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457A - 체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457A
KR20030046457A KR10-2003-7003879A KR20037003879A KR20030046457A KR 20030046457 A KR20030046457 A KR 20030046457A KR 20037003879 A KR20037003879 A KR 20037003879A KR 20030046457 A KR20030046457 A KR 2003004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fastening device
piston
fast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075B1 (ko
Inventor
게팅스마이클숀브라이언
Original Assignee
텐텍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텍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텍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4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7Adaptation of roll neck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6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ape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물품(75)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76)의 제1 단부를 통해 그리고 이를 넘어 돌출하고 제1 물품(76)의 제2 단부는 제2 물품(75)과 상대적으로 위치되도록 환형 제1 물품(76) 및 제1 물품(76) 내에 위치하는 제2 물품(75)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결 장치는 하우징(50)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62)가 하우징(50) 내에 보유되거나 하우징(50) 내의 대응 개구(61)를 통해 돌출하도록 하우징(5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피스톤(58)과, 피스톤(58) 상에서 작용하도록 하우징(50) 내에 제공된 압력 수단(69)과, 하우징(50)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7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 장치 및 방법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두 개의 유닛을 함께 체결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다. 예컨대, 철강 산업에서는, 롤의 각 단부 위에 초크를 위치시키고 초크의 축에 대해 정위치에 롤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롤에는 각 단부가 아닌 그 근방에 감소된 직경의 섹션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시 개별 초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롤러의 각 단부에 헤드부가 제공된다. 스플릿 링은 각각의 감소된 섹션 주위에 위치되어 고정되며, 헤드부와 개별 초크 사이에 작용하여 초크들에 대해서 정위치에 롤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스플릿 링은 일반적으로 16kg 정도로 무겁고 롤에 통상 수동으로 가해진다. 이러한 장치는 종종 불편하고 실행하기 어려우며, 건강 및 안전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스플릿 링에 힘을 가함으로써 스플릿 링이 위치되고 제거되기 때문에, 롤과 초크 및/또는 스플릿 링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 클램프 너트를 포함하는 유압 체결 장치와,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체결될 제1 및 제2 물품과 비작동 위치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복합 단면도.
도2는 도1의 체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부도.
도3은 도1 및 도4의 위치 중간의 위치에 도시된, 도1 및 도2의 체결 장치와 제1 및 제2 물품의 복합 단면도.
도4는 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가 도시된, 제1 내지 제3도의 체결 장치와 제1 및 제2 물품의 복합 단면도.
도5는 체결될 제1 및 제2 물품과 작동 위치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체결장치의 제2 실시에의 단면도.
도6은 도5의 체결 장치의 개략적 단부도.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환형 제1 물품 및 제2 물품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물품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통해 그리고 이를 넘어 돌출하고 제1 물품의 제2 단부가 제2 물품에 대해 위치되도록 제1 물품 내에 위치되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가 하우징 내에 보유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의 대응 개구를 통해 돌출하도록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피스톤과, 피스톤 상에 작용하도록 하우징 내에 제공된 압력 수단과,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하우징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압력 수단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사이에 작용하여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은 서로에 대해 체결되는 체결 장치가 제공된다.
압력 수단은 탄성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유압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수단은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체결 장치는 유압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변할 수도 있다. 비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커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가 아니라 하우징이 이들 사이에 수납될 수도 있다. 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수납될 수도 있다.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감소될 수도 있다. 비작동 위치에서, 피스톤의 위치설정부 또는 각각의 위치설정부는, 제1 물품의 제1 단부에 대항하여 위치설정되도록, 하우징 내의 대응 개구를 통해 돌출될 수도 있다.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가 너무 길어서,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체결 부재 또는 각각의 체결 부재를 또한 수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체결 장치가 비작동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하우징 속으로 후퇴시키도록 유압 수단을 이용하여, 탄성 수단에 대항하도록 피스톤에 힘이 가해질 수도 있다.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도 있다. 유압 수단에 의해 피스톤 상에 생성된 힘은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면 제거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도록 단독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서로 체결시키는 것은 탄성 수단에 의한 압력으로 달성되고 유지될 수도 있다.
압력 수단은 유압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고, 장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압 수단은 장치를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고 이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장치에 유압을 가할 수도 있다. 유압 수단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도록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에 유압을 가할 수도 있다.제1 물품이 제2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제1 물품과 제2 물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유압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물품에 가해지는 힘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손실될 수도 있는데, 이는 명백히 바람직하지 않다. 탄성 수단은 이어서 제1 및 제2 물품에 힘을 인가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갖는 위치로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에 힘을 가할 수도 있고, 제2 물품의 제1 단부를 갖는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에 힘을 가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도록 피스톤의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장치를 작동 위치로 위치시킬 때 유압 수단의 작동에 의해 압축될 수도 있다. 장치는 로킹 칼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로킹 칼라는 피스톤 주위에 제공될 수도 있다. 로킹 칼라는 제1 물품과 제2 물품 사이에서 힘이 유지되는 것을 돕도록 기계적으로 잠그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장치는 피스톤의 위치설정부 또는 그 각각과 하우징 사이에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위치설정부 또는 그 각각을 제1 물품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도록 체결 장치를 해제시킬 때 사용되어, 예컨대 제1 물품으로부터 장치를 제거할 수도 있다.
