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367B1 - 렌즈 가공용 지그 - Google Patents

렌즈 가공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367B1
KR101855367B1 KR1020160067624A KR20160067624A KR101855367B1 KR 101855367 B1 KR101855367 B1 KR 101855367B1 KR 1020160067624 A KR1020160067624 A KR 1020160067624A KR 20160067624 A KR20160067624 A KR 20160067624A KR 101855367 B1 KR101855367 B1 KR 10185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sertion hole
cylinder
lens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546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윌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윌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윌템스
Priority to KR102016006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36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24B13/0055Positioning of lenses; Marking of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는, 가공된 렌즈가 안착되는 삽입 홀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 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에 의해 상기 렌즈의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대한 고정 또는 분리가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가공용 지그{LENS PROCESSING JIG}
본 발명은 렌즈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 조절부에 의해 본체 내에 렌즈를 분리 또는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렌즈를 동시에 동일한 곡률로 가공하게 할 수 있는 렌즈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일반적으로 카메라, CD드라이버, 팩시밀리 및 조준경, 내시경, 망원경 등의 광학기기에 사용되는 렌즈의 제조는 소정 크기의 재료를 황삭(rough cut)가공을 하고 그 표면을 보다 매끄럽게 다듬질하는 연마 공정을 거쳐 완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연마기가 존재하며, 피가공물의 형상에 따라서 연마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연삭 공정 시 설비 운용을 효율적으로 하고, 생산 리드 타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렌즈 가공용 지그에 대하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05년 2월 4일에 출원된 KR2005-7002039에는 '렌즈 유지 지그'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삽입 홀 내에 복수 개의 렌즈가 안착되고, 본체의 중심축 및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나게 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개의 렌즈를 가공하게 할 수 있는 렌즈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를 자유롭게 탈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연마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설비 가동율 증대, 작업 환경 개선 또는 작업자 활용율 증대 등을 실현할 수 있는 렌즈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가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흡착되어, 렌즈 가공 중 삽입 홀로부터 렌즈의 이탈이 방지되고, 보다 정밀하게 렌즈 가공을 수행할 수 있는 렌즈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는, 가공하고자 하는 렌즈가 안착되는 삽입 홀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 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에 의해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가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력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여 개방 형성되는 실린더;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연통되며,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요소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삽입 홀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 홀의 중심과 연통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삽입 홀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삽입 홀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는, 복수 개의 렌즈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삽입 홀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은 상기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의 내부 표면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렌즈가 동시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 하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의 곡률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의 기울기는 상기 본체 하면의 곡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압력 조절 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압력 조절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사이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내 압력이 동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복수 개의 삽입 홀 내에 복수 개의 렌즈가 안착되고, 본체의 중심축 및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나게 함으로써, 동시에 복수 개의 렌즈를 가공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렌즈를 자유롭게 탈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연마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설비 가동율 증대, 작업 환경 개선 또는 작업자 활용율 증대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렌즈가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흡착되어, 렌즈 가공 중 삽입 홀로부터 렌즈의 이탈이 방지되고, 보다 정밀하게 렌즈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피스톤에 진공 펌프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는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렌즈가 흡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b)는 삽입 홀로부터 렌즈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피스톤에 진공 펌프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는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렌즈가 흡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b)는 삽입 홀로부터 렌즈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10)는 본체(100) 및 압력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렌즈(미도시)가 가공되는 동안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 특히 본체의 하면에는 렌즈가 안착되는 삽입 홀(102)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10)는 복수 개의 렌즈를 동시에 가공할 수 있도록 본체(100)에 복수 개의 삽입 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세 개의 렌즈를 동시에 가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삽입 홀(102)이 세 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 개의 삽입 홀(102)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본체(100)에 구비된 삽입 홀(102)의 개수는 동시에 가공하고자 하는 렌즈의 개수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에 구비된 삽입 홀(102)은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본체(100)의 하면은 제1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중심축(X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홀(102)은 본체(100)의 하면에서 제1 중심축(X1)을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하면으로부터 본체 내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은 렌즈의 곡률에 대응되는 제2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 홀(102)은 제2 중심축(X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중심축(X2)은 삽입 홀(102)의 중심축인 동시에 렌즈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심축(X2)은 본체(100)의 하면에 형성된 곡률에 기인하여, 제1 중심축(X1)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중심축(X1)에 대한 제2 중심축(X2)의 기울기는 본체(100) 하면의 곡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100) 하면의 곡률, 즉 제1 곡률은 렌즈 또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의 곡률, 즉 제2 곡률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중심축(X1) 및 제2 중심축(X2)의 배치에 의해 제1 중심축(X1) 및 제2 중심축(X2)은 동일한 지점(O)에서 만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10)에서는 본체(100)에 복수 개의 삽입 홀(102)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체(100)의 중심축 및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0)에 삽입 홀(102)이 형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렌즈는 동시적으로 가공될 수 있음은 물론,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이 렌즈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편심 없이 보다 정밀하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 홀(102)에는 캡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 부재는 아세탈 계열의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장착되거나, 삽입 홀(102)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연질의 재질로 마련된 렌즈의 경우, 황동으로 제작된 본체(100)에 의해 손상된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지 위함이다.
