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393A -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추출물 - Google Patents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393A
KR20030063393A KR10-2003-7007001A KR20037007001A KR20030063393A KR 20030063393 A KR20030063393 A KR 20030063393A KR 20037007001 A KR20037007001 A KR 20037007001A KR 20030063393 A KR20030063393 A KR 20030063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extract
cancer
treatment
lyophilized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5153B1 (ko
Inventor
조세마누엘 프리아스페나
Original Assignee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filed Critical 봄순드 그루포 아세소르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030063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0Boraginaceae (Borage family), e.g. comfrey, lungwort or forget-me-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식물, 특히 초본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는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식물의 정화, b) 식물의 분쇄, c)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방사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seperation). 또한, 본원 발명은 이런 방법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에 관하는데, 이들 조성물중 일부는 의료 분야, 특히 면역 억제 질환, 예를 들면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 또는 바이러스 질환, 예를 들면 간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 추출물{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EXTRACTS OF PLANT AND EXTRACTS SO OBTAINED}
식물 및 일반적인 초본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활성 조성물과 화합물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새로운 식물, 식물에 존재하는 새로운 화합물 또는 식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변형은 생리활성성분(phytochemical) 산업에 잠재적으로 유용하다.
식물과 초본의 구성 성분 추출에 이용되는 방법은 수득되는 화합물의 수율뿐만 아니라 실제로 수득될 수 있는 화합물의 화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생리활성성분 산업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은 물이나 증기,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 예를 들면 물과 알코올을 이용한 분쇄된 식물이나 초본의 추출에 기초한다. 냉침 단계 역시 당분야에 공지된 것이다. 최종적으로, 고체상으로부터 수성 추출물의 분리(separation)는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상층액 분리(decantation), 원심분리 또는 여과로 달성할 수 있다. 식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추가적인 화학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Dr. Pio Font Quer, "Medicinal Plants. The updated Discorides" Ed. Labor, S.A., 12th Edition, 1990을 참조한다.
프랑스 특허 FR 2733419에서는 15-30℃에서 3-15일동안 300-400g의 신선한 게라늄 로베르타늄(Geranium robertanium) 잎, 10-50g의 건조된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잎, 10-50g의 건조된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잎을 3ℓ물에 적심으로써 게라늄(Geranium), 질경이(Plantago), 카렌듈라(Calendula)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3가지 상이한 식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추출물의 제조를 기술한다. FR 2733419에 따르면, 이렇게 수득되는 조성물은 암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하기의 실시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들 추출물은 만족스런 활성을 보이지 않는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934 746 A에서는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뿐만 아니라 게라늄(Geranium)과 질경이(Plantago)로부터 식물의 수성 추출물의 제조를 개시하는데, 여기서 상기 추출물은 물에서 다음의 함량으로 수득된다: 300g 물에서 10 내지 60g의 건조된 게라늄 시비리쿤(Geranium sibiricun)이나 300 내지 360g의 신선한 게라늄 시비리쿤(Geranium sibiricun), 10 내지 60g의 건조된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10 내지 60g의 건조된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상기 수성 추출물을 만드는 방법은 혼합물의 프레스-여과에 앞서 분쇄된 식물을 물에 냉침시키고, 이를 원심분리 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EP 0934 746 A에 따르면, 이런 추출물은 암 치료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종양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하기의 실시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들 추출물은 만족스런 활성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당분야에는 치료 약물로 이용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새로운 약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대안적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필요하다.
본원 발명의 요약
본원 발명은 식물, 특히 초본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런 방법으로 수득되는 조성물을 제시하는데, 이들 조성물중 일부는 의료 분야, 특히 면역-억제 질환, 예를 들면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와 같은 면역 억제 질환의 치료 및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한 측면은 식물, 특히 초본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는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식물의 정화(decontamination)
b) 식물의 분쇄
c)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방사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
본원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이런 방법으로 수득되는 조성물 또는 수성 추출물(가수분해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면역 억제 질환, 예를 들면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에서 치료 약물로서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본원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분쇄된 식물이 레이저 방사(radiation)로 처리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법과 구별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예증된 바와 같이,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로 처리하면 새로운 활성이 나타나거나 또는 추출물의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이렇게 수득되는 추출물은 레이저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방법으로 수득되는 추출물과 당연히 구별된다.
