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395B1 -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395B1
KR100216395B1 KR1019960053384A KR19960053384A KR100216395B1 KR 100216395 B1 KR100216395 B1 KR 100216395B1 KR 1019960053384 A KR1019960053384 A KR 1019960053384A KR 19960053384 A KR19960053384 A KR 19960053384A KR 100216395 B1 KR100216395 B1 KR 10021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horizontal deflection
valu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983A (ko
Inventor
마사노부 혼다
도시오 오세
겐이치로 다니와
가츠요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 가즈히로, 마츠시다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가즈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1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전스 코머를 보정함과 동시에,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함으로써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극선관장치는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의, 코일의 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변형수(H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이 수편평향코일의 전자총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EN) 부근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H2a)를 가지며, 상기 입구면(EN)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EX) 사이에서 플러스의 최대치(H2b)를 가지고, 마이너스의 최소치(H2a)의 절대치와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와의 편차를 나타내는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rh)(=(|H2b|-|H2a|)/(|H2b|)가 -0.30이상 0.19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Description

음극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1㎝(17'')-90°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2차 변형계수(H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1㎝(17'')-90°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2차 변형계수(V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에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VGD)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에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VGD)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인라인·셀프 컨버전스형 음극선관장치 특유의 컨버전스 코너(VCR)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전자총쪽에 있어서의 핀쿠션 변형을 가지는 수평편향가계에 의해 예비편향된 녹색발광용 전자빔(센터빔)과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사이드 빔)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VGD)의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발생하는 컨버전스 코너(HCR)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발생하는 컨버전스 코너(HCR)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정규화 계수(rh)와 그린 미스 컨버전스(VGD) 및 컨버전스 코머(HCR)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의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HGB)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에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HGB)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HGB)의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의 상부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부 가장자리 중앙부에 발생하는 컨버전스 코너(VCR)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의 상부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부 가장자리 중앙부에 발생하는 컨버전스 코너(VCR)의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극선관장치의 정규화 계수(rh)와 그린 미스 컨버전스(HGB) 및 컨버전스 코머(VCR)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5, 7, 11, 17, 19, 21, 23, 26, 32, 34 : 녹색발광용 전자빔
2, 4, 6, 18, 20, 22, 24, 33, 35 :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
8, 15, 30 : 청색발광용 전자빔 9, 16, 31 : 적색발광용 전자빔
10 :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최적의 핀쿠션 변형
12, 14 : 녹색발광용 전자빔에 작용하는 힘
13 :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과잉한 핀쿠션 변형
25 :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최적의 배럴 변형
27, 29 : 녹색발광용 전자빔에 작용하는 힘
28 :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과잉의 배럴 변형
36 : 음극선관본체 37 : 유리 패널
38 : 유리 패널 39 : 수평편향코일
40 : 수직편향코일 41 : 페라이트 코어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의 컨버전스 특성을 개선한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즈의 보급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주변부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고해상도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해상도를 결정하는 요소중 하나로서 스크린면상에서의 청색, 녹색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의 수속오차(이하 [미스 컨버전스]라고 한다)를 나타내는 컨버전스 특성을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니터용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의 그 스크린면상에서의 미스 컨버전스가 제조공정에서 0.3㎜ 정도까지 조정된다(이하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라 한다). 그 경우, 특히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청색발광용 전자빔과 적색발광용 전자빔 사이의 미스 컨버전스 조정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녹색발광용 전자빔과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 사이의 미스 컨버전스(이하 [그린 미스 컨버전스]라고 한다) 조정은 곤란하다. 왜냐하면,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시 편향요크의 스크린쪽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사용하는 단책형상 수지제 평판의 선단부에 점착된 페라이트분말 함유 수지제 연자성편인 그린 미스 컨버전스에 대한 조정 감도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설계적으로 작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최근의 음극선관장치용 편향요크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공평 6-5264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 상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이하 [컨버전스 코너]라한다)를 전자총의 톱 유닛에 배설된 연자성 금속체로 구성되는 인핸서·션트소자에 의해 녹색발광용 전자빔과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에 작용하는 편향자계강도를 제어하여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편향자계의 변형 그 자체를 제어하여 보정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 경우, 음극선관본체의 전자총쪽으로부터 스크린쪽으로 전개되는 편향자계의 존재영역을 전자총쪽 영역, 중간부 영역 및 스크린면 영역의 3영역으로 나누면, 수평편향자계에는 전자총쪽 영역에서 강한 배럴 변형이 발생하고, 수직편향자계에는 전자총쪽 영역에서 강한 핀쿠션 변형이 발생한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
