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469A -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 및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469A
KR20030065469A KR10-2003-7002647A KR20037002647A KR20030065469A KR 20030065469 A KR20030065469 A KR 20030065469A KR 20037002647 A KR20037002647 A KR 20037002647A KR 20030065469 A KR20030065469 A KR 2003006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outsole
foot
mark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치. 케빈 코플란
윌 세인트 원지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케빈 코플란
윌 세인트 원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케빈 코플란, 윌 세인트 원지 filed Critical 에이치. 케빈 코플란
Publication of KR2003006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4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43B3/0089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with means to identify the size of the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2Foot-measuring devices
    • A43D1/027Shoe fit 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10)의 외측으로부터 신발(10)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은 사람의 뒤꿈치(16)를 배치하기 위한 기준 게이지 및 신발이 맞도록 사람의 발가락이 얼마나 연장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기준마크(22)를 가지는 아웃솔(14)을 구비한다. 이 시스템은 전사지가 사용되거나, 행 태그(hang tag) 등의 별도의 발측정 가이드가 신발에 부착되도록 적용될 수 있는 있는데, 행 태그 상에 표시된 가시적인 맞음새 가이드는, 이 가이드가 부착되는 신발의 크기에 대응한다. 행 태그는 왼쪽 및 오른쪽 발 모두에 대응하도록 양측이 인쇄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신발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종래, 많은 유형의 신발들이 알려져 있다. 공지의 일부 신발들은 이들이 맞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신발이 맞는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예를 들어, 사람이 급한 상황이어 시간을 들여 신발을 신어보고기를 원치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신발을 판매하는 장소에 신발을 신어볼 여유공간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사람이 정확한 사이즈를 선택하도록 도와줄 숙련된 직원이 부족한 곳에서 신발이 판매될 수도 있다. 더욱이, 아동용 신발을 구매하는 사람은 어린이 발의 성장을 위한 신발내의 여유공간을 결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젠(Rosen)의 미국특허 제5,014,041호 및 버거(Berger)의 미국특허 제5,084,988호가 개시하는 신발은, 발이 커져서 신발이 쓸모없어지는 때를 보여주도록 신발의 내부까지 투명한 솔(sole)을 가진다. 이들 특허는 신발이 맞는지를 결정하기 전에 사람이 신발을 신어보아야 한다. 더욱이, 로젠과 버거의 특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투명한 솔이 변색되고 닳아져서 그 솔을 통해 관찰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신발의 내측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인쇄된 길이영역을 구비한 제거가능한 인솔(insole) 또는 양말을 사용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한, 가드너(Gardner)의 미국특허 제2,464,571호는 어린이에 대한 신발의 맞음새를 나타내는 인솔상의 제거가능한 신발 맞음새 표시기를 개시한다. 가드너의 표시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제거가능한 표시기에 착색을 하여야 하며, 표시기는 어린이의 발끝 또는 양말에 착색하여 신발의 맞음새를 표시한다. 내부의 부품은 신발의 제조공정을 고비용화하고 신발의 편안함에도 영향을 준다. 가드너의 특허는 착색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복잡하고 불편하다.
또한, 신발의 아웃솔상의 패턴이 공지되어 있다. 슈몰(Schmohl)의 미국특허 제4,266,349호는 복수의 동심원들을 갖는 솔상의 프로파일 패턴을 개시한다. 슈몰특허에 있어서의 프로파일 패턴은 맞음새의 관점에서는 부적절하며, 이것은 솔에 작용하는 힘의 흡수 및 전달에 이용된다.
상기 참조한 고안들의 어느것도, 사람이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 신발이 사람의 발에 맞는지를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고안들은 신발을신어보지 않고 신발이 가질 수 있는 성장을 위한 여유공간을 결정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상기 참조한 각각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사람이 적어도 한번은 신발을 신어보는 것이 요구된다.