본원 발명은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 추출물에 관하는데, 이들 추출물중 일부는 의료 분야, 특히 면역 억제 질환의 치료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에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식물, 특히 초본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는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a) 식물의 정화
b) 식물의 분쇄
c)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방사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
본원에서 "식물"은 동일 종의 한 단위나 여러 단위, 상이한 종의 여러 단위, 또는 줄기, 잎, 꽃 등과 같은 식물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정화(a 단계)는 식물을 물로 세척하여 달성한다. 이 단계에 사용되는 물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으며, 식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온은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28℃이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 단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 터널을 이용할 수 있다. 물의 함량 및 세척 터널에서 식물의 머무름 시간은 중요하지 않고, 따라서 식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런 세척 단계는 건조 단계를 중간 단계로 하여 수회 실시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건조 단계는 식물을 태양아래 위치시켜 달성한다.
식물이 완전하게 정화되면,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분쇄 기계 또는 손으로 분쇄한다. 식물을 분쇄하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후, 분쇄된 식물은 레이저 방사로 처리한다(c 단계). 레이저 광원으로는 150 내지 810 nm 범위의 파장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갖는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레이저 광선의 파장은 좀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n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nm이다. 레이저 광선의 파워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watt, 좀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watt,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watt이다. 스팟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mm, 좀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4 mm 직경을 갖는다. 분쇄된 식물은 레이저 광선에 노출시켜 혼합물 전체 또는 이의 일부가 조사(irradiation)되도록 한다. 이는 레이저 발생기를 분쇄된 식물에 수동으로 위치시키거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로 분쇄된 재료를 일단의 레이저 발생기에 통과시켜 달성한다. 적절하게는, 각 1㎏의 분쇄된 재료는 3 내지 10분, 좀더 바람직하게는 5분동안 레이저 방사로 처리한다.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방사로 처리하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그 다음, 레이저 처리된 재료는 물에 현탁시킨다(d 단계). 임의의 상업적 광천수를 이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현탁은 물 1ℓ당 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g의 레이저 처리된 재료가 존재하도록 실시한다. 분쇄된 식물을 물에 현탁시키는 온도는 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이후, 현탁액은 5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일동안,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온도로 유지시켜 혼합물의 냉침이 진행되도록 한다(e 단계).
최종적으로, 냉침 단계이후, 고체상으로부터 액체상의 분리(separation)를 실시한다(f 단계). 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할 수 있다. 분리는 상층액 분리(decantation) 단독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층액 분리 및 후속 여과로 달성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여과는 가압하에 실시한다. 가장 적절하게는,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를 실시한다. 분리를 실시하는 온도는10 내지 40℃이어야 하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역시 배제시키지 않는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식물,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식물의 혼합물에 적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방법을 전체 식물에 적용할 수 있긴 하지만, 잎과 꽃이 선호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식물과의 무제한적 예는 다음과 같다: 국화과(Asteraceae), 장미과(Rosaceae), 배추과(Crucifrae), 꿀풀과(Labiatae), 속새과(Equisetaceae), 삭시프라간세(Saxifraganceae), 국화과(Compositae), 두릅나무과(Araliaceae), 산형과(Umbeliferae).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식물종의 무제한적 예는 다음과 같다: 멘타 사티바(Mentha sativa), 아니스(Pimpinella anisum),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퀴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quinacea angustifolia), 심피툼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쇠뜨기(Equisetum arvense). 본원 발명의 적용하는데 적합한 종은 다음과 같다: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
본원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본원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가수분해물 또는 조성물)에 관한다. 무제한적 실시예: 멘타 사티바(Mentha sativa), 아니스(Pimpinella anisum),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퀴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quinacea angustifolia), 심피툼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쇠뜨기(Equisetum arvense)에 본원 발명의 적용으로 만들어진 조성물은 본원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을 금잔화(Calendulaofficinalis) 및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의 혼합물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이 특히 효과적이고, 이는 본원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중 일부는 의료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은 상기 추출물의 전술한 용도에 관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을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 특히 본원 발명의 방법을 상기 식물의 꽃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은 면역 촉진제로서 활성을 보인다. 이런 활성은 하기 실시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저하게 높다. 이론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추출물은 림프구 T, B, 대식세포의 림프구 전환 활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방법을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추출물은 면역-억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환의 무제한적 예는 암, 예를 들면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 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방법을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의 혼합물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 특히 본원 발명의 방법을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의 잎 혼합물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은 현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인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런 추출물은 A, B, C, D형 간염 바이러스에 길항활성을 보인다. 이런 활성은 하기 실시예에서 밝힌 바와 같이 현저하게 높다. 게다가, 상기 추출물은 트랜스아미나제와 빌리루빈의 대사에 대한 높은 조절 활성 및 간세포 재생의 촉진제로서 활성을 보인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방법을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에 적용하여 수득되는 추출물은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환의 무제한적 예는 A, B, C, D, E형 간염이다. 상기 추출물은 높은 수준의 트랜스아미나제와 빌리루빈과 관련된 간 병리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질환의 무제한적 예는 A, B, C, D, E형 간염; 간경화; 간암이다.
