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970A -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970A
KR20030054970A KR1020010085411A KR20010085411A KR20030054970A KR 20030054970 A KR20030054970 A KR 20030054970A KR 1020010085411 A KR1020010085411 A KR 1020010085411A KR 20010085411 A KR20010085411 A KR 20010085411A KR 20030054970 A KR20030054970 A KR 2003005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and
coil
guide plat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080B1 (ko
Inventor
홍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5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0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6Stationary duct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시 밴드를 통한 결속작업을 수행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결속장치(1)는, 리프팅기(10)의 코일제품(C)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24a)(24b)를 갖춘 프레임부(20);와, 상기 제 1 메인 샤프트(24a)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 베이스(42)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44)과, 상기 제 1 베이스(42)에 설치된 실린더(46)로서 상기 유도판(44)을 통과하는 밴드(B)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48)을 갖춘 제 1 결속부(40); 및, 상기 제 2 메인샤트트(24b)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72)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74)과, 상기 베이스(72)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76)와 밴드 피딩기(78) 및, 상게 제 2 베이스(72)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74)측으로 밴드(B)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80)를 갖춘 제 2 결속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제품의 포장시 그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코일제품의 제품 출하를 보다 원활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AN APPARATUS FOR BINDING A COIL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시 밴드를 통한 가로밴딩(이하, 'C 밴딩' 이라 약한다)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코일제품의 포장시 그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코일제품의 제품 출하를 보다 원활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제조단계를 거쳐 수요자가 원하는 규격으로 제조된 코일제품은 최종적으로 포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코일제품을 결속하기 위하여는 스틸밴드를 코일제품의 가로방향으로 결속하는 C-밴딩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코일제품의 C-밴딩작업은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제품(100)을 수요가가 요구하는 규격으로 가공 완성한 다음, 최종적으로 외관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포장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크레인(110)으로 이송되어 포장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120)가 순차적으로 내 보호판, 외 보호판, 및 측면 보호판을 각각 취부한후, 최종적으로 보호판을 결속시키기 위해 스틸밴드(130)를 사용하여 결속시킨다.
즉, 에어라인(142)과 연결된 타이트너(144)로서 스틸밴드(130)가 꽉 조여 진 상태에서 실러(SEALER)(140)로서 스틸밴드(130)의 끝부분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4개의 C 밴드를 코일제품(100)에 취부하면서 포장용 내,외 보호판을 일체로 결속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코일제품의 C 밴딩작업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여러 공구(140)(144)를 이용하여 순차로 4 개의 스틸밴드(130)를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코일제품 각각의 C-밴딩작업이 일체로 지연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통상 하루에 16개 이상의 코일제품이 생산되는데, 이를 수작업으로 포장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코일제품 한개당 대략 약3~4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전체의 코일제품의 포장작업시에는 작업자가 휴식시간 없이 연속하여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코일제품위 포장작업시 작업자의 업무부하가 가중되어지며, 특히 포장작업 지연되면, 포장라인에서 일단 다른 지역에 이동 적개시킨후, 나중에따로 포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증가될 뿐이더.