{관련출원}
본 출원은 1999년 12월 7일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09/466,327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신발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질과 목적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위해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면들중: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측에 발이 위치해 있을때의 본 발명의 사시도;
도3은 사용시의 본 발명의 사시도;
도4는 가시적인 발사이즈 가이드가 찍혀있는 전사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5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가 찍혀있는 태그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은 단지 실시예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이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 신발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 또는 아웃솔을 구비한 신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웃솔은,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도록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된 기준 게이지; 및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아웃솔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신발 내측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거의 U자형이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실질적으로 엔드라인이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위치하여,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기준마크를 더 구비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신발내의 폭에 대응하는 제3 기준마크를 더 구비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기준 게이지와 제1 기준마크 중간에 위치하여,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3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4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라인은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3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4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라인은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상기 마크들, 기준 게이지 및 아웃라인을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 보호기판으로부터 접착제를 박리하여 특징부가 표시된 전사지(decal)를 아웃솔에 부착함으로써, 조합된 특징부들을 갖는 전사지가 아웃솔에 접착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신발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기 위해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한 기준 게이지, 및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아웃솔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아웃솔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단계; 신발의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한 상기 기준 게이지에 뒤꿈치를 배치하는 단계;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유지되고 발가락이 아웃솔을 따라 아웃솔의 말단부 쪽으로 연장하도록 발을 아웃솔에 배치하는 단계; 및 발가락의 연장부를,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위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아웃솔의 말단부상의 상기 제1 기준마크와 비교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신발 내측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발의 뒤꿈치 대응하는 거의 U자형이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실질적으로 엔드라인이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위치하여,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기준마크를 더 구비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신발내의 폭에 대응하는 제3 기준마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폭을 제3 기준마크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기준 게이지와 제1 기준마크 중간에 위치하여,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볼을 제4 기준마크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솔은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전체 형상을 아웃라인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3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4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라인은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 방법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3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4 기준마크는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아웃라인은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아웃솔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상기 아웃솔은: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도록 아웃솔의 기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거의 U자형 기준 게이지로서, 아웃솔상의 기준 게이지의 장소는 신발내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아웃솔의 말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의 아웃솔상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기준마크;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폭에 대응하는 제3 기준마크; 기준 게이지와 제1 기준마크 중간에서 아웃솔상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기준마크; 및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전체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포함한다.
신발의 아웃솔에 본 발명을 일시적으로 부착하는 것에 관련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특징부들은 기판에 제거가능하게 또는 박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전사지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발 소매업자 또는 제조업자는 각각의 신발 사이즈에 대응하는 전사지를, 전사지가 왼쪽 신발용인지 오른쪽 신발용인지에 따라, 신발 아웃솔의 일측 또는 양측에 부착할 수 있다. 소비자는 전사지가 부착된 아웃솔에 발을 맞춤으로써 실제로 먼저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도 신발 사이즈가 적정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특징부들은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태그상에 포함되는데, 이 태그는 신발상자내에 산발과 함께 수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신발의 한짝에 부착됨으로써, 신발이 소매점에서 신발상자로부터 꺼내졌을 때, 신발 사이즈가 정확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신속한 기준체크용으로서 태그가 유용하다. 바람직하게, 태그는 양측이 인쇄될 수 있는데, 일측은 왼쪽 발에 대응하고 반대측은 오른쪽 발에 대응한다.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 여기에 설명한 모든 실시형태는 신발 사이즈 게이지를 회수하는 신발 판매 직원에게 의지하지 않고 소비자가 스스로 이용하도록 허용한다. 이들 신발 사이즈 게이지는 일부 상점에서 소비자가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들 신발 사이즈 게이지는 사용할 수 있는 경우더라도, 각 발의 폭 및 사이즈 모두를 표시하는 기준마크의 복잡성으로 인해 통상 사용이 곤란하다. 적절히 판독하였을 때, 신발 사이즈 게이지는 정확하지만, 할인점에서는 흔히 소비자가 스스로 맞추어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판매자가 소비지에게 시중들기를 기다리지 않고 적절한 신발 사이즈를 체크하는 유용하고 간단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특히 도1에는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신발이 부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다. 발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신발(10)은 가죽 및 고무를 포함하여, 당기술에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신발(10)의 외측은 아웃솔(14) 또는 바닥을 포함한다. 아웃솔(14)도 가죽 및 고무를 포함하여, 당기술에 알려진 임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신발(10)의 아웃솔(14)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12)의 뒤꿈치(20)를 위치시키기 위한 기준 게이지(16)를 아웃솔(14)의 기단부(18)에 갖는다. 기준 게이지(16)는 하나이상의 마크를 가질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U자형이거나 엔드라인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U자형 기준 게이지(16)이다. 기준 게이지(16)는 아웃솔(14)에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부착될 수 있다. 기준 게이지(16)는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되어 아웃솔(14)에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기준 게이지(16)는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4)에 기준 게이지(16)를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기준 게이지(16)의 장소는 신발(10) 내측의 뒤꿈치(20) 장소에 해당한다.
