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967B1 -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 Google Patents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967B1
KR100964967B1 KR1020080131273A KR20080131273A KR100964967B1 KR 100964967 B1 KR100964967 B1 KR 100964967B1 KR 1020080131273 A KR1020080131273 A KR 1020080131273A KR 20080131273 A KR20080131273 A KR 20080131273A KR 100964967 B1 KR100964967 B1 KR 100964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grip
coil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9309A (ko
Inventor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Publication of KR2009012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bstract

코일에 포장용 자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밴드를 잡는 코일포장용 로봇결속장치의 그립유닛이 개시된다.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은 코일의 포장에 사용되는 밴드를 상기 코일에 감는 로봇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전장이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가압하여 잡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포장용 그립유닛{Grip unit for coil packaging}
본 발명은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에 포장용 자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밴드를 잡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은 각종 철광석 등을 주원료를 이용하여 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만드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용강을 고체상태로 만드는 연주공정, 고체상태의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켜 냉각 및 응고시켜 연속적인 슬래프(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의 중간소재로 만든다. 이 중 슬래브는 압연공정에서 회전하는 복수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하면서 얇은 강판의 형태의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강판은 유통의 편의를 위해 코일 형태로 감겨져 제공된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일 형태로 감긴 강판(이하, 코일)(10)은 방습을 위해 코일(10)의 내, 외주에 권취되는 방청지(11), 코일(10)의 외주면을 보호하는 외주보호판(12), 코일의 내주면을 보호하는 내주보호판(13), 코일(10)의 양측면을 보호하는 단면측판(14), 코일(10)의 내주면에 내주보호판(11)을 고정시키는 내주링(15) 및 코일(10)의 외주면에 외주보호판(12)을 고정시키는 외주링(16)를 포함하는 포장용 자재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포장한다.
이러한 포장용 자재들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포장한 이후에는 코일(10)의 풀림 방지 및 포장용 자재들의 결속을 위해 밴드로 코일(10)의 내, 외주면을 감싸는 결속 공정을 실시한다.
하지만 종래의 코일 결속장치는 코일(10)을 이송시키는 장치, 코일(10)을 들어올리는 장치 및 코일(10)에 밴드가 감기는 방향에 따라 각각 배치되는 장치, 밴드가 지나는 괘적에 따라 밴드를 이송 및 가이드하는 장치들을 별도로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코일 결속장치는 코일 결속공정을 위한 공간의 운영이 비효율적이며, 초기 설비투자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밴드의 지나는 괘적에 있어야 할 이송 가이드 장치 없이 로봇을 이용한 코일포장용 결속장치에 사용되는 밴드를 직접 가지고 가는 그립유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은 코일의 포장에 사용되는 밴드를 상기 코일에 감는 로봇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전장이 신축되는 신축부; 및 상기 신축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가압하여 잡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부는 신축실린더;상기 신축실린더를 지지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그립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축실린더에 의해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신축부에 지지되는 그립프레임;상기 그립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그립퍼;상기 그립프레임과 상기 그립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바;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그립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서포터; 및 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그립서포터에 각각 형성되며,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치합되는 제1, 2 요철부;상기 슬라이드바를 상기 슬라이드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실린더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가 한쌍의 상기 그립퍼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2 요철부의 볼록부를 가압하여 한쌍의 상기 그립퍼의 이격거리가 좁혀져 한쌍의 상기 그립퍼가 상기 밴드를 폭 방향으로 잡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한쌍의 상기 그립퍼에 축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한쌍의 상기 그립퍼는 잡고있는 상기 밴드의 자세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은 상기 밴드의 자세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그립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는 한쌍의 상기 그립퍼의 회전각도를 270°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는 한쌍의 상기 그립퍼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캠과, 상기 구동캠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어링크와, 상기 그립퍼의 회전각도가 270° 이상일 때 상기 제어링크에 걸려, 상기 제어링크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어링크의 제한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유지부재와, 상기 그립퍼의 상기 밴드에 대한 회전각도가 270° 이상에서 270° 이하로 변경될 때 상기 제어링크를 복귀시키는 복귀부재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코일포장을 위한 결속공정에 사용되는 장치의 규모를 줄일 수 있어 공정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초기 설비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포장을 위한 결속공정시 밴드의 이송 및 되감기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결속장치는 밴득공급기(100), 헤드유닛(300), 헤드로봇(301), 그립유닛(400), 그립로봇(401) 및 제1, 제2 로봇이송기(302, 402)를 포함한다.
밴드공급기(100)는 코일(50)의 포장에 사용되는 밴드(B)를 감고있는 밴드저장부(110)와, 밴드저장부(110)로부터 밴드(B)를 인출하는 밴드보조인출부(120)를 포함한다.
밴드보조인출부(120)는 밴드저장부(110)의 밴드(B)를 인출하는 인출모터(121)와, 인출모터(121)로부터 인출되어 장력이 감소된 밴드(B)를 감고있는 복수의 인출롤러(122)를 포함한다. 밴드보조인출부(120)는 밴드저장부(110)에 감겨있는 밴드(B)를 미리 인출하여 밴드(B)의 장력을 감소시키므로, 밴드(B)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헤드유닛(300)은 밴드공급기(100)로부터 밴드(B)를 공급받아 밴드(B)의 선단를 토출한다. 그립유닛(400)은 헤드유닛(300)으로부터 토출되는 밴드(B)의 선단를 잡는다. 헤드로봇(301) 및 그립로봇(401)은 6축 자유도를 갖는 관절형 로봇으로 마련된다.