따라서, 코일제품의 C-밴딩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수행토록 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코일제품의 포장시 그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코일제품의 제품 출하를 보다 원활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코일제품의 씨-밴드 결속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픔 자동 결속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1 결속부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1 결속부를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용접기와 피딩기를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밴드 가이드구성을 도시한 요부도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피딩기를 도시한 요부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에서 피딩기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장치의 베이스부 이동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에서 용접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인 장치에 의한 밴드 결속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코일제품 결속장치10.... 리프팅기
20.... 프레임부22.... 프레임
24.... 메인 샤프트28.... 이동베이스
40.... 제 1 결속부42.... 제 1 베이스
44.... 제 1 유도판48.... 가이드판
70.... 제 2 결속부72.... 제 2 베이스
74.... 제 2 유도판76.... 용접기
78.... 피딩기80.... 밴드 디스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리프팅기의 코일제품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를 갖춘 프레임부; 와,
상기 제 1 메인 샤프트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 베이스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과, 상기 제 1 베이스에 설치된 실린더로서 상기 유도판을 통과하는 밴드(B)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갖춘 제 1 결속부; 및,
상기 제 2 메인샤트트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와 밴드 피딩기 및, 상게 제 2 베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측으로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를 갖춘 제 2 결속부;로서 구성되어 유도판을 따라 코일에 C-밴딩된 밴드가 용접 결속토록 구성된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제픔 자동 결속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1 결속부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1 결속부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용접기와 피딩기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밴드 가이드구성을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피딩기를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피딩기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장치의 베이스부 이동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장치의 제 2 결속부의 용접기를 도시한 개략도며, 도 12는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프레임부(20)와 코일제품(C)의 내권주를 통하는 제 1 결속부(40) 및 코일제품의 외권부에서 결속하는 제 2 결속부(70)로서 나누어 지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각 구성부(20)(40)(7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10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의 상기 프레임부(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부(20)는 리프팅기(10)의 코일제품(C)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24a)(24b)를 갖추고 있다.
즉, 도 3, 도 5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20)의 프레임(22)은, 상기 코일 리프팅기 (10)의 양측에 설치된 랙기어플레이트(26a)에 안착된 구동피니언(26b)이 이동베이스(2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 구동피니언(26b)에는 모터(30a)로서 구동되는 메인피니언기어(30b)가 맞물리어 상기 모터(30a) 구동시 리프팅기 양측에서 코일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베이스(28)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 1,2 메인샤프트(24)들은 상기 프레임(22)의 베어링블록(32)으로 지지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4)의 일측에는 모터 (34a)로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켓(34b)에 체결된 구동체인(34)이 체결되는 스프로켓(36)이 장착되어 제 1,2 메인샤프트(24a)(24b)는 상기 모터(34a) 구동시 상기 메인샤프트들은 회전토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샤프트(24)들의 