탄성 수단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 또는 그 각각은 스프링, 예컨대 디스크 스프링 또는 다이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하나 이상의 적층물, 예컨대 16개 또는 32개의 적층물이 제공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2개 이상의 적층물이 제공될 때, 적층물은 하우징 주위에 이격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2개 이상의 적층물이 제공될 때, 적층물은 피스톤 주위에 이격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의 포켓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의 위치설정부와 실제로 정렬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위치설정부의 부분 주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유압 수단은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에 이르는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유압 유체 예를 들어, 그리스를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유압 유체를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유압 수단은 유압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챔버 안으로 유도되는 제1 개구와, 유압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제거되는 제2 개구의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수단은 2쌍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쌍의 제1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 안으로 유압 유체를 유도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각 쌍의 제2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유압 유체를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지 한 쌍의 개구가 유압 유체를 유도 및 제거하도록 사용되고, 다른 쌍 또는 쌍들의 개구는 폐쇄된다. 개구는 블랭킹(blanking) 플러그를 사용하여 폐쇄될 수 있다. 어느 쌍의 개구가 사용되는 지는 사용시의 하우징 상의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챔버가 제공될 때, 챔버와 상호 연결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챔버가 예를 들어, 피스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일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및 제2 측벽과 단부벽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개구 또는 각각의 개구가 단부벽에 제공될 수 있다. 단부벽에는 하나 이상의 내부 견부가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은 폐쇄판을 포함할 수 있다. 폐쇄판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캡 나사에 의해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폐쇄판은 하우징의 단부벽에 제공될 수 있다. 압력 수단은 폐쇄판을 통해 고정 부재 또는 각각의 고정 부재에 작용할 수 있다.
피스톤은 단면이 대체로 T형상 일 수 있다. 피스톤에는 하나 이상의 견부가 제공될 수 있다. 피스톤의 견부 또는 그 일부는 하우징의 단부벽의 견부 또는 일부의 견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피스톤에는 하나 이상의 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스템 또는 각각의 스템은 피스톤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템 또는 각각의 스템은 피스톤에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스템 또는 각각의 스템은 피스톤 위치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플런저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런저 또는 각각의 플런저는 피스톤 위치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런저 또는 각각의 플런저는 피스톤과 접촉할 수 있다. 플런저 또는 각각의 플런저는 피스톤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플런저 또는 각각의 플런저는 피스톤에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플런저 또는 각각의 플런저는 피스톤의 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부는 하우징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부는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부는 피스톤의 견부 또는 견부의 일부와 하우징의 단부벽의 견부 또는 견부들 중 일부의 사이에 위치될 수있다. 밀봉부 또는 각각의 밀봉부는 환형 형상일 수 있다. 밀봉부 또는 각각의 밀봉부는 O링 타입 밀봉부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는 아치형 판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 또는 각각의 고정 부재 또는 고정 부재의 일부는 고정 부재 또는 각각의 고정 부재가 제2 물품과 위치되지 않는 개방 위치와 고정 부재 또는 각각의 고정 부재가 제2 물품과 위치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그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우징에 피봇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고정 부재 또는 각각의 고정 부재에는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부재를 위치시키는 위치설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설정 수단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식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제1 물품 상에 위치된다. 고정 장치에는 제1 물품 상에 위치되도록 위치설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설정 수단은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는 림을 포함할 수 있다. 림에는 고정 장치를 제1 물품에 위치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위치설정 수단은 제1 물품 상에 제공된 대응 림과 위치할 수 있다. 위치설정 수단은 제1 물품에 의해 제공된 대응 리세스와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물품을 고정시키도록 제1 및 제2 물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2개 이상의 고정 장치가 서로에 대해 물품을 고정시키도록 제1 및 제2 물품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고정 장치는 환형 제1 물품 주위로 사실상 등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고정 장치가 사실상 환형 형상인 제1 및 제2물품 사이에 위치된다. 고정 장치는 환형 제1 물품 상에 위치될 수 있는 환형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환형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에는 하우징의 환형 개구를 통해 돌출하는 사실상 환형 형상일 수 있는 하나의 위치설정부가 제공된다. 피스톤은 사실상 환형 형상일 수 있고, 다수의 위치설정부는 피스톤 주위로 사실상 규칙적인 간격으로 제공된다. 위치설정부는 피스톤의 환형 스템을 형성하거나 또는 환형 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수단은 사실상 환형 형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탄성 부재의 적층체는 환형 피스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탄성 부재의 적층체는 피스톤 주위로 사실상 규칙적인 간격으로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위치설정부의 위치와 대응한다. 탄성 부재의 적층체는 환형 피스톤의 포켓 내 또는 피스톤의 위치설정부의 일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환형 고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아치형 판 형상의 2개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고정 장치는 특히 초크(chock)에 대해 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의 하나 이상의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제2 물품에 대하여 제1 물품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압력 수단은 탄성 수단(16')을 포함하고 장치는 유압 수단(17)을 더 포함할 때,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0)가 아닌 하우징(2)이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30)의 제1 단부 사이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15)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에 대항하여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를 제1 물품(31)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물품의 제1단부로부터 멀리 하우징 안쪽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피스톤을 탄성 수단에 대해 가압하는 유압 수단에 의해 유압을 장치에 인가하는 단계와, 장치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이것이 제2 물품과 함께 위치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상대적인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도록, 유압을 해제하여 탄성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수단은 유압 수단을 포함하고 장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할 때, 상기 방법은 체결 장치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를 제1 물품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이것이 제2 물품과 함께 위치하는 폐쇄 위치에 놓는 단계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유압 수단에 의해 장치에 유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물품이 제2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되어야만 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갖는 위치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를 갖는 위치로 가압하여, 두 물품 사이의 임의 비를 유지하는 탄성 수단을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환형 제1 물품 및 제2 물품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물품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통해 그리고 이를 넘어 돌출하고 제1 물품의 제2 단부가 제2 물품에 대해 위치되도록 제1 물품 내에 위치되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가 하우징 내에 보유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의 대응 개구를 통해 돌출하도록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피스톤과, 피스톤 상에 작용하도록 하우징 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하우징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탄성 부재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사이에 작용하여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은 서로에 대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면, 환형 제1 물품 및 제2 물품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물품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통해 그리고 이를 넘어 돌출하고 제1 물품의 제2 단부가 제2 물품에 대해 위치되도록 제1 물품 내에 위치되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가 하우징 내에 보유되거나 또는 하우징내의 대응 개구를 통해 돌출하도록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피스톤과, 피스톤 상에 작용하도록 하우징 내에 위치된 유압 수단과,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하우징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유압 수단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사이에 작용하여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은 서로에 대해 체결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체결 장치(1)는 대체로 공동이며 외주연 측벽(3), 내주연 측벽(4) 및 축방향 내측 반경 단부벽(5)을 포함하는 환형 하우징(2)을 포함한다. 축방향 외측 반경 단부벽은 (도시되지 않은) 캡 나사에 의해 두 개의 측벽에 부착된 폐쇄판(6)에 의해 환형 본체에 제공된다. 축방향 내측 단부벽(5)은 내부 환형 견부(7)를 구비한다. 환형 O링 밀봉부(8)들은 견부(7)에 착좌된다. 환형 리세스(9)는 견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환형 피스톤(10)은 체결 장치의 하우징(2) 내에 위치된다. 피스톤은 일반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가지며, 환형 견부(11)들과 그 견부들 사이에 환형 스템(12)을 구비한다. 환형 O링 밀봉부(13)는 견부(11)에 대해 밀봉된다.
