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090A -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090A
KR20030055090A KR1020020048890A KR20020048890A KR20030055090A KR 20030055090 A KR20030055090 A KR 20030055090A KR 1020020048890 A KR1020020048890 A KR 1020020048890A KR 20020048890 A KR20020048890 A KR 20020048890A KR 20030055090 A KR20030055090 A KR 2003005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phase
container
connection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네유이치로
츠치야겐지
다니구치요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5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0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6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gas-insul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2Layouts for duplicate bus-ba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에서는 모선상을 교체할 때에 모선을 연장하는 다른 유닛을 설치하고, 이 연장 유닛 중에서 모선상의 교체를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연장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가스절연개폐장치 전체의 Bay 간격이 커져 설치면적이 증대하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모선의 상교체부를 모선을 연장하는 다른 유닛을 설치하지 않고 종래의 Bay 간격내의 동일한 모선 탱크내에 설치하여, 다른 Bay의 차단기부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다.
연장 유닛을 사용하는 일 없이, 또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 전체의 설치면적과 동일하게 모선상을 교체하는 구성을 실현하였다.

Description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BUS BAR CONTAINER AND GAS INSULATED SWITCH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탱크내에 SF6등의 절연소호성이 높은 가스와 함께 3상 일괄하여 수납되어 형성하는 것에 적합한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선용기를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이하, GIS 라 함)는, 예를 들면 변전소 내에서 3상 고전압전원과 기체중 송전선 사이에 배치되어, 벼락 서지 등의 이상전압을 검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것으로, 3상 고전압전원으로부터 수전하는 부싱, 이 부싱으로부터 가스절연차단기(이하, GCB 라 함)로 배전하기 위하여 가스절연되어 있는 3상 일괄모선 도체를 수납하고 있는 모선용기 등으로부터 개략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부싱으로부터 모선용기내에 도체를 배선할 때나 모선용기로부터 GCB에 도체를 배선할 때에는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에 있는 3상 모선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접속할 때에는 연구가 필요하다.
종래의 GIS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69581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상 일괄의 모선이 수납되어 있는 모선용기 사이에 다른 유닛의 상배치 변환부를 설치하고, 이 다른 유닛내의 배치변환부에서 모선의 상을 교체시켜 모선끼리를 접속함으로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상을 교체할 때에 다른 유닛을 설치하여 모선상을 교체하고 있었기 때문에, GIS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고, 나아가서는 GIS 전체의 총면적이 커져 설치면적의 증대로 이어져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일괄의 모선도체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더라도,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총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설치면적의 증대로 이어지지 않는 콤팩트한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모선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모선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모선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모선용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00, 102, 200, 202, 203, 300 : 주모선용기
152, 154, 156, 181, 182, 183 : 주모선도체
611, 612, 613, 631, 632, 634 : 차단기 유닛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 5, 6 및 10에 기재된 모선용기, 청구항 11, 12, 13 및 14에 기재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GIS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GIS는 제 1의 3상 일괄모선이 수납된 주모선용기(102, 202, 203)와, 제 2의 3상 일괄모선이 수납된 주모선용기(100, 200, 30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용기에는 SF6가스가 절연을 확보하기 위하여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2의 3상 일괄모선의 각 상모선은, 뒤에서 설명하는 No.1의 Bay, No.2의 Bay, No.3의 Bay에 각각 설치된 차단기 유닛과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 제 2의 3상 일괄모선의 각 상모선은 차단기 유닛과 함께 No.1의 Bay 내지 No.3의 Bay 별로 No.1 내지 No.3의 Bay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No.1의 Bay 유닛은 주모선용기(102)에 수납된 제 1 내지 제 3 모선과, 주모선용기(100)에 수납된 제 1 내지 제 3 모선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모선은 각각 차단기 유닛(611, 612, 613)에 수납된 가스차단기에 의해 각 상별로 케이블 헤드와 