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195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8195A
KR20030068195A KR10-2003-7008592A KR20037008592A KR20030068195A KR 20030068195 A KR20030068195 A KR 20030068195A KR 20037008592 A KR20037008592 A KR 20037008592A KR 20030068195 A KR20030068195 A KR 20030068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rifluoromethionine
oral cavity
ora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꼬 고가
요시오 나까노
마미꼬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큐슈 티엘오 컴퍼니 리미티드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슈 티엘오 컴퍼니 리미티드, 다이쇼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큐슈 티엘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1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 A61K8/7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fluorine containing perfluoro groups, e.g. perfluoro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로부터 일상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안전하고, 입냄새, 치주병, 치조 농루 등의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 {Compositions for Oral Use}
최근 입냄새, 치조 농루, 치주병 등의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구취의 가장 중요한 원인 물질은 휘발성 황화물이라고 불리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술파이드이다. 그 중에서 메틸머캅탄은 치주병의 원인균이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치주염의 지표가 됨과 동시에 치주염의 병원 인자 중 하나라고도 생각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메틸머캅탄은, 세균이 갖는 효소인 L-메티오닌-α-데아미노-γ-머캅토메탄-리아제(MET아제)에 의해 메티오닌으로부터 생성된다.
치주병균이며 메틸머캅탄을 잘 생성하는 균으로서는,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의 포르피로모나스속 세균,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텀(Fusobacterium nucleatum) 등의 푸소박테리움속 세균 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균의 증식을 저해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되고, 통상 사용되는 항균 활성 물질에 의해서도 이들 균을 사멸시켜 구취 등의 예방ㆍ치료 효과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통상 사용되는 항균 활성 물질은 구강내의 병원성을 갖지 않는 상재균(常在菌)도 사멸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어, 유해 외래균의 정착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강내 질환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메틸머캅탄 생산균에 대하여 선택적인 살균 효과 또는 생육 저해 효과를 갖는 물질을 발견할 수 있다면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구취, 치조 농루, 치주병 등의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취, 치조 농루, 치주병 등의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W83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ATCC 33277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M1217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텀 ATCC 10953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BL21주에 대한 항균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한다.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 자체는 공지된 화합물이고, 예를 들면 에이치. 듀얼(H.Duewel), 이. 도브(E. Daub), 브이. 로빈슨(V. Robinson) 및 제이. 에프. 호넥(J. F. Honek)의 문헌[Biochemistry, 36: 3404-3416(1997)]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없이 구강 적용에 통상 사용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트로키, 분말 치약, 크림 치약, 액상 치약(덴탈린스), 구강 세척제(mouth wash), 양치질약, 크림, 겔, 크림, 페이스트, 스프레이, 폼 등을 들 수 있고, 캔디, 츄잉검 등의 음식물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구강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담체 및 첨가제를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연마제, 점결제(粘結劑), 습윤제, 점조제, 계면 활성제, 향료, 감미료, 방부제, 보존제, 착색제, pH 조정제, 그 밖의 유효 성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예를 들면 침강성 실리카, 실리카 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제2 인산칼슘 2수화물 및 무수화물, 인산수소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피롤린산칼슘, 제3 인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함수 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지르코늄,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합성 수지계 연마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점결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카라기난, 아라비아 고무, 폴리비닐알코올, 크산탄검, 트라간트검, 전분,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보폴, 구아검, 아라비아검, 젤라틴 등을 들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글리세린, 말티톨, 크실리톨 등을 들 수 있다.
점조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크실리톨, 말티톨, 락티톨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발포제 또는 친유성 물질의 안정화제로서 사용된다. 계면 활성제의 예로서는 음이온, 비이온, 양이온 및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킬황산나트륨, 알킬인산에스테르,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N-아실사르코신산나트륨, N-아실글루타민산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플루로닉형 계면 활성제),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글리코시드류,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베타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올아미드폴리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스페아민트유, 페퍼민트유, 윈터그린유, 사사프라스유, 정자유, 세이지유, 유칼리유, 마요나라유, 육계유, 타임유, 박하유, 오렌지유, 동록유, 레몬유, 오렌지유 등의 천연 향료, 1-멘톨, 아네톨, 카본, 오이게놀, 리모넨, 티몰, 살리실산메틸 등의 합성 향료를 들 수 있다.