본 발명자들이 실시한 연구와 실험에 따르면, 레이저 처리는 식물의 특정 화합물간 반응을 촉매하거나 또는 식물의 특정 화합물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고, 추출물에서 이들 화합물의 존재는 전술한 예상치 못한 활성을 결과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 발명의 네 번째 측면은 본원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에 관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수성 추출물은 수성 추출물(또는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로 개별적으로 또는 제약학적 제형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약물 혼합물은 (1) 본원 발명에 따른 추출물; (2) 하나 또는 복수의 적합한 결합제, 담체 및/또는 추가적인 보조 물질; (3) 추가적인 치료요법적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제형이다.
담체 물질, 결합제 및/또는 보조 물질은 제형이나 제제의 다른 성분과 혼합할 수 있고 치료받는 생물에 부작용을 주지 않도록 제약학적으로ㆍ약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해야 한다.
제형에는 경구와 장관외(피하, 피내, 근육내, 정맥내 포함) 투여에 적합한 제형이 포함되는데, 최적 투여 경로는 환자의 상태에 좌우된다.
제형은 단일 투여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약리학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투여에 적합한 활성 성분의 적량은 특정 장 치료요법(field therapy)의 함수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투여 제형에서 활성 물질 농도는 전체 제형중 5% 내지 95%이다.
본원에 제시된 발명은 후술한 실시예로 예증한다.
실시예 1: 표준 방법에 따른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의 수성 추출물 준비(비교 실시예)
500g의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은 세척 터널에 위치시키고 대략 28℃에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후, 꽃은 분쇄 기계로 분쇄한다. 생성된 500g 분쇄 재료는 대략 20℃ 온도에서 2ℓ물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은 4℃에서 12일동안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는 액체의 상층액 분리(decantation)(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한다) 및 후속으로 대략 20℃ 온도에서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달성한다. 최종 산물은 대략 1.7ℓ의 황토색 용액이다.
실시예 2: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른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의 수성 추출물 준비
500g의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꽃은 세척 터널에 위치시키고 대략 28℃에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후, 꽃은 분쇄 기계로 분쇄한다. 생성된 500g 분쇄 재료는 250 nm 파장, 20 watt 파워, 4 mm 직경 스팟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가진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로 처리한다. 이런 처리는 2.5분동안 분쇄 재료에 레이저 발생기를 수동으로 위치시켜 혼합물 전체 또는 이의 일부가 조사(irradiation)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후, 레이저 처리된 재료는 대략 20℃ 온도에서 2ℓ물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은 4℃에서 12일동안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는 액체의 상층액 분리(decantation)(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한다) 및 후속으로 대략 20℃ 온도에서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달성한다. 최종 산물은 대략 1.7ℓ의 황토색 용액이다.
실시예 3-14:
하기에 기재된 식물의 수성 추출물은 실시예 1과 2의 과정에 따라 준비되었다. 전술한 과정이 적용되는 식물의 부분은 가로안에 표시한다: 쇠뜨기(Equisetum arvense)(줄기), 심피툼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잎),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잎과 꽃), 에퀴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quinacea angustifolia)(잎), 아니스(Pimpinella anisum)(잎과 꽃), 멘타 사티바(Mentha sativa)(잎).
실시예 1-14에서 얻은 수성 추출물은 림프구 전환 활성(LTA)을 정량하여 면역 촉진제로서 활성을 검사하였다. 림프구 전환 활성이란 면역학적 기전을 통한 질병의 억제 또는 여러 요인에 의해 약화된 면역시스템의 회복을 위하여, 림프구가 휴지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검사는 참고문헌: Max, W. et al., Journal of Natural Products, vol. 54, no. 6, pp. 1531-1542(1991)에 따라 생쥐로부터 분리된 림프구에 상기 추출물을 첨가하여 시험관내에서 실시한다. DNA의 복제를 의미하는 티미딘의 통합을 모니터한다. 이런 통합은 림프구 개체수의 증가 및 림프구 활성의 증가를 시사한다. 이들 결과는 표 1에 요약한다.