접속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No.2의 Bay 유닛에 있어서는, 차단기 유닛(631, 632, 634)으로 제 1 주모선용기에 수납된 제 1 내지 제 3의 3상모선은 제 2 주모선용기에 수납된 제 1 내지 제 3의 3상모선과 접속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No.3의 Bay 유닛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주모선용기에 수납된 제 1 내지 제 3의 3상모선은 차단기 유닛(641, 642, 643)에 수납된 가스 차단기에 의해 각 상별로 케이블 헤드와 접속되어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Bay 유닛이 구비하고 있는 제 1, 제 2의 3상 일괄모선이 수납된 주모선용기(100, 102)에는 필요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제 2 Bay 유닛과는 반대측에 도시 생략한 다른 Bay 유닛이 접속되고, 또 마찬가지로 제 3 Bay 유닛이 구비되어 있는 제 1, 제 2의 3상 일괄모선이 수납된 주모선용기(300, 302)에는 제 2 Bay 유닛과는 반대측에 도시 생략한 다른 Bay 유닛이 접속되어 GIS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제 1 Bay 유닛의 A-A'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장치의 설치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본 것으로, 1상분의 SF6의 가스가 수납된 차단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Bay 유닛은 제 1, 또는 제 2의 3상 일괄모선을 차단기 유닛(611, 612, 613)에 수납된 가스 차단기를 거쳐 각각 케이블 헤드(601, 602,603)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제 1의 Bay 유닛에 있어서는, 아래쪽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차단기 유닛(611)이 설치되고, 차단기 유닛(611)의 가동접촉자를 구동하는 조작기(106)가 차단기 유닛(611)의 오른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611)의 상부에는 계기용 변류기 유닛(108) 및 모선접속도체(112)가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112)와 차단기 유닛(611)에 접속되어 있는 도체는 튜립 컨덕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112)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방향은 절연스페이서(110a, 110b)로 지지 고정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112)의 상부에는 접지장치(114)가 플랜지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112)를 지지 고정하고 있는 절연스페이서(110a, 110b)의 반대측에는 주모선 단로기 유닛(652, 662)이 설치되어 있다. 주모선용기(100, 102)에는 각각 분리 가능한 지지기둥(110, 112)이 설치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 유닛(611) 등의 사고시에 차단기 유닛(611)을 분리할 때에도 주모선용기(100, 102), 주모선 단로기 유닛(652a, 652b)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일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주모선용기(100, 102)는 3상 일괄구성으로 되어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주모선용기(100) 내에는 주모선도체(152, 154, 156)가 정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주모선용기(102) 내에도 마찬가지로 주모선도체(181, 182, 183)가 정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모선용기(100, 102)로부터는 각 상마다의 주모선도체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차단기 유닛(611)의 왼쪽에는 계기용 변류기 유닛(120)이 플랜지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계기용 변류기 유닛(120)에는 절연스페이서(122)를 거쳐 세로형의 선로측의 단로기 유닛(124)이 설치되어 있다. 접지장치(114), 계기용 변류기 유닛(108), 차단기 유닛(611), 계기용 변류기 유닛(120)은 절연스페이서(110a, 110b, 122)에 의해 구획된 가스구획내에 배치되어 있고, SF6가스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차단부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진 위치에 절연스페이서(122)를 설치할 수 있어, 차단기 유닛(611)의 사고전류 차단시에 차단부가 절연스페이서에 미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차단부의 가스량이 증가하여차단성능이 향상한다. 선로측의 단로기 유닛(124)에는 접지장치(126)가 설치되어 있다. 단로기 유닛(124) 내에는 단로부를 구성하는 고정전극과 가동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또 선로측의 단로기 유닛(124)의 좌측에 절연스페이서(128)를 거쳐 계기용 변압기 유닛(601)이 도체를 거쳐 윗쪽에 접속되고, 아래쪽측으로 연장된 도체는 케이블 헤드(132)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제 2 Bay 유닛의 B-B' 단면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장치의 설치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본 것으로, 1상분의 SF6의 가스가 수납된 차단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Bay 유닛은 제 1, 제 2의 3상 일괄모선을 가스차단기를 거쳐 접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래쪽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차단기 유닛(631)이 설치되어, 차단기 유닛(631)의 가동 접촉자를 구동하는 조작기(106)가 차단기유닛(631)의 오른쪽측에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 유닛(631)의 상부에는 계기용 변류기 유닛(108) 및 플랜지를 거쳐 모선접속도체(404)가 설치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404)와 차단기 유닛(631)에 접속되어 있는 도체는 튜립 컨덕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선접속도체(4O4)의 오른쪽 방향은 절연 스페이서(206)를 거쳐 주모선(20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주모선(202)에는 분리 가능한 지지기둥(208)이 설치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 유닛(631)을 분리할 때에도이 지지기둥(208)으로 주모선(202)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절연스페이서 (206)를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스페이서(206) 면에 금속이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연상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차단기 유닛(631)의 왼쪽에는 절연 스페이서(122)를 거쳐 세로형의 단로기가 배치되어 있는 단로기 유닛(124)이 설치되고, 접속도체(621)를 거쳐 주모선용기 (200)와 접속되어 있다. 