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384A -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 Google Patents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384A
KR20030060384A KR1020020001057A KR20020001057A KR20030060384A KR 20030060384 A KR20030060384 A KR 20030060384A KR 1020020001057 A KR1020020001057 A KR 1020020001057A KR 20020001057 A KR20020001057 A KR 20020001057A KR 20030060384 A KR20030060384 A KR 2003006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um albumin
timp
human serum
gen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1384B1 (ko
Inventor
김정윤
김민영
박은규
장재영
강현아
Original Assignee
리드바이오 (주)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드바이오 (주), 주식회사 안지오랩 filed Critical 리드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02-000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384B1/ko
Priority to PCT/KR2003/000015 priority patent/WO2003057884A1/en
Priority to AU2003202150A priority patent/AU2003202150A1/en
Publication of KR2003006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384A/ko
Priority to US10/888,887 priority patent/US716380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81Protease inhibitors
    • C07K14/8107Endopeptidase (E.C. 3.4.21-99) inhibitors
    • C07K14/8146Metalloprotease (E.C. 3.4.24) inhibitors, e.g. tissue inhibitor of metallo proteinase, TI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세포주 및 상기 세포로부터 제조된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은 형질전환주에서 안정적으로 발현 및 분비된다.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은 팀프-2의 활성을 유지하여 고형암의 성장 억제, 암세포의 전이 억제, 혈관신생 관련질병 치료 및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관련 질병 치료의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Description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EXPRESSION SYSTEM OF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ND RECOMBINANT HUMAN SERUM ALBUMIN- TIMP-2 PROTEIN}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 형질전환된 세포주 및 상기 세포로부터 제조된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혈관신생(Angiogenesis)과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질환에는 고형암의 성장과 전이(tumor growth and metastasis),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과 같은 안과 질환, 건선과 같은 피부과 질환 등이 있다.
혈관신생억제제의 주요한 표적 중의 하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 이하 "MMP"라고 함) 효소이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는 혈관신생 시에 필연적으로 진행되는 기저막(Extracellular Matrix; ECM)의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MMP-2와 MMP-9는 전이성 암세포에서 활성이 증가되는 효소로, 기저막의 주요골격을 이루고 있는 타입 IV 콜라겐을 특이적으로 붕괴시키고 암의 전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Garbisa 등,Cancer Res.47, 1523-1528, 1987; Ostrowski 등,Mol. Carcinogenesis1, 13-19, 1988; Liotta 등,Nature284, 67-68, 1980).
팀프(TIMP;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는 생체에 존재하고 있는 천연의 MMP 억제제로서, 현재까지 팀프-1, 2, 3, 4 등 네 가지 종류가 보고되었다. 팀프-2는 MMP-2의 잠복형(pro form) 및 활성형(active form)과 결합하고, 활성형의 모든 MMP를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팀프-2 단백질은 암세포의 전이(metastasis)와 혈관신생(angiogenesis)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로 추정되고 있다.
팀프-2가 유전자치료법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고형암의 성장과 암의 전이를 매우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Hajitou 등,Cancer Res.61, 3450-3457, 2001; Li 등,Human Gene Ther.12, 515-526, 2001; Sacco 등,Gene Ther.8, 67-70, 2001). 따라서, 팀프-2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면 팀프-2는 훌륭한 항암 및 혈관신생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팀프-2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현 시스템이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실험을 수행할 수 없었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는 고등생물과 유사한 유전자 전사 및 번역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스플라이싱(splicing)을 통한 인트론(intron)의 제거가 가능한 진핵세포이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는 고등동물과 유사한 분비기관을 갖추고 있어서 고등동물 유래의 단백질들을 활성화 된 형태로 세포 외로 분비시킬 수 있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는 유전학적,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 요구성 표지, 다수의 프로모터(promoter) 및 벡터 등 유전공학 연구에 필수적인 인자들이 잘 개발되어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 제빵 및 양조산업에서 이용되어 오면서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는 것(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ve)이 입증된 것도 이 균주가 숙주세포로서 각광 받게 된 이유중의 하나이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종류의 단백질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발현 및 분비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간 팀프-2 단백질의 경우에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에서는 매우 적은 양만이 세포 외로 분비된다.