그러나, 컨버전스 코너의 보정에만 착안하여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편향자계 변형을 설정하면, 스크린면 코너부에 0.2㎜를 초과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가 잔류되어 버리며, 상기 페라이트분말 함유 수지제 연자성편을 사용하여 스크린면 전체 영역에서의 미스 컨버전스를 0.3㎜ 이하로 하기 위한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편향자계의 코일 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 변형계수(H2) 혹은 (V2)의 z축상 자계분포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컨버전스 코너를 보정함과 동시에, 스크린면 코너부에서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고,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을 용이하게 하여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의 제1 구성은 유리 패널과, 상기 유리패널 후부에 접속된 유리패널을 가진 음극선관본체와,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에 배치된 전자총과,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 외주에 배치된 수평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편향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코어를 적어도 가진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의, 코일의 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 변형계수(H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이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상기 전자총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 부근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H2a)를 가지며, 상기 입구면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 사이에서 플러스의 최대치(H2b)를 가지며, 마이너스의 최소치(H2a)의 절대치와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 편차를 나타내는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rh)(=(|H2b|-|H2a|)/|H2b|)가 -0.30이상 0.1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음극선관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H2)의 강도와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H2)의 강도를 적절히 설명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면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어서의 컨버전스 코머와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장치의 제 2 구성은 유리 패널과, 상기 유리패널의 후부에 접속된 유리패널을 가진 음극선관본체와,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에 배치된 전자총과,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 외주에 배치된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코어를 적어도 가진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의 코일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변형계수(V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이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상기 전자총쪽 플랜지부의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 부근에서 플러스 최대치(V2a)를 가지며, 상기 입구면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과의 사이에서 마이너스 최소치(V2b)를 가지며, 플러스 최대치(V2a)의 절대치와 마이너스 최소치(V2Bb)의 절대치 편차를 나타내는 마이너스의 최소치(V2b)의 절대치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rh)(=(|V2b|-|V2a|)/|V2b|)가 -0.62이상 0.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음극선관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V2)의 강도와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V2)의 강도를 적절히 설명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면 상부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부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어서의 컨버전스 코머와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동시에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본체(36)는 유리패널(37)는 유리패널(37)의 후부에 접속된 유리패널(38)로 구성되어 있다. 음극선관본체(36)의 후부에 전자총(도시 생략)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음극선관본체(36)의 후부 외주에 새들형으로 감긴 수평편향 코일(39)과, 수평편향 코일(39) 외측에 배치된 새들형 수직편향코일(40)과, 수직편향코일(40)의 외측에 배치된 페라이트 코어(41)를 이루어진 편향요크가 장착되어 있다.
먼저,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저감하기 위한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에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중의 하나로서 『VGD』라 불리우는 횡선의 미스 컨버전스가 있다(제 3도, 제 4도 참조). 제 3도는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1)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2)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된 상태의 VGD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4도는 스크린면의 상부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부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컨버전스 코머(이하 「VCR」이라 한다)에 조정되며,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4)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3)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된 상태의 VGD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VGD는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인라인·셀프 컨버전스형 음극선관장치 특유의 녹색발광용 전자빔(5)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6)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된 VCR(제5도)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총쪽 영역의 핀쿠션 변형을 가진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센터 빔)(7)은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사이드 빔)(8, 9)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예비편향된다. 그 후, 녹색발광용 전자빔(7), 청색발광용 전자빔(8)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9)은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스크린면 코너부로 편향된다. VGD는 스크린면 코너부에서의 미스 컨버전스이기 때문에, 중간부 영역에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비편향된 녹색발광용 전자빔(7)은 청색발광용 전자빔(8), 적색발광용 전자빔(9)보다 수평편향자계 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 때문에,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이 과잉이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의 VGD가 발생하고, 반대로 중간부 영역에서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이 부족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의 VGD가 발생한다.