환형 하우징(2) 주위의 16개 위치에서(도2 참조), 많은 추가적인 구성이 체결 장치 내에 제공된다. 각 위치에서, 구멍(14)(도1)은 축방향 반경 내측 단부벽(5) 내에 제공되며, 리세스(9)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협동한다. 플런저(15) 형태의 피스톤의 위치설정부는 구멍 내에 위치설정되며, 플런저는 그리스로 발라져 있으며 구멍 내에 활주식 끼워 맞춤을 형성한다. 플런저는 피스톤의 스템(12)과 인접한다. 체결 장치의 비작동 위치에서, 플런저(15)는 구멍(14)을 통해, 하우징(2)의 축방향 내측 반경 단부벽(5)의 내측면을 너머 연장된다. 포켓(16)은 피스톤에 제공되고, 여섯 디스크 스프링(16')의 적층부는 포켓 내에 위치설정된다. 풀림 상태에서 스프링(16')은 피스톤의 포켓으로부터 돌출되는 크기를 갖는다. 폐쇄판(6)이 하우징 상에 나사 결합될 때, 스프링들은 신장되어 피스톤(10)을 하우징(2)의 축방향 내측 벽(5)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여, 플런저(15)가 구멍(14)을 통해 하우징(2) 너머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유압 수단(17)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두 개의 피스톤에서, 개구(17')는 하우징(2)의 측벽(3)에 제공된다. 개구(17')는 피스톤(10)과 본체(2)의 축방향 내측 반경 단부벽(5) 사이에 제공된 제1 환형 챔버(18)와 협동한다. (도시되지 않은) 채널들은 피스톤(10)과 축방향 내측 반경 단부벽(5) 사이에 제공된 제2 환형 챔버(19)에 제1 환형 챔버를 연결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일 개구(17')는 유체를 챔버 내로 주입하도록 사용되며, 일 개구는 챔버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체결 장치는 한 쌍의 체결 아암(20)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은 아치형 판을 포함하고, (도2의) 핀(21)에 의해 폐쇄판(6)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어 도1, 도2 및 도3에 도시된 개구 위치로부터 도4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체결 아암(20)은 (도2의) 구멍(41) 내의 스프링이 설치된 핀(40)의 위치에 의해 개방 위치로 고정된다. 이들을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아암이 폐쇄 위치 내로 선회하도록 구멍(41)에서 핀을 제거하여 구멍(42) 내의 핀의 위치에 의해 고정된다. 체결 장치 하우징(2)의 축방향 내부 방사상 단부벽(5)은 하나 이상의 핀(23)이 수납된 환형 림(22) 내에 제공된다.
도1,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체결 장치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체결 장치는 원통형 초크(31)에 대해 롤을 함께 체결시키는 데 사용된다. 체결 장치는 롤의 제1 단부와 초크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초크의 제2 단부는 롤 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견부에 대해 접촉함으로써 롤에 대해 위치된다. 롤의 제2 단부는 본 명세서 설명된 바와 같은 체결 장치에 의해 제2 초크에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초크는 감소된 직경의 단부 부분(33)을 구비하는 원통형 베어링 종동부(32)를 포함한다. 단부는 림(34)을 구비한다. 체결 장치의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의 림(22)은 단부 부분(33)을 지나 위치되고, 핀(23)은 베어링 종동부로부터 체결 장치의 부주의한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종동부의 림 뒤에 위치된다. 체결 장치는 림의 위치에 의해 베어링 종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체결 장치가 베어링 종동부에 고정적으로 유지되지만 그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체결 장치는 베어링 종동부 상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롤로부터 초크를 결합하기 위해 그로부터 장치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롤(30)의 제1 단부는 감소된 직경의 네크부(35) 및 헤드부(36)를 포함한다. 롤을 초크에 체결하기 위해, 그 제1 단부는 초크 내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 장치에 의해 네크부(35)를 둘러싸고 헤드부(36)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장치의 폐쇄판(6)을 넘어 연장한다. 롤은 베어링 종동부(32)와 유사한 직경이고 베어링 종동부 내에 활주하여 끼워맞춤된다. 도1에 도시된 비작동 위치에서의 체결 장치의 (환형 림(22)을 제외한) 축방향 길이는 일반적으로 대략 61 mm이고, 롤의 네크부(35)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다. 이러한 위치에서, 체결 아암(2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35) 뒤로 연장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의 헤드부(36)와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체결 장치를 달성하기 위해, 유압 수단(17)은 그리스를 개구(17')들 중 하나를 지나 그리스 건으로부터 제1 환형 챔버(18) 내로, 피스톤(10) 내의 채널을 지나 제2 환형 챔버(19)내로 유도한다. 유체를 이러한 챔버 내로 유도하는 것은 피스톤(10)을 디스크 스프링(16') 적층물의 힘에 대해 하우징(2)의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으로부터 이격되게 가압한다. 