또한, 아웃솔(14)은 뒤꿈치(20)가 기준 게이지(16)상에 배치되었을 때 발(12)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1 기준마크(22)를 아웃솔의 말단부(24)에 포함함으로써, 발(12)에 대한 신발(10)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한다. 제1 기준마크(22)는 신발(10)이 여전히 맞도록 기준 게이지(16)로부터 발(12)의 발가락이 연장될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바(bar), 라인, 일련의 라인들 또는 영역일 수도 있다. 적절한 맞음새를 위해 발가락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제1 기준마크(22)를 제공하는 부가적인 수단도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 다르게, 아웃솔(14)은 제2 기준마크(2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제2 기준마크는 제1 기준마크(22)의 말단부로부터 신발(10)내에 남겨진 여유공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2 기준마크(26)는 발가락 여유공간 및 성장을 위한 최대 권장허용을 나타내는 경고바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2 기준마크는 신발(10)의 내측 선단(28), 또는 등가죽(vamp) 까지의 여유간격을 측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측정된 여유간격은 신발(10) 내측의 솔부(sole part)의 선단부까지이거나, 발(12)에 대한 여유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다른 알려진 지점일 수도 있다.
제1 기준마크(22)는 아웃솔(14)에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준마크(22)는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제1 기준마크(22)는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4)에 제1 기준 마크(22)를 영구적으로 및 임시로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준마크(26)는 아웃솔(14)에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준마크(26)는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제2 기준마크(26)는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4)에 제2 기준 마크(26)를 영구적으로 및 임시로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다르게, 아웃솔은 신발(10)의 내측 폭에 대응하는 제3 기준마크(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1 내지 3은 기준 게이지(16)와 제1 기준마크(22) 사이에 있는 제3 기준마크(30)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형상의 제3 기준마크(30)도 고려될 수 있다. 더욱이, 도1 내지 3은 제3 기준마크(30)를 두개의 마크로 보여준다. 그러나, 제3 기준마크(30)는 단일영역, 아웃라인 또는 신발내의 폭을 나타내는 다른 수단에 의해 아웃솔(14)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3 기준마크(30)는 아웃솔(14)에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준마크(30)는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제3 기준마크(30)는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4)에 제3 기준 마크(30)를 영구적으로 및 임시로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다르게, 아웃솔(14)은 기준 게이지(16)와 제1 기준마크(22) 중간의 제4 기준마크(3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제4 기준마크(32)는 뒤꿈치(20)가 기준 게이지(16)에 있을 때 발(12)의 볼(ball)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함으로써 제1 기준마크(22)에 대한 발가락의 적절한 측정을 보장한다. 제4 기준마크(32)는 발(12)의 볼에 대한 적절한 배치를 나타내는 아웃라인 또는 영역일 수 있다. 제4 기준마크(32)는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될 수 있다. 제1 기준마크(22)와 마찬가지로, 제4 기준마크(32)는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아웃솔(14)에 제4 기준 마크(32)를 영구적으로 및 임시로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아웃솔(14)은 신발(10)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웃라인(34)은 아웃솔(14)내에 성형되거나, 페인팅, 프린팅 또는 새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웃라인(34)은 이면에 접착제가 있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에 인쇄되어 아웃솔(14)에 부착될 수 있다. 아웃솔(14)에 아웃라인(34)를 영구적으로 및 임시로 배치하는 다른 수단들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기준 게이지(16), 제1 기준마크(22), 제2 기준마크(26), 제3 기준마크(30), 제4 기준마크(32) 및 아웃라인(34)이 임의의 조합으로 아웃솔(14)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기준 게이지(16), 제1 기준마크(22), 제2 기준마크(26), 제3기준마크(30), 제4 기준마크(32) 또는 아웃라인(34)을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배치하는 수단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포함하는 신발(10)을 구입한다. 사람은 발(12)을 신발의 아웃솔(14)에 위치시키고 뒤꿈치(20)를 기준 게이지(16)와 정렬한다. 이렇게 이웃솔(14)이 갖춰져 있으면, 사람은 발(12)의 볼을 아웃솔(14)에 제2 기준마크(26)로 표시되어 있는 곳에 위치시킨다. 사람의 발(12)이 적절히 정렬된 후, 사람은 발가락이 제1 기준마크(22)로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지나 연장하는지를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발가락이 제1 기준마크(22)로 표시되어 있는 영역 너머로 연장하면, 신발(10)은 너무 작은 것이 될 것이다. 유사하게, 발가락이 제1 기준마크(22)로 표시되어 있는 영역까지 연장하지 않으면, 신발(10)은 너무 큰 것이 될 것이다. 도4에 부호 100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전사지(38)가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기판(36)으로부터 박리되는 전사지 등의 얇은 플라스틱상에 기준 게이지(16) 및 적절한 기준마크가 인쇄되어 있고 이어서 전사지(38)의 일측에 도포된 분리가능한 접착제(52)로 아웃솔(14)에 부착되어 있으면, 신발의 구매후에 필요에 따라 전사지(38)를 제거할 수도 있다. 도4는 아웃솔(14)상에 포함될 수 있는 전술한 각각의 특징부들을 나타내는데, 이 특징부들은 전사지(38)의 기단부(44)와 전사지(38)의 말단부(46) 사이에 배치된다.