이것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전자빔을 스크린면 오른쪽 상측 코너부로 편향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최적의 핀쿠션 변형(10)(일반적으로 인라인·셀프 컨버전스형 편향요크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는 핀쿠션변형을 가진다)이 녹색발광용 전자빔(11)에 작용하는 하부쪽 힘(12)(y방향 분력)에 대해 핀쿠션변형이 과잉인 경우(파선(13)의 상태)에는 녹색발광용 전자빔(11)에 작용하는 하부쪽 힘(14)(y방향 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크린면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11)이 청색발광용 전자빔(15), 적색발광용 전자빔(16)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하게 된다. 또, 반대로 핀쿠션변형이 부족한 경우에는 녹색발광용 전자빔에 작용하는 하부쪽 힘(y방향 분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스크린면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적색발광용 전자빔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하게 된다.
이와 같이 VGD는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중간부영역에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을 변화시키면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어서의 컨버전스 코너(이하 [HCR]이라 한다)도 변화되어 버린다. 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을 강하게 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17)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18)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되는 HCR이 발생한다. 한편,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을 약하게 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19)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20)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되는 HCR이 발생한다. 이 때문DP, VGD는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HCR은 HCR을 보정하는 감도높은 전자총쪽 영역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는 일이 필요해진다.
이상의 검토에 의거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과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H2)의 절대치 편차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VGD와 HCR 양자를 보정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1㎝(17'')-90°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2차 변형계수(H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을 도시한 것으로, 2차 변형계수(H2)의 최대를 100%로 표시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보정계수(H2)는 전자총 부근에서 마이너스값(배럴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스크린면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마이너스값이 증가하고, 수평편향코일의 전자총쪽 플랜지부의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EN) 근방(전자총쪽 영역)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H2a)가 된다. 또한, 스크린면에 가까워지면 플러스값(핀쿠션변형)쪽으로 증가되어, 상기 입구면(EN)과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제 17도의 42)의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EX) 사이(중간부 영역)에서 플러스의 최대치(H2b)가 된다. 또한, 스크린면에 가까워지면 2차변형계수(H2)는 서서히 감소되어 나간다. 여기서, 2차보정계수(H2)의 마이너스 최소치(H2a)의 절대치 |H2a|와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 |H2b|의 편차를 나타내는, H2b의 절대치 |H2b|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 rh(=(|H2b|-|H2a|)/|H2b|)가 -0.06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0도는 정규화 계수(rh)와 VGD 및 HCR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 HCR은 컨버전스 품질의 관점에서 1㎜ 이하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정규화 계수(rh)가 0.19를 초과하면 H2b의 절대치 |H2b|가 상대적으로 너무 커지므로(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이 너무 강해진다), VGD가 0.2㎜를 초과하여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곤란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정규화된 계수(rh)가 -0.30 미만이 되면 H2b의 절대치 |H2b|가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지므로(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이 너무 약해진다), 마찬가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정규화 계수(rh)는 -0.30 이상 0.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정규화 계수(rh)가 -0.30 이상 0.19 이하의 범위내에 있으면 VGD와 HCR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정규화 계수(rh)가 -0.15 이상 0.10 이하의 범위내에 있으면 좀더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6-52648호 공보에 개시된 편향요크의 정규화 계수(rh)는 0.21이며,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핀쿠션 변형이 과다해지고 있으므로, 제3도에 도시한 패턴의 VGD가 발생하기 쉽다.
[제2 실시형태]
음극선관장치의 스크린면 코너부에 발생하는 그린 미스 컨버전스의 또다른 형태로서 『HGB』라 불리우는 종선의 미스 컨버전스가 있다(제11도, 제12도 참조). 제11도는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HCR이 보정되며,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21)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22)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된 상태의 HGB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12도는 스크린면의 우측 가장자리 중앙부와 좌측 가장자리 중앙부에서 HCR이 보정되며,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23)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24)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된 상태의 HGB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HGB는 다음과 같은 메카니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즉, 인라인·셀프 컨버전스형 음극선관장치에 특유의, 녹색발광용 전자빔(5)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6)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된 VCR(제5도)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총쪽 영역의 핀쿠션 변형을 가진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센터 빔)(7)은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사이드 빔)(8, 9)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예비편향된다. 그 후, 녹색발광용 전자빔(7), 청색발광용 전자빔(8)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9)은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스크린면 코너부로 편향된다. HGB는 스크린면 코너부에서의 미스 컨버전스이기 때문에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비편향된 녹색발광용 전자빔(7)은 청색발광용 전자빔(8)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9)보다 수평편향자계 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 때문에,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이 과잉이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의 HGB가 발생하고, 반대로 중간부 영역에서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이 부족하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턴의 HGB가 발생한다.