이는, 차례로, 플런저(15)를 체결 장치 하우징(2)의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으로부터 약간만 돌출하도록 후퇴시킨다. 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과 베어링 종동부의 단부 부분(33) 사이의 환형 간극(37)을 생성한다. 따라서, 체결 장치의 (환형 림(22)을 제외한) 축방향 길이가 감소하여, 일반적으로 롤의 네크부(35)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은 약 59.5 mm이다. 체결 장치는 그 후에 베어링 종동부(32)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런저(15)가 베어링 종동부에 접촉한다. 이제 체결 아암(20)이 네크부(35)의 축방향 길이 내에 수납될 수 있고, (도4의) 롤의 네크부(35)의 반원 섹션을 각각 결합하여 둘러싸도록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다. 체결 아암은 구멍(42) 내의 스프링이 설치된 핀(40)을 위치시키고 (도2의) C 클립(43)을 작동시킴으로써 이러한 위치에 고정된다. 유압 유체는 그 후에 챔버(18, 19)로부터 제거된다. 디스크 스프링(16') 적층물은 플런저(!5)를 피스톤(10)을 지나 베어링 종동부의 단부 부분(33)에 결합하도록 가압하고, 체결 아암(20)을 폐쇄판(6)을 지나 롤 헤드부(36)의 축방향의 내표면에 결합시키도록 가압한다. 이러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체결 장치의 (환형 림(22)을 제외한) 축방향 길이는 통상 60 mm 이고, 플런저(15)는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며, 피스톤의 축방향 외부 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판(6)에 접촉하지 않는다. 통상, 체결 장치에 의해 2000 톤의 힘이 발생한다. 초크의 제2 단부가 롤의 견부에 대해 위치되기 때문에, 롤의 제1 단부는 서로에 대해 롤과 초크를 체결시키는 초크의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된다.
초크에 대해 롤을 체결 해제하기 위해, 체결 장치는 이하와 같이 해제된다. 유압 유체는 다시 챔버(18, 19) 내로 유도되어 피스톤(10)을 디스크 스프링(16') 적층물의 힘에 대해 축방향의 내부 방사상 단부벽(5)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한다. 이는 다시 플런저(15)를 벽(5)의 구멍(14) 내로 후퇴시키고, 베어링 종동부의 단부 부분(33)과 벽(5) 사이에 환형 간극을 제공한다. 체결 장치는 단부 부분(33)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체결 부재(20)가 해제되어 롤의 헤드부(36)와 접촉하지 않도록 이동된다. 유압 유체는 그 후에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초크는 가열되어 팽창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초크의 제2 단부가 롤의 견부에 대해 위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단부는 이동될 수 없고, 베어링의 팽창된 결과로 베어링 종동부의 제1 단부는 롤의 제1 단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외향하게 이동될 것이다. 초크 및 초크의 베어링 종동부가 롤에 대한 위치에서 이탈하여 종동부를 마모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이동은 예컨대 0.3 내지 0.9 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는 베어링 종동부와 롤 사이에 약 2000 톤의 힘을 인가한다. 베어링 종동부가 가열될 때, 이러한 힘은 극복될 수 있고, 차례로 디스크 스프링(16') 적층물의 힘에 대해 피스톤(10)을 가압하는 플런저(15)에 대해 가압할 것이다. 이는 피스톤을폐쇄판(6) 향해 축방향으로 외향하게 이동시킨다. 피스톤은 베어링 종동부가 폐쇄판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 이동하여 더 이상 팽창하지 않는 위치에 수납될 것이다. 체결 장치는 베어링 종동부가 가열되기 이전의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피스톤의 축방향의 외부 단부와 폐쇄판(6) 사이의 거리가 약 0.5 mm가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납될 베어링 종동부의 체대 팽창은 0.5 mm이다. 베어링 종동부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을 폐쇄판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정지된다. 베어링 종동부는 제조업자의 최대 허용 팽창을 제공할 것이고, 체결 장치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팽창은 이러한 허용치와 동일하거나 적어야 한다.
베어링이 냉각될 때 베어링은 수축된다. 이 때 플런저는 적층된 디스크 스프링의 영향 하에 하우징 외부로 멀리 이동될 수 있고, 베어링 종동부를 원하는 축방향 위치로 역가압하도록 베어링 종동부에 힘을 가한다.
도5 및 도6은 체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초크에 적어도 반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이 체결 장치를 초크에 끼우기 위해 크레인을 사용할 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장치는 부분적으로 공동이고 외주 측벽(51)을 포함하는 환형 하우징(50)과, 내주 측벽(52) 및 축방향 내부 방사상 단부벽(53)을 포함한다. 축방향 외부 방사상 단부벽은 캡 나사(55)에 의해 두 개의 측벽에 부착된 폐쇄 캡(54)에 의해 환형 본체를 위해 제공된다. 축방향 내부 단부벽(53)은 내부 환형 견부(56)에 의해 제공된다. 환형 리세스(57)는 견부들 사이에 제공된다. 환형 피스톤(58)은 체결 장치의 하우징(50) 내부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피스톤은 단면이 T-형상이고, 환형 견부(59)에 의해 제공된다. 환형 o-링 시일(60)은 견부(59)에 대해 착좌된다.