도5는 부호 200으로 지시한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태그 또는 행 태그(hang tag; 40)이며, 전술한 특징부의 각각 또는 임의의 조합이 태그(40)의 적어도 일측에 인쇄되어 태그의 기단부(48)와 말단부(6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태그는 바람직하게 신발의 아웃솔(14)의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 인쇄는 태그(40)의 양측에 행해져서 일측은 왼쪽발을 나타내고 반대측은 오른쪽 발을 나타낸다. 도5는 오른쪽 발을 나타내고 있고 있고 도면에는 양측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뒤집으면 왼쪽 발을 나타낸다. 태그(40)는 신발상자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신발상자내에 포함된 신발의 사이즈에 해당하는 사이즈를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태그(40)를 분실하지 않도록, 구멍(42)이 형성되어 태그를 아이릿(eyelet) 또는 신발끈 등의 신발의 일부분에 임시로 부착할 수 있다. 신발을 구입한 후, 소비자는 신발의 사용전에 태그(40)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제조자의 희망에 따라, 별도의 태그(40)가 왼쪽 및 오른쪽 신발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왼쪽 신발을 나타내는 태그(40)는 왼쪽 신발에 부착되고 오른쪽 신발을 나타내는 태그(40)는 오른쪽 신발에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태그(40)는 의류 및 악세서리에 부착된 대부분의 태그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종이류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사용이 용이한 고안을 제공하고자하는 오랜 염원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과, 어린이용 신발을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특히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셀프-서비스 장소 또는 정확한 사이즈를 선택하도록 돕는 판매 보조원이 부족한 장소에서 특히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의 신발 사이즈를 모르는 경우 및, 어린이의 신발 사이즈와 관련하여 어린이의 성장을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어린이용 신발을 구입하고자는 하는 사람에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명백히 신규하고 유용한 것이다. 더욱이, 법으로 요구되는 종래기술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더라도 본 발명이 이루어진 당시 기술수준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목적 및 상기 설명으로부터 자명한 것들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구성에 어떤 변경이 행해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 구성에 포함된 또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않된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여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포괄적이고 특정적인 특징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의 언어적인 모든 진술은 그에 포함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Claims (35)

  1. 아웃솔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되어,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 또한 신발내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아웃솔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위치하여,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거의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실질적으로 엔드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제3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3 기준마크는 신발내의 적적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의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4 기준마크는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아웃솔을 갖는 신발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되어,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 또한 신발내측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아웃솔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위치하여,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발의 뒤꿈치 대응하는 거의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실질적으로 엔드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제3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3 기준마크는 신발내의 적절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의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4 기준마크는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신발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되어,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또한 신발내측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아웃솔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위치하여,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아웃솔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단계;
    신발의 아웃솔의 기단부에 위치한 상기 기준 게이지에 뒤꿈치를 배치하는 단계;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유지되고 발가락이 아웃솔을 따라 아웃솔의 말단부 쪽으로 연장하도록 발을 아웃솔에 배치하는 단계; 및
