)의 돌출 원판 형상으로 만들어진 홀더 고정 블록(332); 및 바닥 베이스(331)의 원주 부분을 따라 형성된 다수 개의 베이스 고정 훅(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커버(SC)는 전체적으로 탄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수용 부분의 바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 고정 블록(332)은 푸시 홀더의 아래쪽 부분에 형성된 수용 홀에 삽입되어 푸시 홀더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훅(333)은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끝 부분에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또는 훅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고정 테두리(224)가 고정 훅(333)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오리피스 베이스(12)가 탄성 커버(SC)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 커버(SC)는 푸시 홀더 또는 오리피스 베이스(12)를 수용 부분의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리피스 베이스(12)의 결합 부분(221)의 위쪽 평면에 마그넷 홀더(17)가 위치할 수 있고, 마그넷 홀더(17)는 예를 들어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마그넷 홀더(17)의 중앙 부분에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마그넷 홀더(17)의 아래쪽 부분에 결합 탭(17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홀더(17)의 양쪽에 마그넷(17a, 17b)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 홀더(17)에 형성된 결합 홀에 코어(131)가 배치될 수 있고, 코어(131)는 마그넷 홀더(17)의 결합 홀에 결합되는 코어 실린더(323) 및 코어 실린더(323)의 위쪽 부분에 형성되는 코어 몸체(322) 및 코어 실린더(323)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코어 몸체(322)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돌출 결합 부분(3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출 결합 부분(321)에 플런저(18)가 결합될 수 있다.
플런저(18)는 돌출 결합 부분에 결합되면서 푸시 핀의 위쪽 끝이 결합되는 고정 결합 부분(313); 고정 결합 부분(313)의 위쪽에 형성되는 플런저 몸체(312); 및 위에서 설명된 고정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도어 안전 스위치를 형성한 돌출 스위치(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131)에 감긴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플런저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푸시 핀이 작동되어 오리피스 베이스(12)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유닛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플런저(18) 및 코어(131)가 마그넷 홀더(17)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부분(12)에 고정된 상태에서 푸시 핀이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푸시 핀은 다양한 구조로 플런저(18) 및 코어(131)에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개폐 모듈이 밸브 몸체와 간단하게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가 된다. 이에 의하여 밸브 어셈블리의 가공이 간단하면서 일부분의 마모로 인한 오작동 또는 밸브 어셈블리 전체의 교체가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어셈블리는 플런저에 고정된 푸시 핀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개폐 모듈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인하여 일반 가정에서 솔레노이드 부분에 발생된 불량을 위하여 솔레노이드 유닛을 분리하여도 밸브 몸체로부터 가스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밸브 어셈블리 11: 밸브 몸체
12: 오리피스 베이스 13: 보빈
14: 패킹 홀더 16: 푸시 핀
17: 마그넷 홀더 17a, 17b: 마그넷
18: 플런저 19: 오리피스 실링
24a, 24b: 체결 부분 111: 수용 부분
131: 코어 151: 하부 댐퍼
152: 댐퍼 161: 플런저 결합 부분
162: 실린더 결합 부분 171: 결합 탭
212, 213: 경로 형성 부분 221: 결합 부분
221a: 중간 고정 부분 222: 1 수직 부재
223: 2 수직 부재 224: 고정 테두리
231: 수용 실린더 232: 홀더 베이스
311: 돌출 스위치 312: 플런저 몸체
313: 고정 결합 부분 321: 돌출 결합 부분
322: 코어 몸체 323: 코어 실린더
331: 바닥 베이스 332: 홀더 고정 블록
333: 고정 훅 B11, B12: 체결 부위
F: 고정 프레임 R1: 1 실링 수단
R2: 2 실링 수단 SC: 탄성 커버

Claims (4)

