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251A -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251A
KR19990035251A KR1019970057020A KR19970057020A KR19990035251A KR 19990035251 A KR19990035251 A KR 19990035251A KR 1019970057020 A KR1019970057020 A KR 1019970057020A KR 19970057020 A KR19970057020 A KR 19970057020A KR 19990035251 A KR19990035251 A KR 1999003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convergence
screen
coil
main
coil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57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251A/ko
Publication of KR1999003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251A/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에 있어서, 화면전체가 보정되지 않도록 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XH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이 권선되는 페라이트코어가 안착되는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주마그네트와, 상기 주마그네트에 의한 자속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는 보정장치 그리고 상기 주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마그네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본 발명은 편향요크(Deflection Yoke)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측에 마그네트(Magnet)를 부착하여 화면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수평 상에서의 X축상 데이터(이하 XH라고 용어를 통일함)에 의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요크의 화면특성에서 화면의 구석부분(Corner)은 화상데이터의 수평특성이 양호하지만, 화면 중앙부(Center)에서는 XH 성분만이 크게 발생한다. 이를 수치로 나타내면 화면의 구석부분에서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0"으로 할 경우에 중앙부에서 약 0.7 - 0.8㎜의 오차인 XH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된다. 미스컨버젼스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 중앙부에서 좌측으로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되는 R빔과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B빔을 도시하였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마그네트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2에 따른 미스컨버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편향요크(100)에서 도시되지 않은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16)이 권선되는 페라이트코어가 안착되는 코일세퍼레이터(10)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2)에 입설되는 한 쌍의 마그네트(14a)(14b)와, 상기 마그네트(14a)(14b)에 의한 자속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는 크로스암(Cross Arm)인 보정장치(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코어에 권선된 수직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Flux)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자계를 사용하여 주사선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S3V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거나 또는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속과 동일한 방향의 자계를 인가하여 화면의 좌우에서 안쪽으로 치우치는 좌우(E/W; East/West)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2)에 입설되는 한 쌍의 마그네트(14a)(14b)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보정장치(18)에서 넓은 범위로 되어 화면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였다.
그러나, 상기 S3V 또는 E/W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그네트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화면의 전체가 보정영향에 들게되어 보정이 과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에 있어서, 화면전체가 보정되지 않도록 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XH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이 권선되는 페라이트코어가 안착되는 코일세퍼레이터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주마그네트와, 상기 주마그네트에 의한 자속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는 보정장치 그리고 상기 주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마그네트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도 1은 화면의 미스컨버젼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마그네트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와 도 5는 도 2에 따른 미스컨버젼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세퍼레이터 12 : 스크린부
16 : 수직편향코일 14a, 14b : 주마그네트
20a, 20b : 보조마그네트 100 : 편향요크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편향요크(100)에서 도시되지 않은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16)이 권선되는 페라이트코어가 안착되는 코일세퍼레이터(10)와,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0)의 외주면인 스크린부(12)에 구성되는 한 쌍의 주마그네트(14a)(14b)와, 상기 주마그네트(14a)(14b)에 의한 자속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는 크로스암인 보정장치(18) 그리고 상기 주마그네트(14a)(14b)가 구비되는 코일세퍼레이터(10)의 스크린부(12)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마그네트(20a)(20b)로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쌍의 주마그네트(14a)(14b)가 구성되는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0)의 외주면인 스크린부(12)의 외측부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마그네트(14a)(14b)의 중앙부분의 내측부에 보조마그네트(14a)(14b)가 구성되어서 상기 보정장치(18)에 의한 주마그네트(14a)(14b)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저감되도록 동작된다.
상기 코일세퍼레이터(10)의 외주면인 스크린부(12)에 구성되는 한 쌍의 주마그네트(14a)(14b) 보다 그 크기가 작게되어 주마그네트(14a)(14b)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이 저감되도록 동작되는 보조마그네트(20a)(20b)는 상기 주마그네트(14a)(14b)보다 그 크기가 작게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자속이 상기 주마그네트(14a)(14b)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자속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화면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XH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다.
즉, 화면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수평 상에서의 X축상 데이터에 의한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할 때, 주마그네트의 내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마그네트에 의하여 화면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화면의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XH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함에 있어서, 화면전체가 보정되지 않도록 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XH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2)

  1.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이 권선되는 페라이트코어가 안착되는 코일세퍼레이터; 상기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주마그네트; 상기 주마그네트에 의한 자속에 의한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넓히는 보정장치; 그리고 상기 주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스크린부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마그네트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마그네트에 의하여 화면 중앙부 XH 미스컨버젼스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그네트는 주마그네트 중앙부의 내측에서 주마그네트 보다 그 크기가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70057020A 1997-10-31 1997-10-31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9990035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020A KR19990035251A (ko) 1997-10-31 1997-10-31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020A KR19990035251A (ko) 1997-10-31 1997-10-31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51A true KR19990035251A (ko) 1999-05-15

Family

ID=6608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020A KR19990035251A (ko) 1997-10-31 1997-10-31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2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40A (ko) * 2002-01-18 2003-07-2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40A (ko) * 2002-01-18 2003-07-28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의 디스토션 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9720A (en) Deflection unit for a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KR960000349B1 (ko) 편향 요크 장치
KR930000223Y1 (ko) 컨버어젼스 보정용 자석조립체
KR19990035251A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240100B1 (ko) 음극선관장치의 래스터 일그러짐 보정장치
KR100371452B1 (ko) 음극선관장치
US5736914A (en) Demagnetiz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JPH02204947A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偏向ヨーク装置
KR100227349B1 (ko) 음극선관장치
JP2526948B2 (ja) カラ―陰極線管
JP2001126642A (ja) カラ−受像管装置
US5719464A (en) Cathode ray tube display with little trapezoid distortion
JP3159577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216395B1 (ko) 음극선관장치
JPH067554Y2 (ja) 偏向ヨ−ク装置
KR19980023680A (ko) 자기력 조절이 용이한 편향요크
JP2671608B2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構体
KR950014060B1 (ko) 편향 요크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920005874Y1 (ko) 편향요크의 불요복사 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KR100355852B1 (ko) 편향요크의 미스 컨버젼스 보정장치
JPH0620281Y2 (ja) 偏向ヨ−ク装置
JP2000348641A (ja) 陰極線管装置
KR19990050523A (ko) 편향요크의 미스랜딩 보정장치
KR20030088377A (ko) 음극선관, 음극선관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코일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