후방에는 텃치바아(23b)가 일정각도로 원주를 따라 다수개 설치된 회전판(23a)이 고정되고, 그 일측으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대로서 리미트 스위치(L)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 샤프트(24)들의 회전각도가 조정되는데, 이는 메인샤프트(24)들이 회전하여 코일제품(C)의 밴드 결속을 2지점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샤트트(24a) (24b)에는 이동베이스(28)상에 전방으로 설치된 실린더(38a)로서 작동되는 브레이크슈(38b)가 지지되어 메인샤프트(24)들의 회전력이 제동되도록 구성되는데,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브레이크슈(38b)는 상기 실린더(38a)의 로드와 힌지방식으로 체결되어 실린더의 상승시 메인샤프트(24)에 밀착되고 실린더가 후진하면 이탈되는 힌지블록의 내측에 샤프트(24)의 원주면에 밀착토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메인샤프트(24)의 회전력을 제동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베이스(28)의 선단부에는 이동베이스(26)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텃치바아(28a) 및 리미트 스위치(28b)가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양측에 위치되는 이동베이스(28)간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데, 즉 제 1 결속부(40)측 이동베이스(28)가 코일제품을 통과하여 그 외권부측에 밀착된 제 2 결속부(70)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텃치바아(28a)가 리미트 스위치(28b)를 치면 일측 이동베이스(28)의 이동은 중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제 1 결속부(4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결속부(40)는, 상기 제 1 메인 샤프트(24a)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 베이스 (42)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44)과, 상기 제 1 베이스(42)에 설치된 실린더(46)로서 상기 유도판(44)을 통과하는 밴드(B)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48)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46)의 로드는 상기 가이드판(48)과 연결링크(48a)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판(48)은 실린더(46)의 작동에 따라 제 1 유도판(44)측으로 밀착되어 초기 밴드 이동을 가이드하다가 밴드 조임시 상승하여 밴드 자체를 가이드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속부(40)의 제 1 밴드 유도판(44)은 상기 제 1 베이스(42)에 ∈ 형상으로 장착되어 2개의 밴드가 이동 유도토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유도판(44)도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 형상으로 설치되지만, 상기 제 1 유도판(44) 자체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42)상에 일측이 볼트로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유도판(44)의 전방에는 스프링(50)으로 탄성 지지된 덮개판(52)이 덮여져 있는데, 이는 다음에 설명하는 코일제품의 밴드 결속시 피딩기(78)로서 밴드가 당겨지면서 밴드의 제 1 유도판(44) 이탈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2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제 2 결속부(7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결속부(70)는 상기 제 2 메인샤트트 (24b)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72)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74)과, 상기 베이스(72)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76)와 밴드 피딩기 (78) 및, 상게 제 2 베이스(72)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74)측으로 밴드 (B)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8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결속부(70)의 제 2 밴드 유도판(74)은, 상기 밴드 디스펜서(80)에서 상기 피딩기(78)까지 연결된 연결판(74a)과, 상기 제 2 베이스(72)의 전면에 제 1 결속부에서 부터 인출된 밴드(B)를 용접위치(P)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판(74b)으로 이루어 져 있고, 상기 제 유도판(74b)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밴드가 제 1,2 유도판(44)(74)을 통하여 용접위치(P)에 그 선단부가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7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접기(76)와 피딩기(78)는 상기 베이스(72)에 형성된 레일(8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84)의 축(84a)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롤 축(84a)에는 수직대(84b)로서 연결되고 모터등이 내장되며, 베이스에 수평 고정된 실린더(86)가 연결된 케이스(88)가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88)와 일체로 용접기 및 피딩기가 베이스상에서 전후 