주모선용기(200)의 접속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는 접속도체는 절연 스페이서(212)를 거쳐 접속도체(621)와 접속되어 있다. 주모선용기(200, 202)는 동일한 수평면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모선용기(200)의 접속구와 주모선용기(202)의 접속구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주모선용기 (200)에는 분리 가능한 지지기둥(210)이 설치되어 있고, 차단기 유닛(631)을 분리할 때에도 주모선용기(200)를 이 지지기둥(210)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C-C' 단면으로, 주모선용기(100)와 주모선용기(200)가 절연스페이서(170)를 거쳐 직선형상으로 접속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접지된 주모선용기(100)내에는 3상의 주모선도체(152,154,156)가 일괄하여SF6가스와 함께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주모선도체 (152, 154, 156)는 한쪽 끝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절연스페이서(161)에 고정되고, 또한 주모선용기(1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도체 (152, 154, 156)를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주모선도체(152, 154, 1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스페이서(161)에 한쪽이 고정되어 있으나, 다른쪽 끝은 각 상마다 조립조정을 위하여 신축이음(162, 164, 166)을 가지고, 인접하는 주모선도체(152, 154, 156)를 고정하는 절연스페이서(170)에 설치된 집전자(172, 174, 176)에 의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주모선용기(1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도체(152, 154, 156)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이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주모선도체(152, 154, 156)는 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변의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주모선 단로기 유닛에 접속하기 위한 각 상마다의 접속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구는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고, 이 접속구에는 각 주모선도체(152, 154, 156)로부터 90°로 굽은 방향에 신축이음(182, 184, 186)이설치되어 있고, 이들 신축이음은 인접하는 주모선 단로기 유닛에 수납된 접속도체(652, 654, 656)를 고정하는 절연스페이서(312, 314, 316)에 설치된 집전자(192, 194, 19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상의 주모선 단로기 유닛의 접속도체(652, 654, 656)와 주모선도체(152, 154, 156)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 5는 도 4의 E-E'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이 주모선 단로기 유닛과 접속하는 측으로 되어 있다. 주모선(152)은 주모선용기의 중심축을 지나고 있는 수직면보다도 주모선 단로기 유닛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중심축을 지나 수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주모선(154)은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면보다 아래쪽에서, 중심축을 지나고 있는 수직면보다도 주모선 단로기 유닛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주모선(156)은 주모선(154)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모선용기(1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된 주모선(152, 154, 156)을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배치구성을 취하고 있다. 주모선(152)은 주모선(1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54)와 직선형상의 접속도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신축이음(184)과 집전자(194)를 거쳐 접속도체(652)와 접속되어 있다. 또 주모선(156)은 주모선(1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52)와 아래방향으로 신장한 접속도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신축이음(182)과 집전자(192)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주모선(154)은 주모선(1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56)와 위방향으로 신장한 접속도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신축이음(186)과 집전자(196)를 거쳐 접속도체(656)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모선용기(1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152, 154, 156)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이 한변을 주모선 단로기 유닛의 접속도체(652, 654, 656)의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서로의 주모선을 장해로 하지 않고, 주모선(152, 154, 156)과 접속도체(652, 654, 656)를 콤팩트하게 접속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주모선용기(200)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접지된 주모선용기(200)내에는 3상의 주모선도체(252, 254, 256)가 일괄하여 SF6가스와 함께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주모선도체 (252, 254, 256)는 한쪽 끝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절연 