    발가락의 연장부를,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위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아웃솔의 말단부상의 상기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2 기준마크와 비교하여, 상기 신발내의 적절한 발가락 여유를 포함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발의 뒤꿈치 대응하는 거의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는 실질적으로 엔드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제3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3 기준마크는 신발내의 적절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폭을 상기 제3 기준마크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의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며, 이 제4 기준마크는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볼을 상기 제4 기준마크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발의 전체 형상을 상기 아웃라인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아웃솔을 포함하며, 상기 아웃솔은;
    상기 아웃솔의 기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로서, 아웃솔상의 기준 게이지의 장소는 신발내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아웃솔의 말단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적절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는 제3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에서 상기 아웃솔상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고,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는 제4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솔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신발내의 전체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1. 아웃솔을 갖는 신발의 맞음새를 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신발의 아웃솔에 임시로 부착하기 위해 분리가능한 접착제를 일측에 갖는 전사지로서, 접착제 보호기판을 가지며 아웃솔에 직접 임시부착하기 위해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전사지;
    상기 아웃솔의 기단부에서 상기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고,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로서, 전사지가 아웃솔에 부착되었을 때 전사지상의 기준 게이지의 장소는 신발내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아웃솔의 말단부에서 상기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고,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서 상기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고,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전사지에 인쇄되어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고, 신발내의 적절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는 제3 기준마크; 및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에서 상기 전사지에 인쇄되어 있고,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는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태그;
    상기 태그의 기단부에서 상기 태그에 인쇄되어 있고, 발의 뒤꿈치를 배치하는 기준장소를 한정하고 발의 뒤꿈치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로서, 태그상의 기준 게이지의 장소는 신발내에 있을 때의 사람의 뒤꿈치의 장소에 대응하는 기준 게이지;
    상기 태그의 말단부에서 상기 태그에 인쇄되어 있고, 뒤꿈치가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발의 발가락이 연장되어야 하는 제1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는 제1 기준마크; 및
    상기 제1 기준마크의 말단에서 상기 태그에 인쇄되어 있고, 신발내의 여유간격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한정하여 발에 대한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더 보장하는 제2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25. 제24 항에 있어서, 태그에 인쇄되어 신발내의 전체 형상에 대응하는 아웃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에 인쇄된 제3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고, 이 제3 기준마크는 신발내의 적절한 폭 맞음새에 대응하는 제3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와 상기 제1 기준마크 중간에서 상기 태그에 인쇄된 제4 기준마크를 더 포함하고, 이 제4 기준마크는 뒤꿈치가 상기 기준 게이지에 배치되었을 때 신발의 적절한 맞음새를 보장하기 위해 발의 볼이 정렬되어야 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제4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28.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상기 태그의 양측에 인쇄되어 있고, 상기 태그의 일측은 왼쪽 신발을 나타내고 상기 태그의 반대측은 오른쪽 신발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신발의 소정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0.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상기 제3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상기 태그의 양측에 인쇄되어 있고, 상기 태그의 일측은 왼쪽 신발을 나타내고 상기 태그의 반대측은 오른쪽 신발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1.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상기 제3 기준마크, 상기 제4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상기 태그의 양측에 인쇄되어 있고, 상기 태그의 일측은 왼쪽 신발을 나타내고 상기 태그의 반대측은 오른쪽 신발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상기 제3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신발의 소정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3.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게이지, 상기 제1 기준마크, 상기 제2 기준마크, 상기 제3 기준마크, 상기 제4 기준마크 및 상기 아웃라인은 신발의 소정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4.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판매되는 신발과 함께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35.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이 태그를 신발에 부착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적인 신발 맞음새 가이드.
