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786A -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786A
KR20030063786A KR1020020004092A KR20020004092A KR20030063786A KR 20030063786 A KR20030063786 A KR 20030063786A KR 1020020004092 A KR1020020004092 A KR 1020020004092A KR 20020004092 A KR20020004092 A KR 20020004092A KR 20030063786 A KR20030063786 A KR 20030063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tomaceous earth
filter
case
exhaust gas
ba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섭
Original Assignee
(주)대성공영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공영환경 filed Critical (주)대성공영환경
Priority to KR102002000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786A/ko
Publication of KR2003006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조토를 급기관의 상부에 설치된 정량공급부을 이용해 백필터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코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와 백연,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아황산가스, 이산화탄소등의 기체흡착, 필터의 결로방지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은, 정화하고자 하는 기체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혼합된 공기를 백필터를 통하게 하여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급기관(100)에 정량공급수단(200)을 이용하여 300 내지 500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는 규조토를 배출가스의 양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40)의 케이스(42)내부에 설치된 백 형상의 필터(41)의 길이보다 긴 길이와 상기 케이스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300)로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의 내측 상부로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와 배기관(60)을 매개로 설치된 배기팬(70)을 이용하여 상기 백필터의 내부로 공급된 배출가스를 상기 배플에 차단되어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를 경유하여 백필터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공기를 필터로 분사하여 필터에 이물질과 흡착되어 밀착된 규조토와 분진을 탈락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분진배출수단(44)을 가동시켜 케이스의 하부에 쌓인 분진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량공급수단의 호퍼내에 공급된 규조토가 응고되지 않도록펄스밸브를 동작시키는 단계와, 정량공급수단(200)과 하부분진배출수단(44)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진유니트(50)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팬이 자체에 설치된 지연타이머에 의해 연기등에 포함된 수분등에 의해 필터가 결로현상이 없도록 필터를 건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터를 탈진유니트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펄스시켜 필터에 묻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DRY-TYPE PURIFICATION FACILITY AND METHOD OF DISCHARGED GAS }
본 발명은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규조토를 급기관의 상부에 설치된 정량공급부을 이용해 백필터의 필터를 연속적으로 코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와 백연,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아황산가스, 이산화탄소등의 기체흡착, 필터의 결로방지등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출가스에는 다이옥신등이 포함된 미세먼지,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이산화탄소와 수소 및 산소와 질소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가스에 포함된 먼지등을 건식으로 집진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을 참조로 설명하면,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관(30)으로 규조토(도시않됨)가 공급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필터(41)들이 내장되어 있는 백필터(40)의 케이스(42)측면 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42)의 하부로 공급된 규조토(200 메시)는 상기 필터(41)와 연결됨과 더불어 오염된 분진 및 가스와 함께 필터에 부착되고 정화된 공기는 백필터(40)의 측면에 배기관(60)으로 연결 설치된 배기팬(70)의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백필터(40)의 케이스(42)측면 상부에 설치된 탈진유니트(50)에는 조작반(80)에 의해 조작되도록 연결구성된 콤프레셔(90)가 탈진유니트(50)를 구성하는 펄스파이프(51)를 매개로 배기통로(43)와 필터(4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필터(41)에 부착된 오염된 분진 및 가스를 흡착한 규조토 및 이물질을 떨어뜨리고 하부분진배출수단(44)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반(80)을 조작하여 백필터(40)의 필터(41)에 규조토를 부착시키는 규조토 코팅운전을 하고, 이후 상기 조작반(80)을 조작하여 배기팬(70)을 구동시키면 배기관(60)을 통하여 상기 급기관(30)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필터(41)에 의해 분진등을 포집하는 규조토 포집운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규조토 포집 운전 실시후 4 내지 5일이 경과후 탈진유니트(50)를 작동시켜 백필터의 필터를 털어주는 탈진운전이 이루어지면, 상기 하부분진배출수단 (44)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규조토코팅운전은 규조토포집운전 및 탈진운전이 주기적으로 반복작동된다.
한편 상기 급기관(30)으로 규조토를 공급하는 정량공급부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규조토가 공급부(10)와 압송수단(20)에 의해 압송덕트(21)를 매개로 급기관(3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10)는, 규조토가 투입된 호퍼(11)와, 이 호퍼(11)로부터 일정길이의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규조토를 이송하는 이송수단(12) 및, 이 이송수단 (12)의 선단에서 하부로 규조토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공급덕트(13)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정량공급부을 구성하는 공급부(10)의 호퍼(11)로부터 규조토압송덕트 (21)로 규조토가 공급되면 규조토투입용 압송수단(20)이 규조토를 강제로 압송하여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관(30)으로 공급되어 필터(41)에 코팅되는 것이다.