스페이서(170)에 고정되고, 또한 주모선용기(2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도체(252, 254, 256)를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주모선도체(252, 254, 256)는 상기 절연스페이서(170)에 한쪽이 고정되어 있으나, 다른쪽 끝은 각 상별로 조립조정을 위해 신축이음(262, 264, 266)을 가지고, 인접하는 주모선도체(252, 254, 256)를 고정하는 절연스페이서(270)에 설치된 집전자(272, 274, 276)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주모선용기(2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도체(252, 254, 256)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이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주모선도체(252, 254, 256)는 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변의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주모선 단로기 유닛에 접속하기 위한 각 상마다의 접속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구는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설치되고, 이 접속구에는 각 주모선도체(252, 254, 256)로부터 90°로 굽은 방향으로 신축이음(282, 284, 286)이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신축이음은, 인접하는 주모선 단로기 유닛에 수납된 접속도체(621, 622, 623)를 고정하는 절연스페이서(412, 414, 416)에 설치된 집전자(492, 494, 49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각 상의 주모선 단로기 유닛의 접속도체(621, 622, 623)와 주모선도체(252, 254, 256)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도 6은 도 4의 D-D'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오른쪽이 접속도체(621, 622, 623)와 접속하는 측으로 되어 있다. 주모선(252)은 주모선용기의 중심축을 지나고 있는 수직면보다도 접속도체(621, 622, 623)에 대하여 떨어진 위치에서, 또한 중심축을 지난 수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주모선(254)은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면보다 아래쪽에서 중심축을 지나고 있는 수직면보다도 접속도체(621, 622, 62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주모선(256)은 주모선(254)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모선용기(2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된 주모선(252, 254, 256)을 정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배치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주모선(252)은 주모선(2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22)와 직선형상의 접속도체(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신축이음(184)과 집전자(194)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또 주모선(256)은 주모선(2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23)와 아래방향으로 신장한 접속도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신축이음 (186)과 집전자(196)를 거쳐 접속되어 있고, 주모선(254)은 주모선(252)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접속도체(621)와 위방향으로 신장한 접속도체(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신축이음(182)과 집전자(196)를 거쳐 접속도체(621)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모선용기(200)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주모선(252, 254, 256)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이 한변을 주모선 단로기 유닛의 접속도체(621, 622, 623)의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서로의 주모선을 장해로 하지 않고, 주모선(252, 254, 256)과 접속도체(621, 622, 623)를 콤팩트하게 접속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도 7는 도 4에 나타낸 F-F' 단면으로부터 주모선용기(200)의 방향을 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주모선용기(200)에서는 주모선용기(300)측에서 주모선도체(252, 254, 256)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3상 모선을 주모선용기(100)측에서 이 삼각형형상의 한변의 반대측에 주모선도체(252, 254, 256)의 정점을 연결하는 삼각형형상의 한변이 향하도록 주모선도체(252, 254, 256)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인접하는 주모선용기(100)의 주모선도체(152, 154, 156)의 배치위치에 맞추어 연장되어 있는 상교체부(422, 424, 426)를 가지고, 이에 의하여 주모선용기(200)의 각 상의 접속구를 주모선용기(100)의 각 상의 접속구와 180° 반대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3상의 모선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상교체부(422, 424, 426)의 모선도체의 지름을 주모선용기(200)의 탱크로 하여, 병행한 위치에 있는 주모선도체(252, 254, 256)의 지름과 비교하여 가늘게 함으로써 3상의 모선간의 전기적인 절연거리를 확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스페이서는 그 한쪽이 주모선용기(100)측에 불룩해진 형상을 구비하여, 상교체부(422, 424, 426)를 이 절연스페이서(170)의 오목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교체부(422, 424, 426)와 가장 절연스페이서에 가까운 접속도체(621)까지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절연가스로서 SF6의 가스를 나타내었으나, 이 가스이외로도 다른 절연성가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기기의 절연성능을 확보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Bay의 길이의 주모선용기내에서 주모선의 삼각배치의 