제1, 2 로봇이송기(302, 402)는 헤드유닛(300)과 그립유닛(400)을 각각 지지한다. 제1, 2 로봇이송기(302, 402)는 헤드로봇(301)과 그립로봇(401)을 직선이송시킨다. 제1, 제2 로봇이송기(302, 402)는 동력모터와 랙-피니언을 포함하는 리니 어 액추에이터, 엘엠모터와 엘엠가이드를 포함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동력모터과 이송레일 및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수 있다.
헤드로봇(301)과 그립로봇(401)은 제1, 제2 로봇이송기(302, 402)에 의해 직선이송되어 7축 자유도가 구현된다.
헤드로봇(301)과 그립로봇(401)의 사이에는 코일지지대(60)가 배치된다. 코일지지대(60)는 방청지(미도시), 단면측판(51), 내주보호판(52), 외주보호판(53), 내주링(54) 및 외주링(55)에 의해 포장된 코일(50)을 지지한다. 코일지지대(60)는 코일(5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지지한다.
한편, 헤드유닛(300)과 헤드로봇(301)에는 밴드공급기(100)로부터 헤드유닛(300)으로 공급되는 밴드(B)를 지지하는 공급가이드(Ba)가 결합된다. 공급가이드(Ba)는 헤드로봇(301)의 자세 변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탄성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급가이드(Ba)는 헤드유닛(300)으로 공급되는 밴드(B)가 헤드로봇(301) 및 헤드유닛(300)에 감겨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결속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밴드저장부(110)에 감겨있는 밴드(B)는 밴드보조인출부(120)에 의해 밴드저장부(110)로부터 인출된다. 밴드(B)는 장력이 감소된 상태로 복수의 인출롤러(122)에 감겨 있다. 복수의 인출롤러(122)에 감겨있는 밴드(B)는 헤드유닛(300)으로 공급된다.
헤드유닛(300)은 밴드(B)의 선단을 내부로 통과시켜 외부로 토출한다. 그립유닛(400)은 헤드유닛(300)의 외부로 토출된 밴드(B)의 선단을 잡는다. 그립로봇(401)은 코일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는 코일(50) 주변부에서 그립유닛(400)을 선회시킨다. 이때, 헤드로봇(301)은 헤드유닛(300)을 밴드(B)의 체결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립로봇(401)에 의해 밴드(B)는 헤드유닛(300)을 통해 인출되며, 코일지지대(60)에 지지되는 코일(50)의 내, 외주면에 감긴다.
밴드(B)가 코일(50)에 감기면, 그립로봇(401)은 밴드(B)의 선단을 체결위치로 이동시킨다. 헤드유닛(300)은 내부로 밴드(B)를 이송하여 헤드유닛(300)의 내부에서 밴드(B)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헤드유닛(300)은 코일(50)에 감긴 밴드(B)를 견고하게 권취하기 위해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하고, 밴드(B)를 되감는다. 헤드유닛(300)은 서로 겹쳐진 밴드(B)를 체결하고, 밴드(B)의 체결부위 이후를 절단한다.
이와 같이 로봇결속기는 코일(50)의 내, 외주변에 밴드(B)를 감고, 밴드(B)를 체결하여 코일(50)에 포장용 자재들(51, 52, 53, 54, 55)을 결속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 결속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헤드유닛(300)은 밴드이송부(310), 밴드체결부(320), 패드공급부(330) 및 밴드절단부(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드유닛(300)는 밴드이송부(310), 밴드체결부(320), 패드공급부(330) 및 밴드절단부(340)를 지지하는 브라켓(350)을 포함한다. 브라켓(350)과 헤드로봇(301) 회동단부의 사이에는 회동부(360)가 배치되어, 브라켓(350)이 헤드로봇(301)의 회동단부로부터 회동가능하도록 한다.
밴드이송부(310)는 밴드공급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B)를 이송하여 밴드(B)의 선단을 헤드유닛(300)의 외부로 토출한다. 또한, 밴드이송부(310)는 코일(50)에 감긴후 헤드유닛(300)으로 재삽입되는 밴드(B)의 선단을 밴드체결부(320)로 이송한다. 또한, 밴드이송부(310)는 코일(50)에 감긴 밴드(B)를 견고하게 권취하기 위해 밴드(B)를 되감는다.
패드공급부(330)는 헤드로봇(301)에 의해 헤드유닛(300)이 체결위치로 이동되면, 밴드체결부(320)로 패드를 공급한다.
밴드체결부(320)는 밴드(B)의 체결전 코일(50)의 외주면에 패드를 부착시킨다. 또한, 밴드체결부(320)는 서로 겹쳐진 밴드(B)를 용융시켜 밴드(B)를 체결한다.
밴드절단부(340)는 헤드유닛(300)으로 재삽입된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하여, 밴드(B)의 되감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밴드절단부(340)는 밴드(B)의 체결후 밴드(B)의 체결부위 이후를 절단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이송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밴드이송부(310)는 회전 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1)와, 구동모터(31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가감속기(312)와, 가감속기(31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이송롤러(313)를 포함한다.
