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2640A -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2640A
KR20030062640A KR1020020002955A KR20020002955A KR20030062640A KR 20030062640 A KR20030062640 A KR 20030062640A KR 1020020002955 A KR1020020002955 A KR 1020020002955A KR 20020002955 A KR20020002955 A KR 20020002955A KR 20030062640 A KR20030062640 A KR 2003006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distortion
pincushion
screen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이병태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Priority to KR102002000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2640A/ko
Publication of KR2003006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6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4Deflection circuits ; 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고가의 이너(inner) MCM을 사용하지 않고 이너 핀쿠션 및 좌/우 핀쿠션을 원하는 수준만큼 보정하여 화질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면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pincushion distortion)을 보정하고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량에 비해 감소된 비율로 이너(inner)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가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통해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이 보정될 정도의 보정량이 발생하도록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정용 마그네트를 화면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편향요크의 개구부에 부착하여 좌/우 및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을 수행하므로 제품 생산원가를 감소시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APPARATUS FOR COMPENSATING DISTORTION OF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R/G/B의 형광물질이 도포된 형광면이 구비된 패널(1)과 상기 패널(1)의 후방에 프릿 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펀넬(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펀넬(2)의 네크부(31) 내에는 R/G/B 3색의 전자빔(20)을 조사하는 전자총(10)이 봉입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패널(1)의 후방 내면에는 전자빔(20)의 색을 선별하는 다수의 슬릿으로 구성된 섀도우 마스크(3)와 상기 섀도우 마스크(3)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도시 생략)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펀넬(2)에는 전자빔(20)을 상/하, 좌/우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5)가 구비된다.
이때 편향요크(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총(10)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 편향코일(41),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직 편향코일(42), 상기 수직 편향코일(42)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전자빔이 상기 스크린의 전면에 정확히 편향될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편향코일(41)(42)에서 발생된 자기력의 손실을 줄여 자기 효율을 향상시키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43), 수평 편향코일(41)과 수직 편향코일(42) 및 페라이트코어(43)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상기 수평 편향코일(41)과 수직 편향코일(42) 사이를 절연시키는 홀더(44), 그리고 최근 영상표시장치가 평면화, 대형화, 고정세화되면서 상술한 수평 및 수직편향 코일만으로는 라스터 디스토션(Raster distortion) 즉, 핀쿠션, 바렐 등의 디스토션 특성과 컨버젼스(Convergence) 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므로 좌/우 디스토션 및 이너 디스토션(Inner distortion)과, YBH, YCH, Tilt 등의 미스 컨버젼스(mis convergence)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가 보정회로기판(45)에 포함된다.
이때 보정회로는 수평편향 및 미스 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와,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로 구분되는데, 수평편향, 미스 컨버젼스 및 이너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보정회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L1)(L2)로 이루어진 수평편향 코일(41), 저항(R1)(R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R16)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편향 코일(41)과 연결된 틸트 보정회로, 수평편향 코일(41)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R7)과 상기 가변저항(R7)에 병렬로 연결된 4개의 정류용 다이오드(D1)(D2)(D3)(D4)와 상기 다이오드(D2)에 병렬로 연결된 보정코일(L4)과 상기 다이오드(D1)에 병렬로 연결된 보정코일(L5)로 구성된 YBH 보정회로, 저항(R10)(R13)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R11)과 저항(R11)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조정되는 가변저항(R12)으로 구성된 YCH 보정회로,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D4)와 저항(R9) 그리고 직렬연결된 다이오드(D3)와 저항(R14) 그리고 병렬연결된코일(L4)(L5)이 병렬로 4극 CY 코일(L6)(L7)과 연결되고, 저항(R15)과 병렬 연결되고 4극 CY 코일(L6)(L7)과 직렬 연결되어 이너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한 Inner MCM(L8), 수평편향 코일(41)과 직렬 연결되어 CCV를 보정하기 위한 CCV MCM(L3)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편향 및 이너 디스토션 등을 보정하는 보정회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L9)(L11)로 이루어진 수직편향 코일(42), 상기 수직편향 코일(42) 각각과 직렬 연결되어 CCV를 보정하기 위한 CCV MCM(L10)(L12), 상기 CCV MCM(L10)(L12) 사이에 연결된 밸런스 코일(L13), 상기 밸런스 코일(L13)과 직렬 연결된 캔슬 코일(L14)(L15), 상기 캔슬 코일(L15)과 직렬 연결되어 이너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한 Inner MCM(L16)을 포함한다.
