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402A -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402A
KR20030046402A KR10-2003-7001513A KR20037001513A KR20030046402A KR 20030046402 A KR20030046402 A KR 20030046402A KR 20037001513 A KR20037001513 A KR 20037001513A KR 20030046402 A KR20030046402 A KR 2003004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wheels
driving
front wheels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390B1 (ko
Inventor
유루시토시유키
Original Assignee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씨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3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0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with different steering modes, e.g. crab-steering, or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revers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차체(2)측에 대해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후차륜(4)을 바로 옆을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다. 전차륜(3)을 각각 마스트(6)측에 대해서 종축심(26)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선회부재(27)에 부착하고, 선회부재(27)의 회동수단(40)을 설치했다. 전차륜(3)은 각각 선회부재(27)에 부착한 주행구동수단(30)에 연동하고있다. 전차륜(3)을 바로 옆을 향하도록 방향전환했을 때, 선회부재(27)와 일체적으로 주행구동수단(30)도 회동해서 마스트 외측면의 외방에 위치할 수 있다. 주행구동수단(30)을 위해 마스트(6)를 전차륜(3) 등에 대해서 필요이상으로 전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자중을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FORK LIFT WITH TRAVERSE MOTION SYSTEM}
종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차량으로서는, 대형의 운반차, 일부의 적재기 등에 보여지며,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리치식 전기차에 존재한다. 또한, 차량의 이동에 대하여 마스트(mast)나 포크가 가로방향으로 부착되고, 긴 물건을 취급하는 사이드포크리프트는 있다. 그러나, 카운터 타입의 포크리프트에 있어서는, 보통의 작업에 더하여, 가로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이드포크와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포크리프트를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륜인 전차륜을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조타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도 8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포크리프트(1)는 그 차체(2)의 전방부에 좌우 한 쌍의 전차륜(구동륜)(3)이 설치됨과 아울러, 후방부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방향전환륜)(4)이 설치되고, 그리고 차체(2)의 전방부에서 상방에는 운전석(5)이 설치된다. 상기 차체(2)의 전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한 마스트(6)가 차폭방향의 전차륜(7)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전후회동을행하게 하는 틸트실린더(8)가 차체(2)와 마스트(6)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6)는 포크리프트(1)측의 좌우 한 쌍의 외측프레임(9)과, 이 외측프레임(9)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좌우 한쌍의 내측프레임(10)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외측프레임(9)과 내측프레임(10) 사이에 리프트실린더(11)가 설치된다. 또 내측프레임(10)측에 안내되어 승강가능한 리프트브래킷(12)이 설치됨과 아울러, 이 리프트브래킷(12)에 상하 한 쌍의 핑거바(finger bar)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포크(13)가 설치된다.
상기 운전석(5)에는 좌석(15)이나, 이 좌석(15)의 전방에 위치되는 핸들(16) 등이 설치되고, 그리고 상방에는 본체(2)측으로부터 기립된 프론트파이프(17)나 리어파이프(18)를 통해 헤드가드(19)가 설치된다. 또한 좌석(15)의 후방에서 본체(2) 상에는 카운터웨이트(2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포크리프트(1)에서는 좌우의 전차륜(3)이 공통의 주행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있는 것 등으로부터, 이들 전차륜(3)을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없고, 이로써 가로주행은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가로주행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주행구동수단을 강조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보통 주행시, (b)는 가로주행시이다.
도 2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보통 주행시의 측면도.
도 3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전차륜부분의 측면도.
도 4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전차륜부분의 일부절개 정면도.
도 5는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후차륜부분의 일부절개 평면도.
도 6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후차륜부분의 배면도.
도 7은 동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의 회동수단을 강조한 개략평면도로서, (a)는 보통 주행시, (b)는 가로주행시.
도 8은 종래예를 나타내며, 포크리프트의 측면도.
그래서 본 발명은, 전차륜 및 후차륜을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고, 또한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학 위해서, 본 발명의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트리프트는, 차체측에 대해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마스트측에 대해서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에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보통 주행시에는 좌우의 전차륜 및 좌우의 후차륜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포크를 마스트에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기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보통 주행시에서 가로주행으로 전환할 때, 예를 들면 레버식 주행모드스위치를 조작해서 회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즉, 회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전차륜을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시켜서 차체에 대해서 90도상(바로 옆으로)으로 방향전환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전차륜을 바로 옆으로 방향전환한 후, 포크리트를 좌우로 가로주행할 수 있다.