또한, 밴드이송부(310)는 밴드공급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B)의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314a)와, 복수의 가이드롤러(314a)의 하방에 배치되어 밴드절단부(340)로 연장되는 제1 밴드가이드(314b)와, 제1 밴드가이드(314b)의 외측에 배치되어 밴드절단부(340)로 연장되는 제2 밴드가이드(314c)와, 밴드체결부(32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밴드스톱퍼(314d)를 포함한다.
또한, 밴드이송부(310)는 이송롤러(313)의 상측에 배치되는 백업롤러(315)와, 백업롤러(315)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백업링크(315a)와, 백업링크(315a)에 결합되는 백업실린더(316)를 포함한다. 밴드이송부(310)는 가감속기(31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출력기어(313a)와, 백업롤러(315)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입력기어(315b)를 포함한다.
백업링크(315a)는 백업실린더(316)에 의해 회동되며, 백업롤러(315)는 백업링크(315a)에 의해 이동되어 이송롤러(313)에 접촉된다. 이때 제1 입력기어(315b)는 제1 출력기어(313a)에 치합된다.
이하, 헤드유닛(300)의 밴드(B) 이송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밴드공급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B)는 복수의 가이드롤러(314a)에 지지되며 이송롤러(313)로 향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314a)는 밴드(B)의 상, 하, 좌, 우를 함께 지지하여 밴드(B)가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314a)를 통과한 밴드(B)는 제1 밴드가이드(314b)를 따라 이송롤러(313)로 안내된다.
구동모터(311)는 밴드(B)를 이송하기 위해 정회전되며, 가감속기(312)는 구동모터(311)의 회전속도를 가감속하여 이송롤러(313)를 회전시킨다. 이때 백업롤러(315)는 이송롤러(313)에 접촉되고, 제1 입력기어(315b)는 제1 출력기어(313a)에 치합된 상태이다. 백업롤러(315)는 제1 출력기어(313a)로부터 제1 입력기어(315b)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송롤러(313)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밴드(B)는 이송롤러(313)와 백업롤러(315)에 접촉되어 이송되며, 제1 밴드가이드(314b)와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사이를 통과한다. 밴드(B)의 선단은 밴드절단부(340)와 밴드체결부(320)를 지나 밴드스톱퍼(314d)에 도달한다. 밴드스톱퍼(314d)는 밴드(B)의 진행을 차단하며, 밴드(B)의 선단은 밴드스톱퍼(314d)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밴드스톱퍼(314d)는 밴드(B)의 선단이 접촉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밴드스톱퍼(314d)의 회동단부에는 밴드스톱퍼(314d)의 회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기(314e)가 배치된다. 위치감지기(314e)는 밴드스톱퍼(314d)가 회동됨에 따라 밴드스톱퍼(314d)의 회동단부에 접촉되어 접촉신호를 발생시킨다.
밴드(B)의 선단이 밴드스톱퍼(314d)에 위치하면, 그립유닛(400)은 밴드(B)의 선단을 잡고, 그립로봇(401)은 그립유닛(400)을 코일(50)의 주변부에서 선회시킨다. 이때 백업실린더(316)는 백업링크(315a)를 회동시킨다. 백업링크(315a)의 회동에 따라 백업롤러(315)는 이송롤러(313)로부터 이격되며, 백업롤러(315)와 이송롤러(313)의 사이를 통과하는 밴드(B)는 원활하게 인출된다.
한편, 그립로봇(401)은 밴드(B)를 체결위치로 이동시킨다. 밴드(B)의 선단은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외측으로 삽입된다. 밴드(B)의 선단은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밴드수용홈(314ca)에 수용된다. 밴드(B)의 선단은 이후에 설명될 가압이송기(317)의 가압이송롤러(317h)(도 6 참조)에 의해 밴드스톱퍼(314d)까지 도달한다.
밴드(B)의 선단이 밴드스톱퍼(314d)를 접촉함에 따라 밴드스톱퍼(314d)는 회동되어 접촉신호를 발생시키고, 구동모터(311)는 역회전된다. 또한, 접촉신호의 발생에 따라 백업실린더(316)는 백업링크(315a)를 회동시킨다. 백업링크(315a)의 회동에 따라 백업롤러(315)는 이송롤러(313) 측으로 이동되며, 제1 입력기어(315b)는 제1 출력기어(313a)에 치합된다. 이때 밴드절단부(340)는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하며, 백업롤러(315)와 이송롤러(313)의 사이에는 밴드공급기(100)로부터 공급되는 밴드(B)가 위치한다.
구동모터(311)의 역회전에 따라 가감속기(312)는 구동모터(311)의 회전속도를 가감속하여 이송롤러(313)를 역회전시킨다. 이때 백업롤러(315)는 제1 출력기어(313a)에 치합된 제1 입력기어(315b)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이송롤러(313)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밴드(B)는 이송롤러(313)와 백업롤러(315)에 접촉되어 되감기며, 코일(50)에 감긴 밴드(B)의 장력은 증가된다.
