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896A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896A
KR20030057896A KR1020010087999A KR20010087999A KR20030057896A KR 20030057896 A KR20030057896 A KR 20030057896A KR 1020010087999 A KR1020010087999 A KR 1020010087999A KR 20010087999 A KR20010087999 A KR 20010087999A KR 20030057896 A KR20030057896 A KR 2003005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ine
cell
peripheral circuit
lay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8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7896A/ko
Publication of KR2003005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8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split gate-type flash EEPROM)을 제조함에 있어, 셀 지역에는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가 적층된 적층 게이트 구조가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가 형성된 상태에서 워드 라인용 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하고, 한번의 마스크 작업으로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 각각에 워드 라인용 폴리실리콘층 패턴을 형성하고, 티타늄 셀리사이드 공정으로 워드 라인용 폴리실리콘층 패턴을 티타늄 셀리사이드층이 되게 하므로, 셀 지역의 게이트와 주변회로 지역의 게이트 사이의 단차(topology) 차이로 인하여 셀 게이트에 발생하는 언더-컷(under-cu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split gate-type flash EEPROM)을 제조함에 있어, 셀 지역의 게이트와 주변회로 지역의 게이트 사이의 단차(topology) 차이로 인하여 셀 게이트에 발생하는 언더-컷(under-cu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 소자인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은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 각각에 워드 라인(word line)을 구성할 때 폴리실리콘층/텅스텐실리사이드층(WSiX)/Arc층(Anti Reflective Coating layer)이 적층된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워드 라인 형성전의 셀 지역은 터널 산화막, 제 1 폴리실리콘층(플로팅 게이트), 유전체막, 제 2 폴리실리콘층(컨트롤 게이트) 및 폴리간 산화막(Inter Poly Oxide film)이 적층된 적층형 게이트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주변회로 지역은 고전압 소자(high voltage device) 및 저전압 소자(low voltage device)와 같은 주변회로의 게이트 산화막 만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워드 라인을 형성할 당시의 셀 지역과 주변회로 지역의 서브-토폴러지(sub-topology)는 서로 다른 상태이다. 즉, 셀 지역은 높은 단차를 가지고 있고, 주변회로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셀 지역의 워드 라인과 주변회로 지역의 워드 라인을 다르게 구성시켜주어야 한다.
도 1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레이아웃이다.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 레이아웃은 고립형태의 소자 분리 영역(10)과; 소자 분리 영역(10)에 일부 중첩되며, 고립 형태의 플로팅 게이트 영역(20)과; 플로팅 게이트 영역(20)에 중첩되며,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컨트롤 게이트 라인 영역(30)과; 플로팅 게이트 영역(20)에 중첩되며, 컨트롤 게이트 라인 영역(30) 상부를 가로지르며,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워드 라인 영역(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은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 영역(50)이고, B-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셀 영역(60)이다. 이 레이아웃에는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셀 지역만이 나타나 있고, 고전압 소자 및 저전압 소자와 같은 주변회로가 형성되는 주변회로 지역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셀 단면도와 주변회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셀 지역의 반도체 기판(11)에는 터널 산화막(12), 제 1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플로팅 게이트(13), 유전체막(14), 제 2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컨트롤 게이트(15) 및 폴리간 산화막(Inter Poly Oxide film; 16)이 적층된 적층형 게이트 구조가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형성되고, 적층형 게이트 구조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17)가 형성된다. 절연막 스페이서(17) 형성 공정까지 진행되는 동안 주변회로 지역의 반도체 기판(11)에 고전압 소자(high voltage device) 및 저전압 소자(low voltage device)와 같은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체 구조상부에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법으로 제 3 폴리실리콘층(1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터널 산화막(12) 형성 공정부터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18) 형성 공정까지는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진행되며, 그 이전의 공정 또한일반적인 공정에 준하기 때문에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3 폴리실리콘층(19)에 불순물 이온을 도핑(doping) 시킨다.
도 2c를 참조하면, 도핑된 제 3 폴리실리콘층(19) 상에 텅스텐 실리사이드층(21)을 형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텅스텐 실리사이드층(21) 상에 셀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형성한 후, 이를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셀 지역의 텅스텐 실리사이드층(21) 및 제 3 폴리실리콘층(19)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셀 워드 라인(219C)을 형성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셀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22)을 제거한 후,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을 포함한 전체구조상에 Arc층(23)을 형성한다. Arc층(23) 상에 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24)을 형성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24)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주변회로 지역의 텅스텐 실리사이드층(21) 및 제 3 폴리실리콘층(19)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주변회로 워드 라인(219P)을 형성한다.