KR10-2003-7002647A 2000-08-23 2001-08-22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 및 신발 KR200300654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44,919 2000-08-23
US09/644,919 US6415530B1 (en) 1999-12-17 2000-08-23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PCT/US2001/026169 WO2002015731A1 (en) 2000-08-23 2001-08-22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469A true KR20030065469A (ko) 2003-08-06

Family

ID=2458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647A KR20030065469A (ko) 2000-08-23 2001-08-22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 및 신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6415530B1 (ko)
EP (1) EP1311168B1 (ko)
JP (1) JP3890296B2 (ko)
KR (1) KR20030065469A (ko)
CN (1) CN1291671C (ko)
AU (2) AU2001286612B2 (ko)
CA (1) CA2419201C (ko)
WO (1) WO2002015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5530B1 (en) * 1999-12-17 2002-07-09 H. Kevin Coplon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ITCT20000012U1 (it) * 2000-08-18 2002-02-18 Salvatore Varsallona Sistema di rilevazione esatta misura calzatura
US6938047B2 (en) * 2003-02-19 2005-08-30 Maui X-Stream, Inc. Methods, data structures, and systems for processing media data streams
US7784814B2 (en) * 2003-11-24 2010-08-31 Tyrolia Technology Gmbh Skis and ski boots combination
US20050115106A1 (en) * 2003-12-01 2005-06-02 Schumacher James H. Shoe insert and method for fitting a shoe
US7325335B2 (en) * 2004-02-07 2008-02-05 Veronica Cook-Euell Method and apparatus used to communicate a message to be worn in footwear
ATE404262T1 (de) * 2004-10-02 2008-08-15 Tyrolia Technology Gmbh Kombination aus skischuhen und ski
JP3118078U (ja) * 2005-10-28 2006-01-19 株式会社丸紅フットウェア 足寸法測定具
US20080073229A1 (en) * 2006-09-25 2008-03-27 Hays Dewayne L Shoe insole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US20080124684A1 (en) * 2006-11-28 2008-05-29 Grell Mathew L System and method of celebration by personalizing apparel
ITUD20070021A1 (it) * 2007-02-02 2008-08-03 Calzaturificio Dal Bello S R L Serie di calzature sportive, quali scarponi da sci, da snowboard o simili, di taglie differenti, combinazione fra due o piu serie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7975390B2 (en) * 2008-02-19 2011-07-12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lare on foot and shoe-last
US8256146B2 (en) * 2008-04-30 2012-09-04 The Stride Rite Corporation Infant shoes
US8250692B2 (en) * 2009-04-01 2012-08-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termediate sized outsole and method of making
JP3152938U (ja) * 2009-05-25 2009-08-20 澤田 昌三 足底圧力の簡易測定装置
US9336916B2 (en) 2010-05-14 2016-05-10 Tcnet, Llc Tc-99m produced by proton irradiation of a fluid target system
KR101031972B1 (ko) * 2010-09-07 2011-04-29 (주)와일드캣 영유아용 신발
US9269467B2 (en) 2011-06-02 2016-02-23 Nigel Raymond Stevenson General radioisotope production method employing PET-style target systems
US20130167391A1 (en) * 2012-01-04 2013-07-04 Krishna Institute Of Medical Sciences University Foot-length caliper for measurement of foot length and screening of birth weight groups
CN105942657B (zh) * 2016-05-30 2017-09-29 安徽工程大学 一种电教教室用引导鞋套
CN111436716B (zh) * 2020-04-28 2021-07-23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一种根据缺失脚趾患者脚掌制定的专用鞋
GB2617609A (en) * 2022-04-14 2023-10-18 Bgreater Ltd A child's shoe sole with growth indicato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9944A (en) * 1922-05-01 1923-10-09 Moses C Merrill Measuring rule
US1543747A (en) * 1923-06-30 1925-06-30 Victor A Brey Footprinting or impression device
US2029553A (en) * 1935-02-25 1936-02-04 Edwards & Co J Shoe fitting index
US2126608A (en) * 1936-05-29 1938-08-09 David R Brady Shoe fitting indicator
US2109780A (en) * 1937-01-21 1938-03-01 Howard V S Mott Shoe fitting index
US2163661A (en) * 1937-05-01 1939-06-27 Charles B Brown Record chart for shoe measurements
US2255099A (en) * 1938-08-04 1941-09-09 David R Brady Visual fitting shoe
FR850599A (fr) * 1938-10-15 1939-12-20 Boîte ou couvercle de boîte à chaussures avec échelles de pointures
US2464451A (en) * 1945-09-18 1949-03-15 Paul E Keeney Logging block
US2593385A (en) * 1947-04-24 1952-04-15 Scholl Mfg Co Inc Foot measuring device
US2464571A (en) * 1948-03-11 1949-03-15 Trimfoot Company Shoe-fit indicator
US2860416A (en) * 1952-01-24 1958-11-18 Joseph E Rusz Seated impression fitting aids
US2835908A (en) * 1953-12-21 1958-05-27 Howard V S Mott Shoe fitting
US2856771A (en) 1955-08-16 1958-10-21 Maurice K Anderson Symptomatic imprinting insoles and sole printing packs
US3022577A (en) * 1960-10-13 1962-02-27 Milton M Rockmore Shoe-fit checking device
US3359640A (en) * 1966-06-06 1967-12-26 Kirk S Shoe Store Shoe fit indicating device
US3517450A (en) * 1968-02-23 1970-06-30 Professional Tape Co Inc Adhesived recording label
US3854212A (en) * 1970-03-09 1974-12-17 R Rose Foot measuring device
ES170737Y (es) * 1970-07-28 1972-07-01 I.G.I., S.P.A. Una horma de prueba para zapatos.