표 1
실시예 식물 LTA 증가(%)(표준방법) LTA 증가(%)(레이저 처리포함 방법)
1/2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277 +1204
3/4 쇠뜨기(Equisetum arvense) +26 +123
5/6 심피툼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43 +211
7/8 에퀴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quinacea angustifolia) +98 +270
9/10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106 +280
11/12 아니스(Pimpinella anisum) +11 +26
13/14 멘타 사티바(Mentha sativa) +12 +28
표 1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에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이 표준 방법, 즉 레이저 처리없는 추출에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보다 더 높은 림프구 전환 활성을 보인다는 것이 명확하다. 이에 더하여, 본원 발명에서 수득되는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추출물에서 림프구 전환 활성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난다.
실시예 15: 표준 방법에 따른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 잎의 수성 추출물 준비(비교 실시예)
250g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잎, 250g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잎, 250g 광대수염(Lamium album) 잎은 세척 터널에 위치시키고 대략 28℃에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후, 잎은 분쇄 기계로 분쇄한다. 생성된 750g 분쇄 재료는 대략 20℃ 온도에서 3ℓ물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은 4℃에서 12일동안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는 액체의 상층액 분리(decantation)(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한다) 및 후속으로 대략 20℃ 온도에서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달성한다. 최종 산물은 대략 2.7ℓ의 암녹색 용액(수성 추출물)이다.
실시예 16: 본원 발명의 방법에 따른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 잎의 수성 추출물 준비
250g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잎, 250g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잎, 250g 광대수염(Lamium album) 잎은 세척 터널에 위치시키고 대략 28℃에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 이후, 잎은 분쇄 기계로 분쇄한다. 생성된 750g 분쇄 재료는 250 nm 파장, 20 watt 파워, 4 mm 직경 스팟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가진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로 처리한다. 이런 처리는 4분동안 분쇄 재료에 레이저 발생기를 수동으로 위치시켜 혼합물 전체 또는 이의 일부가 조사(irradiation)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후, 레이저 처리된재료는 대략 20℃ 온도에서 3ℓ물에 현탁시킨다. 현탁액은 4℃에서 12일동안 유지시킨다. 최종적으로, 고체상과 액체상의 분리는 액체의 상층액 분리(decantation)(고체는 가압하여 분리를 촉진한다) 및 후속으로 대략 20℃ 온도에서 5 ㎛, 1 ㎛,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달성한다. 최종 산물은 대략 2.7ℓ의 암녹색 용액(수성 추출물)이다.
실시예 15와 16에서 수득되는 수성 추출물은 상이한 간 질환으로 고생하고 높은 수치의 트랜스아미나제(GOT, GPT, GGT)와 빌리루빈 및 높은 바이러스 충전(charge)을 보이는 28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15에서 수득되는 추출물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치료 3개월후 약간 감소한 트랜스아미나제 및 변함없는 바이러스 충전을 보였다. 하지만, 실시예 16에서 수득되는 추출물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치료 2개월후, 증상 호전, 정상 수치의 트랜스아미나제와 빌리루빈 및 균주 1-B와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C형 간염에서 바이러스 충전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Claims (44)

  1.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식물의 정화(decontamination)
    b) 식물의 분쇄
    c) 분쇄된 식물을 레이저 방사로 처리
    d) c) 단계에서 얻은 혼합물을 물에 현탁
    e) d) 단계에서 얻은 현탁액의 냉침(Maceration)
    f) 생성된 액체의 분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임의 식물 단위, 동일 종의 여러 식물 단위, 또는 상이한 종의 여러 식물 단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식물의 일부분, 예를 들면 줄기, 잎 또는 꽃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화는 세척 터널에서 물로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는 손으로 또는 분쇄 기계로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방사 처리는 150 내지 810 nm 범위의 파장, 1 내지 60 watt의 파워, 1 내지 6 mm 직경의 스팟에서 조화파 발생(harmonic generation) 능력을 갖는 적색 선형 레이저 다이오드로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파장은 200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250 nm이고, 파워는 20 watt이며, 스팟은 직경이 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1㎏의 분쇄 재료는 3 내지 10분, 바람직하게는 5분동안 레이저 방사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탁은 물 1ℓ당 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g의 레이저 처리된 재료가 존재하도록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탁액은 5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일동안,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온도로 유지시켜 냉침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상은 상층액 분리(decantation) 및 5, 1, 0.22 ㎛의 필터로 3회 연속 프레스-여과하여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엽식물 또는 쌍자엽식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은 다음의 과(family): 국화과(Asteraceae), 장미과(Rosaceae), 배추과(Crucifrae), 꿀풀과(Labiatae), 속새과(Equisetaceae), 삭시프라간세(Saxifraganceae), 국화과(Compositae), 두릅나무과(Araliaceae), 산형과(Umbeliferae)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은 다음의 종(species): 멘타 사티바(Mentha sativa), 아니스(Pimpinella anisum),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에퀴나세아 안구스티폴리아(Equinacea angustifolia), 심피툼 오피시날리스(Symphytum officinalis), 쇠뜨기(Equisetum arvense),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은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의 꽃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의 혼합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짚신나무(Agrimonia eupatoria), 레피듐 라티폴륨(Lepidium latifolium), 광대수염(Lamium album)의 잎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 내지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수성 추출물.