주변회로 워드 라인(219P)까지 형성한 이후의 공정은 일반적인 공정에 준하여 진행된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359) 단면도로서,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359)는 주변회로 워드 라인(219P)을 형성하는 공정까지 진행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13), 제 2 폴리실리콘층(15), 제3 폴리실리콘층(19) 및 텅스텐 실리사이드층(21)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종래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에서는 셀 지역과 주변회로 지역의 단차 차이로 인하여 셀 워드 라인과 주변회로 워드 라인을 각기 다른 공정에 의해 형성하였다. 이러한 공정을 적용하여 셀 워드 라인과 주변회로 워드 라인을 형성함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3 폴리실리콘층과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을 동시에 식각하려다 보니 최대한 식각 비(etch rate)를 같이 맞추려고 SF6가스를 더 많이 쓰게 된다. 하지만 두 물질의 식각 비 차이로 인하여 수직 형상(vertical profile)을 얻을 수 없고, 이로 인한 브릿지(bridge) 현상을 우려하여 스트링거 제거 단계(stringer remove step)를 갖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셀 게이트에 언더-컷(under-cut)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둘째, 셀 에서 워드 라인 지연(word line delay) 현상을 줄이고자 셀 소오스 콘택 지역에 2개씩 만들어 놓은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 구성시 언더-컷 현상을 감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당(per side) 0.1㎛씩 사이즈(size)를 크게 정의(define)하므로, 결국 셀 사이즈(cell size)가 커질 수 밖에 없다(소오스 콘택 당 0.2㎛ 사이즈가 커짐).
셋째, 제 3 폴리실리콘층 상에 형성된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은 반사 지수(reflective index; R.I.) 값이 127 정도로 커서 마스크 작업시 난반사로 인하여 정확한 패턴 형성이 어렵고, 식각 시에는 노칭(notching)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려고 Arc층을 사용하여 R.I. 값을 50 내지 60 정도로 낮추어 주어야 하는데, Arc층 형성 및 식각 과정에서 파티클(particle)이 발생하여 소자의 수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을 제조함에 있어, 셀 지역의 게이트와 주변회로 지역의 게이트 사이의 단차 차이로 인하여 셀 게이트에 발생하는 언더-컷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쉬 이이피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셀 지역에는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가 적층된 적층형 게이트 구조가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셀 지역 및 상기 주변회로 지역 전체 구조 상부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폴리실리콘층 상에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셀 지역에는 셀 워드 라인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티타늄셀리사이드 공정으로 상기 셀 워드 라인 패턴 및 상기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의 폴리실리콘층을 티타늄 실리사이드층으로 만들어 셀 워드 라인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레이아웃.
도 2a 내지 도 2f는 종래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셀 및 주변회로 소자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셀 및 주변회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자 분리 영역20: 플로팅 게이트 영역
30: 컨트롤 게이트 라인 영역40: 워드 라인 영역
50: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 영역60: 셀 영역
11, 41: 반도체 기판(11)12, 42: 터널 산화막
13, 43: 플로팅 게이트14, 44: 유전체막
15, 45: 컨트롤 게이트16, 46: 폴리간 산화막
17, 47: 절연막 스페이서18, 48: 게이트 산화막
19, 49: 제 3 폴리실리콘층21: 텅스텐 실리사이드층
22: 셀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23: Arc층
24: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49C: 셀 워드 라인 패턴
49P: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50: 티타늄층
219C, 495C: 셀 워드 라인
219P, 495P: 주변회로 워드 라인
359: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400: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
495: 티타늄 실리사이드층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레이아웃이다.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 레이아웃은 고립형태의 소자 분리 영역(10)과; 소자 분리 영역(10)에 일부 중첩되며, 고립 형태의 플로팅 게이트 영역(20)과; 플로팅 게이트 영역(20)에 중첩되며,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컨트롤 게이트 라인 영역(30)과; 플로팅 게이트 영역(20)에 중첩되며, 컨트롤 게이트 라인 영역(30) 상부를 가로지르며,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워드 라인 영역(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은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 영역(50)이고, B-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은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셀 영역(60)이다. 이 레이아웃에는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셀 지역만이 나타나 있고, 고전압 소자 및 저전압 소자와 같은 주변회로가 형성되는 주변회로 지역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이이피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셀 단면도와 주변회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셀 지역의 반도체 기판(41)에는 터널 산화막(42), 제 1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플로팅 게이트(43), 유전체막(44), 제 2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컨트롤 게이트(45) 및 폴리간 산화막(Inter Poly Oxide film; 46)이 적층된 적층형 게이트 구조가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형성되고, 적층형 게이트 구조의 측벽에 절연막 스페이서(47)가 형성된다. 