감미료로서는 사카린, 사카린나트륨, 덱스트로스, 크실리톨,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딜디히드로칼콘, 페리랄틴, p-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글리실리즈산염, 아스파탐(아스파틸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 스테비아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스테르, 살리실산, 살리실산나트륨, 소르빈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벤조에이트, 벤조산나트륨,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클로로헥시딘류, 4급 암모늄염, 트리클로산,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불화물로서는 불화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청색 1호, 황색 4호, 이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및 그의 염, 인산 및 그의 염, 말산 및 그의 염, 글루콘산 및 그의 염, 말레산 및 그의 염, 아스파라긴산 및 그의 염, 숙신산 및 그의 염, 글루쿠론산 및 그의 염, 푸말산 및 그의 염, 글루타민산 및 그의 염, 아디프산 및 그의 염, 염산, 수산화 알칼리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항균제, 입냄새 예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클로로필 화합물, 염화나트륨, 비타민 C, 비타민 E, 니코틴산에스테르,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아즈렌, 염화리조자임, 히노키티올, 글리실리즈산, 글리실리즈산디칼륨, 프로테아제,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암모늄, 불화제1주석,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의 불화물, 오르토인산의 칼륨염, 나트륨염 등의 수용성 인산 화합물,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히노키티올, 아스코르브산, 염화리소자임, 글리실리즈산 및 그의 염류, 염화나트륨, 트라넥삼산, 입실론아미노카프로산, 아세트산 dl-토코페롤, 아즈렌, 글리실레즈산,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 글루콘산구리, 락트산알루미늄, 염화스트론튬, 질산칼륨, 베르베린, 히드록삼산 및 그의 유도체, 트리폴리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덱스트라나아제, 무타나아제, 아밀라아제,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산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에피디히드로콜레스테린, 디히드로콜레스테롤, 염화벤제토늄,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시트르산아연, 당귀, 황백, 정향, 로즈마리, 황금, 홍화 등의 추출물 등의 생약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그 밖의 활성 성분은 구강내의 정재(定在)균을 사멸시키지 않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이 확인되어 있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물,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활성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생성하는 화합물과 상기와 같은 담체, 첨가제를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 열거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첨가제의 종류 및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없이,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각 형태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치약이나 구강 세척제 등의 액체 조성물의 경우에는 계면 활성제를 0.01 내지 10 %, 습윤제를 1 내지 30 %, 용매를 50 내지 95 % 정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크림 치약, 크림 등의 페이스트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연마제를 10 내지 75 %, 점결제를 0.5 내지 10 %, 습윤제 및 물을 10 내지 85 % 정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향료, 감미료 등은 통상 0.01 내지 5 % 정도의 범위에서 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pH는 4 내지 11, 특히 5 내지 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서의 활성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없이, 통상은 조성물의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은 구강내 세균의 MET아제에 의해 트리플루오로메틸머캅탄으로 변환되고, 이 트리플루오로메틸머캅탄에 의해 구강내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트리플루오로메틸머캅탄은 상온에서 기체이기 때문에 체내에 체류하지 않아 안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이 특정 이론에 하등 구속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구강내 질환 원인균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살균 효과 또는 생육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상기와 같은 구강내 균의 MET아제 결손주를 제조한 결과, 메티오닌으로부터 메틸머캅탄을 합성하는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이 확인되어, MET아제만이 메틸머캅탄 합성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MET아제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보유하고 있지만,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서의 존재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MET아제를 표적으로 하여 상기와 같은 구강내 질환의 원인균에 대하여 생육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하면, 안전성이 높은 구강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메티오닌의 유도체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사용하여 메틸머캅탄 생산균에 대한 생육 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현저한 생육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취, 치조 농루 및(또는) 치조 농루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치주병 원인균에 대한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항균력