위치를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에 대하여 선 대상의 위치로 변환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주모선의 상교체의 유닛을 설치하지 않아도, 주모선 단로기 유닛과의 접속구의 방향을 180° 변화시키는 것을 실현하여, 가스절연개폐장치 전체의 주모선용기에 따른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지 않는 것은 물론, 설치면적을 되도록 콤팩트하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의하면, 3상마다의 가스차단기 유닛이 설치된 Bay의 간격에 있어서, 용기내의 3상 모선의 배치위치를 변환하는 것을 실현하여, 연장 유닛을 설치하지 않고 이웃하는 용기로 모선과의 접속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모선으로부터 접속도체를 인출하는 방향이 다른 가스 차단기 유닛을 인접하는 Bay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스절연개폐장치 전체의 전체길이, 또는 전체의 설치면적을 되도록 콤팩트하게 하는 것을실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3상 모선의 배치위치를 변환하더라도 주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전체의 길이, 또는 총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지 않고, 또한 절연성능 및 운전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콤팩트한 주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3상 일괄의 주모선이 수납되고, 또한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접속구를 가지는 복수의 모선용기를 직선형상으로 접속하고,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모선용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은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의 배치위치에 맞추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단부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모선용기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3상 모선을 상기 삼각형형상의 한변의 반대측에 삼각형형상의 3상 모선의 한변이 향하도록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모선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그 이외의 상기 모선의 도체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용기는 인접하는 모선용기와의 사이에서 각 모선을 지지하고, 한 쪽의 용기측에 불룩해진 형상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불룩해진 방향을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위치하는 쪽과는 반대측의 모선용기를 향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접속구까지의 사이에서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5.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하여 각 상의 모선의 배치위치가 다른 것을 직선형상으로 복수 접속하는 모선용기에 있어서,
    상기 모선용기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3상 모선과,
    상기 3상 모선을 탱크내에 지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3상 모선의 각 상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은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의 배치위치에 맞추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6.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하여 각 상의 모선의 배치위치가 다른 것을 직선형상으로 복수 접속하는 모선용기에 있어서,
    상기 모선용기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 1의 3상 모선과,
    상기 제 1의 3상 모선을 탱크내에 지지하는 제 1 스페이서와,
    상기 모선용기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제 2의 3상 모선과,
    상기 제 2의 3상의 모선을 탱크내에 지지하는 제 2 스페이서와,
    삼각형형상의 한변이 수평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3상 모선의 각 상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3상 모선은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제 2의 3상 모선의 배치위치에 맞추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스페이서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모선용기를 단면하였을 때에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선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형상을 이루고, 그 삼각형형상의 정점을 연결하는 한변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3상 모선을, 상기 삼각형형상의 한변의 반대측에 삼각형형상의 3상 모선의 한변이 향하도록 각 상의 접속모선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상 모선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그 이외의 상기 모선의 도체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하는 모선용기와의 사이에서 각 모선을 지지하고, 한 쪽의 용기측에 불룩해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스페이서의 불룩해진 방향을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모선용기를 향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접속구까지의 사이에서 각 상의 접속부 부근의 단부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10. 3상 일괄의 주모선이 수납되고, 또한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접속구를 가지는 복수의 모선용기를 직선상에 접속하고,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모선용기에 있어서,
    상기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은 접속부 부근의 단부에서 인접하는 모선용기내의 3상 모선의 배치에 맞추어 각 상의 모선배치가 변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선용기.
