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336A -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336A
KR20030068336A KR1020020008231A KR20020008231A KR20030068336A KR 20030068336 A KR20030068336 A KR 20030068336A KR 1020020008231 A KR1020020008231 A KR 1020020008231A KR 20020008231 A KR20020008231 A KR 20020008231A KR 20030068336 A KR20030068336 A KR 2003006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afety device
impact
infan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최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호 filed Critical 최문호
Priority to KR1020020008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8336A/ko
Publication of KR2003006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60N2/28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forward 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눕혀지면서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한 자세로 전환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상에 설치가능하고 충격에 반응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자세를 눕힐 수 있는 유아/소아용 시트,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의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록킹부재, 충격에 대해 록킹상태를 해제시켜주는 충격반응부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유아/소아용 시트의 자세가 눕혀지게 함으로써, 충격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아, 소아, 또는 노인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The safety device for c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탑승객, 특히 유아, 소아, 노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과 반응하여 순간적으로 눕혀지면서 안전한 자세로 전환될 수 있는 시트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유아나 소아들을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시트 안전장치, 즉 유아용 시트는 여러 형태의 것이 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유아용 시트는 단지 유아들의 체형에 맞춰 제작한 후, 시트 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들이어서 충격에 대비하는 측면에서는 취약한점이 많이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 평7-335204호에서 기존의 유아용 시트를 개선한 시트 안전장치를 제시한 바 있으나, 이것 역시 작동시 근소한 어긋남이 생기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어긋남 중에 발생하는 관성력, 관성 모멘트에 의해 머리부위, 목부위, 가슴부위 등에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눕혀지면서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한 자세로 전환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상에 설치가능하고 충격에 반응하여 슬라이드되면서 자세를 눕힐 수 있는 유아/소아용 시트,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의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록킹부재, 충격에 대해 록킹상태를 해제시켜주는 충격반응부재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전해지는 충격에 의해 유아/소아용 시트의 자세가 눕혀지게 함으로써, 충격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아, 소아, 또는 노인들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등받이
3a,3b,3c : 유아/소아용 시트 4 : 래칫홈
5 : 래칫돌기 6 : 래칫레버
7 : 핀 8 : 볼걸림홈
9 : 충격반응용 볼 10 : 시트 받침부
11 : 볼안착홈 12 : 가압용 스프링
13 : 브라켓 14 : 록킹용 볼
15 : 록킹용 스프링 16 : 하우징
17 : 시트 수납부 18a,18b : 받침부재
19 : 시트본체 20 : 슬라이드 홈
21a,21b : 등받이 부재 22a,22b : 축
23a,23b : 롤러 24 : 안전띠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1) 위에 시트 받침부(10)를 형성하고, 그 위에 유아/소아용 시트(3a)를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2는 등받이를 나타내고, 24는 안전띠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소아용 시트(3a)의 정상적인 사용을 위하여 시트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래칫홈(4)을 형성하고, 시트 받침부(10)의 내부에는 핀(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고 선단의 래칫돌기(5)를 이용하여 래칫홈(4)을 걸어줄 수 있는 래칫레버(6)를 설치한다.
상기 래칫레버(6)의 핀 장착부위는 길이중간 보다 선단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선정하여 래칫레버(6)가 자체적으로 걸림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a)는 래칫레버(6)의 걸림구조를 이용하여 록킹상태를 유지하면서 정상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시트의 사용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다.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력을 통해 유아/소아용 시트(3a)의 록킹상태를 해제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는 충격반응용 볼(9)을 사용한다.
상기 충격반응용 볼(9)은 시트 받침부(10)의 내부 뒷쪽에 마련되어 있는 볼안착홈(11) 내에 위치한다.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a)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수단으로는 시트 받침부(10)의 내부 앞쪽에 배치되는 가압용 스프링(12)을 사용하고, 가압용 스프링(12)의 탄성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유아/소아용 시트(3a)의 저면 앞쪽에는 브라켓(13)을 하향 형성하여 가압용 스프링(12)의 앞쪽과 연결한다.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a)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코일 스프링(1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충돌/추돌 사고시의 충격에 의한 관성력으로 충격반응용 볼(9)이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래칫레버(6)의 후단을 윗쪽으로 쳐주면, 래칫레버(6)가 젖혀지면서 래칫돌기(5)는 래칫홈(4)으로부터 벗어나고, 이와 동시에 가압용 스프링(12)의 힘으로 유아/소아용 시트(3a)는 강제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유아/소아용 시트(3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눕혀지게 되므로, 이곳에 앉아있는 유아 또는 소아는 충격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유아/소아용 시트(3a)의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볼과 스프링의 록킹작용을 보여준다.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a)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볼걸림홈(8)을 형성하고, 시트 받침부(10)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용 볼(14) 및 록킹용 스프링(15)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6)을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용 스프링(15)의 탄성력과 록킹용 볼(14)의 걸림력에 의해 유아/소아용 시트(3a)는 정상적인 사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충돌/추돌 사고시의 충격이 가해지면 그 반력에 의해 록킹용 볼(14)이 볼걸림홈(8)으로부터 이탈하고, 이와 동시에 유아/소아용 시트(3a)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눕혀지게 되므로, 유아또는 소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등받이(2)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시트 수납부(17)를 형성하고, 그 속에 유아/소아용 시트(3b)를 설치한다.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b)는 사용시 시트(1) 위에 펼쳐서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 등받이(2) 속에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다.