절연막 스페이서(47) 형성 공정까지 진행되는 동안 주변회로 지역의 반도체 기판(41)에 고전압 소자(high voltage device) 및 저전압 소자(low voltage device)와 같은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48)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체 구조상부에 저압 화학기상증착(LPCVD)법으로 제 3 폴리실리콘층(49)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터널 산화막(42) 형성 공정부터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48) 형성 공정까지는 일반적인 공정에 따라 진행되며, 그 이전의 공정 또한 일반적인 공정에 준하기 때문에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3 폴리실리콘층(49)에 불순물 이온을 도핑(doping) 시킨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 3 폴리실리콘층(49) 상에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400)을 형성한다.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400)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의 제 3 폴리실리콘층(49)의 일부분을 식각하여, 셀 지역에는 셀 워드 라인 패턴(49C)이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3 폴리실리콘층(49)을 식각하기 위한 주 식각 가스는 Cl2가스를 사용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400)을 제거한 후, 셀 워드 라인 패턴(49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티타늄층(50)을 형성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어닐링(annealing) 공정으로 셀 워드 라인 패턴(49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을 이루는 제 3 폴리실리콘층의 실리콘(Si)과 티타늄층(50)의 티타늄(Ti)을 반응시켜 티타늄 실리사이드층(TiSiXlayer; 495)을 형성하고, 이외의 지역에는 미반응된 티타늄층(50)이 남게된다.
도 4f를 참조하면, 미반응된 티타늄층(50)을 제거하고, 이로 인하여 셀 지역에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층(495)으로 된 셀 워드 라인(495C)이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층(495)으로 된 주변회로 워드 라인(495P)이 형성된다. 셀 워드 라인(495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495P)까지 형성한 이후의 공정은 일반적인 공정에 준하여 진행된다.
상기에서, 미반응된 티타늄층(5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DI : H2O2: NH4OH = 5 : 1 : 1로 혼합된 식각 용액을 사용한 웨트 딥 공정(wet dip process)을 진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패턴(400)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의 제 3 폴리실리콘층(49)만 패터닝하여 셀 지역에는 셀 워드 라인 패턴(49C)이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폴리실리콘층 및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된 종래 워드 라인 식각 방법과는 달리 SF6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주 식각 가스로 Cl2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주 식각 가스로 Cl2가스를 사용하여 제 3 폴리실리콘층(49)만 패터닝하면 되기 때문에 수직 형상(vertical profile)의 셀 워드 라인 패턴(49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을 얻을 수 있고, 언더-컷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번의 마스크 작업으로 워드 라인 패턴들(49C 및 49P)을 형성할 수 있어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공정 단계를 줄이고 원가도 절감할 수 있다. 제 3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셀 워드 라인 패턴(49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49P)을 티타늄 셀리사이드(Ti Salicide) 공정을 통해 반사 지수 값이 25정도인 티타늄 실리사이드층(50)으로 된 셀 워드 라인(495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495P)을 형성시키므로, Arc층을 별도의 공정을 통해 형성시킬 필요가 없게되어 Arc층 형성 및 식각 과정에서 제기되던 파티클(particle) 문제가 해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티타늄 실리사이드층(495)으로 된 셀 워드 라인(495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495P)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4a 내지 도 4c의 공정을 실시하여 셀 워드 라인 패턴(49C)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패턴(49P)을 형성하고, 이들 워드 라인 패턴(49C 및 49P)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도 4c에서 사용된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400)을 식각 마스크로 다시 사용한 식각 공정으로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을 패터닝하여 종래 구조와 같이 제 3 폴리실리콘층과 텅스텐 실리사이드층이 적층된 셀 워드 라인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할 경우 텅스텐 실리사이드층만 최종적으로 패터닝하면 되기 때문에 폴리실리콘층으로 된 하부층의 식각 손상이 줄어들어 언더 컷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형성되는 워드 라인은 티타늄 실리사이드층을 워드 라인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보다 다소 워드 라인 동작 속도가 떨어지지만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의 제 3 폴리실리콘층만 패터닝하여 셀 지역 및 주변회로 지역 각각에 워드 라인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므로 언더-컷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형상의 워드 라인을 얻을 수 있고, 셀 에서 워드 라인 지연(word line delay) 현상을 줄이고자 셀 소오스 콘택 지역에 2개씩 만들어 놓은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 구성시 언더-컷 현상을 감안하지 않아도 되어 사이드 당(per side) 0.1㎛씩 소오스 블록 트랜지스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결국 칩 사이즈(chip size)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워드 라인으로 사용되어 오던 제 3 폴리실리콘층/텅스텐 실리사이드층/Arc층 