또 전차륜을 바로 옆을 향하도록 방향전환했을 때, 선회부재와 일체로 주행구동수단도 회동해서 마스트에 있어서의 외측면의 외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차륜을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는 형식이면서, 주행구동수단을 위해 마스트를, 전차륜 등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전방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즉 마스트는 종래의 비가로주행식의 포크리프트와 같이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자체무게를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종래예(도 8)와 동일한 구성물 또는 거의 동일한 구성물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1은 포크리프트, 2는 차체, 3은 전차륜(구동륜), 4는 후차륜(방향전환륜), 5는 운전석, 6은 마스트, 8은 틸트실린더, 9는 외측프레임, 10은 내측프레임, 11은 리프트 실린더, 12는 리프트브래킷, 13은 포크, 15는 좌석, 16은 핸들, 17은프론트파이프, 18은 리어파이프, 19는 헤드가드, 20은 카운터 웨이트를 각각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바로 옆)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차체(2)측에 설치되어 있는 마스트(6)의 양 외측프레임(9)에는 그 하부 후면에 브래킷(21)을 통해 연결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재(22)는 원주형상으로, 길이방향을 차폭방향으로 해서 설치되며, 이로써 마스트(6)는 차체(2)측에 대해서, 연결부재(22)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2)의 외단에는 통형상의 유지부재(23)가 관통부를 상하방향으로 해서 고정되고, 이 유지부재(23)에 대해서, 베어링장치(24)와 종축(25)을 통해 종축심(26)의 둘레로 회동가능한 선회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선회부재(27)는 역L자 형상으로서, 그 횡판부분이 종축(25)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종판부분에는 주행구동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구동수단(30)은 전동모터(31)나 감속기(32)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감속기(32)의 마운트를 통해 종판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 감속기(32)로부터의 회전플랜지는 횡방향의 차축(33)으로 되며, 이들 차축(33)에 대해서 전차륜(3)의 림(3A)이 각각 연결구(34)를 통해 직접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선회부재(27)는 각각 마스트(6)측에 대해서 종축심(26)의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은 각각 선회부재(27)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30)에 연동되게 된다. 여기에서, 종축심(26)의 대략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 선회부재(27)가 마스트(6)측에 대해서 종축심(26)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주행구동수단(30)은 종축심(26)으로부터 외측프레임(9)의 후면까지의 차길이방향에서의 방향전환 허용길이(L)를 최단으로 해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차체(2)측에는 상기 선회부재(27)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전륜회동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전륜회동수단(40)은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갖고, 이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는 그 본체(41a)가 차체(2)측(또는 브래킷(21)측)에 종핀(42)을 통해 요동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피스톤로드(41b)가 한쪽의 선회부재(27)에 고정된 링크(43)에 세로방향의 연결핀(44)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선회부재(27)로부터 연장설치된 암(45) 사이가 링크체(46)와 연결핀(47)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링크(43)를 통해 선회부재(27)를 회동시킴으로써, 한쪽의 전차륜(3)을 종축심(26)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바로 옆으로 향하게 함과 아울러, 암(45)이나 링크체(46) 등을 통해 다른 쪽의 전차륜(3)을 종축심(23)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바로 옆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전륜회동수단(40)에 의하면, 공통의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전차륜(3)이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41∼47 등에 의해, 전륜회동수단(40)의 일례가 구성된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각각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바로 옆)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의 림(4A)은 각각 역L자형상의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종판부분에 가로방향의 차축(51) 등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선회부재(50)에 있어서의 횡판부분은 베어링장치(52)와 종축(53)을 통해, 차체(2)측에 대하여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에 종축심(54)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후차륜(4)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60)이 설치되고, 이 후륜회동수단(60)은 방향전환용 실린더(61)나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등으로 구성된다.
즉, 방향변환용 실린더(61)는 그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피스톤(61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61c)는 차폭방향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61c)의 돌출된 양단부가 각각 유지프레임체(62)를 통해 차체(2)측에 고정되고, 이로써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는 좌우 한 쌍으로서, 각각의 본체(63a)는 연결재(64)를 통해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에 일체화(연결)되어 있다. 그 때에 이들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피스톤(63b)에 연결된 피스톤로드(63c)는 각각 차폭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축(53)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암체(65)와 피스톤로드(63c)의 돌출단 사이가 링크(66)나 세로방향의 연결핀(67, 68) 등을 통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후륜 회동수단(60)에 의하면,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은 고정된 피스톤로드(61c)에 대해서 본체(61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행해지고, 그리고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와 일체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본체(63a)가 차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때에 유지프레임체(62) 사이에는 연결재(64)를 관통하는 가이드체(도시생략)가 설치되고, 이로써 가이드체에 의해, 본체(61a, 63a)의 이동안내와 회전방지가 행해진다.