(제조예)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TFM)은 에이치. 듀얼, 이. 도브, 브이. 로빈슨 및 제이. 에프. 호넥의 문헌[Biochemistry, 36: 3404-3416(1997)]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와코 쥰야꾸 가부시끼가이샤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항균 시험)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W83, ATCC 33277 및 M1217주,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텀 ATCC 10953 각각의 세대 배양물의 한 백금이를 5 ㎎/㎖ 헤민 및 1 ㎎/㎖ 메나디온을 포함하는 3 ㎖의 GAM 브로스(니쓰이 메디칼)에 접종하여 혐기 조건(10 % CO2, 10 % H2, 80 % N2) 하에 37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배양물을 접종 후 배지의 550 nm에서의 흡광도가 0.15 정도가 되도록 하는 양으로 상기와 동일한 신선한 배지에 접종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0.1 mM 또는 1.0 mM의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상기 배지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상기 균주를 배양하였다. 경시적으로 각 배양물의 5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배지의 탁도에 의해 균의 증식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각각 도 1 내지 4(A 내지 D)에 나타내었다. 각 도면 중 □는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 및 ●은 각각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0.1 mM 및 1.0 mM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구강내 세균인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Y4주를 THY 브로스(1 리터당 30 g의 트립티카아제 소이 브로스[BBL Microbiology Systems, Cockeysville, Md.] 및 10 g의 효모 엑기스(디프코)를 포함함)를 사용하여 5 % CO2하에 배양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배양하고, 동일하게 O.1 mM 또는 1.0 mM의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더 포함하는 동일한 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의 증식을 평가하였다. 또한, 에스케리키아 콜리 BL21주를 2x TY 브로스(1 리터당 16 g 박토트립톤(디프코), 10 g 효모 엑기스(디프코), 5 g 염화나트륨을 포함함)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배양하고, 동일하게 0.1 mM 또는 1.0 mM의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더 포함하는 동일 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의 증식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각각 도 5 및 6(E 및 F)에 나타내었다. 각 도면 중 □는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포함하지 않는 배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 및 ●은 각각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0.1 mM 및 1.0 mM 포함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6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은 장내 세균인 에스케리키아 콜리에 대해서는 유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구강내 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텀,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에 대해서는 현저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은, 메틸머캅탄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내 세균의 증식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여 입냄새, 치주병 등의 구강 질환의 예방, 치료에 유효하면서 구강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을 사멸시키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2>
치주병 원인균에 대한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항균력(최소 발육 저지 농도의 측정)
치주병 원인균인 포르피로모나스 깅기발리스 W83, W50, ATCC 49417 및 ATCC 33277주, 악티노바실러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Y4주, 푸소박테리움 누클리아텀 ATCC 10953주 및 ATCC 25586주 각각의 세대 배양물의 한 백금이를 5 ㎎/㎖ 헤민 및 1 ㎎/㎖ 메나디온을 포함하는 3 ㎖의 GAM 브로스(니쓰이 메디칼)에 접종하여 혐기 조건(10 % CO2, 10 % H2, 80 % N2) 하에서 37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배양물을 10-8, 10-6, 10-4및 10-3으로 희석하여 접종용 균액으로 하였다.
TFM을 400, 200, 100, 50, 25, 10 또는 5 ㎍/㎖ 포함하도록 제조된 한천 배지를 준비하고, 이것에 상기한 바와 같이 준비한 접종용 균액을 백금이로 2 cm 전후 선을 그리며 도말하여 37 ℃에서 48 내지 72 시간, 상기와 동일한 혐기 조건하에 배양한 후, 균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육안으로 관찰하여 분명하게 발육이 저지된 최저 농도를 최소 발육 저지 농도로 하였다.