  20. 제 19 항에 따른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1. 제 15 항 또는 16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수성 추출물.
  22. 제 21 항에 따른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3. 제 17 항 또는 18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한 수성 추출물.
  24. 제 23 항에 따른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5. 제 19 항 내지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 약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6. 제 21 항 또는 22 항에 있어서, 면역 억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7. 제 21 항 또는 22 항에 있어서,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8. 제 21 항 또는 22 항에 있어서,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29.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30.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간세포의 재생을 위한 촉진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31.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트랜스아미나제 및 빌리루빈과 관련된 병리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32. 제 23 항 또는 24 항에 있어서, A, B, C, D, E형 간염; 간경화; 간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
  33.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19 항 내지 2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4. 면역 억제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21 항 내지 24 항중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5. 제 34 항에 있어서, 암, 결핵, 인플루엔자, 감기, 알레르기, 홍반성 루프스, 건선, AIDS를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6. 제 35 항에 있어서, 간암, 폐암, 신장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이나 전립선 선암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과 같은 뇌암, 자궁경부암, 방광암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7. 바이러스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23 항 또는 24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8. 제 37 항에 있어서, A, B, C, D, E형 간염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39. 높은 수준의 트랜스아미나제 및 빌리루빈과 관련된 병리를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23 항 또는 24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40. 제 39 항에 있어서, 간경화와 간암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41. 간세포 재생을 촉진하는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 23 항 또는 24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이나 동결건조된 수성 추출물의 용도.
  42. 제 19 항 내지 24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43. 제 42 항에 있어서,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운반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44. 제 41 항 또는 4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가지의 다른 제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KR1020037007001A 2000-11-27 2000-11-27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추출물 KR10077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0/001947 WO2002041908A1 (en) 2000-11-27 2000-11-27 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extracts of plants and extracts so obtain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393A true KR20030063393A (ko) 2003-07-28
KR100775153B1 KR100775153B1 (ko) 2007-11-12

Family

ID=1100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001A KR100775153B1 (ko) 2000-11-27 2000-11-27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추출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7402324B1 (ko)
EP (1) EP1339420B1 (ko)
JP (1) JP2004525866A (ko)
KR (1) KR100775153B1 (ko)
CN (1) CN1261162C (ko)
AR (1) AR035506A1 (ko)
AT (1) ATE275960T1 (ko)
AU (2) AU2001220195B2 (ko)
BR (1) BR0017378A (ko)
CA (1) CA2430113A1 (ko)
DE (1) DE60013919T2 (ko)
DK (1) DK1339420T3 (ko)
ES (1) ES2228641T3 (ko)
HR (1) HRP20030482A2 (ko)
HU (1) HUP0501092A3 (ko)
IL (1) IL156165A0 (ko)
MX (1) MXPA03004721A (ko)
MY (1) MY129109A (ko)
NO (1) NO20032369L (ko)
NZ (1) NZ526642A (ko)
PT (1) PT1339420E (ko)
UA (1) UA75624C2 (ko)
WO (1) WO2002041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37060A1 (en) * 2002-06-29 2004-01-19 Biokorea Co., Ltd (e)-1-(((2e, 4e)-1-hexyl-2,4-octadecadienyl)oxy)-2-hydroxydiazine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hepatitis
WO2007141661A2 (en) * 2006-02-22 2007-12-13 Tracey Anne Seipel Herbal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EP2120922A2 (en) * 2007-02-13 2009-11-25 NY Financial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lamiridosin, iridoids or derivatives thereof for treatment of hepatitis c or hepatitis b
KR101124364B1 (ko) * 2009-03-31 2012-03-15 (주)국심 간세포 보호 기능성 국화차 조성물
US20120213870A1 (en) * 2011-02-17 2012-08-23 Maher El-Aas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liver disease
WO2014199379A1 (en) * 2013-06-11 2014-12-18 Carmel Haifa University Economic Corporation Ltd. Treatment of cancer
ES2533200B1 (es) 2013-10-04 2016-01-15 Rafael GALLART GRAU Procedimiento para preparar extractos acuosos de plantas
FR3023482B1 (fr) * 2014-07-11 2016-07-15 Laboratoires Lea Extrait hydroglycerine d'ombellifere pour un usage cosmetique
TR201514423A3 (tr) 2015-11-16 2017-02-21 Bahadir Sueleyman Kanser tedavisi için bir ekstre.