여기서, 백업롤러(315)의 측면에는 외경 중 일부에 돌출되는 단턱(315e)이 형성되며, 단턱(315e)이 형성된 백업롤러(315)의 측면부에는 백업롤러(315)의 회전에 따라 단턱(315e)의 회전을 감지하는 장력감지기(315f)가 배치된다. 백업롤 러(315)의 회전속도는 밴드(B)의 장력과 반비례한다. 즉, 밴드(B)의 장력이 증가됨에 따라, 백업롤러(315)의 회전속도는 점차 감소한다. 이후 밴드(B)의 장력이 구동모터(311)의 회전력과 동일하게 형성되면, 백업롤러(315)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백업롤러(315)가 회전하지 않으면, 장력감지기(315f)에는 접촉신호가 유지되거나, 접촉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장력감지기(315f)의 접촉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거나, 일정 시간동안 접촉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구동모터(311)는 역회전이 정지되며 밴드(B)의 되감기가 종료된다.
한편, 밴드이송부(310)는 백업롤러(315)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기어링크(315c)와, 기어링크(315c)에 결합되는 제2 출력기어(315d)를 포함한다. 또한, 밴드이송부(310)는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일측방에 배치되며, 제1 밴드수용홈(314ca)의 전면에 출몰되어 제1 밴드수용홈(314ca)을 개폐시키는 가압이송기(317)를 더 포함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가압이송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이송기(317)는 제2 가압이송기(317)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개폐바(317a)를 포함한다. 개폐바(317a)의 소정부에는 개폐링크(317b)가 결합되며, 개폐링크(317b)에는 개폐실린더(317c)가 결합된다.
또한, 가압이송기(317)는 개폐링크(317b)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개폐롤러(317d)와, 복수의 개폐롤러(317d)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개폐레일(317e)을 포함한다. 개폐레일(317e)은 내부에 복수의 개폐롤러(317d) 중 어느 하나를 구속하 고, 개폐롤러(317d)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장공 형태의 개폐가이드홀(317f)이 형성된다. 또한, 개폐레일(317e)은 개폐가이드홀(317f)에 대응되는 직선구간과, 말단부에 개폐가이드홀(317f)과 동축을 이루는 곡선구간을 포함한다.
또한, 가압이송기(317)는 개폐바(317a)에 결합되는 제2 입력기어(317g)와, 제2 입력기어(317g)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가압이송롤러(317h)를 포함한다.
이하, 헤드유닛(300)의 밴드(B)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유닛(400) 및 그립로봇(401)에 의해 헤드유닛(300)으로 재삽입되는 밴드(B)의 선단은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밴드수용홈(314ca)으로 삽입된다. 이때 개폐실린더(317c)는 제1 밴드수용홈(314ca)으로부터 밴드(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링크(317b)를 전진시킨다.
개폐실린더(317c)가 개폐링크(317b)를 전진시키면, 복수의 개폐롤러(317d)는 개폐레일(317e)의 직선구간을 따라 이동된다. 개폐가이드홀(317f)에 구속되는 개폐롤러(317d)는 개폐가이드홀(317f)의 말단부에 이동이 정지되며, 나머지 개폐롤러(317d)들은 개폐레일(317e)의 곡선구간을 따라 더 이동된다. 따라서 개폐링크(317b)는 개폐가이드홀(317f)의 말단부에 이동이 제한되는 개폐롤러(317d)를 회동축으로 하여 제1 밴드수용홈(314ca) 측으로 회동된다. 개폐바(317a)는 개폐링크(317b)을 따라 회동되어 제1 밴드수용홈(314ca)을 닫는다.
이때, 가압이송롤러(317h)는 제1 밴드수용홈(314ca)에 수용된 밴드(B)를 가압하며, 제2 입력기어(317g)는 제2 출력기어(315d)에 치합된다. 가압이송롤러(317h)는 제2 출력기어(315d)를 통해 제2 입력기어(317g)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밴드(B)를 밴드스톱퍼(314d)로 이송시킨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체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밴드체결부(320)는 서로 겹쳐진 밴드(B)를 용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321)를 포함한다. 전원공급기(321)에는 제1, 2 전극바(321a, 321b)가 연결된다. 제1 전극바(321a)에는 용접팁(322a)이 장착된 용접건(322)이 결합되며, 제2 전극바(321b)에는 지지패널(324)이 연결된다. 용접건(322)은 용접실린더(323)에 의해 전, 후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헤드유닛(300)의 밴드(B) 체결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유닛(300)으로 밴드(B)의 선단이 재삽입되고 가압이송롤러(317h)에 의해 밴드(B)의 선단이 밴드스톱퍼(314d)까지 이송되면, 밴드(B)는 밴드체결부(320)에서 서로 겹쳐진다. 이때 용접건(322)은 서로 겹쳐진 밴드(B)의 내측에 위치하고, 지지패널(324)은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외측에 위치한다.
전원공급기(321)는 제1, 제2 전극바(321b)로 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전극바(321a)는 용접건(322)으로 전원을 전달하며, 제2 전극바(321b)는 지지패널(324)로 전원을 전달한다. 용접실린더(323)는 용접건(322)을 전진시킨다. 용접건(322)의 전진에 따라 용접팁(322a)은 서로 겹쳐진 밴드(B)의 내측을 가압하고, 지지패널(324)의 후면은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외측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로 겹쳐진 밴드(B)는 압착되며, 용접팁(322a)과 지지패널(324)은 통전된다. 용접팁(322a)과 지지패널(324)이 통전됨에 따라 서로 압착된 밴드(B)는 발열되고, 용융되어 체결된 다.