  11.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한 제 1, 제 2 모선용기와,
    상기 제 1, 제 2 모선용기에 설치되어, 각 상의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각각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을 가지고, 상기 접속도체의 각각과 접속되어 있는 차단기를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선용기는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모선용기의 상기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는 상기 모선용기의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된 동일방향의 접속도체는 도중에서 수평방향으로부터 바로 아래로 인출되어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12.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한 제 1, 제 2 모선용기와,
    상기 제 1, 제 2 모선용기에 설치되어, 각 상의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각각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을 가지고, 상기 접속도체의 각각과 접속되어 있는 차단기를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선용기는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모선용기의 상기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는 상기 모선용기의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된 동일한 방향의 접속도체는 도중에 수평방향으로부터 바로 아래로 인출되고, 또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차단기까지의 경로상에 단로기와 접지개폐기를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차단기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13.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한 제 1, 제 2 모선용기와,
    상기 제 1, 제 2 모선용기에 설치되어, 각 상의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각각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을 가지고, 상기 접속도체의 각각과 접속되어 있는 차단기를 구비한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는 각 상별로 가로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선용기는 직선적으로 연속하여 접속되고,
    또한 각각의 모선용기의 상기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3개의 접속구는 상기 모선용기의 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반대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접속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인출된 동일방향의 접속도체는 도중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바로 아래로 인출된 후에 상기 차단기와 접속하고, 또한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차단기까지의 경로상에 단로기와 접지개폐기를 구비하여 전기적으로 상기 차단기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14. 3상 일괄의 주모선을 수납하여, 인접하게 접속된 제 1, 제 2 모선용기와,
    상기 제 1 모선용기는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제 1 접속구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2 모선용기는 모선과 접속되는 접속도체가 도출되는 제 2 접속구을 가지는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모선용기는 상기 접속구로부터 다른 모선용기와 접속하기까지의 사이에서 각 상의 모선의 배치위치를 변환하고,
    또한 상기 제 1 접속구와 상기 제 2 접속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 장치.
KR1020020048890A 2001-12-26 2002-08-19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030055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3046A JP2003199220A (ja) 2001-12-26 2001-12-26 母線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絶縁開閉装置
JPJP-P-2001-00393046 2001-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090A true KR20030055090A (ko) 2003-07-02

Family

ID=1918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890A KR20030055090A (ko) 2001-12-26 2002-08-19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14648B2 (ko)
JP (1) JP2003199220A (ko)
KR (1) KR20030055090A (ko)
CN (1) CN1428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2926B2 (en) 2010-05-20 2016-10-18 Abb Schweiz Ag Gas-insulated switchgear arran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6786B2 (ja) * 2007-03-26 2012-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WO2008139592A1 (ja) * 2007-05-11 2008-11-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2007047200A1 (de) * 2007-05-31 2008-12-04 Abb Technology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KR101100710B1 (ko) * 2010-06-11 2011-12-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지중배전 선로용 차단기
US8248760B2 (en) * 2010-07-07 2012-08-21 Eaton Corporation Swi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RU2013127228A (ru) * 2010-11-16 2014-12-27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Аг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панель для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US9425589B2 (en) 2012-09-18 2016-08-23 Hitachi, Ltd. Gas-insulated switchgear
DE102013007551A1 (de) 2013-05-03 2014-11-06 Abb Technology Ag Gasisolierte Schaltanlagenanordnung
JP6244269B2 (ja) 2014-06-27 2017-1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遮断器
CN111024233B (zh) * 2019-11-14 2021-10-08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gis内部触头接触不良的模拟装置及红外校准方法
CN114068231B (zh) * 2020-08-07 2023-10-27 平高集团有限公司 一种三相共箱型断路器及高压开关设备
CN113991663B (zh) * 2021-11-10 2023-03-2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移动式换相装置及一种车载移动变电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4607B1 (fr) * 1986-02-14 1988-04-29 Merlin Gerin Poste blinde subdivise en compartiments etanches
JPH0767213B2 (ja) * 1986-09-29 1995-07-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3121408A (ja) * 1986-11-11 1988-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一括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3020499B2 (ja) * 1988-01-11 2000-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799890B2 (ja) * 1989-09-18 1995-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
JP3550962B2 (ja) 1997-08-07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母線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2926B2 (en) 2010-05-20 2016-10-18 Abb Schweiz Ag Gas-insulated switchgea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14648B2 (en) 2003-09-02
US20030117769A1 (en) 2003-06-26
CN1428906A (zh) 2003-07-09
JP2003199220A (ja) 200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15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EP2104127B1 (en) Switchgear
KR10039739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496965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11851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405890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30055090A (ko) 모선용기 및 그것을 사용한 가스절연개폐장치
JP483778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0382027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JP4192470B2 (ja) 環状母線方式のガス絶縁開閉装置
JP288785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013473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5086857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83212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564003B2 (ko)
JPH0884411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60213205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9990066920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JPH0564523B2 (ko)
JPH032654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588044B2 (ko)
JPH10336819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347044B2 (ko)
JPH0245405B2 (ko)
JPH012624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