CN112808243A (zh) * 2021-01-07 2021-05-18 广州宝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去除甲醛空气净化剂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3419B1 (fr) * 1995-04-27 1997-08-08 Blackborough Ltd Extraits vegetaux, leur procede de fabrication, conjugues phytoproteiques les contenant et leurs applications
RU2118166C1 (ru) * 1996-12-04 1998-08-27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РФ "НИОПИК"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онколог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в виде водного экстракта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6143337A (en) * 1999-04-30 2000-1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Extraction of pectin by microwave heating under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56165A0 (en) 2003-12-23
AU2001220195B2 (en) 2005-10-27
DK1339420T3 (da) 2005-01-17
ATE275960T1 (de) 2004-10-15
CA2430113A1 (en) 2002-05-30
AU2019501A (en) 2002-06-03
UA75624C2 (en) 2006-05-15
KR100775153B1 (ko) 2007-11-12
NZ526642A (en) 2004-11-26
US7402324B1 (en) 2008-07-22
CN1261162C (zh) 2006-06-28
CN1479624A (zh) 2004-03-03
WO2002041908A1 (en) 2002-05-30
ES2228641T3 (es) 2005-04-16
DE60013919D1 (de) 2004-10-21
HUP0501092A3 (en) 2008-08-28
JP2004525866A (ja) 2004-08-26
NO20032369D0 (no) 2003-05-26
MY129109A (en) 2007-03-30
PT1339420E (pt) 2005-01-31
AR035506A1 (es) 2004-06-02
EP1339420A1 (en) 2003-09-03
HRP20030482A2 (en) 2005-04-30
DE60013919T2 (de) 2005-09-29
EP1339420B1 (en) 2004-09-15
BR0017378A (pt) 2004-06-29
MXPA03004721A (es) 2005-01-25
HUP0501092A2 (en) 2007-12-28
NO20032369L (no) 200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153B1 (ko) 식물의 수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렇게 수득되는추출물
CN101612362B (zh) 一种调节血脂、防治心脑血管疾病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US7799353B2 (en) Pharmaceutical mixture for hepatitis treatment and its preparation method
CN102727563A (zh) 大戟属植物具有抗hiv潜伏作用的有效部位及其应用
Prakash et al. Comparativ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ree Phyllanthus species, P. urinaria, P. niruri and P. simplex,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injury in the rat
AU2001220195A1 (en) 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extracts of plants and extracts so obtained
JPH0725777A (ja) 神経栄養因子合成促進剤
KR0180567B1 (ko) 복방 생약제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의 추출.정제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 조성물
RU226544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ных экстрактов из растений и сами эти экстракты
US7150886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diseased liver
CN101057954B (zh) 一种治疗小中风的中药复方及其制备方法
CN1839931B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559523A (zh) 脑得生软胶囊及其制备方法
TWI299267B (en) 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extracts of plants, extracts so obtained,their use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 extracts
CN1069044C (zh) 一种治疗艾滋病的注射液及其制备方法
EP2632474B1 (en) Composition for food supplement and its use for lowering high cholesterol level
CN101757511A (zh) 一种治疗急慢性粒细胞白血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44572A (zh) 一种治疗白血病的药物组合物
CN105920170A (zh) 防止头发脱落的中药制剂
CN106063802A (zh) 水柏枝有效部位、其制备方法及其用途
CN110801470A (zh) 一种用于肝胆脾胰疾病的生物医药、医用食品及制备方法
CN101450143A (zh) 一种治疗白血病的药物组合物
Lee et al.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Ulmus davidiana Planch (Ulmacea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on bone cells: Stimulation of proliferati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GB2401042A (en) Antitussive ag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78701A (zh) 一种治疗艾滋病的口服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