한편, 용접건(322)과 체결된 밴드(B)의 사이에는 분리대(322b)가 배치된다. 분리대(322b)는 밴드(B)의 체결후 밴드(B)에 압착된 용접팁(322a)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용접건(322)이 후진하는 동안 밴드(B)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용접건(322)과 용접팁(322a)은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용접건(322)과 복수의 용접팁(322a)은 서로 압착된 밴드(B)의 복수 개소에서 용접점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드(B) 체결에 소비되는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밴드(B)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밴드체결부(320)는 지지패널(324)을 지지하는 패널바(325)와, 패널바(325)에 결합되는 패널실린더(326)와, 일단부가 패널바(325)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패널실린더(326)에 고정되는 패널링크(327)를 포함한다.
패널실린더(326)는 패널바(325)를 전진시키며, 패널바(325)는 패널링크(327)의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패널바(325)의 회동에 따라 지지패널(324)은 밴드(B)의 체결위치로부터 패드공급부(330) 측으로 회동된다.
이러한 지지패널(324)의 회동작동은 패드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패드를 코일(50)과 밴드(B)의 사이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지패널(324)의 전면부에는 패드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패드가 수용되는 패드수용홈(324a)이 형성되며, 패드수용홈(324a)의 내측에는 패드를 탄성지지하는 패드그립(324b)이 마련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중 헤드유닛의 패드공급 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패드(P)는 코일(50)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마그네틱이 포함되어 제공된다.
패드공급부(330)는 복수의 패드(P)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패드저장고(331)와, 패드저장고(331) 내부에 저장된 복수의 패드(P)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바(332)를 포함한다. 패드저장고(331)의 전면에는 패드(P)가 배출되는 배출구(331a)가 형성되며, 배출구(331a)의 외부에는 탄성지지바(332)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패드(P)의 이탈을 방지하며 패드(P)의 공급경로를 형성하는 패드가이드(333)가 배치된다. 패드가이드(333)의 내부에는 패드가압바(334)가 마련되며, 패드가압바(334)는 패드링크(335)에 결합되고, 패드링크(335)는 패드실린더(336)의 출력단에 힌지 결합된다.
이하, 헤드유닛()의 패드(P) 공급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패드실린더(336)는 패드(P)의 공급을 위해 패드링크(335)를 전진시킨다. 패드링크(335)는 힌지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되며, 패드가압바(334)는 패드가이드(333)에 대기하고 있는 패드(P)를 가압한다. 패드(P)는 패드가이드(333)로부터 지지패널(324)로 공급된다. 지지패널(324)로 공급된 패드(P)는 패드수용홈(324a)에 수용되며, 패드그립(324b)에 의해 패드수용홈(324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패드수용홈(324a)에 패드(P)가 수용되면, 지지패널(324)은 밴드(B)의 체결위치로 회동된다. 이때 지지패널(324)의 전면부는 코일(50)의 외주면에 근접되고,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패드(P)는 코일(5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후 코일(50)에 감 긴 밴드(B)가 되감기면서 패드(P)는 코일(50)과 밴드(B)의 사이에 고정된다.
코일(50)의 외주면에 부착된 패드(P)는 밴드(B)를 되감은 후 코일(50)의 외주면과 밴드(B)의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형성한다. 패드(P)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코일(50)의 수요자에게 밴드(B)의 해체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절단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절단부(340)는 제2 밴드가이드(314c)를 따라 이송되는 밴드(B)의 경로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341)을 포함한다. 가이드블록(341)은 전면에 형성되는 제2 밴드수용홈(341a)이 형성된다.
또한, 밴드절단부(340)는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고정실린더(342)와, 고정실린더(342)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해 밴드(B)를 고정하는 고정기(343)를 포함한다.
또한, 밴드절단부(340)는 밴드(B)의 체결부위 이후를 절단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절단실린더(344)와, 절단실린더(344)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해 밴드를 절단하는 절단기(345)를 포함한다.
또한, 밴드절단부(340)는 고정실린더(342)와 절단실린더(344)의 각 동력을 고정기(343)와 절단기(34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346)를 포함한다.
동력전달기(346)는 고정실린더(342)의 출력단에 결합되는 고정구동랙(346a), 절단실린더(344)의 출력단에 결합되는 절단구동랙(346b), 고정구동랙(346a)과 절단구동랙(346b)에 치합되는 피니언(346c), 피니언(346c)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가동링크(346d) 및 가동링크(346d)에 하나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346e)를 포함한다. 고정기(343)는 한쌍의 회동링크(346e)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클램프(343a, 343b)를 포함한다. 절단기(345)는 가동링크(346d)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이송카타(345a)와, 가이드블록(341)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카타(345b)를 포함한다. 가이드블록(341)과 고정카타(345b)의 사이에는 절단기(345)를 향해 진행하는 밴드(B)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41b)를 포함한다.