전체 혈장 단백질의 60 %를 차지하는 인간 혈청 알부민(human serum albumin, HSA)은 58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일 사슬 비당화 폴리펩타이드로 분자량은 66.6 kDa 이다. 인간 혈청 알부민은 혈액 내에서 반감기가 최고 19일 정도가 되는 혈액에서 매우 안정한 단백질이다.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은 현재까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leep 등,Bio/Technol.80, 42-46, 1990; Kang 등,Appl. Microbiol. Biotechnol.53, 575-582, 2000)를 포함한 다양한 효모들에서 과량 발현, 분비된다는 보고가 있었다(Goodey AR,Trends Biotechnol.11, 430-433, 1993; Kang 등,Biotechnol. Bioeng.76, 175-186, 2001).
따라서, 발현이 미미한 팀프-2 단백질을 발현 및 분비 효율이 뛰어난 인간 혈청 단백질에 융합시킨다면 팀프-2 단백질을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를 비롯한 효모에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혈액 내에서 반감기가 긴 혈청 알부민을 특정 단백질에 융합했을 경우에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있기 때문에 (US patent 5,876,969, 1999), 팀프-2를 인간 혈청 알부민과 융합시킨다면 팀프-2 보다 생체내 안정성이 훨씬 좋은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팀프-2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형질전환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팀프-2 활성을 가지는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pHSATIMP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 배양물의 SDS-PAGE 사진 및 웨스턴 블럿 사진이고,
도 3은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분리정제한 사진이고,
도 4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MMP-2 효소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및
도 5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의 관형성 억제정도를 관찰한 사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를 포함하는 염기서열로부터 번역된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프로모터;
(b)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 및
(d) 전사종결인자;
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pHSATIMP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주,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KCTC 10131BP)인 것인 형질전환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형질전환주로부터 제조된 융합단백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팀프-2 단백질의 발현효율 및 발현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간 혈청 알부민을 팀프-2 단백질에 융합시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번호 3으로 기재하였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프로모터, 전사종결인자 및 선별인자를 포함하며, 목적 단백질의 세포외 분비신호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분비신호서열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종류의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의 인간 혈청 알부민 분비신호서열이다.
본 발명에서 일예로 제조한 벡터는 pHSATIMP이다. pHSATIMP는 하기 표 1 및 도 1의 구성을 가진다.
pHSATIMP
프로모터 GAL10프로모터 (서열번호 1)
분비신호 HSA 프리신호서열 (서열번호 2)
유전자 HSA-팀프-2 융합 유전자(서열번호 3)
전사종결신호 GAL7터미네이터 (서열번호 4)
영양요구성 표지(auxotrophic marker) URA3유전자
복제 원점(origin of replication) 2 ㎛
본 발명의 서열번호 3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세포에 도입하여 제조된 형질전환주를 제조하였다. 상기 세포는 효모 등을 비롯한 통상의 모든 세포가 바람직하다. 형질전환주의 일예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KCTC 10131BP)이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의 배양배지는 아미노산 결핍 효모 질소베이스 0.67 % 및 글루코스 2 %를 포함하는 최소배지이고, 목적 단백질 발현배지는 갈락토스를 포함하는 배지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효모추출물 1 %, 박토펩톤 2 %, 글루코스 1 % 및 갈락토스 2 %를 포함하는 발현배지에 2 일간 30 ℃로 배양하는 것이 좋다.
서열번호 3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주는 약 87.6 kDa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세포외 분비한다. 상기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가 융합된 형태이다. 형질전환주에서 발현 후 정제방법은 통상적인 이온교환컬럼법이며, 발현효율은 플라스크 배양 시 배양액 1 L당 약 30 내지 50 mg이다. 팀프-2는 그 자체만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서 거의 발현되지 않아 생산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서는 융합단백질 형태로 발현시켜 발현량을 50 내지 100 배 이상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모(S. cerevisiae)에서 발현이 거의 되지 않는 팀프-2를 팀프-2 활성을 유지하는 융합단백질의 형태로 변형해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융합단백질로 사용된 혈청 단백질은 혈액 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혈액으로 대량 투여되어도 부작용이 없어 의약적 사용가능성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MMP 활성을 저해(도 4)할 뿐만 아니라 혈관내피세포의 관형성을 억제한다.(도 5) 따라서, 본 발명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팀프-2 활성을 가지므로 MMP억제 및 혈관신생억제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바람직하게는 암세포의 전이억제제 또는 혈관신생과 연관된 질병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인간혈청 알부민이 융합되어 있어, 인체 내에서 더욱 안정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재조합 벡터의 제조
(1) pHSATIMP 벡터의 제조
GAL10프로모터-HSA프리신호서열-HSA유전자-팀프-2 유전자-GAL7터미네이터를 포함하는 pHSATIMP 벡터를 제조하였다.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HSA)는 pHSA 플라스미드(리드바이오(주))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5' 프라이머,EcoRI 부위 포함)와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3' 프라이머,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와 상보적인 15개의 염기 서열 포함)로 PCR 증폭하여 수득하였다.