또한 화면 좌/우측의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는 도 4와 같이, 수평출력회로의 FBT(Fly Back Transformer)의 1차측 코일에 컬렉터가 연결된 수평출력용 트랜지스터(TR1),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연결된 제1, 제2 다이오드(D1)(D2) 및 상기 제1, 제2 다이오드(D1)(D2)와 병렬연결된 제1 및 제2 커패시터(Cf1)(Cf2)로 이루어진 2개의 공진회로, 상기 제1 커패시터(Cf1)와 연결된 수평편향 코일(Ly) 제3 커패시터(Cs), 상기 제2 커패시터(Cf2)와 연결된 변조코일(Lm) 및 제4 커패시터(Cm), 상기 제4 커패시터(Cm)과 병렬연결된 변조용 트랜지스터(TR2), 상기 변조용 트랜지스터(TR2)를 제어하여 상기 제4 커패시터(Cm)의 출력파형이 파라볼라 파형이 되도록 하는 파라볼라 변조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출력회로의 FBT의 1차측 입력이 수평출력 트랜지스터(TR1)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공진회로에 공급된다. 그리고 변조용 트랜지스터(TR2)의 임피던스를 수직주파수로 가변하면 상기 변조용 트랜지스터(TR2)와 병렬연결된 제4 커패시터(Cm)의 전압(Vm)이 수직주파수의 주기로 변화된다. 이어서 상기 파라볼라 변조부(53)가 상기 전압(Vm)의 변화를 변조용 트랜지스터(TR2)를 제어하여 도 5와 같이, 파라볼라 형태로 변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수직전류(Iv)가 '0'인 지점 즉, 핀쿠션 디스토션이 발생하지 않은 위치는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수직전류가 '0.5'인 지점과 '1'인 지점은 각각 그 수직전류량에 비례하여 상술한 파라볼라 파형에 의해 좌/우 핀쿠션이 보정된다.
이때 상기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에서 좌/우 디스토션을 보정하기 위해 출력된 파형이 이너 핀쿠션 보정에도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실제 좌/우측 핀쿠션 보정량에 비해 이너 핀쿠션 보정량의 비율이 상당히 적어 도 6과 같이, 좌/우측 핀쿠션(a)이 a'와 같이 보정되어도 이너 핀쿠션(b)은 보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화면 내측에 여전히 핀쿠션 디스토션(b')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 3a 및 도 3b의 수평편향 및 수직편향 보정회로에 별도로 이너 핀쿠션만을 전문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이너 MCM(L8)(L16)이 구비되어 있다.
결국, 편향요크에 의해 전자빔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고, 좌/우측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회로에 의해 화면 좌/우측의 핀쿠션 디스토션이 보정되며 상기 이너 MCM(L8)(L16)에 의해 화면 내측의 핀쿠션 디스토션이 보정되어 핀쿠션 디스토션이 제거된 정상적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극선관은 이너 핀쿠션을 보정하기 위한 이너(inner) MCM을 장착하는데, 이너 MCM의 재료비가 편향요크 재료비의 약 10%에 해당하는 고가로서, 제품 대량 생산시 생산원가를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의 이너 MCM을 사용하지 않고 이너 핀쿠션 및 좌/우 핀쿠션을 원하는 수준만큼 보정하여 화질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편향요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수평편향 보정회로 및 수직편향 보정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전류 및 수직편향전류의 파형도.
도 6은 도 4의 좌/우 디스토션 보정에 따른 화면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디스토션(Inner distortion) 보정용 마그네트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따른 디스토션 보정에 따른 화면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수평편향 코일 42: 수직편향 코일
43: 페라이트 코아 44: 홀더
45: 보정회로기판 51, 52: 보정용 마그네트
본 발명은 화면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pincushion distortion)을 보정하고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량에 비해 감소된 비율로 이너(inner)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가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통해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이 보정될 정도의 보정량이 발생하도록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정용 마그네트를 화면의 좌/우측에 해당하는 편향요크의 개구부에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너 핀쿠션 보정용 마그네트의 설치방법을 보여주는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에 따른 핀쿠션 보정에 따른 화면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는 상술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의 보정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량이 증가하면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량도 증가하여 원하는 수준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인위적으로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원래화면에 비해 증가시킨후 상술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이용하여 좌/우 핀쿠션 및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요크의 개구부에 보정용 마그네트(51)(52)를 설치한다.