이하, 헤드유닛(300)의 밴드(B) 고정 동작 및 밴드(B) 절단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립로봇(401)에 의해 밴드(B)가 인출됨에 따라 밴드(B)의 소정부위는 제1 밴드가이드(314b)와 제2 밴드가이드(314c)의 사이를 통과해 가이드블록(341)의 전면을 통과하고, 코일(50)에 감긴 밴드(B)는 제2 밴드수용홈(341a)으로 삽입되어 밴드(B)는 가이드블록(341)에서 밴드스톱퍼(314d)까지 서로 겹쳐진다.
고정실린더(342)는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구동랙(346a)을 전진시킨다. 고정구동랙(346a)의 전진에 따라 피니언(346c)과 가동링크(346d)는 전진한다. 이때, 이송카타(345a)는 가동링크(346d)의 전진에 따라 전진되어 서로 겹쳐진 밴드(B)의 내측을 가압한다. 서로 겹쳐진 밴드(B)의 내측이 가압됨에 따라 서로 겹쳐진 밴드(B) 중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B) 즉, 밴드(B)의 선단은 한쌍의 클램프(343a, 343b)의 회동범위 내에 위치하며, 겹쳐진 밴드(B) 중 외측에 위치하는 밴드(B)는 한쌍의 클램프(343a, 343b)의 회동범위 외부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가동링크(346d)에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회동링크(346e)의 사이각은 넓어지며, 한쌍의 회동링크(346e)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클램프(343a, 343b)의 사이각은 좁혀진다. 한쌍의 클램프(343a, 343b)는 밴드(B)의 선단을 양측면에서 가압하며, 밴드(B)의 선단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한쌍의 클램프(343a, 343b)에 의해 밴드(B)의 선단이 고정되면, 밴드(B)의 되감기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절단실린더(344)는 밴드(B)의 체결부위 이후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구동랙(346b)을 전진시킨다. 절단구동랙(346b)의 전진에 따라 피니언과 가동링크는 전진한다. 가동링크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이송가타는 전진하며, 고정카타와 연계되어 밴드의 체결부위 이후를 절단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그립유닛(400)은 신축부(410), 그립부(420) 및 회전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신축부(410)는 그립로봇(401)의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그립로봇(401)에 결합된다. 그립부(410)는 신축부(410)의 단부에 결합되며, 회전제어부(430)는 그립부(420)의 일측에 결합된다.
신축부(410)는 전장의 신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신축실린더(411), 내부에 신축실린더(411)를 지지하는 외부프레임(412) 및 신축실린더(411)의 출력단에 결합는 내부프레임(413)을 포함한다.
신축부(410)는 그립부(420)를 그립로봇(401)의 단부로부터 신장시켜 헤드유닛(300)으로부터 토출된 밴드(B)의 선단으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신축부(410)는 헤드유닛(300)으로부터 토출된 밴드(B)의 선단을 잡고있는 그립부(420)를 그립로봇(401)의 단부 측으로 압축시켜 헤드유닛(300)으로부터 밴드(B)를 인출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 중 그립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그립부(420)는 내부프레임(413)의 단부에 결합되는 그립실린더(425)를 포함한다. 그립실린더(425)의 외측면에는 한쌍의 그립프레임(424)이 결합되며, 그립프레임(424)의 내측에는 그립실린더(425)의 출력단에 결합되는 로드블록(426)과, 로드블록(426)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드바(427)가 배치된다. 한쌍의 슬라이드바(427)의 사이에는 한쌍의 그립퍼(421)가 배치된다. 한쌍의 그립퍼(421) 사이에는 탄성부재(421a)가 배치된다. 각 슬라이드바(427)와 각 그립퍼(421)의 사이에는 그립서포터(422)가 각각 배치된다.
한쌍의 그립서포터(422)는 한쌍의 그립퍼(421)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한쌍의 그립퍼(421)는 그립프레임(424)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그립회전축(423)에 축결합된다.
한쌍의 슬라이드바(427)는 그립서포터(422)를 향한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요철부(427a)를 포함하며, 한쌍의 그립서포터(422)는 제1 요철부(427a)에 치합되도록 슬라이드바(427)를 향한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2 요철부(422a)를 포함한다. 제1 요철부(427a)에는 슬라이드바(427)의 길이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그립회전축(423)이 삽입되는 그립가이드홀(427b)이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밴드 그립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요철부(427a)와 제2 요철부(422a)가 치합된 상태에서 그립실린더(425)는 로드블록(426)을 전진시켜 한쌍의 슬라이드바(427)를 전진시킨다. 이때 한쌍의 슬라이드바(427)는 그립가이드 홀(427b)의 내부에 위치한 그립회전축(423)의 지지를 받으며 전진한다.
이때, 한쌍의 슬라이드바는 한쌍의 그립퍼(42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즉, 제2 요철부(422a)의 오목부에 치합되어 있던 제1 요철부(427a)의 볼록부는 제2 요철부(422a)의 볼록부로 슬라이딩된다. 이에 따라 제1 요철부(427a)는 한쌍의 그립서포터(422)를 가압하고, 한쌍의 그립서포터(422)가 가압됨에 따라 한쌍의 그립퍼(421)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한쌍의 그립퍼(421)는 밴드(B)를 폭방향으로 가압하여 밴드(B)의 선단을 잡는다.