  1. 위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수용 부분(111)이 형성된 밸브 몸체(11);
    수용 부분(111)에 수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오리피스 베이스(12);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패킹 홀더(14);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위쪽 부분에 결합되고, 내부에 코어(131)가 수용된 보빈(13); 및
    코어(131)의 위쪽에 결합되는 플런저(18)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베이스(12)는 수용 부분(1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플런저(18)의 아래쪽 끝으로 연장되어 아래쪽 부분이 패킹 홀더(14)에 결합되는 푸시 핀(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핀(16)은 패킹 홀더(14)와 플런저(18)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패킹 홀더(14)는 원판 형상의 기판과 기판을 마주보는 환형의 결합 테두리로 이루어지는 홀더 베이스(232) 및 홀더 베이스(232)의 위쪽으로 연장되면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수용 실린더(231)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베이스(232)는 오리피스 베이스(12)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 테두리(224)에 결합되고, 상기 수용 실린더(231)에 푸시 핀(1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 몸체(11)의 외부에 위치하는 보빈(13)을 둘러싸면서 가장자리가 밸브 몸체(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F)을 포함하고, 고정 프레임(F)의 분리에 의하여 오리피스 베이스(12)가 수용 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패킹 홀더(14)를 수용 부분(111)의 바닥 면에 고정시키는 탄성 커버(SC)를 더 포함하는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KR1020170048592A 2017-04-14 2017-04-14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KR10195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2A KR101952500B1 (ko) 2017-04-14 2017-04-14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2A KR101952500B1 (ko) 2017-04-14 2017-04-14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89A KR20180115989A (ko) 2018-10-24
KR101952500B1 true KR101952500B1 (ko) 2019-02-26

Family

ID=6413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92A KR101952500B1 (ko) 2017-04-14 2017-04-14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212B1 (ko) * 2021-09-03 2023-07-03 박균을 플런저 구동부의 분리가 가능한 하이브리드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094B1 (ko) * 2014-11-13 2016-04-08 박경호 누설방지 기능을 갖는 유체차단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496Y1 (ko) 2010-11-29 2012-07-18 장효준 솔레노이드 밸브
ITMI20120208A1 (it) * 2012-02-15 2013-08-16 Fugas S P A Valvola deviatrice a tre vie perfezionata
JP2016089969A (ja) 2014-11-06 2016-05-2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磁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094B1 (ko) * 2014-11-13 2016-04-08 박경호 누설방지 기능을 갖는 유체차단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89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9233B2 (en) Gate valve
KR20140051096A (ko) 밸브를 갖는 물 필터 카트리지
JP6289458B2 (ja) 内部通路を備えたアクチュエータ装置
CN102077005A (zh) 通用内件控制阀和制造这种控制阀的方法
KR20180063236A (ko) 통합적 압력 보상 수단을 구비하는 마개 플러그
KR101952500B1 (ko)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CN108700223B (zh) 以两件式阀盘关闭流路的真空阀
KR101563464B1 (ko) 소프트 시트 나이프 게이트 밸브
US11149861B2 (en) Gate valve with disk replacement structure
KR101376761B1 (ko) 진공 테이블
KR102394011B1 (ko) 임의의 유형의 매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장치
US20200009483A1 (en) End plate, filter element, filter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liquid
CN108361401B (zh) 真空阀
KR101881821B1 (ko)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 용이하게 조립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장치
JP2002005334A (ja) ダイヤフラム弁装置における異常検知装置
JP2007002930A (ja) 電磁弁
US9181075B2 (en) Water container
KR20030068369A (ko) 판형 부재 지지용, 특히 유리판 등의 가공 기계용 흡입 컵부재
KR101829864B1 (ko) 디스크 상부에 탄성체가 구비된 안전밸브
JP2007270957A (ja) ガス遮断弁
KR20180017864A (ko) 자성 플런저를 가진 직동식 솔레노이드 밸브
JP6274889B2 (ja) 仕切弁の弁蓋撤去工法および弁蓋撤去治具
RU2603230C1 (ru) Нормально закрытый трехходовой клапан
ATE382554T1 (de) Verschlussvorrichtung
US20190107220A1 (en) Valve drive system for a pneumatic or hydraulic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