한편, 본체(100)의 상면에는 장착 홀(104)이 형성되어 렌즈 가공용 지그(10)가 렌즈 가공 설비, 예를 들어 연마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홀(104)은 제1 중심축(X1)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상면에서 중앙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된 본체(100)의 상면에는 압력 조절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부(200)는 삽입 홀(102) 내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삽입 홀(102) 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삽입 홀(102) 내 압력 변화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렌즈를 고정 또는 흡착시키거나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200)는 제1 압력 조절 부재(210) 및 유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조절 부재(210)는 실린더(212), 피스톤(214), 탄성 요소(216) 및 체결 요소(2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12)는 본체(100)의 상면에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212)는 본체(100)의 상면에서 장착 홀(104)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12)는 일단이 본체(100)의 상면을 향하여 개방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면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실린더(212)의 타단은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214)은 외력(A)에 의해 실린더(2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214)의 일부는 외력(A)을 전달하도록 실린더(212)의 타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피스톤(214)의 다른 일부는 실린더(21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실린더(212)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A)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은 실린더(2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고, 외력(A)이 상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은 실린더(2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12) 내에서 피스톤(214) 및 본체(100)의 상면 사이에는 탄성 요소(2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요소(216)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A)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탄성 요소(216)는 변형될 수 있고, 탄성 요소(21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214)이 자연스럽게 실린더(2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212)의 일단에는 체결 요소(21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체(100)의 상면에 대하여 실린더(212)의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압력 조절 부재(210) 및 삽입 홀(102) 사이에는 유로(2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220)의 일단은 실린더(212)의 일단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유로(220)의 타단은 삽입 홀(102)의 중심과 연통되게 형성될 있다.
이에 의해 제1 압력 조절 부재(210)로부터 발생된 압력이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거나, 제1 압력 조절 부재(210)에 의해 삽입 홀(102) 내 압력이 감소되어 삽입 홀(102) 내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는 본체(100) 내에 하나의 유로(22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제1 압력 조절 부재(210)에 복수 개의 유로(220)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유로(220)가 복수 개의 삽입 홀(102)에 각각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된 제1 압력 조절 부재(210) 및 유로(22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A)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고, 피스톤(214)에 의해 탄성 요소(216)가 변형되면서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증가되고,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삽입 홀(102)의 외부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후에, 탄성 요소(216)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고,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홀(102) 내에서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지고, 삽입 홀(102) 내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압력 조절부(200)는 제2 압력 조절 부재(230) 및 유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 조절 부재(230)는 실린더(232), 피스톤(234), 진공 펌프(236) 및 체결 요소(2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2), 피스톤(234) 및 체결 요소(238)는 제1 압력 조절 부재(210)의 실린더(212), 피스톤(214) 및 체결 요소(218)에 대응되고, 상기 유로(220)는 도 2에 도시된 유로(220)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진공 펌프(236)를 중심으로 설명된다.
상기 진공 펌프(236)는 피스톤(23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삽입 홀(102) 내 진공 상태를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펌프(236)는 펌프 호스(미도시)에 의해 피스톤(234)과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제2 압력 조절 부재(230) 및 유로(220)에 의해 다음과 같이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외력(A)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고,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증가되고,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삽입 홀(102)의 외부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진공 펌프(236)를 작동시킴으로써, 진공 펌프(236)에 의한 외력이 상방으로 가해지고, 피스톤(234)이 실린더(23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홀(102) 내에서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지고, 삽입 홀(102) 내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가공용 지그(10)에는 제1 압력 조절 부재(210) 또는 제2 압력 조절 부재(22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진공 펌프(236)가 없는 경우에도 탄성 요소(216)를 사용하여 삽입 홀(102) 내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로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압력 조절부(200)에 의해 렌즈의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대한 고정 또는 분리가 조절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압력 조절부(200) 중 제1 압력 조절 부재(210)가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 압력 조절 부재(23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여, 제1 압력 조절 부재(210)에 의해 렌즈(L)가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216)가 변형된 상태에서 삽입 홀(102) 내에 렌즈(L)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탄성 요소(216)의 복원력에 의해 외력(A)이 상방으로 가해지고,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며,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 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홀(102) 내에서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을 향하여 압력이 가해지고, 삽입 홀(102) 내에는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L)는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요소(216)에 의해 본체(100)의 상면에서 유로(220)가 폐쇄될 수 있으므로, 유로(220) 및 삽입 홀(102) 내에는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렌즈(L)가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삽입 홀(102) 내에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삽입 홀(102)에 고무 재질의 O-링(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여, 렌즈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 제1 압력 조절 부재(210)에 의해 렌즈(L)가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A)이 하방으로 가해지는 경우, 피스톤(214)이 실린더(212)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고, 피스톤(214)에 의해 탄성 요소(216)가 변형되면서 유로(220)를 통하여 삽입 홀(102) 내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삽입 홀(102)의 외부로 압력이 가해지므로, 삽입 홀(10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렌즈(L)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삽입 홀(102) 내에 렌즈(L)를 고정하기 전 삽입 초기에 적용되거나 렌즈(L) 가공이 완료된 후에 삽입 홀(102)로부터 렌즈(L)를 분리시킬 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L)는 삽입 홀(102)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어, 삽입 홀(102) 내 렌즈(L)의 이탈이 방지되고 렌즈(L)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렌즈 가공용 지그
100: 본체
102: 삽입 홀
104: 장착 홀
200: 압력 조절부
210: 제1 압력 조절 부재
212: 실린더
214: 피스톤
216: 탄성 요소
218: 체결 요소
220: 유로
230: 제2 압력 조절 부재
232: 실린더
234: 피스톤
236: 진공 펌프
238: 체결 요소