그러나 배출가스에 포함된 먼지등을 집진하는 장치는, 상기 백필터(40)를 구성하는 케이스(42)의 깔대기형상 하부에 급기관(30)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배기팬(70)에 의해 규조토가 외부의 공기와 유입되어 케이스(42)의 내부로 공급될 때 필터(41)쪽으로 균일하게 비산되지 못하고 하부분진배출수단(44)의 쪽으로 떨어지는 등의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규조토는 비중이 무거운 200메시의 것을 사용하여 비산되지 못하고 하부분진배출수단(44)의 쪽으로 떨어지는 등의 효율적이지 못한 점이 있었다.
한편 규조토의 공급부가 풍량이 크거나 가스농도가 높은 것과는 무관하게 항상 1셋트만 사용하여 흡착제인 규조토가 백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에 균등하게 표면처리되지 못하였다.
또 상기 공급부(10)를 구성하는 이송수단(12)의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케이스의 밀착된 길이가 600㎜정도 되어 압송수단(20)이 작동할 때 공급덕트(13)에서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케이스에 있던 규조토가 전부 규조토압송덕트(21)로 공급되지 못하고 수분이 생기게 되면서 규조토가 굳어서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덕트(13)와 규조토압송덕트(21)로 공급할 수 없음은 물론 스크류컨베이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탈진유니트(50)가 작동되는 시간이 15초 정도로 탈피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연속적이지 않고 규조토를 1회 코팅후 4 ~ 5일 정도 사용후 규조토를 오염된 가스와 같이 떨어내어 다시 규조토 코팅후 사용하므로 연속 운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00 ~ 500메시인 규조토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급기관이 케이스의 측면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배플에 의해 규조토와 공기가 부딪쳐 낙하된 후 균일하게 비산되도록 함으로써, 백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에 규조토의 비산이 용이하게 되어 균등하게 표면처리되도록 됨과 더불어 규조토가 백연과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및 이산화탄소와 아황산가스등의 기체를 흡착하도록 한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규조토를 급기관으로 투입시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공급할 수 있어 규조토가 스크류내에서 굳지 않아 파손되지 않고, 풍량이 크거나 가스농도가 높더라도 사용이 용이하도록 된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탈진유니트의 작동시간이 30초 이상으로 하여 탈피시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정량공급수단을 구성하는 호퍼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 장치의 정량공급수단을 구성하는 공급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백필터 41 - 필터
42 - 케이스 43 - 배기통로
50 - 탈진유니트 60 - 배기관
70 - 배기팬 100 - 급기관
200 - 정량공급수단 210 - 호퍼
211 - 도어 212 - 필터
213 - 공급구 214 - 펄스밸브
220 - 공급부 221 - 스크류컨베이어
222 - 인입덕트 223 - 스크류하우징
300 - 배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기관과, 이 급기관에 규조토를 공급하는 정량공급수단과, 상기 급기관이 연결됨과 더불어 내부에 복수개의 필터가 구비되는 한편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관이 연결됨은 물론 하부에는 이물질을 집진한 규조토와 분진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분진배출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를 갖춘 백필터를 포함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적어도 상기 필터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면서 케이스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로 급기관을 통해 유입된 기체가 마찰되어 하부로 내려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기관에 공급되는 규조토의 입자크기는 300 내지 500 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상기 급기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규조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압력차가 150㎜Aq 이상일 경우에 경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필터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된 차압계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규조토를 격납함과 더불어 내부에 규조토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진동을 주는 펄스밸브가 설치된 호퍼와, 이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규조토를 급기관에 공급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이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측이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응고된 규조토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스크류를 갖춘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를 감싸는 스크류하우징의 단면이 감소되어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하우징의 일정간격을 두고 밀착설치된 부분이 3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화하고자 하는 기체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혼합된 공기를 백필터를 통하게 하여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급기관에 정량공급수단을 이용하여 300 내지 500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는 규조토를 배출가스의 양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된 백 형상의 필터의 길이보다 긴 길이와 상기 케이스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로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의 내측 