다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제어부(430)는 그립회전축(423)에 결합되는 구동캠(431), 구동캠(431)에 힌지 결합되는 캠링크(432), 캠링크(432)에 힌지 결합되는 제어링크(433)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제어부(430)는 그립프레임(424)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34)과, 지지프레임(434)에 힌지결합되고 제어링크(433)의 상부에 배치되는 걸림쇠(435)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제어부(430)는 탄성체로 마련되어 일단이 걸림쇠(435)에 결합되고, 타단이 로드블록(426)에 결합되는 걸림유지부재(436)와, 탄성체로 마련되어 일단이 제어링크(433)에 결합되거 타단이 그립프레임(424)에 결합되는 복귀부재(437)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 중 회전제어기의 그립퍼 회전제어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헤드유닛(300)의 외부로 토출된 밴드(B)의 선단을 그립퍼(421)가 잡을 때, 구동캠(431)의 위치를 0° 라고 가정하자. 구동캠(431)의 위치가 0°도 일 때 캠링크(432)는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걸림쇠(435)는 제어링크(433)의 상면에 위치하여 제어링크(433)에 의해 지지된다.
계속해서, 그립로봇(401)에 의한 그립유닛(400)의 자세 변화에 따라 그립퍼(421)는 회전된다. 이때 구동캠(431)의 위치가 270°에 도달하면 캠링크(432)는 하향 회동된다. 캠링크(432)가 하향 회동됨에 따라 제어링크(433)는 그립퍼(421) 측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때, 걸림쇠(435)는 제어링크(433)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회동된다. 걸림쇠(435)는 제어링크(433)의 단부에 걸리며, 걸림유지부재(436)는 걸림쇠(435)를 탄성지지하여 제어링크(433)가 그립퍼(421)의 반대 측으로 직선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복귀부재(437)는 제어링크(433)의 자세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탄성지지하여, 캠링크(432)의 회전각도가 270°를 넘지 않도록 한다.
만약, 구동캠(431)의 위치가 270°를 넘게 되면, 캠링크(432)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제어링크(433)에 연결된 캠링크(432)는 제어링크(433)를 그립퍼(421)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하지만 걸림쇠(435)가 제어링크(433)의 단부에 걸려있으므로, 제어링크(433)와 캠링크(432)에 의해 구동캠(431)이 구속되는 그립퍼(421)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제어부(430)는 그립퍼(421)의 회전각도를 270° 이내로 제한하여, 밴드(B)가 그립퍼(421)에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로봇 결속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지지대(60)에 지지되는 코일(50)에 밴드(B)의 세로결속을 수행한다. 밴드(B)의 세로결속은 밴드(B)를 코일(50)의 외주면을 따라 감고, 밴드(B)를 체결한다.
또한, 로봇 결속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지지대(60)에 지지되는 코일(50)에 밴드(B)의 가로결속을 수행한다. 가로결속은 밴드(B)를 코일(50)의 내주면으로 통과시켜 외주면에 감고, 밴드(B)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로봇 결속기는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되도록 지지되는 코일(50)에 결속 공정을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결속기는 중심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되도록 지지되는 코일(50)에 밴드(B)의 결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7에서는 판재로 생산되어 포장되는 코일(50)을 결속하는 로봇결속기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로봇결속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로 생산되어 포장되는 코일(70)을 결속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로봇 결속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B)의 종류에 따라 코일(B)의 결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헤드유닛(300a, 300b)과 복수의 헤드로봇(301a, 30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밴드체결부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밴드(B)가 열가소성 합성수지재로 공급될 경우, 밴드체결부(520)는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히팅바(510)와, 히팅바(510)를 이송하는 히팅실린더(511), 서로 겹쳐진 밴드(B)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압바(522) 및 가압바(522)를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외측으로 이송하는 가압실린더(523)를 포함한다.
히팅바(510)는 전원공급기(5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된다. 히팅실린더(511)는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사이로 히팅바(510)를 이송한다. 발열된 히팅바(510)가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사이로 이송됨에 따라 서로 겹쳐진 밴드(B)는 용융되며, 가압바(522)는 가압실린더(523)에 의해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외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서로 겹쳐진 밴드(B)의 외측은 지지패널(324)의 후면이 지지하고 있으므로, 서로 겹쳐진 밴드(B)는 압착되어 체결된다.