Claims (10)

  1. 상면 중앙에 렌즈 가공 장치에 장착되도록 장착 홀이 구비되고, 하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렌즈가 안착되는 삽입 홀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삽입 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부에 의해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상기 렌즈가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상면을 향하여 개방 형성되는 실린더;
    외력에 의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 및 상기 본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 탄성 요소;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가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일단에 구비된 체결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연통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탄성 요소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렌즈 가공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진공 펌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펌프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렌즈가 상기 삽입 홀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렌즈 가공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실린더 및 상기 삽입 홀 사이에 형성된 유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로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일단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 홀의 중심과 연통되는 렌즈 가공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삽입 홀의 중심축이 동일한 지점에서 만나는 렌즈 가공용 지그.
  7. 상면에 렌즈 가공 설치에 장착되도록 상면 중앙에 장착 홀이 구비되고, 하면에 복수 개의 렌즈가 안착되도록 복수 개의 삽입 홀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중앙으로부터 편심되게 배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삽입 홀 내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의 내부 표면은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렌즈가 동시적으로 가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축 및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이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동일한 지점에서 만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편심이 방지되고,
    상기 본체 하면의 곡률은 상기 렌즈의 곡률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중심축에 대한 상기 복수 개의 렌즈의 중심축의 기울기는 상기 본체 하면의 곡률에 의해 결정되는 렌즈 가공용 지그.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압력 조절 부재;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압력 조절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사이에 연결된 복수 개의 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로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삽입 홀 내 압력이 동시적으로 조절되는 렌즈 가공용 지그.
KR1020160067624A 2016-05-31 2016-05-31 렌즈 가공용 지그 KR10185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4A KR101855367B1 (ko) 2016-05-31 2016-05-31 렌즈 가공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624A KR101855367B1 (ko) 2016-05-31 2016-05-31 렌즈 가공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46A KR20170135546A (ko) 2017-12-08
KR101855367B1 true KR101855367B1 (ko) 2018-05-09

Family

ID=6091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24A KR101855367B1 (ko) 2016-05-31 2016-05-31 렌즈 가공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271B1 (ko) * 2017-11-03 2019-10-21 에이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연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47A (ja) * 1998-08-31 2000-03-21 Canon Inc リセス皿におけるレンズ貼り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007083354A (ja) * 2005-09-22 2007-04-05 Seiwa Seiki:Kk ワーク吸着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547A (ja) * 1998-08-31 2000-03-21 Canon Inc リセス皿におけるレンズ貼り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007083354A (ja) * 2005-09-22 2007-04-05 Seiwa Seiki:Kk ワーク吸着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46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5589B2 (ja) 吸着用パッド
KR102006989B1 (ko) 이동탑재 유닛, 이동탑재 장치 및 보유지지 유닛
US7326104B2 (en) Apparatus for holding lense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9969051B2 (en) Holder for pneumatically blocking an optical lens
KR101855367B1 (ko) 렌즈 가공용 지그
CN104290030A (zh) 切削装置
EP1593458A3 (de) Blockstück zum Haltern eines optischen Werkstücks, insbesondere einer Brillenlinse, für dessen Bearbeitung
US20170165761A1 (en) Main shaft device and machine tool provided with same
CN107427977B (zh) 支撑件、支撑装置、支撑方法、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3990996A (zh) 机床的工具把持装置
EP3045264A2 (en) Processing mechanism and processing device using same
ATE427806T1 (de)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position von werkzeugen in einem drehautomaten
EP2516110B1 (en) A method for mounting an optical lens to be polished
US20060281394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ylindrically grinding workpieces
KR101797965B1 (ko) 초소형 어레이 비구면 렌즈의 사출성형용 금형 코어의 가공방법
DE602007005163D1 (de) Optischer linsenhalter zum halten von linsen während eines herstellungsprozesses
KR101914688B1 (ko) 그리퍼 장착용 연결 모듈
FR3066487B1 (fr)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KR20170027300A (ko) 내부 그리퍼
CN101276031A (zh) 镜筒的制造方法及采用该镜筒的镜头模组
US7252579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cylindrically grinding workpieces
CN102854569A (zh) 用于光纤对接的套管、光纤连接器和实现光纤对接的方法
JP5762058B2 (ja) 流量調整器具
US20150316236A1 (en) Barrel adjustment and retaining assembly
JP2010247308A (ja) ワーク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