브레인 하트 인퓨젼(Brain Heart Infusion)(디프코)를 5 % CO2존재하에 배양한 것 이외에는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MT 8246, 스트렙토코커스 산구이스(Streptococcus sanguis) ST160, 스트렙토코커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 Xc 및 스트렙토코커스 살리바리우스(Streptococcus salivarius) HHT를 상기와 같이 배양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구한 각 균에 대한 TFM의 최소 발육 저지 농도를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균주 최소 발육 저지 농도
피. 깅기발리스W83 5 ㎍/㎖
피. 깅기발리스W50 5 ㎍/㎖
피. 깅기발리스ATCC 49417 5 ㎍/㎖
피. 깅기발리스ATCC 33277 5 ㎍/㎖
에이.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Y4 10 ㎍/㎖
에프. 누클리아텀 ATCC 10953 25 ㎍/㎖
에프. 누클리아텀 ATCC 25586 25 ㎍/㎖
에스. 소브리누스 MT 8246 >400 ㎍/㎖
에스. 산구이스 ST160 >400 ㎍/㎖
에스. 무탄스 Xc >400 ㎍/㎖
에스. 살리바리우스 HHT >400 ㎍/㎖
상기 결과로부터 TFM이 치주병 원인균에 대하여 선택적인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3>
표준 균주에 대한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의 최소 발육 저지 농도의 측정
일본 화학 요법 학회 표준법에 준한 한천 평판 희석법에 의해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 및 그 밖의 항균약의 표준 균주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를 측정하였다.
(약제 플레이트의 제조)
우선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각 시험 약제의 원액으로서 사용 최고 농도의 10 배 농도의 약제 용액을 제조하였다(사용된 용매는 표 2를 참조). 원액의 2배 희석 계열을 필요 단계에서 제조하고,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배지 9 ㎖에 대하여 각 약액을 1 ㎖ 첨가하여 약제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사용한 각 약제의 농도 범위는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 400 내지 0.025 ㎍/㎖(15 단계), 테트라사이클린 100 내지 0.025 ㎍/㎖(13 단계), 클라리스로마이신 100 내지 0.025 ㎍/㎖(13 단계)로 하였다.
(접종 균액의 제조, 균의 배양 및 생육의 판정)
1) -80 ℃에서 보관했던 균액을 한천 배지(사용 배지는 하기 표 3을 참조)에 접종한 후 37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필요에 따라서, 다시 한번 동일한 한천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37 ℃에서 밤새 배양).
2) 한천 배지상에 발육한 콜로니를 백금이로 취하여 액체 배지(표 3 참조)에 현탁시키고, 37 ℃에서 18 시간 정치 배양하였다(전배양).
3) 맥파랜드(McFarland) 0.5(맥파랜드 0.5=약 108CFU/㎖)가 될 때까지 전배양을 행한 후, 배양액을 106CFU/㎖가 되도록 뮬라 힌톤 브로스(Muellar Hinton Broth)로 희석하여 희석액을 접종기 미크로플랜터를 사용하여 상기 약제 플레이트상에 5 ㎕씩 접종하였다.
또한, 맥파랜드란 일반적으로 미생물에서 사용되는 탁도의 지표이고, 맥파랜드 0.5와 동일한 탁도의 이. 콜리 ATCC 25922 현탁액은 1 내지 2×108CFU/㎖를 나타낸다. 따라서, 맥파랜드 O.5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약 108CFU/㎖의 균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탁도의 균액의 시판품도 있지만, 쉽게 제조할 수도 있다. 99.5 ㎖의 1 % v/v (0.18 mol/L) 황산에 0.5 ㎖의 0.048 mol/L 염화바륨 수용액을 첨가하면 맥파랜드 0.5가 된다.
4) 각 균을 37 ℃에서 18 내지 20 시간 배양한 후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생육을 판정하여 최소 발육 저지 농도를 구하였다.