이때 보정용 마그네트(51)(52)를 설치하는 방법은 도 7과 같이, 화면의 좌측(9시 방향)에는 'N'극이 아래로 향하고 'S'극이 위로 향하도록 보정용 마그네트(51)를 설치하고 화면의 우측(3시 방향)에는 'S'극이 아래로 향하고 'N'극이 위로 향하도록 보정용 마그네트(52)를 장착한다.
이와 같이 화면의 좌측에 장착된 보정용 마그네트(51)의 경우 자계가 'N'극에서 나와서 'S'극으로 향하고, 화면의 우측에 장착된 보정용 마그네트(5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계가 'N'극에서 나와서 'S'극으로 향하므로 전자빔은 패러데이의 왼손법칙에 따라 자계의 방향과 직각 즉,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되어 도 8a의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a) 및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b)이 도 8b의 a' 및 b'와 같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는 상기 보정 마그네트(51)(52)에 의해 증가된 각 지점별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함과 동시에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도 보정한다. 이때 좌/우 핀쿠션 보정량이 이너 핀쿠션을 완벽하게 보정할 수 있을 정도로 증가하였으므로 최종적으로 도 8c와 같이, 좌/우 및 이너 핀쿠션이 원하는 수준으로 보정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는 고가의 이너 핀쿠션 보정용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좌/우 핀쿠션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저가의 보정용 마그네트와 기존의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이용하여 기존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좌/우 및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을 수행하므로 제품 생산원가를 감소시켜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화면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pincushion distortion)을 보정하고 상기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 보정량에 비해 감소된 비율로 이너(inner) 핀쿠션 디스토션을 보정하는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가 장착된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좌/우 디스토션 보정회로를 통해 이너 핀쿠션 디스토션이 보정될 정도의 보정량이 발생하도록 좌/우 핀쿠션 디스토션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정용 마그네트를 화면의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편향요크의 개구부에 'N'극이 아래로 향하고 'S'극이 위로 향하도록 부착하며, 상기 보정용 마그네트를 화면의 우측에 해당하는 상기 편향요크의 개구부에'S'극이 아래로 향하고 'N'극이 위로 향하도록 부착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KR1020020002955A 2002-01-18 2002-01-18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KR20030062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55A KR20030062640A (ko) 2002-01-18 2002-01-18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55A KR20030062640A (ko) 2002-01-18 2002-01-18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40A true KR20030062640A (ko) 2003-07-28

Family

ID=3221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55A KR20030062640A (ko) 2002-01-18 2002-01-18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264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429A (ja) * 1984-10-05 1986-05-06 Hitachi Ltd 水平偏向回路
JPS63294656A (ja) * 1987-05-27 1988-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
JPS6412448A (en) * 1987-07-07 1989-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Deflection york
JPH01126045U (ko) * 1988-02-19 1989-08-29
KR19990035251A (ko) * 1997-10-31 1999-05-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2000195438A (ja) * 1998-12-28 2000-07-14 Toshiba Corp カラ―陰極線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429A (ja) * 1984-10-05 1986-05-06 Hitachi Ltd 水平偏向回路
JPS63294656A (ja) * 1987-05-27 1988-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ク
JPS6412448A (en) * 1987-07-07 1989-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Deflection york
JPH01126045U (ko) * 1988-02-19 1989-08-29
KR19990035251A (ko) * 1997-10-31 1999-05-15 이형도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JP2000195438A (ja) * 1998-12-28 2000-07-14 Toshiba Corp カラ―陰極線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487B1 (ko) 음극선관에 대한 집속 코일 전류 발생기
KR20030062640A (ko)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KR100219264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컨버젼스요크
US5177412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6326742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KR960000347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
JPH09320486A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及び偏向ヨーク
JP2001211460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KR200155650Y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보정장치
KR20080047117A (ko) 음극선관용 디스토션 보정회로
KR960006529Y1 (ko) 미스콘버젼스 보정장치
EP0399467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270364B1 (ko) 음극선관의인너디스토션보정장치
JP2001093443A (ja)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KR20020077564A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밸런스 코일 및 직선성 코일일체형 회로
KR20010018033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20070069528A (ko) 음극선관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KR0134342Y1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오크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20050082116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H10341450A (ja) カラー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装置
KR20000025809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회로
JP2002050309A (ja) 偏向ヨーク及び表示装置
JP2000090856A (ja) 偏向ヨ―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陰極線管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