이것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자빔을 스크린면의 오른쪽 상측 코너부로 편향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최적의 배럴 변형(25)(일반적으로 인라인·셀프 컨버전스형 편향요크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는 배럴 변형을 가진다)이 녹색발광용 전자빔(26)에 작용하는 하부쪽 힘(27)(x방향 분력)에 대해 배럴 변형이 과잉인 경우(파선(28)의 상태)에는 녹색발광용 전자빔(26)에 작용하는 하부쪽 힘(29)(x방향 분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크린면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26)이 청색발광용 전자빔(30), 적색발광용 전자빔(31)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하게 된다. 또, 반대로 배럴 변형이 부족한 경우에는 녹색발광용 전자빔에 작용하는 외부쪽 힘(x방향 분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스크린면 코너부에서 녹색발광용 전자빔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적색발광용 전자빔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하게 된다.
이와 같이 HGB는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중간부영역에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을 변화시키면 스크린면의 상부 가장자리 중앙부와 하부 가장자리 중앙부에 있어서의 VCR도 변화되어 버린다. 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을 강하게 하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32)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33)에 대해 내측으로 편의된 VCR이 발생한다. 한편,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을 약하게 하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발광용 전자빔(34)이 청색발광용 전자빔 및 적색발광용 전자빔(35)에 대해 외측으로 편의되는 VCR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HGB는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VCR은 VCR을 보정하는 감도높은 전자총쪽 영역의 수평편향자계의 변형에 의해 제어하는 일이 필요해진다.
이상의 검토에 의거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과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2차변형계수(V2)의 절대치 편차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HGB와 VCR을 동시에 보정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41㎝(17'')-90°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의 2차 변형계수(V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을 도시한 것으로, 2차 변형계수(V2)의 최대를 100%로 표시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보정계수(V2)는 전자총 부근에서 플러스값(핀쿠션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스크린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플러스값이 증가하고, 수평편향코일의 전자총쪽 플랜지부의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EN) 근방(전자총쪽 영역)에서 플러스의 최대치(V2a)가 된다. 또한, 스크린면에 가까워지면 마이너스값(배럴 변형)쪽으로 감소되어 나가며, 상기 입구면(EN)과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제17도의 42)의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EX) 사이(중간부 영역)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V2b)가 된다. 또한, 스크린면에 가까워지면 2차변형계수(V2)는 서서히 증가되어 나간다. 여기서, 2차변형계수(V2)의 플러스 최대치(V2a)의 절대치 |V2a|와 마이너스 최소치(V2b)의 절대치 |V2b|의 편차를 나타내는, V2b의 절대치 |V2b|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 rv(=(|V2b|-|V2a|)/|V2b|)가 -0.35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6도는 정규화 계수(rv)와 HGB 및 VCR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 VCR은 컨버전스 품질의 관점에서 1㎜ 이하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정규화 계수(rv)가 0.08을 초과하면 V2b의 절대치 |V2b|가 상대적으로 너무 커지므로(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이 너무 강해진다), HGB가 0.2㎜를 초과하여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곤란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정규화된 계수(rv)가 -0.62 미만이 되면 V2b의 절대치 |V2b|가 상대적으로 너무 작아지므로(즉,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이 너무 약해진다), 마찬가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정규화 계수(rv)는 -0.62 이상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정규화 계수(rv)가 -0.62 이상 -0.08 이하의 범위내에 있으면 HGD와 VCR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정규화 계수(rv)가 -0.49 이상 -0.21 이하의 범위내에 있으면 좀더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6-52648호 공보에 개시된 편향요크의 정규화 계수(rv)는 -2.45이며,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자계의 배럴 변형이 부족하여, 제12도에 도시한 패턴의 HBG가 발생하기 쉽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평편향코일이 새들형 코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런 구성의 음극선관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편향코일 및 수평편향코일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은 토로이달형 코일이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편향코일에만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와 수평편향코일에만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수평편향코일 및 수평편향코일 양쪽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더욱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극선관장치에 