상기와 같이 하여 판정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약제 원액 용매 희석 용매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 증류수 증류수
테트라사이클린 증류수 증류수
클라리스로마이신 메탄올 0.1M pH 6.5 인산 완충액
사용 균주 전배양용 한천 배지 전배양용 액체 배지 MIC 측정 배지
스트렙토코커스 아우레우스 HIA MHB MHA
스트렙토코커스 에피더미디스 HIA MHB MHA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양 혈액 한천 배지 MHB + 5 % LHB MHA + 5 %마탈선혈(馬脫線血)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양 혈액 한천 배지 MHB + 5 % LHB MHA + 5 % 마탈선혈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 양 혈액 한천 배지 MHB + 5 % LHB MHA + 5 % 마탈선혈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 HIA MHB MHA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HIA MHB MHA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HIA MHB MHA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HIA MHB MHA
모라셀라(브란하멜라) 카타할리스) 양 혈액 한천 배지 MHB + 5 % LHB MHA + 5 % 마탈선혈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HIA MHB MHA
에스케리키아 콜리 HIA MHB MHA
해모필러스 인플루엔자에 초콜릿 한천 MHB + 5 % Fildes 5 % 말 초콜릿
설라티아 마르세센스 HIA MHB MHA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HIA MHB MHA
HIA: 하트 인퓨젼 아가(Heart Infusion Agar), MHB: 뮬라 힌톤 브로스LHB: 라이즈드 호스 블러드(Lysed Horse Blood)(말 용혈액),MHA: 뮬라 힌톤 아가
균종 주명 MIC(㎍/㎖)
TFM CAM TC
그람 양성 구균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ATCC6538P >400 0.20 0.20
ATCC29247 >400 50 0.78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ATCC12228 >400 0.20 50
ATCC29886 >400 0.39 0.39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 ATCC29247 >400 1.56 25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움 ATCC19434 >400 1.56 0.20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ATCC9341 >400 0.05 0.78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에 ATCC49619 >400 0.05 0.10
ATCC6301 >400 0.05 0.10
ATCC6302 >400 0.10 0.20
ATCC6303 >400 0.05 0.10
ATCC6306 >400 0.10 0.20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ATCC12385 >400 0.10 0.20
ATCC12353 >400 0.10 0.20
ATCC12344 >400 0.05 0.20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 ATCC13813 >400 0.05 0.20
그람 양성 간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ATCC6633 >400 0.10 0.20
그람 음성 구균 모라셀라(브란하멜라) 카타할리스 ATCC25238 100 0.10 0.20
ATCC25240 25 0.20 0.20
ATCC43617 100 0.20 0.20
그람 음성 간균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 ATCC27853 >400 >100 12.5
에스케리키아 콜리 ATCC25922 >400 50 1.56
ATCC35218 >400 25 1.56
설라티아 마르세센스 ATCC13880 >400 >100 100
클렙시엘라 뉴모니아에 ATCC700603 >400 >100 50
해모필러스 인플루엔자에 ATCC33391 50 6.25 0.78
ATCC33533 100 3.13 0.39
ATCC49247 50 6.25 25
ATCC49766 25 6.25 0.78
CAM: 클라리스로마이신, TC: 테트라사이클린
상기 결과로부터 TFM이 치주병 원인균에 대하여 선택적인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제제예)
1. 크림 치약
하기 성분(중량비)를 통상법에 의해 혼합하여 크림 치약을 제조하였다.
인산수소칼슘45.0
무수규산 2.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1.2
글리세린7.0
소르비톨15.0
사카린나트륨0.2
메틸파라벤 0.2
라우릴황산나트륨 1.5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0.1
향료 0.9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0.1
정제수 잔부
-------------------------------------------------------------------
총 100.0
2. 액상 치약
하기 성분(중량비)를 통상법에 의해 혼합하여 액상 치약을 제조하였다.
무수규산7.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0.8
글리세린3.0
소르비톨30.0
사카린나트륨0.3
메틸파라벤0.1
자당지방산에스테르1.0
불화나트륨0.2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0.1
정제수잔부
-------------------------------------------------------------------
총 100.0
3. 구강 세척액
하기 성분(중량비)를 통상법에 의해 혼합하여 구강 세척액을 제조하였다.