이동토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레일(82)의 일측에는 밴드 진입을 위한 가이드롤(79a)과 가이드판(79b)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접기(76)의 전방에는 밴드 출측의 가이드판(79c)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접기(76)는 도 1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접기(76)는 자체적으로 밴드를 절단하는 절단 나이프가 실린더로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접기(76)를 일본 오바라 회사(Obara)의 제품(RT193-446)을 사용하는데, 440V의 전압으로 밴드(B)를 용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는 상기 피딩기(78)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딩기(78)는 케이스(88)내측에 설치된 구동모터(78a)로서 케이스내측에 회전토록 설치된 구동기어(78b)가 피딩기측의 피동기어(78c)와 맞물리고, 상기피딩기(78)는 다수개의 피딩롤(77a)(77b)사이에 밴드가 삽입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기 밴드(B)는 전진 이송토록 되어 있다.
즉,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88)의 이동으로 용접기(76)와 피딩기(78)가 두개의 원으로 순환되어 용접위치(P)에서 겹쳐지는 밴드(B)측으로 이동하면, 피딩기(78)는 역회전하여 밴드(B)를 당김(B')으로서 코일제품(C)을 긴밀하게 조여지게 한후, 용접기(76)가 작동하여 용접 절단하고, 다시 밴드의 선단부가 피딩기(78)에 의하여 전진하는 데, 이때 상기 용접기(76)와 피딩기(78)는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2 베이스(72)의 중앙에 수평 설치된 실린더(90)의 로드(90a)에는 접촉단(90b)이 설치되어 상기 접촉단(90b)의 코일제품(C)외권부 접촉시 로드(90a)에 그 위치를 조정토록 설치된 접촉편(92)이 실린더(90) 전방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92a)를 작동시키어 제 2 베이스(72)의 전후 이동이 조정토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90)의 로드(90a) 전방에는 상기 용접기 및 피딩기의 이동과 함께하는 케이스(88)가 접촉하여 케이스(88)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9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제품(C)의 포장을 위한 내측, 내권부 및 외측 보호판을 대고 스틸밴드(B)로 결속하는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시속하게 수행하도록 한 본 발명의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설치된 랙기어플레이트(26a)에 안착된 구동피니언(26b)을 모터(30a)로서 구동되는 메인피니언기어 (30b)를 구동시키어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피니언(26b)이 축으로서 전후 및 좌우측에 설치된 이동베이스(28)는 리프팅기(10)로 이송되어 포장대기중인 코일제품(C)의 양측에서 이동한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결속부(70)의 이동베이스(28)가 코일제품측으로 이동하면 제2 베이스(72)의 중앙에 설치된 실린더(90)가 전진된 상태에서 그 로드 선단부의 접촉단(90b)이 코일제품(C)의 외권부에 밀착되면서 후진하면 그 로드(90a)에 설치된 접촉편(92)이 실린더(90)에 고정된 리미트 스위치(92a)를 작동시키어 제 2 결속부(70)의 베이스(72)가 이동베이스(28)로서 이동이 정지된다,
이때, 일측 이동베이스(28)의 선단부에 설치된 텃치바아(28a)가 이동하여 반대측 리미트 스위치(28b)를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베이스(28)의 이동은 중지하고, 결국 제 1 결속부(42)의 ∈ 형상의 제 1 베이스(42)는 코일제품을 통하여 제 2 결속부(70)의 제 2 베이스(72)측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속부(70)측의 제 2 베이스(72)상에 설치된 피딩기(78)를 가동시키면,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기 롤(77a)(77b)들이 구동되어 디스펜서(80)에서 부터 제 2 유도판(74)의 연결판(74a)과 입측의 가이드판(79b) 및가이드롤(79a)을 통하여 진입된 밴드(B)는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속부(40)의 제 1 베이스(42)상에 설치된 제 1 유도판(44)을 통하여 이동하여 2개의 원형을 형성하는 경로를 따라 그 선단부는 용접기 전방의 가이드판(79c)측에서 겹쳐지고, 이때 리미트 스위치(75)가 작동하여 피딩기(78)의 작동은 중단된다.
다음,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72)에 설치된 실린더(86)가 전진하여 베이스 레일(8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롤(84)의 축(84a)에 연결된 케이스(88)를 전진시키어 일체로 용접기(76)와 피딩기(78)를 전진시키고, 이때 케이스(88)가 도 7에서 도시한 실린더 로드(90a)상의 리미트 스위치(94)를 치면, 상기 실린더(86)는 작동이 중단되고, 결국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가 겹쳐진 용접위치(P)에서 밴드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딩기(78)가 역회전 구동되면, 사각형태로 코일제품의 외측으로 이동한 밴드(B)가 당겨지면서 코일제품(C)을 조이는 상태로 되고,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제 1 결속부(40)의 실린더(46)가 작동하여 가이드판(48)을 링크(48a)의 이동으로 상승시키면서 제 1 유도판(44)에서 부터 덮개판(52)을 치고 이탈되는 밴드를 가이드하면서 조임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11에서 도시한 용접기(76)가 작동하여 