팀프-2 유전자는 pMY2 플라스미드((주)안지오랩)를 주형으로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5'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3' 프라이머,HindⅢ 부위 포함)를 이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절편과 팀프-2 유전자절편은 인간혈청 알부민 유전자 서열의 3' 말단과 팀프-2 유전자의 5' 말단이 서로 상보적이다. 따라서, 서열번호 5의 프라이머와 서열번호 8을 프라이머로 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와 팀프-2 유전자가 in-frame으로 정확하게 연결된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PCR 산물은 양 말단에EcoRI과HindⅢ 절단부위를 가지고 있어, 동일한 제한효소 절단부위를 포함하는 pHSA 벡터에 클로닝하여 pHSATIMP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형질전환주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HSATIMP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에 리티움 아세테이트(lithium acetate) 방법(Ito 등,J. Bacteriol.153, 163-168, 1983)으로 형질도입하였다. 발현벡터가 세포 내로 들어갔는지는 영양요구성 선별 배지(SC-URA)에서 정상적으로 자라는 클론을 얻어 확인하였다.
pHSATIMP로 형질전환된 세포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로 명명하고, 2001년 12월 3일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10131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3: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의 발현
상기 형질전환주는 발현배지(효모 추출물 1%, 펩톤 2%, 글루코스 1%, 갈락토스 2%)에서 30 ℃로 2 일간 배양하였다. 배지내 갈락토스가GAL10프로모터의 작용을 유도하여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이 발현된다. 24 시간, 48 시간을 배양한 후 배양상등액 20 ul를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으로 분석하였다.
도 2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을 배양한 상등액을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롯한 사진이다. 레인 1은 분자량을 나타내는 마커이고, 레인 2는 대조군이고, 레인 3은 24시간 배양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 상등액이고, 레인 4는 48시간 배양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 상등액을 분석한 것이다. 레인 3과 4에서 87.6 kDa의 융합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정제
배양액으로부터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10,0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효모세포를 제거한 상등액을 얻었다. 상등액에 황산암모늄을 70 % 포화시켜 생성된 침전물을 15,000 x 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은 50 mM HEPES(pH 8.0) 완충용액에 녹이고, 투석한 후 불용성물질을 여과하였다. 상기 과정은 4 ℃에서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배양 농축액을 DEAE-sepharose(Pharmacia 제품) 컬럼에 주입하고, 50 mM HEPES(pH 8.0)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0.1-0.5 M NaCl을 이용하여 선상구배(linear gradient)로 용출시켰다.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은 0.24 M NaCl에서 용출되었으며 정제된 단백질의 순도를 SDS-PAGE로 분석하였다.
도 3의 순수분리한 재조합 융합단백질의 SDS-PAGE 사진으로, 87.6 kDa의 단백질이 분리되었다. 배양액에서 정제된 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의 수율은 배양액 1 L당 약 20 mg이며, 80 % 이상의 순도를 가진다.
실시예 5: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MMP 효소 억제활성 측정
실시예 4에서 정제한 재조합 융합 단백질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즈(MMP)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1) MMP 효소의 제조
MMP-2 cDNA(GENEBANK No. XM_048244)를 pBlueBac4.5 전이벡터(Invitrogen 사, Cat no. V1995-20)에 클로닝하고, 상기 클로닝 벡터를 벡-N-블루 트랜스펙션 키트(Bac-N-Blue Trnasfection Kit, Invitrogen 사, Cat no. K855-01)를 이용하여 Sf9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Sf21 세포는 10 % 태아소혈청(fetal bovine serum)이 있는 TNM-FH (Sigma, St.Louis, MO, U.S.A)배지에서 27 ℃, 배양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107cell/㎖의 농도가 되도록 배지에 재현탁(resuspension)시켰다. 현탁물에 클로닝 벡터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와 함께 상온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감염된 Sf21 세포는 72시간동안 키우고 배지를 수거하여 배지로부터 MMP-2를 젤라틴-세파로즈 친화성 컬럼(gelatin-sepharose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2) MMP 활성 억제 측정 실험
분광형광계(Spectrofluorometer, Perkin-Elmer LS50B)를 이용하여 MMP효소 활성 억제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MMP-2는 활성측정에 사용하기 전 1 mM APMA(p-아미노페닐 머큐릭 아세테이트)로 활성화시킨 후 사용하였다. MMP-2기질로는 Mca-Pro-Leu-Gly-Leu-Dap(Dnp)-Ala-Arg-NH2(서열번호 9), BACHEM사 제품 Cat.No. M-1895)를 사용하였다.