상기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은 핸들(16)을 돌림으로써 궤도롤(전체유압식 파워스티어링)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는 방향전환용 실린더(61)가 중립형상일 때에 콘트롤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후차륜(4)을 따로따로 회동가능하게 하여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됨과 아울러,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작동시에는 소정의 비작동자세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링크(66)나 암체(65) 등을 통해 종축(53)을 회동시킴으로써, 선회부재(50) 등을 통해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방향전환하여 바로 옆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후차륜(4)은 서로 역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61∼71 등에 의해,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후륜 회동수단(6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차체(2)측에는 배터리(75)가 탑재되고, 이 배터리(75)에는 콘트롤러(76)가 부설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러(76)로부터의 케이블(동력원 공급부품)(77)이 상기 전동모터(3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의 (a)나 도 2∼도 6의 실선, 및 도 7의 (a)는 보통 주행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좌우의 전차륜(3) 및 좌우의 후차륜(4)은 전후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주행이동할 수 있다.
즉, 배터리(75)의 전력을 콘트롤러(76)에 의해 제어한 후 케이블(77)을 통해 전동모터(31)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1)를 구동함으로써, 감속기(32)나 차축(33) 등을 통해 전차륜(3)을 정역으로 구동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을 전후로 주행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용 레버를 조작하여 리프트 실린더(11)를 작동시킴으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를 마스트(6)에 따라 승강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소기의 포크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틸트용 레버를 조작하여 틸트실린더(8)를 작동시킴으로써, 마스트(6)를 연결부재(22)의 둘레로 회동(경도)시킬 수 있고, 이로써 리프트브래킷(12) 등을 통해 포크(13)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주행이동시에 핸들(16)의 조종에 따라서 선회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핸들(16)을 좌측으로 돌림으로써, 방향전환용 실린더(61)의 본체(61a)는 궤도롤(70)로 좌측으로 작동되고, 연결재(64)를 통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본체(63a)가 일체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양 후륜 가로주행용실린더(63)는 소정의 수축한계에서 비작동자세로 링크형상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의 좌측으로의 이동은 링크(66)를 통해 암체(65)에 전달되고, 이로써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후차륜(4)을 방향전환시켜 좌선회할 수 있다.
또,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를 중도까지 수축이동시켰을 때에는, 양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좌우의 후차륜(4)을 그 외연이 조금 전방이 되도록 비스듬히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양 전차륜(3)을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회전시킴으로써, 그 장소에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이 하여, 예를 들면 핸들(16)을 우측으로 돌림으로써 우선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통 주행시로부터 가로주행으로 변환할 때, 우선 방향전환용 실린더(61)가 도 5에 나타내는 중립형상(직진형상)의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도시생략)를 조작하고, 전륜 회동수단(40)과 후륜 회동수단(60)을 작동시킨다.