밴드가 겹처진 부분(P)을 용접하고 절단하여 코일제품(C)의 결속을 완료하면, 상기 이동베이스(28)상에 설치되고 제 1,2 베이스(42)(72)들이 전방에 일체로 고정된 메인샤프트(24)를 모터(34a)를 구동시키어 구동체인(34)으로 회전시키어 코일제품의 다른 결속부분에 제 1,2 결속부 베이스(42)(72)들이 위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실제로는 상기 이동베이스(28)들이 후진하여 상기 메인샤프트(24)들의 회전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시 피딩기(78)가 작동하여 초기와 같은 밴드의 이동을 수행하고, 다시 용접 절단하여 하나의 코일제품(C)에 2지점에 대향하여 밴드를 결속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에 의하면, 코일제품의 포장시 그 결속작업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신속하면서도 견고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코일제품의 제품 출하를 보다 원활하게 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리프팅기(10)의 코일제품(C) 양측으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프레임(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2 메인 샤트트(24a)(24b)를 갖춘 프레임부(20);와,
    상기 제 1 메인 샤프트(24a)의 전방에 수평하게 연결 고정된 제 1 베이스 (42)에 설치된 제 1 밴드 유도판(44)과, 상기 제 1 베이스(42)에 설치된 실린더 (46)로서 상기 유도판(44)을 통과하는 밴드(B)의 코일 쪼임시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48)을 갖춘 제 1 결속부(40); 및,
    상기 제 2 메인샤트트(24b)의 전방에 설치된 제 2 베이스(72)에 설치된 제 2 밴드 유도판(74)과, 상기 베이스(72)의 상,하측에 일체로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용접기(76)와 밴드 피딩기(78) 및, 상게 제 2 베이스(72)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판(74)측으로 밴드(B)를 공급하는 밴드 디스펜서(80)를 갖춘 제 2 결속부(70);로서 구성되어 유도판을 따라 코일에 C밴딩된 밴드가 용접 결속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의 프레임(22)은, 상기 코일 리프팅기 (10)의 양측에 설치된 랙기어플레이트(26a)에 안착된 구동피니언(26b)이 이동베이스(28)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일 구동피니언(26b)에는 모터(30a)로서 구동되는 메인피니언기어(30b)가 맞물리어 모터 구동시 리프팅기 양측에서 코일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베이스(28)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 1,2 메인샤프트(24)들은 상기 프레임(22)의 베어링블록(32)으로 지지되고, 상기 메인샤프트(24)의 일측에는 모터(34a)로서 구동되는 체인(34)이 체결되는 스프로켓(36)이 장착되어 상기 모터 구동시 상기 메인샤프트들은 회전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샤트트(24a)(24b)에는 이동베이스(28)에 프레임 (22) 전방으로 설치된 실린더(38a)로서 작동되는 브레이크슈(38b)가 지지되어 메인샤프트(24)들의 회전력이 제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베이스(28)의 선단부에는 이동베이스(26)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한 텃치바아(28a) 및 리미트 스위치(28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 결속부(40)의 제 1 밴드 유도판(44)은 상기 제 1 베이스(42)에 ∈ 형상으로 장착되어 2개의 밴드가 이동 유도토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유도판(44) 자체는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50)으로 탄성 지지된 덮개판(52)이 덮여져 밴드 쪼임시 이탈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부(70)의 제 2 밴드 유도판(74)은, 상기 밴드 디스펜서(80)에서 상기 피딩기(78)까지 연결된 연결판(74a)과, 상기 제 2 베이스(72)의 전면에 제 1 결속부에서 부터 인출된 밴드(B)를 용접위치(P)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판(74b)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용접기(76)와 피딩기(78)는 상기 베이스(72)에 형성된 레일(82)을 따라이동하는 이동롤(84)의 축(84a)상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롤 축(84a)에는 수직대 (84b)로서 연결되고 모터등이 내장되며, 베이스에 수평 고정된 실린더(86)가 연결된 케이스(88)가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케이스(88)와 일체로 용접기 및 피딩기가 베이스상에서 전후 이동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72)의 중앙에 수평 설치된 실린더(90)의 로드(90a)에는 접촉단(90b)이 설치되어 상기 접촉단(90b)의 코일제품(C)외권부 접촉시 로드(90a)에 그 위치를 조정토록 설치된 접촉편(92)이 실린더(90) 전방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92a)를 작동시키어 제 2 베이스(72)의 전후 이동이 조정토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90)의 로드(90a) 전방에는 상기 용접기 및 피딩기의 이동과 함께하는 케이스(88)가 접촉하여 케이스(88)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9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제품 결속장치.