2 ㎖의 큐벳에 서열번호 9의 기질 10 uM을 포함하는 완충용액(50 mM Tricine(pH 7.5), 10 mM CaCl2, 200 mM NaCl) 2 ㎖, MMP-2 10 nM을 넣었다. 혼합물은 분광형광계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2분 간격으로 20분동안 형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으로 두었다.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은 280 nm, 방사파장(Emission wavelength)은 360 nm에서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기질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에 MMP-2 10 nM과 실시예 4의 재조합 융합단백질 7.5 ㎍/㎖ 또는 15 ㎍/㎖을 넣은 후, 분광형광계를 이용하여 시간 변화에 따른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조합 융합 단백질에 의한 MMP의 활성억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7.5 ㎍/㎖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MMP-2의 활성을 37% 억제하였으며, 15 ㎍/㎖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은 MMP-2의 활성을 55% 억제하였다.
실시예 6: 재조합 융합단백질의 혈관신생억제 활성측정
재조합 융합단백질의 혈관신생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의 제대혈관 내피세포에 의한 모세혈관과 같은 구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람의 제대혈관 내피세포인 HUVE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를 얻기 위하여 제왕절개수술로 얻은 신선한 사람의 탯줄에서 정맥의 내피세포를 분리한 후 혈관내피세포를 배양하였고, 배양한 세포는 Ⅷ 인자의 항체를 이용한 세포면역학적 염색으로 HUVE 세포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HUVE 세포를 젤화된 마트리젤(Matrigel, Collaborative Biomedical Products)상에서 37 ℃, 16 - 18시간 배양하였고, 상기 실시예 4의 재조합 융합단백질을 6.5 ㎍/㎖ 농도로 처리하여 관형성을 무처리군과 비교하였다.
도 5a는 마트리젤 상에서 배양한 혈관내피세포가 망상의 관구조를 형성한 것을 관찰한 것으로, 혈관형성의 한 과정인 망상의 관구조가 생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5b는 재조합 융합단백질을 6.5 ㎍/㎖농도로 처리하여 마트리젤 상에서 배양한 혈관내피세포를 관찰한 것으로, 망상의 관구조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트리젤상에서 형성된 튜브의 면적을 이미지 프로 플러스(Image-Pro Plus, Media Cybernetics사)로 분석하였을 경우 정제된 재조합 인간 팀프-2 단백질을 6.5 ㎍/㎖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관 형성 면적이 19 % 밖에 되지 않아 혈관신생을 81 % 억제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간 혈청 알부민과 융합된 팀프-2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확립하였고,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을 정제하여 상기 융합 단백질이 팀프-2 활성인 MMP효소를 억제하고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은 암세포의 전이억제 또는 과도한 혈관신생 및 MMP활성과 연관이 있는 질병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를 포함하는 뉴클레오타이드.
  2.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를 포함하는 염기서열로부터 번역된 폴리펩타이드.
  3. (a) 프로모터;
    (b) 서열번호 3의 인간 혈청 알부민 유전자 및 팀프-2 유전자; 및
    (d) 전사종결인자;
    를 포함하는 벡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세포외 분비신호를 추가로 포함하는 벡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신호는 서열번호 2의 인간 혈청 알부민 프리서열(pre sequence)인 것인 벡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pHSATIMP인 벡터.
  7.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벡터가 도입된 형질전환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주는 효모인 형질전환주.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형질전환주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Y2805/pHSATIMP(KCTC 10131BP)인 형질전환주.