환형 하우징(50) 주위의 32개 위치에서 (도6 참조) 복수의 부가적 특징이 체결 장치에 제공된다. 각 위치에서, 구멍(61)(도5)이 축방향 방사상 내부 단부벽(53)에 제공되고, 이 구멍은 리세스(57)와 협동한다. 피스톤은 피스톤의 본체에 제공된 리세스(63)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스템(62) 형상의 위치설정 부분을 포함한다. 스템은 구멍(61)내에 위치되고 구멍 내에서 활주식 끼워맞춤된다. 스템은 판(66)에 의해 서로 결합된 제1 원통형 부분(64) 및 제2 원통형 부분(65)을 포함한다. 적층된 디스크 스프링(67)은 피스톤 본체와 판(66) 사이의 부분(64) 주위에 위치된다. 스프링은 인장될 때 하우징(50)의 축방향 내부 방사상 단부벽(53)쪽으로 스템(62)을 가압하도록 작용하고, 구멍(61)을 통해 하우징을 넘어 연장되게 한다. 다이 스프링(68)은 스템의 제2 원통형 부분(65) 주위에 위치되고 판(66)과 하우징의 축방향 내부 방사상 단부벽(53) 사이에 작용하여 이 벽으로부터 피스톤의 본체쪽으로 스템을 가압한다.
상기 장치의 유압 수단(69)은 그리스 건의 그곳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개구(69')(도6)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피스톤(58)과 폐쇄 캡(54) 사이에 제공된 환형 챔버(70)(도7)와 협동한다.
체결 장치는 한 쌍의 체결 아암(71)을 더 포함한다(도6). 각 아암은 아치형 판을 포함하고, 개방 위치로부터 도시된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핀(72)에 의해 폐쇄 캡(54)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다. 체결 아암은 하우징 내의 구멍의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부하 인덱스 핀의 위치에 의해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체결 아암을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핀은 구멍으로부터 제거되어, 하우징내의 다른 구멍의 핀 및 고정 와셔(73)의 위치에 의해 고정되는 폐쇄 위치로 아암이 선회될 수 있게 한다. 체결 장치의 하우징(50)의 외주 측벽(51)은 (도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핀이 내장되는 환형 림(74)에 의해 제공된다.
이제 체결 장치의 작동이 설명된다. 체결 장치는 원통형 초크(76)에 대해 롤(75)을 함께 체결하도록 사용된다. 체결 장치는 롤의 제1 단부와 초크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초크의 제2 단부는 롤 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는) 견부에 대해 접합됨으로써 롤에 대해 위치된다. 롤의 제2 단부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체결 장치에 의해 제2 초크에 체결될 수 있다. 우선 체결 장치는 초크에 부착된다. 초크는 초크 (약간의 변형이 요구되거나 또는 변형이 요구되지 않음) 상으로 볼트 고정된 스페이서 판(78)에 의해 제공된 원통형 베어링 종동부(77)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판은 리세스(79)에 의해 제공된다. 체결 장치의 외주 측벽(51)의 림(74)은 리세스(79) 내에 위치된다. 이는 초크에 대한 체결 장치의 회전 및 상기 장치와 초크 사이의 약간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케 하지만, 초크로부터 체결 장치의 의도되지 않은 제거를 방지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체결 장치는 초크 상의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 롤로부터 초크를 결합 해제시키도록 거기로부터 상기 장치를 제거할 필요성은 없다.
롤(75)의 제1 단부는 감소된 직경의 네크부(80)와 헤드부(81)를 포함한다. 초크에 롤을 체결하도록, 우선 체결 장치의 체결 아암(71)은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된다. 그 다음 롤의 제1 단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80)가 체결장치에 의해 둘러싸이고 헤드부(81)가 체결 장치의 폐쇄 캡(54)을 넘어 연장되도록 초크 내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롤의 직경은 베어링 종동부(77)와 유사하고 베어링 종동부 내부에 활주식 끼워맞춤된다. 이 실시예에서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의 크기는 상기 장치가 베어링 종동부(77)와 롤의 헤드부(8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 때 체결 아암(71)은 롤의 네크부(80) 주위에 위치되는 폐쇄 위치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체결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그리스 건으로부터의 그리스가 개구(69')를 통해 환형 챔버(70) 안으로 도입된다. 이 챔버 안으로의 그리스의 도입은 피스톤(58)이 폐쇄 캡(54)으로부터 멀리 가압될 수 있게 하는 유압을 제공하여, 베어링 종동부(77)의 외부 축방향 면에 대해 피스톤의 스템(62)을 가압시키고 적층된 디스크 스프링(67)과 다이 스프링(68)을 압축되게 한다. 충분한 유압이 이 실시예에서는 50 톤 힘인 상기 장치의 설계 힘을 달성하도록 상기 장치에 인가된다. 이 때 피스톤 주위에 제공된 나사산 형성된 로킹 칼라(82)가 작동 위치로 회전되어, 피스톤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고정하도록 기계적 로킹부로서 작용한다. 그 다음 그리스 건이 제거된다. 유압은 상기 장치 내에 유지되어, 베어링 종동부(77)와 결합되도록 스템(62)을 가압하고 롤 헤드부(81)의 축방향 내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폐쇄 판(54)을 통해 체결 아암(71)을 가압하기 위해 작용한다. 초크의 제2 단부가 롤의 견부에 대해 위치될 때, 초크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롤의 제1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롤과 초크가 서로에 대해 체결된다. 체결 장치는 롤/초크 조립체의 사용 중 발생될 수 있는 과부하 힘, 예를 들면, 100 내지 200 톤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초크에 대해 롤을 체결 해제하도록, 체결 장치는 다음과 같이 비활성화된다. 그리스는 로킹 칼라(82)가 비작동 위치로 회전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압이 약간 증가될 수 있도록 챔버(70) 안으로 도입된다. 유압은 장치 하우징내의 구멍(83)(도6)으로부터 소거(blanking) 플러그를 제거함으로써 챔버(70)로부터 그리스를 해소함으로써 해소된다. 이는 피스톤의 스템(62)이 베어링 종동부(77)로부터 멀리 후퇴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동은 다이 스프링(68)의 압축 감소에 의해 원조된다. 또한 유압의 해소는 적층된 디스크 스프링(67)의 압축 감소를 가능케 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모든 힘이 제거된다. 이 때 체결 아암(71)은 개방 위치에 위치되어 유지되고, 롤은 초크 및 체결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사용시, 초크는 체결 장치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고(예를 들면 약 0.5 내지 1 mm), 초크의 제1 단부와 롤 사이의 거리는 마모로 인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체결 장치에 의해 롤 및 초크로 인가되는 힘의 적어도 부분적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적층된 디스크 스프링(67)이 유압의 인가 시 압축될 때, 초크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스프링(67)은 피스톤(68)의 본체로부터 멀리 초크의 베어링 종동부(77)쪽으로 결합되도록 스템(62)을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디스크 스프링은 롤 및 초크로 힘을 가하는데, 즉, 작동 부하가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다. 유압 수단에 의해 초크 및 롤로 인가되는 원래 힘의 일부는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유지된다.