KR10-2001-0085411A 2001-12-26 2001-12-26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KR10053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411A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1-12-26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411A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1-12-26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970A true KR20030054970A (ko) 2003-07-02
KR100530080B1 KR100530080B1 (ko) 2005-11-22

Family

ID=3221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411A KR100530080B1 (ko) 2001-12-26 2001-12-26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0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716B1 (ko) * 2005-11-17 2007-03-20 신환기 두 개의 밴드 헤드를 구비한 스트래핑 장치
KR100946339B1 (ko) * 2008-06-11 2010-03-08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0960389B1 (ko) * 2003-06-18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의 미압부 처리장치
CN101602413B (zh) * 2008-06-11 2012-03-28 Poscom-科技 用于材料卷包装的头部单元
WO2016133243A1 (ko) * 2015-02-16 2016-08-25 대홍코스텍 주식회사 밴드 결속구 성형장치
KR20180063459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CN111071524A (zh) * 2018-10-22 2020-04-28 Posco M-科技 卷板捆扎装置及其利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911B1 (ko) 2006-08-31 2007-08-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컴비네이션 스트래핑 장치
KR102310992B1 (ko) 2019-08-21 2021-10-08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정보에 기초한 측면 포장 시스템
KR102482694B1 (ko) 2020-11-30 2022-12-29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선택적 가압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홀딩 시스템
KR102482693B1 (ko) 2020-11-30 2022-12-29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레버리지 밸런싱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커팅 시스템
KR102512642B1 (ko) 2021-01-08 2023-03-22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웰딩 디스턴스의 콘트롤을 통한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 시스템
KR102573557B1 (ko) 2021-10-07 2023-09-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078B2 (ja) * 1992-03-02 1997-05-21 シグノード株式会社 線材コイルの結束装置および方法
JPH0737903U (ja) * 1993-12-24 1995-07-14 鋼鈑工業株式会社 溶接型線材コイル自動結束機
JP3344839B2 (ja) * 1994-09-09 2002-11-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金属コイル結束機
JPH09240620A (ja) * 1996-03-04 1997-09-16 Daido Steel Co Ltd 線材コイルの結束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389B1 (ko) * 2003-06-18 2010-05-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크랩 코일의 미압부 처리장치
KR100697716B1 (ko) * 2005-11-17 2007-03-20 신환기 두 개의 밴드 헤드를 구비한 스트래핑 장치
KR100946339B1 (ko) * 2008-06-11 2010-03-08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0946340B1 (ko) * 2008-06-11 2010-03-08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이동형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0964967B1 (ko) * 2008-06-11 2010-06-2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KR100967445B1 (ko) * 2008-06-11 2010-07-01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코일포장용 헤드유닛
CN101602413B (zh) * 2008-06-11 2012-03-28 Poscom-科技 用于材料卷包装的头部单元
WO2016133243A1 (ko) * 2015-02-16 2016-08-25 대홍코스텍 주식회사 밴드 결속구 성형장치
KR20180063459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밴드 결속 장치
CN111071524A (zh) * 2018-10-22 2020-04-28 Posco M-科技 卷板捆扎装置及其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080B1 (ko) 200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0080B1 (ko)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WO2007074981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steel coil with protective sheet
KR101713206B1 (ko)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CA2443519C (en) Band refeeding method in banding packing machine and banding packing machine having refeeding mechanism
KR20190047964A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CN112455761A (zh) 全自动钢卷打包机
EP1094006A2 (en) Coil handling device
US4222323A (en) Tire bundling machine
WO2000044623A1 (fr) Dispositif d'emballage
CN211845028U (zh) 一种钢筋卷捆扎设备
KR20030048671A (ko)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KR100524608B1 (ko) 코일 외주링 자동 결속장치
KR20030041715A (ko) 코일 자동 포장장치
KR200223557Y1 (ko) 코일의 외권부 결속 및 용접장치
CN110979784A (zh) 一种钢筋卷打捆机
JPS5918968Y2 (ja) コイル用横バンド自動結束装置
US3527157A (en) Machine designed to bind loads
JP2006117312A (ja) 梱包機のバンド案内アーチ及び梱包機の使用方法
CN213974588U (zh) 全自动钢卷打包机
US3566779A (en) Apparatus for banding workmembers
KR100752315B1 (ko) 코일 포장용 외주링 자동 공급장치
CN220701445U (zh) 一种包装设备
KR102573557B1 (ko) 코일 결속용 스트랩의 텐션 포스 콘트롤을 위한 블레이드 어드저스트 시스템
JPH0317699B2 (ko)
JPH0372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