KR10-2002-0001057A 2002-01-08 2002-01-08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KR10044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057A KR100441384B1 (ko) 2002-01-08 2002-01-08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PCT/KR2003/000015 WO2003057884A1 (en) 2002-01-08 2003-01-06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U2003202150A AU2003202150A1 (en) 2002-01-08 2003-01-06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US10/888,887 US7163805B2 (en) 2002-01-08 2004-07-08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 polynucleotide enco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human serum albumin-TIMP2 fusion prot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057A KR100441384B1 (ko) 2002-01-08 2002-01-08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384A true KR20030060384A (ko) 2003-07-16
KR100441384B1 KR100441384B1 (ko) 2004-07-21

Family

ID=1971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057A KR100441384B1 (ko) 2002-01-08 2002-01-08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63805B2 (ko)
KR (1) KR100441384B1 (ko)
AU (1) AU2003202150A1 (ko)
WO (1) WO2003057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53A2 (ko) * 2009-03-05 2010-09-10 주식회사 바이오큐어팜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과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58B1 (ko) 2002-06-29 2005-06-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앱신 유전자 결손 변이주 및 이를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방법
WO2007048102A2 (en) * 2005-10-18 2007-04-26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gio-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human timp-2
CN113855804A (zh) 2015-06-15 2021-12-31 小利兰·斯坦福大学托管委员会 用于治疗衰老相关病症的方法和组合物
CN113105557A (zh) * 2021-04-01 2021-07-13 芜湖英特菲尔生物制品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酿酒酵母表达人rVEGF-HSA融合蛋白及其标准品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9991B2 (fr) * 1988-08-05 1994-03-04 Rhone Poulenc Sante Utilisation de derives stables du plasmide pkd1 pour l'expression et la secretion de proteines heterologues dans les levures du genre kluyveromyces
DE69033982T2 (de) * 1989-03-21 2002-10-24 Us Health Matrizenmetalloproteinase-inhibitor-peptide
FR2686899B1 (fr) * 1992-01-31 1995-09-01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x polypeptides biologiquement actifs, leur prepara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KR0174254B1 (ko) * 1994-09-16 1999-02-01 김정재 전이억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5643752A (en) * 1996-01-18 1997-07-01 Incyte Pharmaceuticals, Inc.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KR100380044B1 (ko) * 2000-07-14 2003-04-16 (주) 벡터코어에이 단백질 분해효소의 조직 억제제-2 유전자를 포함하는레트로바이러스 벡터, 이 벡터를 포함하는 포장 세포주 및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020088841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안지오랩 인간 팀프-2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 재조합 인간 팀프-2단백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53A2 (ko) * 2009-03-05 2010-09-10 주식회사 바이오큐어팜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과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101353A3 (ko) * 2009-03-05 2010-11-11 주식회사 바이오큐어팜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과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7884A1 (en) 2003-07-17
US20050048627A1 (en) 2005-03-03
US7163805B2 (en) 2007-01-16
AU2003202150A1 (en) 2003-07-24
KR100441384B1 (ko)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4579B2 (ja) ヒトウロキナーゼ
US5935815A (en) Process for micro biological production of proteins
JPH05103678A (ja) チモーゲン型ヒトプロテインcの発現のためのベクターおよび化合物
US20050124036A1 (en)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proteins in micro-organisms
JP3191111B2 (ja) (前駆体)タンパクのエンドタンパク分解的プロセシングのための方法
JP2916228B2 (ja) 遺伝子操作した組み換えアプロチニン変異型、均質に処理されたアプロチニン変異型の微生物調製の方法およびその治療学的使用
JPH0673456B2 (ja) ヒト・膵臓エラスタ−ゼ▲i▼
KR100441384B1 (ko)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발현시스템 및재조합 인간 혈청 알부민-팀프-2 융합 단백질
US5015574A (en) DNA sequence involved in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ecretion, expression-secretion vector including the DNA sequence and the method of producing proteins by using the expression-secretion vector
JP3550409B2 (ja) ジクチオステリウムのジペプチジルアミノペプチダーゼ
EP0198645A1 (en) Human pancreatic elastase
JP2001046078A (ja) タンパク質の高発現システム
JPH01501996A (ja) 脱―表皮細胞成長因子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
US5212068A (en) Human pancreatic elastase
JPH04229188A (ja) 融合タンパク質の試験管内プロセシング
RU2247777C2 (ru) Модифицированный активатор плазминогена урокиназного типа,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ь днк, рекомбинантная плазмида, штамм-продуцен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активатора плазминогена урокиназного тип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тромболитическим действием
LATCHINIAN‐SADEK et al. Secre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soluble form of the yeast KEX1‐encoded protein from insect‐cell cultures
JPH0898693A (ja) 組換え人マトリライシンの製造方法
JP2000504941A (ja) トロンビンによって活性化され得るプラスミノーゲンアクチベーター
AU619803B2 (en) Rearranged tissue plasminogen activa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S62289199A (ja) ヒトプロテインs
JPH0675508B2 (ja) ヒト・膵臓エラスタ−ゼ▲iii▼a
NO311895B1 (no) Anvendelse av furin eller furinlignende enzym for spalting av et protein, fremgangsmåte for mikrobiologisk fremstilling av etprotein og pattedyrcelle som omfatter DNA som koder for enzymet
CZ287994B6 (cs) Plazmidy, způsob jejich výroby a jejich použití pro získávání aktivátoru plazminogenu
JPH06253837A (ja) ヒト・膵臓エラスターゼii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