상부로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와 배기관을 매개로 설치된 배기팬을 이용하여 상기 백필터의 내부로 공급된 배출가스를 상기 배플에 차단되어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를 경유하여 백필터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공기를 필터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이물질과 흡착되어 밀착된 규조토와 분진을 탈락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상기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분진배출수단을 가동시켜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쌓인 분진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의 호퍼내에 공급된 규조토가 응고되지 않도록 펄스밸브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과 하부분진배출수단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진유니트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팬이 자체에 설치된 지연타이머에 의해 필터를 건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터를 탈진유니트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진동시켜 필터에 묻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급기관(100)과, 이 급기관(100)에 규조토를 공급하는 정량공급수단(200)와, 상기 급기관(100)이 연결됨과 더불어 내부에 복수개의 백형상 필터(41)가 구비되는 한편 필터(41)에 의하여 정화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관(60)이 연결됨은 물론 하부에는 이물질을 집진한 규조토와 분진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분진배출수단(44)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42)를 갖춘 백필터(40)를 포함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2)의 내부에 적어도 상기 백 형상필터(41)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면서 케이스(42)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100)은 케이스(42)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300)로 급기관(100)을 통해 유입된 기체가 마찰되어 하부로 내려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관(100)에 공급되는 규조토의 입자크기는 300 ~ 500 메시(mesh)인 것이 오염된 공기의 정화가 용이하다.
즉, 상기 케이스(42)의 측면 상부에 설치된 급기관(100)과 케이스(42)의 내부이면서 상부에 설치된 배플(300)은 외부의 공기와 300 ~ 500 메시(mesh)인 규조토가 케이스(42)의 하부로 낙하할 때, 상기 배기팬(7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배기관(60)과 필터(41)로 공기를 빨아들여 비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41)가 비산되는 규조토에 의해 연속적으로 코팅됨과 더불어 규조토에 의해 다이옥신이 포함된 미세먼지와 백연 및 악취는 물론, 휘발성유기화합물질과 아황산가스, 이산화탈소, 수소, 산소, 질소, 염소등의 기체흡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41)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압력차가 150mmAq 이상일 경우에 경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케이스(42)의 측면에 설치된 차압계(P)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량공급수단(200)은 상기 급기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규조토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량공급수단(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규조토를 넣어서 하부로 공급함과 더불어 굳지 않도록 섞을 수 있도록 된 호퍼(210)와, 이 호퍼(210)가 설치되는 하부에는 공급되는 규조토를 분쇄하여 급기관(100)으로 배출되도록 이송시키는 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퍼(2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규조토를 넣을 수 있도록 도어(211)와, 이 도어(211)가 설치된 측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필터(212)와, 상기 도어(211)로 공급된 규조토가 하부로 공급되는 공급구(213)와, 상기 도어(21)와 공급구(213)가 설치된 사이에 설치됨은 물론 규조토의 공급이 용이하도록 진동을 주어 섞이도록 한 펄스밸브(214)를 포함한다.
상기 펄스밸브(214)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규조토가 굳으려 하면 펄스밸브(214)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 진동함으로써 규조토의 굳음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호퍼(210)에서 공급된 규조토를 이송하는 스크류컨베이어(221)와, 상기 호퍼(210)의 공급구(213)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를 수용하여 급기관(100)과 연결된 인입덕트(222)가 설치된 스크류하우징(223)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에 체인 또는 벨트등의 전달수단(227)을 매개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백필터(40)의 측면에 연장설치된 브라켓(224)과 프레임(225)을 매개로 상부에 설치된 모터(226)와, 상기 스크류하우징(223)의 내부이면서 스크류컨베이어(221)의 외부에 설치되어 규조토를 분쇄하도록 설치된 분쇄스크류(228)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의 위에 설치된 분쇄스크류(228)에 의해 규조토가 수분이 생겨도 뭉치지 않게 분쇄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펄스밸브(214)와 상기 분쇄스크류(228)는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규조토를 균등화시키게 되어 수분등에 의해서 굳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와 스크류하우징(223)의 밀착된 부분, 즉, 상기 인입덕트(222)로 부터 스크류컨베이어(221)를 감싸도록 설치된 스크류하우징 (223)의 일정간격으로 밀착된 부분이 300㎜로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의 작동이 정지되어도 상기 급기관(100)로 공기가 유입될 때 300㎜까지는 규조토가 흡입되어 백필터(40)로 공급되게 된다.