DE2753205C3 (de) 1977-11-29 1985-12-12 Michael W. Dipl.-Kfm. 5100 Aachen Schmohl Durchgehende Laufsohle für Sportschuhe
GB2020832B (en) * 1978-05-11 1983-02-23 Lord Ltd P Shoe size checking device
US4387516A (en) * 1980-12-22 1983-06-14 L & A, Inc. Universal insole
US4635366A (en) * 1985-12-16 1987-01-13 Fohrman Scott R Polymeric shoe sizer
ATE131009T1 (de) * 1989-04-13 1995-12-15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kinderschuh, mit einem durchsichtigen bereich.
US4931773A (en) 1989-05-05 1990-06-05 Rosen Henri E Shoe fitting system
IT221043Z2 (it) * 1990-10-29 1994-01-03 Ferragamo Salvatore Firenze S Strumento per il rilevamento delle dimensioni, in particolare larghezza e lunghezza, del piede.
US5282283A (en) * 1992-06-30 1994-02-01 Mr. Tux, Inc. Urination station
US5312136A (en) * 1992-08-27 1994-05-17 Capozzola Carl A Identification tag
US5539677A (en) * 1993-10-22 1996-07-23 Smith; Stephen M.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foot sizes
US5445420A (en) * 1994-01-10 1995-08-29 Lairmore; Arley G. Footprint configuration sponge and base novelty device
FR2714799B1 (fr) * 1994-01-10 1996-04-05 Scop Minibel Sa Article chaussant notamment chaussures pour enfants en bas âge.
US6415530B1 (en) * 1999-12-17 2002-07-09 H. Kevin Coplon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US6442869B2 (en) * 2000-02-28 2002-09-03 Mark A. Coomes Children's sandals having replaceable soles
USD466273S1 (en) * 2000-08-09 2002-12-03 Sara Lee Corporation Pair of shoe soles with sizing indicators
CN1446060A (zh) * 2000-08-09 2003-10-01 萨拉李公司 带有尺寸指示的鞋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9201A1 (en) 2002-02-28
US20020092182A1 (en) 2002-07-18
CA2419201C (en) 2006-08-01
WO2002015731A1 (en) 2002-02-28
US6415530B1 (en) 2002-07-09
JP2004522462A (ja) 2004-07-29
CN1291671C (zh) 2006-12-27
AU8661201A (en) 2002-03-04
US20020078592A1 (en) 2002-06-27
US20020144427A1 (en) 2002-10-10
EP1311168A4 (en) 2006-07-26
AU2001286612B2 (en) 2007-12-20
US6748673B2 (en) 2004-06-15
US6651349B2 (en) 2003-11-25
US6523289B2 (en) 2003-02-25
EP1311168A1 (en) 2003-05-21
JP3890296B2 (ja) 2007-03-07
CN1446059A (zh) 2003-10-01
EP1311168B1 (en)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5469A (ko) 신발의 외측으로부터 맞음새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시스템 및 신발
AU2001286612A1 (en) Method, system and shoe enabling the determination of fit from outside of the shoe
US7051452B2 (en) Foot scanning and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020035793A1 (en) Shoe sole with sizing indicators
JPH0332603A (ja) 透明範囲を備えた靴
US2003014286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cting the spatial form of an object
US2126608A (en) Shoe fitting indicator
US6708644B2 (en) Thermal imaging fitting system
US3359640A (en) Shoe fit indicating device
JP3479019B2 (ja) 足サイズ測定具
US20030009907A1 (en) Footwear having a window for visual sizing
JP4065599B2 (ja) シューズ選択用簡易計測器
JP4087747B2 (ja) 足サイズ測定具
GB2368643A (en) Bra size measuring tape
NL2004613C2 (en) Body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outer dimensions of a person's lower extremity.
JPH0212882Y2 (ko)
KR200254579Y1 (ko) 색깔이 다른 운동화
CA2009852A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correct fit of shoes when buying shoes
KR100579822B1 (ko) 맞춤용 구두 제조방법
JP2003052415A (ja) 足型測定板セット
JP2524534Y2 (ja) 足袋包装用袋
IT202000024859A1 (it) Interfaccia grafica d’utente per selezionare la taglia corretta di una scarpa
GB2138271A (en) Multi fitting insole
CA2215439A1 (en) Sizing shoe having transparent upper
CA2358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zing f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