도 1은 코일과 코일의 포장용 자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이송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가압이송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체결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중 헤드유닛의 패드공급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헤드유닛 중 밴드절단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 중 그립부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밴드 그립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그립유닛 중 회전제어기의 그립퍼 회전제어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세로결속 밴딩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가로결속 밴딩 동작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선재 코일을 결속하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의 밴드체결부 중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8)

  1. 코일의 포장에 사용되는 밴드를 상기 코일에 감는 로봇이 상기 밴드를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봇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전장이 신축되는 신축부;및
    상기 신축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밴드를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가압하여 잡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신축실린더;
    상기 신축실린더를 지지하는 외부프레임;및
    상기 그립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신축실린더에 의해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신축부에 지지되는 그립프레임;
    상기 그립프레임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밴드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쌍의 그립퍼;
    상기 그립프레임과 상기 그립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그립퍼의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서포터;및
    상기 슬라이드바와 상기 그립서포터에 각각 형성되며,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치합되는 제1, 2 요철부;
    상기 슬라이드바를 상기 슬라이드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그립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실린더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가 한쌍의 상기 그립퍼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2 요철부의 볼록부를 가압하여 한쌍의 상기 그립퍼의 이격거리가 좁혀져 한쌍의 상기 그립퍼가 상기 밴드를 폭 방향으로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한쌍의 상기 그립퍼에 축결합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한쌍의 상기 그립퍼는 잡고있는 상기 밴드의 자세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자세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그립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131273A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KR100964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4494 2008-06-11
KR1020080054494 2008-06-11
KR1020080096469 2008-10-01
KR20080096469 2008-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09A KR20090129309A (ko) 2009-12-16
KR100964967B1 true KR100964967B1 (ko) 2010-06-21

Family

ID=4168940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271A KR100946340B1 (ko) 2008-06-11 2008-12-22 이동형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20080131270A KR100946339B1 (ko)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20080131272A KR100967445B1 (ko)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헤드유닛
KR1020080131273A KR100964967B1 (ko)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271A KR100946340B1 (ko) 2008-06-11 2008-12-22 이동형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20080131270A KR100946339B1 (ko)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20080131272A KR100967445B1 (ko) 2008-06-11 2008-12-22 코일포장용 헤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0946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119B1 (ko) 2009-10-08 2013-12-20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713206B1 (ko) 2016-12-12 2017-03-09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20200088076A (ko)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피앤엔피 코일 밴드결속기의 밴드공급용 모터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601B1 (ko) 2014-03-07 2016-03-08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의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KR101743819B1 (ko) 2015-05-11 2017-06-05 (주)포스코엠텍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668952B1 (ko) * 2015-05-11 2016-10-24 (주)포스코엠텍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및 로봇 결속방법
KR101715823B1 (ko) 2015-09-01 2017-03-14 다인시스템주식회사 내주링 확장기
KR102039794B1 (ko) 2017-10-30 2019-11-01 (주)포스코엠텍 강판 코일 내측 모서리 포장재 공급장치
KR102127683B1 (ko) 2017-10-30 2020-07-09 (주)포스코엠텍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KR102165254B1 (ko) 2018-09-27 2020-10-13 (주)포스코엠텍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외경모서리 보호재 공급 방법
KR102197012B1 (ko) 2018-12-17 2020-12-30 (주)포스코엠텍 강판 코일 포장 장치
KR102252232B1 (ko) 2019-05-02 2021-05-14 (주)포스코엠텍 강판코일 밴드 결속장치 및 방법
KR102354553B1 (ko) 2019-12-24 2022-01-24 (주)포스코엠텍 강판코일 모서리 테이핑 장치 및 방법
KR102551337B1 (ko) 2021-06-22 2023-07-07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밴드의 바인딩 포스의 선택적 센싱을 통한 코일 포장용 스트래핑 헤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73069B1 (ko) * 2021-08-26 2023-08-3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스트랩의 피딩 정보 센싱을 통한 코일 포장용 스트래핑 헤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99820B1 (ko) * 2023-05-16 2023-11-08 (주)이에프씨 코일용 패드 부착 및 포장 전수검사 자동화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970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970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제품 자동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119B1 (ko) 2009-10-08 2013-12-20 다인시스템주식회사 코일 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713206B1 (ko) 2016-12-12 2017-03-09 주식회사 한진테크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20200088076A (ko)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피앤엔피 코일 밴드결속기의 밴드공급용 모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308A (ko) 2009-12-16
KR100946339B1 (ko) 2010-03-08
KR20090129307A (ko) 2009-12-16
KR20090129309A (ko) 2009-12-16
KR100946340B1 (ko) 2010-03-08
KR100967445B1 (ko) 2010-07-01
KR20090129306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967B1 (ko) 코일포장용 그립유닛
JP5058182B2 (ja) コイル包装用ロボット結束装置(Robotbindingapparatusforcoilpackaging)
KR101343119B1 (ko) 코일 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JP2009298477A (ja) コイル包装用ヘッドユニット{Headunitforcoilpackaging}
KR101975072B1 (ko) 트위스팅 장치
CN101602412B (zh) 用于材料卷包装的机器人打捆设备
KR101215166B1 (ko) 코일 포장장치 및 코일 포장방법
CN106742162A (zh) 捆扎缠绕一体包装机
JPH07108702B2 (ja) ベールおよびこれに類するものを包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062133B1 (ko) 코일 포장시스템
CN116215956B (zh) 一种光伏接线盒全自动绕线扎带设备及方法
KR101716699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EP3137380B1 (en) Gripping apparatus for a wrapping machine
KR101772186B1 (ko) 코일 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743819B1 (ko) 코일포장용 로봇 결속장치
KR101031175B1 (ko) 코일 포장지 접기장치
KR101145021B1 (ko) 코일 포장재의 벤딩장치
JPH0615355A (ja) 金属板コイルのコイル巻き不揃い修正方法
CN212149402U (zh) 一种瓦楞纸箱的上下料打包机
KR101214309B1 (ko) 코일 포장용 내주보호판 밀착장치
SU1954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ВЯЗКИ ПРОВОЛОКОЙ ПАКЕТОВИ РУЛОНОВ
CN115072041A (zh) 电线卷多工位自动扎带机
KR101197374B1 (ko) 코일 포장용 외주링 부착장치
ITMI20002613A1 (it) Reggettatrice circonferenziale per bobine
JPH05178303A (ja) 線材コイル梱包シート巻き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