Claims (52)

  1. 체결 장치에 있어서,
    환형 제1 물품(31, 76) 및 제2 물품(30, 75)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제2 물품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를 통해 그리고 이를 넘어 돌출하고 제1 물품의 제2 단부가 제2 물품에 대해 위치되도록 제1 물품 내에 위치되며,
    하우징(2, 50)과,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15, 62)가 하우징 내에 보유되거나 또는 하우징 내의 대응 개구(14, 61)를 통해 돌출하도록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피스톤(10 58)과, 피스톤 상에 작용하도록 하우징 내에 제공된 압력 수단(16', 69)과, 하우징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0, 71)를 포함하여,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하우징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 사이에 위치되고, 압력 수단은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피스톤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 사이에 작용하여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은 서로에 대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은 탄성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은 유압 수단(6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장치는 유압 수단(1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비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제1 물품(31)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30)의 제1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커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0)가 아니라 하우징(2)이 이들 사이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작동 위치에 있는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하우징(2)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20)가 제1 물품(31)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30)의 제1 단부 사이에 수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의 축방향 길이는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비작동 위치와 작동 위치 사이에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피스톤(10)은 유압 수단(17)을 사용하여 탄성 수단(16')에 대해 가압되어,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도록 장치의 축방향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1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2) 내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유압 수단(17)에 의해 피스톤(10) 상에 생성된 힘은 장치가 작동 위치에 위치되면 제거되고, 탄성 수단(16')은 단독으로 작용하여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15)를 제1 물품(31)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0)를 제2 물품(30)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장치는 탄성 수단(6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유압 수단(69)은 장치를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고 이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장치에 유압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유압 수단(69)은 피스톤(58)과 하우징(50) 사이에 유압을 인가하여 피스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62)를 제1 물품(76)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71)를 제2 물품(75)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67)은 제1 및 제2 물품(76, 75)에 힘을 가하고, 사용시 제1 물품은 제2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하고, 유압 수단(69)에 의해 가해진 힘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손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67)은 피스톤(58)의 본체부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62) 사이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76)의 제1 단부와의 위치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67)은 장치를 작동 위치로 위치시킬 때 유압 수단(69)의 작동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는 로킹 칼라(8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설정부 또는 그 각각을 제1 물품(76)으로부터 멀리 가압하도록 체결 장치를 해제시킬 때 사용될 수 있는, 피스톤(58)의 위치설정부(62) 또는 그 각각과 하우징(50) 사이에서 작동하는 탄성 수단(6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19. 제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은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16', 67, 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 또는 그 각각은 스프링(16', 67, 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6', 67)의 하나 이상의 적층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6', 67)의 2개 이상의 적층물이 제공될 때, 적층물은 피스톤(10, 58) 주위에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6')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10)의 포켓(16) 내에 위치되고, 탄성 부재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의 위치설정부(15)와 사실상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67)의 적층물 또는 그 각각은 위치설정부(62)의 일부(64) 주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5. 제3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압 수단(17, 69)은 피스톤(10, 58)과 하우징 사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챔버(18, 19, 70)에 이르는 하우징(10, 50)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17', 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개구(17', 69')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18, 19, 70) 내로 유압 유체를 도입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유압 유체를 제거하는 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유압 수단(17, 69)은 2개 이상의 쌍의 개구들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제1 개구(17', 69')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18, 19, 70) 내로 유압 유체를 도입시키는데 이용되며, 한 쌍의 제2 개구(17', 83)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유압 유체를 제거하는데 이용되어, 다른 쌍 또는 쌍들의 개구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챔버(18, 19, 70)가 제공될 때, 하나 이상의 채널이 챔버와 상호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9.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 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 50)은 제1 측벽(3, 51), 제2 측벽(4, 52) 및 단부벽(5, 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개구(14, 61) 또는 그 각각은 단부벽(5, 53)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폐쇄판(6, 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폐쇄판(6,54)은 측벽(3, 4, 51, 52)에 부착되고, 하우징(2, 50)의 단부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16', 69)은 폐쇄판(6, 54)에 의해 체결 부재(20, 71) 또는 그 각각 상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10, 58)은 단면이 대체로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피스톤(58)에는 하나 이상의 스템(62)이 제공되어 있으며, 스템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의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스템(62)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58)에 제공된 리세스(63)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8.