즉, 규조토에 수분이 생기더라도 300 ~ 500 메시의 규조토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와 스크류하우징(223)의 밀착된 부분에서 굳을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배기팬(70)에서 흡입되는 풍량이 클 경우 급기관(100)에 공급수단(200)을 설치할 때, 200㎥/min당 1셋트(set)씩 증설하여 투입시설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유입공기의 오염농도가 높을 시 200㎥/min이 아니더라도 수량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퍼(210)의 도어(211)를 열고 300 ~ 500메시의 규조토를 넣고 상기 조작반(8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모터(226)가 작동되어 전달수단(227)을 매개로 분쇄스크류(228)와 스크류컨베이어(22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호퍼(210)내부의 규조토가 공급구(213)를 통해 유입되면 스크류컨베이어(221)가 회전하여 인입덕트(222)로 공급 할 때, 상기 분쇄스크류(228)는 규조토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인입덕트(222)로 유입된 규조토는 급기관(100)으로 공급되고, 이급기관(100)의 인입 유속을 이용하여 백필터(40)로 투입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다.
한편 상기 배기팬(70)의 흡입력에 의해 오염된 공기와 함께 상기 배플(300)에 부딪쳐 하부로 떨어지던 규조토는 비산되어 필터(41)에 코팅됨과 더불어 규조토에 의해 분진 및 가스, 악취를 제거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질등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급기관(100)과 연결된 인입덕트(222)에서 상기 스크류(221)와 스크류케이스(223)가 밀착되는 길이가 300㎜가 되어, 상기 급기관(100)으로 공기가 유입될 때 상기 스크류(221)에 회전동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남아 있던 규조토가 급기관(100)으로 유입되므로 수분에 의해 규조토가 굳게 되지 않으므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1)를 정지하였다가 작동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백필터(40)의 케이스(42)측면에 차압계(P)가 설치되어 필터의 압력을 검출함으로써 차압이 150㎜Aq 이상일 경우에 배기팬(70)의 작동을 멈추게 하거나 경고등(A) 및 경고벨(B)이 경고 신호를 주어 필터를 교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반도체공장등의 급기로 사용할 경우에 필터의 교환주기를 알 수 있어 유용하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정화하고자 하는 기체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혼합된 공기를 백필터를 통하게 하여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급기관(100)에 정량공급수단(200)을 이용하여 300 내지 500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는 규조토를 배출가스의 양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40)의 케이스(42)내부에 설치된 백 형상의 필터(41)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케이스(42)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300)로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42)의 내측 상부로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40)와 배기관(60)을 매개로 설치된 배기팬(70)을 이용하여 상기 백필터(40)의 내부로 공급된 배출가스를 상기 배플(300)에 차단되어 백필터 케이스(42)의 하부를 경유하여 백필터(40)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공기를 필터(41)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41)에 이물질과 흡착되어 밀착된 규조토와 분진을 탈락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상기 백필터 케이스(42)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분진배출수단(44)을 가동시켜 백필터 케이스(42)의 하부에 쌓인 분진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의 호퍼내에 공급된 규조토가 응고되지 않도록 펄스밸브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정지시에는 상기 조작반(80)에서 정량공급수단(200)의 모터(226)와 백필터(40)의 케이스(42)하부에 설치된 여과집진시설인 하부분진배출수단(44)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진유니트(50)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팬(70)이 자체에 설치된 지연타이머에 의해 연기등에 포함된 수분등에 의해 필터가 결로현상이 없도록 필터(41)를 건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필터(41)를 탈진유니트(50)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펄스(pulse)시켜 필터(41)에 묻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연타이머와 탈진유니트(50)의 작동시간은 실험에 의해 3시간 이상이 최적의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반도체공장등에서는 급기로 헤파필터(HEPA FILTER)를 사용하나 헤파필터는 청소장치가 없어서 헤파필터에 미세먼지가 부착되어 일정비율이 막히면 필터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300 ~ 500메시 의 규조토를 이용하게 되면 헤파필터보다 더 미세한 먼지도 걸러내며 공기 펄스시설을 부착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백필터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상부에 급기관가 연결됨과 더불어 배플이 설치되어 배기팬에 의해 300 ~ 500메시의 규조토가 외부의 공기와 유입되어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될 때 필터쪽으로 비산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규조토의 공급수단이 가스농도가 높거나 풍량이 큰 것에 관계하여 1셋트이상 사용하여 흡착제인 규조토가 백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에 균등하게 표면처리되는 효과가 있다.