적층 구조를 제 3 폴리실리콘층/티타늄 실리사이드층 적층 구조나 티타늄 실리사이드층 단층 구조로 대치하므로, 스택 게이트 사이드 월(stack gate side wall) 만큼 커플링 비(coupling ratio)가 증가하여 워드 라인 저항을 줄여 소자의 동작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티타늄 실리사이드층을 사용하면서 반사 지수 값을 줄일 수 있게되어 따로 Arc층을 증착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하여 Arc층 증착 후 파티클 소오스로 수율을 감소시켰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어 공정 수 감소 및 소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셀 지역에는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가 적층된 적층형 게이트 구조가 형성되고,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셀 지역 및 상기 주변회로 지역 전체 구조 상부에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폴리실리콘층 상에 셀/주변회로 워드 라인용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한 식각 공정으로 상기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셀 지역에는 셀 워드 라인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주변회로 지역에는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티타늄 셀리사이드 공정으로 상기 셀 워드 라인 패턴 및 상기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의 폴리실리콘층을 티타늄 실리사이드층으로 만들어 셀 워드 라인 및 주변회로 워드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층은 Cl2가스를 주 식각 가스로 사용하여 패터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셀리사이드 공정은,
    상기 셀 워드 라인 패턴 및 상기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을 포함한 전체 구조상에 티타늄층을 형성하는 단계;
    어닐링 공정으로 상기 셀 워드 라인 패턴 및 상기 주변회로 워드 라인 패턴을 티타늄 실리사이드층이 되게 하는 단계; 및
    미반응된 티타늄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된 티타늄층은 DI : H2O2: NH4OH = 5 : 1 : 1로 혼합된 식각 용액을 사용한 웨트 딥 공정(wet dip process)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10087999A 2001-12-29 2001-12-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57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99A KR20030057896A (ko) 2001-12-29 2001-12-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999A KR20030057896A (ko) 2001-12-29 2001-12-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896A true KR20030057896A (ko) 2003-07-07

Family

ID=3221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999A KR20030057896A (ko) 2001-12-29 2001-12-29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78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2304B2 (en) 2009-12-16 2013-04-16 Dongbu Hitek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CN113192824A (zh) * 2021-04-27 2021-07-3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分栅式快闪存储器的掩膜版及制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2304B2 (en) 2009-12-16 2013-04-16 Dongbu Hitek Co., Ltd.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CN113192824A (zh) * 2021-04-27 2021-07-30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分栅式快闪存储器的掩膜版及制造方法
CN113192824B (zh) * 2021-04-27 2023-11-24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分栅式快闪存储器的掩膜版及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815A (en) Method of fabricating next-to-minimum-size transistor gate using mask-edge gate definition technique
US6846716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281182B1 (ko) 반도체 장치의 자기 정렬 콘택 형성 방법
WO2003015132A2 (en) Dual layer hard mask for edram gate etch process
KR20030057896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2742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80894B1 (ko) 복합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367501B1 (ko) 반도체소자의자기정렬적인콘택형성방법
KR20020001247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20050156229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73408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70001590A (ko) 반도체 소자의 리세스 게이트 형성방법
KR10036832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5804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75032B1 (ko) 반도체소자의콘택홀형성방법
KR100314731B1 (ko) 멀티비트플래쉬메모리장치의제조방법
KR100376270B1 (ko) 스플리트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0166029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14738B1 (ko) 반도체소자의게이트전극형성방법
KR100547241B1 (ko) 듀얼 게이트 유전체를 갖는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20010084778A (ko) 알루미늄 산화막이 게이트 절연막에 포함된 집적 회로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653484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20019288A (ko) 반도체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KR19980068053A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2003008679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