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에는 하나 이상의 플런저(15)가 제공되어 있으며, 플런저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10)의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플런저(15) 또는 그 각각은 피스톤(10)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는 아치형 판(20,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1.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부재(20, 71) 또는 그 각각 또는 일부는 하우징(2, 50)에 피봇식으로 부착되어, 체결 부재 또는 그 각각이 제2 물품(30, 75)과 위치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 체결 부재 또는 그 각각이 제2 물품과 위치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2.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는 환형 제1 물품(31, 76)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에는 제1 물품(31, 76) 상에 위치하기 위해 림(22, 74) 형태로 위치설정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수단(22)은 제1 물품(31) 상에 제공된 대응 림(34)과 함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위치설정 수단(74)은 제1 물품(76)에 의해 제공된 대응 리세스(79)와 함께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장치는 사실상 환형 형상이고, 환형 제1 물품(31, 76) 상에 위치하고 환형 피스톤(10, 58)을 보유하는 환형하우징(2, 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다수의 위치설정부(15, 62)는 피스톤(10, 58) 주위에 사실상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16', 67)은 위치설정부(15, 62)의 위치와 대응하여 피스톤(10, 58) 주위에 사실상 일정한 간격으로 제공되는 다수의 탄성 수단 적층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체결 장치는 각각이 아치형 판 모양인 2개의 체결 부재(20, 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50. 제1 물품을 제2 물품에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체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은 탄성 수단(16')을 포함하고 장치는 유압 수단(17)을 더 포함할 때,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0)가 아닌 하우징(2)이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30)의 제1 단부 사이에 수용되고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15)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에 대항하여 위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를 제1 물품(31)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물품의 제1 단부에서 멀리 하우징 안쪽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피스톤을 탄성 수단에 대해 가압하는 유압 수단에 의해 유압을 장치에 인가하는 단계와, 장치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 쪽으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이것이 제2 물품과 함께 위치하는 폐쇄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상대적인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도록, 유압 해제하여 탄성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50항에 있어서, 압력 수단은 유압 수단(69)을 포함하고 장치는 탄성 수단(67)을 더 포함할 때, 상기 방법은 체결 장치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제2 물품(75)의 제1 단부 사이에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 장치를 제1 물품(76)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71)를 이것이 제2 물품과 함께 위치하는 폐쇄 위치에 놓는 단계와, 제2 물품의 제1 단부가 제1 물품의 제1 단부로부터 멀리 제2 물품에 대한 제1 물품의 제2 단부의 위치로 가압되어 물품들이 서로에 대해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위치설정부를 제1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제2 물품의 제1 단부와 함께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유압 수단에 의해 장치에 유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3879A 2000-09-18 2001-05-22 체결 장치 및 방법 KR100522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022813.0A GB0022813D0 (en) 2000-09-18 2000-09-18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GB0022813.0 2000-09-18
PCT/GB2001/002258 WO2002024360A1 (en) 2000-09-18 2001-05-22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57A true KR20030046457A (ko) 2003-06-12
KR100522075B1 KR100522075B1 (ko) 2005-10-18

Family

ID=989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879A KR100522075B1 (ko) 2000-09-18 2001-05-22 체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892562B2 (ko)
EP (2) EP1318878B1 (ko)
JP (1) JP3825747B2 (ko)
KR (1) KR100522075B1 (ko)
CN (2) CN100423860C (ko)
AT (2) ATE334755T1 (ko)
AU (2) AU2001258587B2 (ko)
BR (1) BR0113951A (ko)
CA (1) CA2422505C (ko)
DE (2) DE60121972T2 (ko)
ES (2) ES2270398T3 (ko)
GB (2) GB0022813D0 (ko)
MX (1) MXPA03002380A (ko)
RU (1) RU2252340C2 (ko)
WO (1) WO2002024360A1 (ko)
ZA (1) ZA2003021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윙 타입 클램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2440A1 (de) * 2005-05-14 2006-11-16 Sms Demag Ag Vorrichtung zur Drehverriegelung einer, in den Ständerfenstern von Walzgerüsten in Lagereinbaustücken lagernden Walzwerkswalze
SE529022C2 (sv) * 2005-06-17 2007-04-1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Vals samt ring för vals innefattande ett fjäderdon
US7500374B2 (en) * 2007-04-03 2009-03-10 Morgan Construction Company Apparatus for urging an oil film bearing onto and off of a roll neck in a rolling mill
US8021055B2 (en) * 2007-09-05 2011-09-20 Siemens Industry, Inc. Mechanical lock for rolling mill oil film bearing
US20090118809A1 (en) * 2007-11-02 2009-05-07 Torsten Scheuermann Endoprosthesis with porous reservoir and non-polymer diffusion layer
CN101648262B (zh) * 2009-08-29 2012-01-11 湖南九一连续铸轧实业有限责任公司 双辊铸轧机移动轴承座顶紧复位装置
CN102433627B (zh) * 2011-10-11 2014-11-05 绍兴华裕纺机有限公司 气阀开关的锁紧装置
US9334890B2 (en) 2012-01-24 2016-05-10 Kennametal India Limited Hardmetal roll clamping system onto the shaft and the method thereof
US9744576B2 (en) 2013-06-19 2017-08-29 Barnes Group Inc. Lock ring