또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케이스의 밀착된 길이가 300㎜이하로 되어 급기관의 유입풍속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의 회전이 멈추어도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케이스에 있던 규조토가 급기관로 공급되어 수분에 의해 규조토가 굳어서 스크류컨베이어가 파손되는 일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탈진유니트의 작동시간이 30초 이상 되어 탈피시 우수한 효과가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급기관과, 이 급기관에 규조토를 공급하는 정량공급수단과, 상기 급기관이 연결됨과 더불어 내부에 복수개의 필터가 구비되는 한편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관이 연결됨은 물론 하부에는 이물질을 집진한 규조토와 분진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하부분진배출수단이 내부에 설치된 케이스를 갖춘 백필터를 포함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적어도 상기 필터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면서 케이스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기관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배플로 급기관을 통해 유입된 기체가 마찰되어 하부로 내려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 공급되는 규조토의 입자크기는 300 내지 500 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상기 급기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규조토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내부 및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압력차가 150㎜Aq 이상일 경우에 경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필터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된 차압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은, 규조토를 격납함과 더불어 내부에 규조토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진동을 주는 펄스밸브가 설치된 호퍼와, 이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규조토를 급기관에 공급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이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측이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응고된 규조토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스크류를 갖춘 공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를 감싸는 스크류하우징의 단면이 감소되어 스크류컨베이어와 스크류하우징의 일정간격을 두고 밀착설치된 부분이 3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7. 정화하고자 하는 기체에 규조토를 혼합하고, 혼합된 공기를 백필터를 통하게 하여 배출가스를 정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출가스가 통과하는 급기관에 정량공급수단을 이용하여 300 내지 500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는 규조토를 배출가스의 양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된 백 형상의 필터의 길이보다 긴 길이와 상기 케이스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배플로 오염된 공기가 케이스의 내측 상부로 유입하는 단계와,
    상기 백필터와 배기관을 매개로 설치된 배기팬을 이용하여 상기 백필터의 내부로 공급된 배출가스를 상기 배플에 차단되어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를 경유하여 백필터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공기를 필터로 분사하여 상기 필터에 이물질과 흡착되어 밀착된 규조토와 분진을 탈락시키는 단계와,
    일정한 주기로 상기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분진배출수단을 가동시켜 백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쌓인 분진을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의 호퍼내에 공급된 규조토가 응고되지 않도록 펄스밸브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과 하부분진배출수단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탈진유니트를 정지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기팬이 자체에 설치된 지연타이머에 의해 필터를 건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가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터를 탈진유니트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진동시켜 필터에 묻어 있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방법.
KR1020020004092A 2002-01-24 2002-01-24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KR20030063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92A KR20030063786A (ko) 2002-01-24 2002-01-24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092A KR20030063786A (ko) 2002-01-24 2002-01-24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786A true KR20030063786A (ko) 2003-07-31

Family

ID=3221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092A KR20030063786A (ko) 2002-01-24 2002-01-24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786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28B1 (ko) * 2001-12-24 2007-11-27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여과포의 먼지 제거장치
KR100804494B1 (ko) * 2006-07-18 2008-02-20 김준현 악취 제거 장치