의하면,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해 편향자계의 중간부 영역에 있어서의 변형을 제어하고, 또 컨버전스 코머를 보정하기 위해 편향자계의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변형을 제어함으로써 중간부 영역과 전자총쪽 영역에 있어서의 편향자계의 변형계수값을 설정하고 있으므로, 컨버전스 코머와 스크린면 코너부에 있어서의 그린 미스 컨버전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이나믹 컨버전스 조정이 용이해져서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음극선관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유리 패널과, 유리패널 후부에 접속된 유리패널을 가진 음극선관본체와,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에 배치된 전자총과,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 외주에 배치된 수평편향 코일과, 상기 수평편향 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과, 코어를 적어도 가지는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의, 코일의 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 변형계수(H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이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상기 전자총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 부근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H2a)를 가지며, 상기 입구면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과의 사이에서 플러스의 최대치(H2b)를 가지며, 마이너스의 최소치(H2a)의 절대치와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 편차를 나타내는 플러스 최대치(H2b)의 절대치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rh)(=(|H2b|-|H2a|)/|H2b|)가 -0.30이상 0.1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2. 유리 패널과, 상기 유리패널의 후부에 접속된 유리패널을 가진 음극선관본체와,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에 배치된 전자총과, 상기 음극선관본체의 후부 외주에 배치된 수평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과, 코어를 적어도 가지는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의, 코일의 중심축(z축)과 직각인 단면(x-y단면)의 편향방향 자속밀도변화의 곡률을 나타내는 2차 변형계수(V2)의 z축상 자계분포곡선이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상기 전자총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입구면 부근에서 플러스의 최대치(V2a)를 가지며, 상기 입구면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스크린쪽 플랜지부 위치에서 규정되는 출구면과의 사이에서 마이너스의 최소치(V2b)를 가지며, 플러스의 최대치(V2a)의 절대치와 마이너스 최소치(V2b)의 절대치 편차를 나타내는 마이너스 최소치(V2b)의 절대치에 의해 정규화된 계수(rv)(=(|V2b|-|V2a|)/|V2b|)가 -0.62 이상 -0.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장치.
KR1019960053384A 1996-08-28 1996-11-12 음극선관장치 KR1002163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14796A JP3361701B2 (ja) 1996-08-28 1996-08-28 陰極線管装置
JP96-227147 1996-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83A KR19980017983A (ko) 1998-06-05
KR100216395B1 true KR100216395B1 (ko) 1999-08-16

Family

ID=1685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384A KR100216395B1 (ko) 1996-08-28 1996-11-12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61701B2 (ko)
KR (1) KR100216395B1 (ko)
CN (1) CN1118852C (ko)
TW (1) TW340952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983A (ko) 1998-06-05
JP3361701B2 (ja) 2003-01-07
JPH1069863A (ja) 1998-03-10
TW340952B (en) 1998-09-21
CN1175077A (zh) 1998-03-04
CN1118852C (zh) 200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660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EP0788134B1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US4782264A (en) Color picture device including convergence correcting magnetic plates
US5408159A (en)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KR100216395B1 (ko) 음극선관장치
US5932959A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with deflection yoke
JP3390761B2 (ja) 偏向装置
JP2558642B2 (ja) 偏向ヨ−ク
US4933596A (en) Deflection yoke with compensation for misconvergence by the horizontal center raster
EP0438584B1 (en)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US4754189A (en)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with coma correction
KR100541588B1 (ko) 기하학적 형상과 컨버전스 모두가 개선된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US4723094A (en) Color picture device having magnetic pole pieces
JPS59191238A (ja) 偏向ヨ−ク
KR19990029672A (ko) 개선된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100338033B1 (ko) 슬릿보빈형편향요크의상하왜곡보정장치
KR100356962B1 (ko) 편향요크
KR100310648B1 (ko) 비디오표시장치
KR100361836B1 (ko) 편향요크
US20010040426A1 (en) Deflection yoke for Braun tube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CA2360564C (en)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JPS62113343A (ja) カラ−受像管
JPS5843857B2 (ja) インライン形カラ−受像管装置
JPH06231703A (ja) 偏向ヨ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