RU2536601C1 (ru) * 2013-11-27 2014-12-27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RU2539080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9069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7738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7420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6884C1 (ru) * 2014-02-05 2014-12-27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6885C1 (ru) * 2014-02-05 2014-12-27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9075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9079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9073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539076C1 (ru) * 2014-02-05 2015-01-10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US9573178B2 (en) * 2015-01-30 2017-02-21 Novelis Inc. Split ring and method of using improved split ring to assemble a roll
DK3423724T3 (da) 2016-03-01 2021-09-20 Timken Co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forspænding af lejringsanordninger
RU2618707C1 (ru) * 2016-04-07 2017-05-11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617745C1 (ru) * 2016-04-07 2017-04-26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611779C1 (ru) * 2016-04-07 2017-03-01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618734C1 (ru) * 2016-04-07 2017-05-11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618726C1 (ru) * 2016-04-07 2017-05-11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RU2618717C1 (ru) * 2016-04-07 2017-05-11 Николай Митрофанович Панин Промывочный узел бурового долота (вариант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7388A (en) * 1970-09-08 1971-12-14 Morgan Construction Co Hydraulic locking and loosening device for bearing
US3822081A (en) * 1973-03-08 1974-07-02 Morgan Construction Co Axial roll adjustment means
US3966282A (en) * 1973-08-31 1976-06-29 Republic Steel Corporation Bearing chocking assembly for mill rolls
US4000638A (en) * 1975-03-31 1977-01-04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Plate mill finishing stand roll latch ring
US4341426A (en) * 1980-10-22 1982-07-27 The Timken Company Clamp-up device for roll neck bearings
DE3607729C3 (de) * 1986-03-08 1995-06-29 Skf Gmbh Wälzlagerung, für Arbeitswalzen in Hochgeschwindigkeitswalzwerken
DE3628733A1 (de) * 1986-08-23 1988-02-25 Schloemann Siemag Ag Vorrichtung zum axialen anstellen der walzen von walzgeruesten zur herstellung von profilstahl
US4776078A (en) * 1987-07-06 1988-10-11 Howard Robert S Sleeve mounting and removal tool
US5029461A (en) * 1988-02-18 1991-07-09 N H C, Inc. Hydraulic fastener
SE462572B (sv) * 1988-05-03 1990-07-16 Skf Ab Anordning vid tvaa parvis monterade rullningslager upptagande axiell och radiell belastning
DE8807036U1 (ko) * 1988-05-30 1989-10-05 Martin Schaaf Hydraulik - Spanntechnik, 5140 Erkelenz, De
CN2122010U (zh) * 1992-03-04 1992-11-18 冶金工业部北京钢铁设计研究总院 轧机轧辊轴向调节装置
JP2966230B2 (ja) * 1993-04-09 1999-10-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機におけるロールのスラストリング及びその取付け構造
CN2165942Y (zh) * 1993-06-16 1994-05-25 涟源钢铁总厂 高刚度轧机的轴向调整机构
DE4334021C1 (de) * 1993-10-06 1995-04-06 Achenbach Buschhuetten Gmbh Vorrichtung zum Positionieren und Verriegeln eines Einbaustückes auf einem Walzenzapfen beim Ein- und Ausbau eines Walzensatzes in ein bzw. aus einem Walzgerüst mit Walzen
CN2193777Y (zh) * 1993-12-31 1995-04-05 本溪钢铁公司 轧机轧辊轴向调整装置
CN2191048Y (zh) * 1994-02-22 1995-03-08 本溪钢铁公司 一种轧辊轴向固定装置
CN2249135Y (zh) * 1996-05-09 1997-03-12 冶金工业部重庆钢铁设计研究院 一种轧机轴向调整装置
US6042273A (en) * 1998-10-28 2000-03-28 Colonial Tool Group Inc. Adjustable preload spindle
DE19910541C1 (de) * 1999-03-09 2000-04-20 Sket Walzwerkstechnik Gmbh Vorrichtung zur Montage, Sicherung und Demontage eines auf einer fliegend gelagerten Walzenwelle verspannten Walzrings
US6132101A (en) * 1999-07-28 2000-10-17 Voest Alpine Industries, Inc. Roll bearing assembly having integral compon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105A (ko) * 2018-07-03 2020-01-13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윙 타입 클램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35555T1 (de) 2006-09-15
DE60122218D1 (de) 2006-09-21
CN1695840A (zh) 2005-11-16
RU2252340C2 (ru) 2005-05-20
ZA200302138B (en) 2004-06-23
GB0022813D0 (en) 2000-11-01
MXPA03002380A (es) 2005-02-25
US20050005663A1 (en) 2005-01-13
EP1318878A1 (en) 2003-06-18
CN1471443A (zh) 2004-01-28
US6892562B2 (en) 2005-05-17
EP1557226A1 (en) 2005-07-27
WO2002024360A1 (en) 2002-03-28
BR0113951A (pt) 2003-09-30
ATE334755T1 (de) 2006-08-15
CA2422505C (en) 2009-02-17
JP2004508934A (ja) 2004-03-25
DE60121972T2 (de) 2007-01-11
EP1318878B1 (en) 2006-08-02
KR100522075B1 (ko) 2005-10-18
AU2001258587B2 (en) 2005-01-06
CN1305592C (zh) 2007-03-21
AU5858701A (en) 2002-04-02
DE60121972D1 (de) 2006-09-14
EP1557226B1 (en) 2006-08-09
ES2265430T3 (es) 2007-02-16
US7017381B2 (en) 2006-03-28
ES2270398T3 (es) 2007-04-01
JP3825747B2 (ja) 2006-09-27
GB0120259D0 (en) 2001-10-10
GB2366835A (en) 2002-03-20
CA2422505A1 (en) 2002-03-28
CN100423860C (zh) 2008-10-08
US20030177806A1 (en) 2003-09-25
DE60122218T2 (de)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075B1 (ko) 체결 장치 및 방법
AU2001258587A2 (en)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AU2001258587A1 (en) Fastening apparatus and method
CA2371190C (en) Quick release nut
CA2413831C (en) Two stage clamping pinion
US4989443A (en) Crimping apparatus
JP2004508934A5 (ko)
JPH0768329A (ja) プレス工具
JPH06264909A (ja) 張力装置
EP2233245B1 (en) Clamping device
GB2387420A (en)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JPS61252921A (ja) クラツチ解結機構
EP3498550B1 (en) Spring portion of a spring brake actuator, spring brake actuato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3047243B2 (ja) 倍力機構を有するシリンダ
JPH01131334A (ja) 自己サーボ式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2323014A (ja) 多点ストッパー用ロック装置
JPH03264149A (ja) タイバー着脱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