크실리톨 10.0
에탄올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2
미리스틸인산 0.1
L-아르기닌0.09
향료 0.15
착색제 미량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0.1
정제수잔부
-------------------------------------------------------------------
` 총 100.0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의하면, 입냄새, 치조 농루, 치주병 등의 구강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의 비병원성 상재균을 사멸시키지 않고 구취, 치주병의 예방 등에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트리플루오로메티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구취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인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치조 농루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인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치주병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인 구강용 조성물.
KR10-2003-7008592A 2000-12-26 2001-12-26 구강용 조성물 KR200300681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94547 2000-12-26
JP2000394547 2000-12-26
PCT/JP2001/011457 WO2002051404A1 (fr) 2000-12-26 2001-12-26 Compositions ora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195A true KR20030068195A (ko) 2003-08-19

Family

ID=1886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92A KR20030068195A (ko) 2000-12-26 2001-12-26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175550A1 (ko)
EP (1) EP1358877A1 (ko)
JP (1) JPWO2002051404A1 (ko)
KR (1) KR20030068195A (ko)
CN (1) CN1482905A (ko)
CA (1) CA2433266A1 (ko)
WO (1) WO2002051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09305B8 (pt) 2009-10-29 2017-08-08 Colgate Palmolive Co composição de dentifríci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dentifrício
CA2792003A1 (en) * 2010-03-02 2011-09-09 Imagenetix, Inc. Compositions comprising myristic acid and uses thereof
MY160626A (en) * 2010-04-07 2017-03-15 Otsuka Pharma Factory Inc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hypoalbuminemia
MX2022006600A (es) * 2019-12-06 2022-07-05 Colgate Palmolive Co Producto para el cuidado bucal y metodos de uso y fabricacion de es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369A (ja) * 2000-06-19 2002-01-09 Kansai Koso Kk メチオナーゼ及び/又はプロテアーゼ阻害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2002003353A (ja) * 2000-06-19 2002-01-09 Kansai Koso Kk メチオナーゼ及び/又はプロテアーゼ阻害剤及び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75550A1 (en) 2005-08-11
CN1482905A (zh) 2004-03-17
CA2433266A1 (en) 2002-07-04
WO2002051404A8 (fr) 2003-11-13
JPWO2002051404A1 (ja) 2004-04-22
EP1358877A1 (en) 2003-11-05
WO2002051404A1 (fr)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4068A (en) Stabilized antiplaque and antigingivitis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N.sup.α -alkyl-L-arginine alkyl ester salts
EP0670711B1 (en) Antifungal mouthcare compositions
US20080102043A1 (en) Antimicrobial flavor and oral care compositon containing the same
KR20000016352A (ko) 항균조성물
US2020028939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growth of caries-, gingivitis- and halitosis-causing bacteria
EP0920857B1 (en) Or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alitosis
JP2000256155A (ja) 口腔用組成物
KR20030068195A (ko) 구강용 조성물
JPH04164021A (ja) 口腔用組成物
JP7445910B2 (ja) 口腔常在菌調整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口腔ケア製品及び食品
JP2017081831A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5881287B2 (ja) オートインデューサー−2阻害剤
US20210275581A1 (en) Or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Cetylpyridinium Tetrachlorozincate
JPH09143042A (ja) 口腔用組成物
JP2006104144A (ja) 歯磨組成物
JP3821037B2 (ja) 歯周病原菌の付着抑制剤及び歯周病原菌の付着抑制作用を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7393823B2 (ja) 歯周病菌用口腔組成物
JP2002370953A (ja) 口腔用組成物
JPH09110683A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H061713A (ja) 歯肉炎・歯槽膿漏治療薬
JPH035416A (ja) 口腔用組成物
KR100659139B1 (ko) 항균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JP2012097037A (ja) オートインデューサー−2阻害剤、並びに歯骨炎又は齲蝕病の予防及び/又は治療剤
JPH09169624A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2023091841A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