WO2009082072A1 (en) * 2007-12-21 2009-07-02 Koair Co., Ltd Dust filtering collector for removing smoke and method for filtering smoke using same
KR101106073B1 (ko) * 2010-05-20 2012-01-18 (주)태린 고압 집진장치의 필터 역세정장치
KR101236503B1 (ko) * 2012-10-30 2013-02-22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KR101242204B1 (ko) * 2010-07-16 2013-03-11 (주)유성 배출가스 복합 처리장치
KR101363073B1 (ko) * 2013-09-13 2014-02-1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대기 및 악취 오염 방지를 위한 분말 흡착제 공급장치
KR200474368Y1 (ko) * 2012-07-16 2014-09-12 한국남부발전(주)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CN111375252A (zh) * 2018-12-27 2020-07-07 山东莱钢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脱硫脱硝前烟气净化吸附装置
KR102190214B1 (ko) 2020-09-24 2020-12-11 씨에스케이(주) 포집 용량이 증가된 배기가스 내 파우더 포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비
KR102208983B1 (ko) 2020-09-24 2021-01-27 씨에스케이(주) 필터 탈진 기능을 갖는 배기가스 내 파우더 포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비
KR102380500B1 (ko) * 2021-08-20 2022-04-01 주식회사 엔바이온 공기 정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9274A (en) * 1977-03-04 1978-09-22 Daido Steel Co Ltd Precoating method for use in a bag filter
JPH05123515A (ja) * 1991-11-08 1993-05-21 Plantec:Kk バグフイルタ装置の制御方法
JPH06154534A (ja) * 1992-09-22 1994-06-03 Kazuo Mizutani バッグ式反応集塵機のクリーニング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9274A (en) * 1977-03-04 1978-09-22 Daido Steel Co Ltd Precoating method for use in a bag filter
JPH05123515A (ja) * 1991-11-08 1993-05-21 Plantec:Kk バグフイルタ装置の制御方法
JPH06154534A (ja) * 1992-09-22 1994-06-03 Kazuo Mizutani バッグ式反応集塵機のクリーニング制御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28B1 (ko) * 2001-12-24 2007-11-27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여과포의 먼지 제거장치
KR100804494B1 (ko) * 2006-07-18 2008-02-20 김준현 악취 제거 장치
WO2009082072A1 (en) * 2007-12-21 2009-07-02 Koair Co., Ltd Dust filtering collector for removing smoke and method for filtering smoke using same
KR101106073B1 (ko) * 2010-05-20 2012-01-18 (주)태린 고압 집진장치의 필터 역세정장치
KR101242204B1 (ko) * 2010-07-16 2013-03-11 (주)유성 배출가스 복합 처리장치
KR200474368Y1 (ko) * 2012-07-16 2014-09-12 한국남부발전(주)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1236503B1 (ko) * 2012-10-30 2013-02-22 김은희 공기정화장치
KR101363073B1 (ko) * 2013-09-13 2014-02-17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대기 및 악취 오염 방지를 위한 분말 흡착제 공급장치
WO2015037807A1 (ko) * 2013-09-13 2015-03-19 주식회사 메트로엔지니어링 대기 및 악취 오염 방지를 위한 분말 흡착제 공급장치
CN111375252A (zh) * 2018-12-27 2020-07-07 山东莱钢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脱硫脱硝前烟气净化吸附装置
KR102190214B1 (ko) 2020-09-24 2020-12-11 씨에스케이(주) 포집 용량이 증가된 배기가스 내 파우더 포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비
KR102208983B1 (ko) 2020-09-24 2021-01-27 씨에스케이(주) 필터 탈진 기능을 갖는 배기가스 내 파우더 포집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 장비
KR102380500B1 (ko) * 2021-08-20 2022-04-01 주식회사 엔바이온 공기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3786A (ko) 배출가스의 건식 정화 장치 및 방법
CN1040290C (zh) 清除废气流里的尘粒物质和有害气体的方法
CN1040184C (zh) 对废气流喷射静态充电吸收剂的给料装置和静电喷枪装置
JPH05329316A (ja) 排ガス処理装置
KR20080070608A (ko)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KR20080070517A (ko) 연기 제거용 집진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기의 필터링방법
KR100478609B1 (ko) 일체형 배출가스 정화장치
DE59904321D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eststoffen aus einem Luftstrom
KR102322198B1 (ko) 자동 필터 청소 기능이 구비된 소형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한 IoT가 연동된 집진 시스템
CN103463885A (zh) 一种带有泄爆功能的环保除尘装置
CN106984120A (zh) 一种用于铣床的烟气净化器
JP2011041934A (ja) バグ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ガス除去システム
KR200474368Y1 (ko) 수분침입을 방지하는 수단이 구비된 집진장치
CN206934965U (zh) 一种脉冲反吹式滤筒除尘器
CN201445888U (zh) 三级除尘机组
KR100743949B1 (ko) 건축폐기물 처리 및 정화 시스템
KR200272427Y1 (ko) 대기 유해물질 포집 집진장치
CN213536620U (zh) 一种混凝土原料输送通道的除尘装置
CN218687558U (zh) 滤筒除尘器
CN215539242U (zh) 一种工业废气粉尘治理设备
KR20010047909A (ko) 주상집진장치
CN217340692U (zh) 一种淋砂机底部气体通道结构
CN209829728U (zh) 一种能够对链板进行清洗的淬火设备
CN218794700U (zh) 铸造车间粉尘处理装置
CN218249316U (zh) 除尘箱和集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