즉 전륜 회동수단(40)에서는, 레버식의 가로주행모드 스위치를 조작하여 레버를 기울임으로써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작동시키고, 링크(43)를 통해 선회부재(27)를 종축심(26)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의 (b)나 도 2∼도 4의 가상선, 및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바로 옆)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 때, 선회부재(27)와 일체로 주행구동수단(30)도 회동되고, 각각의 전동모터(31)가 외측프레임(9)에 있어서의 외측면의 외측에위치된다. 또한 종축심(26)의 거의 바로 아래부분에 전차륜(3)이 위치되어 있으므로, 전차륜(3) 등은 간략하게 90도상의 방향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후륜 회동수단(60)에서는 콘트롤밸브에 의해 양 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63)가 신장이동되고, 피스톤로드(63c)의 돌출이동이 링크(66)를 통해 암체(65)에 전달되고, 선회부재(50)를 종축심(54)의 둘레로 회동시키고, 이로써 도 1의 (b), 도 2, 도 5, 도 6의 가상선, 및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차륜(4)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바로 옆)으로 방향전환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의 방향전환을 행한 것, 즉 전차륜(3)이나 후차륜(4)이 바로 옆을 향하도록 방향전환한 것을 센서로 감지하고, 인디케이터램프를 점등시키고, 이로 인해 가로주행모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포크리프트(1)는 운전석(5)의 좌석(15)에 앉은 작업자가 핸들(16)을 조종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하여, 배터리(75)의 전력을 콘트롤러(76)에 의해 제어한 후 케이블(77)을 통해 전동모터(31)에 각각 공급하고, 이 전동모터(31)를 구동해서 전차륜(3)을 정역으로 구동회전시키고, 이로써 포크리프트(1)를 좌우로 가로주행시킬 수 있다. 이 때에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은 추종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로주행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긴 물건의 반송을 포크리프트(13)를 통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로주행에 있어서의 직진성의 보정은 레버를 전후로 기울여 전륜 가로주행용 실린더(41)를 미세하게 작동시키고, 전차륜(3)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크리프트(1)에 있어서는 전차륜(3)을 종축심(26)으로부터 외측프레임(9)의 후면까지의 차길이방향에서의 방향전환 허용길이(L)를 최단으로 해서 설치함으로써, 전륜 회동수단(40)에 의해 전차륜(3)을 차체(2)에 대하여 90도상으로 방향전환시켰을 때, 주행구동수단(30)도 일체로 회동시켜서 전동모터(31)를 외측프레임(9)에 있어서의 외측면의 외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차륜(3)을 바로 옆으로 향하도록 조타할 수 있는 형식이면서, 주행구동수단(30)을 위해 마스트(6)를 전차륜(3) 등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전방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고, 즉 마스트(6)는 종래의 비가로주행식의 포크리프트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무게를 무겁게 하는 일없이 전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무게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75)의 불필요한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카운터타입의 포크리프트(1)를 나타냈지만, 사이드포크리프트 등이라도 마찬가지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행구동수단(30)으로서 전동모터(31)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유압모터라도 된다. 그 경우, 포크리프트(1)의 구동형식으로서, 2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이나, 1펌프 2모터 타입의 유압구동 시스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 전륜 회동수단(40)이 설치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전차륜(3)을 각각의 전륜 회동수단에 의해 따로따로 회동시키는 형식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을 동시에 회동시키는 공통의후륜 회동수단(60)이 설치된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좌우 한 쌍의 후차륜(4) 중, 한 쪽의 후차륜(4)을 핸들휠에 의한 스티어형식, 다른 쪽의 후차륜(4)을 선회 캐스터형식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가로주행으로 전환했을 때, 한쪽의 후차륜(4)을 실린더 등에 의해 강제적으로 방향전환시킨다. 또 양 후차륜(4) 모두 캐스터형식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마스트(6)의 양 외측프레임(9)에 브래킷(21)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연결부재(22)가 설치된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좌우 공통의 1개의 연결부재(22)가 설치된 형식이어도 좋다.

Claims (1)

  1. 차체측에 대해서, 좌우 한 쌍의 전차륜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이, 각각 90도상으로 방향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전단측에는 마스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마스트측에는 포크가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마스트측에 대해서 종축심의 둘레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부재에 부착됨과 아울러, 선회부재의 회동을 행하게 하는 회동수단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전차륜은 각각 선회부재에 부착된 주행구동수단에 연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20037001513A 2000-08-04 2001-06-28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700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6329A JP2002046992A (ja) 2000-08-04 2000-08-04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JP-P-2000-00236329 2000-08-04
PCT/JP2001/005602 WO2002012111A1 (en) 2000-08-04 2001-06-28 Fork lift with traverse mo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02A true KR20030046402A (ko) 2003-06-12
KR100700390B1 KR100700390B1 (ko) 2007-03-28

Family

ID=1872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513A KR100700390B1 (ko) 2000-08-04 2001-06-28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54552B2 (ko)
EP (1) EP1354844A4 (ko)
JP (1) JP2002046992A (ko)
KR (1) KR100700390B1 (ko)
CN (1) CN1239380C (ko)
TW (1) TW565528B (ko)