유아/소아용 시트(3b)를 보관하는 상태에서는 시트(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아/소아용 시트(3b)는 상단에 롤러(23a)를 갖는 등받이 부재(21a)와, 이것과 축(22a)으로 연결되는 받침부재(18a)로 구성하고, 상기 받침부재(18a)는 시트본체(19)의 시트 받침부(1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양쪽 벽면에 형성한 슬라이드 홈(20) 내에 끼워져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 부재(21a)와 받침부재(18a)는 축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하여 시트의 전방이동시 유아나 소아의 자세가 시트와 함께 자연스럽게 눕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시트본체(19)와 받침부재(18a)는 앞쪽을 뒷쪽보다 약간 높게 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유아/소아용 시트(3b)의 자세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유아/소아용 시트(3b)의 앞쪽을 높게 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유아나 소아의 무게중심이 뒷쪽으로 치우치면서 시트의 전방이동을 방지할 수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소아용 시트(3b)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상태로서, 유아 또는 소아는 받침부재(18a) 및 등받이 부재(21a) 위에서 안전띠(24)를 착용상태로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으며, 유아나 소아의 앞쪽으로는 시트본체(19)가 보호수단으로 위치되어 유아나 소아의 몸, 특히 다리부위가 차실내의 전면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이 가해지면 상대반력에 의해 유아나 소아의 몸이 앞쪽으로 쏠리고, 이와 함께 받침부재(18a)는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등받이 부재(21a)도 롤러(23a)를 이용하여 등받이(2)를 타고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온다.
이렇게 받침부재(18a)와 등받이 부재(21a)의 이동에 따라 유아/소아용 시트(3b)는 전체적으로 눕혀진 자세로 전환되면서 유아나 소아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한 자세로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위의 구현예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제공하지만 효과면에서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아/소아용 시트(3c)는 받침부재(18b)와 등받이 부재(21b)를 축(22b)으로 연결하고, 등받이 부재(21b)의 상단에는 롤러(23b)를 장착하여 받침부재(18b)의 전방이동시 각각의 부재가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한다.
특히, 상기 받침부재(18b)의 전방이동은 시트 받침부(10) 위에서 직접 슬라이드되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를 위하여, 시트 받침부(10)의 윗면은 완만하게 오목한 곡면으로 만들면서 전체적으로 앞쪽을 약간 높게 하고, 이곳에 얹혀지는 받침부재(18b)의 형태도 시트 받침부(10)의 윗면에 적합하게 밀착될 수 있는 곡선형태로 만든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이 가해지면 유아나 소아가 앉아있는 받침부재(18b)는 시트 받침부(10)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등받이 부재(21b)도 롤러(23b)를 이용하여 등받이(2)를 타고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각도를 벌리게 되므로, 유아/소아용 시트(3c)를 전체적으로 눕혀진 자세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유아/소아용 시트(3c)상의 유아나 소아를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주로 유아나 소아들을 위한 시트로 설명하고 있지만, 노인용 시트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순간적으로 눕혀지면서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한 자세로 전환시켜줄 수 있도록 한 시트구조의 안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충돌/추돌 사고시 충격의 위험으로부터 유아, 소아, 노인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존의 자동차 시트 위에 설치가 가능하고 충격에 대한 상대반력에 의해 앞쪽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자세를 눕힐 수 있는 시트부재와, 상기 시트부재의 정상적인 세워진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록킹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등받이 부재와 받침부재를 축으로 연결하여 받침부재의 전후 슬라이드 운동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시트부재의 저면 래칫홈에 걸려질 수 있는 선단의 래칫돌기를 가지면서 핀으로 고정되고 후단이 충격반응용 볼에 의해 젖혀지면서 록킹상태의 해제가 가능한 래칫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슬라이드 운동에 의한 이동시 착석자의다리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으로 앞쪽으로 젖힘가능한 시트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시트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접촉면을 갖는 시트 받침부를 이용하여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받침부재의 앞쪽을 뒷쪽보다 높게 설정한 구조로 록킹부재를 대체하여 정상적인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시트부재의 저면 볼걸림홈에 걸려질 수 있는 록킹용 볼과 이것에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록킹용 스프링 및 이것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KR1020020008231A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KR20030068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31A KR20030068336A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31A KR20030068336A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36A true KR20030068336A (ko) 2003-08-21

Family

ID=3222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31A KR20030068336A (ko) 2002-02-15 2002-02-15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83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37Y1 (ko) * 2008-03-12 2010-09-08 김진형 영유아용 안전 시트
KR101296217B1 (ko) * 2012-03-19 2013-08-19 최수진 스윙 타입 차량용 베이비 시트장치
KR101576795B1 (ko) * 2014-11-28 2015-12-16 선민욱 차량의 안전 좌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37Y1 (ko) * 2008-03-12 2010-09-08 김진형 영유아용 안전 시트
KR101296217B1 (ko) * 2012-03-19 2013-08-19 최수진 스윙 타입 차량용 베이비 시트장치
KR101576795B1 (ko) * 2014-11-28 2015-12-16 선민욱 차량의 안전 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US20020060483A1 (en) Safety device for car seat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US4341422A (en) Restraint device
KR100825110B1 (ko)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KR20030068336A (ko)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JP2007111121A (ja) 乗物用シート
JP2004001599A (ja)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CN114954162A (zh) 车辆用乘坐人员约束装置
JP5141198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3745181B2 (ja) 乗員拘束装置
JP4466617B2 (ja) 柔軟素材のクッションによる首への衝撃軽減装置及び方法
JP2019209772A (ja) 子供乗員保護装置
JPH05300821A (ja) 自動車のアームレスト構造
KR200231329Y1 (ko) 자동차의 좌석안전장치
JP2505602Y2 (ja) 子供用シ―ト及び子供用シ―ト取付構造
KR0159477B1 (ko) 헤드레스트의 목 보호장치
KR101170512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연결장치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KR0173591B1 (ko)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14306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81597Y1 (ko) 멜로디가 발생되는 유아용 안전시트
EP2493726B1 (en) Buckle for safety belt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