WO (1) WO2002012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5901B4 (de) * 2003-02-13 2006-11-30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Schubmaststapler
US7744335B1 (en) * 2003-10-08 2010-06-29 Tamara Cleary Pallet jack with independently elevatable fork arms
GB2412902B (en) * 2004-04-07 2008-04-09 Linde Ag Industrial truck having increased static or quasi-static tipping stability
US20070213869A1 (en) * 2006-02-08 2007-09-13 Intermec Ip Corp. Cargo transporter with automatic data collection devices
US20070289798A1 (en) * 2006-06-17 2007-12-20 Manfred Kaufmann Sideloader forklift with all wheel steering
US20070289791A1 (en) * 2006-06-17 2007-12-20 Manfred Kaufmann Sideloader with improved visual operability
US20080277890A1 (en) * 2007-05-07 2008-11-13 Boster Ii Roger D Four-Way Forklift With Outwardly Pivoting Wheel Arms
DE102012110988B4 (de) * 2012-11-15 2021-12-23 Hubtex Maschinenbau Gmbh & Co. Kg Lenksystem für ein Flurförderzeug und Flurförderzeug
CN103754284A (zh) * 2014-01-28 2014-04-30 浙江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可以四向行驶的工业车辆及该种工业车辆的行走机构
CN112141956B (zh) * 2020-09-16 2022-02-11 中建材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激光导航叉车的定位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6295A (en) * 1957-11-25 1961-05-30 Towmotor Corp Narrow aisle warehousing lift truck
US3255840A (en) * 1962-08-08 1966-06-14 Tangen Anthony Motor vehicle with four driven and steered wheels
US3534825A (en) * 1968-08-05 1970-10-20 Eaton Yale & Towne Vehicle drive and steer mechanism
JPS572215Y2 (ko) * 1974-05-07 1982-01-14
US4024968A (en) * 1975-09-02 1977-05-24 Towmotor Corporation Heavy lift side loader truck
NL7806778A (nl) * 1978-06-23 1979-12-28 Kooi Bv Vorkheftruck.
US4498554A (en) * 1982-05-03 1985-02-12 Young Roy E Highly maneuverable prime mover
US4486739A (en) * 1982-06-30 1984-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yte oriented DC balanced (0,4) 8B/10B partitioned block transmission code
US4599030A (en) * 1985-04-01 1986-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arginal terrain straddle-lift container handler
US4823899A (en) * 1986-07-10 1989-04-25 Ashot Ashkelon Industries Ltd. Steering apparatus
US4893689A (en) * 1987-07-02 1990-01-16 Laurich Trost Victor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ing a motor vehicle
JPH0764272B2 (ja) 1989-05-22 1995-07-12 有限会社カーネル 自走式作業台車
DE4110792C2 (de) * 1991-04-04 1995-01-26 Fraunhofer Ges Forschung Lenkbarer Radantrieb
US5409346A (en) * 1991-10-31 1995-04-25 Grether; Martin Self-loading and unloading forklift truck
JPH05246346A (ja) * 1992-03-09 1993-09-24 Mitsubishi Heavy Ind Ltd 運搬台車
WO1997034397A1 (en) * 1996-03-11 1997-09-18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level transmission of data
JPH10244951A (ja) * 1997-03-07 1998-09-14 Meidensha Corp フォークリフト
EP1215162A1 (en) * 1999-04-26 2002-06-19 TCM Corporation Fork lift with laterally moving system
US6557658B1 (en) * 1999-05-21 2003-05-06 Tcm Corporation Forklift having transverse travel system
GB2356624B (en) * 1999-10-30 2004-04-14 Jungheinrich Ag Fork-lift truck
USD448136S1 (en) * 2000-03-30 2001-09-18 Tcm Corporation Fork lift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54844A1 (en) 2003-10-22
EP1354844A4 (en) 2005-04-13
CN1239380C (zh) 2006-02-01
TW565528B (en) 2003-12-11
KR100700390B1 (ko) 2007-03-28
US20040020724A1 (en) 2004-02-05
JP2002046992A (ja) 2002-02-12
CN1446177A (zh) 2003-10-01
WO2002012111A1 (en) 2002-02-14
US6854552B2 (en) 200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54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781655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US6688416B2 (en) Working vehicle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KR100700390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100665552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작업차량
KR100735598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보유한 작업차량
JP3140005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40012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21806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121809B1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3272341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3140013B2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1226090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1010791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フォークリフト
JP2000309498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マスト装置
JP2002037595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2234698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2002274791A (ja) 横行システムを持った作業車両
JPH08324447A (ja) 車両の車輪換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