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13A -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13A
KR20030046013A KR1020010075976A KR20010075976A KR20030046013A KR 20030046013 A KR20030046013 A KR 20030046013A KR 1020010075976 A KR1020010075976 A KR 1020010075976A KR 20010075976 A KR20010075976 A KR 20010075976A KR 20030046013 A KR20030046013 A KR 2003004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dge
rivers
dredging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1795B1 (ko
Inventor
박경북
조항문
Original Assignee
(주)이앤엠코리아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조항문
박경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엠코리아,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조항문, 박경북 filed Critical (주)이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1-0075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7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E02F3/9268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 E02F3/9281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with rotating cutting elements with axis of rotation in horizontal and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ction pi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87Vibrating suction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자연 또는 인공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표층수 및 심층수의 수질정화는 물론이고, 바닥에 퇴적물중 오염물질만을 선별적으로 제거하며, 세척된 모래가 바닥에 피복되도록 함으로서 수질오염예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오염된 퇴적오니를 처리하는 종래의 방식은 처리대상 수역에서 퇴적오니를 준설하여 바지선의 선체 상이나 처리대상 수역에 인접되어 있는 육지 상에 별도로 마련된 퇴적오니 처리조로 이송시켜 처리하였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는 시설물 장착에 따른 대규모의 바지선이 필요하고 후자의 경우는 육지까지 준설된 퇴적오니를 이송시켜야 하는 별도의 이송시설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송작업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시설물 설치를 위한 넓은 면적의 부지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또한 준설된 퇴적오니를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오니가 포함된 물만을 처리하고 준설된 퇴적오니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는 별도의 세척 없이 단순히 분리만하여 주변지역에 포설토록 함으로서 모래에 부착되어 있는 오니에 의하여 주변지역에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처리수역의 현장 바닥에 고압수를 직접 분사시켜 퇴적오니가 부상되도록 하고, 처리수역 내에서 응집약품이 포함된 가압수를 분사시켜 부상되는 오니를 제거토록 한 처리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정화 효과가 바닥의 표면에 국한되며, 바닥층의 모래입자에 부착된 일부의 오니는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처리수역의 현장에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의 준설방법에 있어서, 퇴적토를 처리수역의 물과 흡입하여 오니수와 모래입자를 선별한 후 오니수는 처리수역의 수면에서 가압부상공법으로 부상시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된 모래입자는 준설수역의 바닥에 피복시킴으로서, 오염수역의 수질을 정화하고, 오염된 퇴적오니와 심층수의 처리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모래입자에 의한 2차 오염원의 발생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바다, 강, 댐, 하천, 저수지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

Description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A dredging system and apparatus of accamulated sludge using pressure floataition method in water area such as the sea,lakes,and rivers}
본 발명은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자연 또는 인공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리하고자 하는 바닥에 퇴적된 오염물질과 오염된 수역의 표층수 및 심층수를 모두 정화함과 동시에 세척된 모래가 바닥에 피복되도록 함으로서 수질오염예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바다, 강, 대, 하천, 연못 등 수역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처리방식으로서, 처리대상 수역에 선체 상에 퇴적오니를 끌어 올려 처리하기 위한 시설들이 장착되어진 바지선을 띄어 준설된 퇴적오니를 바지선의 선체 상에서 정화시켜 처리하거나, 처리대상 수역에 인접되어 있는 육지 상으로 준설된 퇴적오니를 이송시켜 별도로 마련된 퇴적오니 처리조에서 처리하였던 것으로, 전자의 경우는 선체 상에 준설된 퇴적오니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시설물들이 장착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바지선이 필요하고, 후자의 경우는 준설된 퇴적오니를 육지까지 이송시켜야 하는 별도의 이송시설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송작업의 어려움이따르게 되고, 퇴적오니 시설물 설치에 따른 넓은 면적의 부지가 필요하였던 것이고, 또한 처리대상 수역에 육지가 인접된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바다 등 광역의 해역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준설된 퇴적오니를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퇴적오니에 포함된 모래를 분리한 후 오염된 물만을 처리토록 되어 있어 분리된 모래에는 여전히 다량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게 마련이나, 이러한 모래는 그대로 처리된 수역에 다시 포설되거나 주변 지역의 육지 상에 그대로 포설되기 때문에 포설된 지역의 수질 또는 토양을 심하게 오염시킬 뿐 아니라 부패에 따른 심한 악취를 발생시켜 2차 오염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처리수역의 현장 바닥에 고압수를 직접 분사시켜 퇴적오니를 부상토록 하고, 부상되는 오니에 응집약품과 압축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분사시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의 제거가 가능토록 한 처리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수심이 깊으면 기체의 용해도가 증가하고, 분사된 가압수로부터 생성된 기포의 크기도 작아 부상속도가 낮아지는 등 오염물질을 부상시키기 위한 공기의 양도 수표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보다 더 많이 소요되어 더 많은 양의 가압수를 공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비의 규모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퇴적오니에 고압수 분사를 통해 바닥을 교란시키고 가압수를 주입하여 부상시킬 경우에도 교란된 바닥으로부터 재 현탁된 미세입자들은 가압수와 함께 공급된 응집제와 반응한 후 기포와 합께 수면으로 부상되지만, 비중이 작은 유기성 입자라 하더라도 입경이 수 mm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입자 표면에 전하를 띠지 않기 때문에 고압수에 의해 교란되어도 미세기포와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부상되지 않고 다시 가라앉을 뿐 아니라, 퇴적오니에는 비교적 입경이 큰 모래 입자들도 혼합되어 있어 준설과정에서 모래입자는 비중이 커서 부상되지 않고 곧 하강되기 때문에 모래입자에 부착된 오니의 일부는 처리되지 않고 모래입자에 그대로 잔재됨으로서 퇴적오니의 처리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수역의 현장에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준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퇴적오니와 오염된 심층수 및 표층수를 높은 처리효율로 정화함과 동시에 준설토에 포함된 모래를 세척하여 처리수역의 바닥에 다시 피복시킴으로서 2차 오염원의 발생을 방지토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처리수역의 현장에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의 준설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 작업수역의 일측에서는 고압수를 분사시켜 퇴적토를 유동시키고 타측에서는 유동되어지는 퇴적토를 흡입시키면서 퇴적토의 이송관로에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주입시켜 퇴적토의 1차 정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1차 정화된 퇴적토를 오니와 모래입자로 선별하여 퇴적오니와 모래입자로부터 분리된 오니는 작업수역의 수면에서 2차 정화에 의한 플록을 형성시켜 제거토록 하고 세척된 모래입자는 처리수역에 살포시켜 바닥면을 피복토록 함으로서 퇴적오니의 처리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바닥면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용출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퇴적오니 준설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처리 개통도.
도 2는 본 발명 퇴적오니 준설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퇴적오니 준설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고압수 1a: 산성수
2: 퇴적토 4, 4a: 가압수
5: 오니수 6: 모래입자
10: 작업수역 20: 선별장치
30: 교반장치 40: 교반기
50: 본체부
51: 고압수 유입이송부 52: 퇴적토 유출이송부
53: 가압수 분사관 54: 퇴적토 긁음기
55: 교반기
60: 제어수단
70: 이동수단
80: 고액분리실
81: 퇴적토 반송관 82: 오니수 배출부
83: 모래 배출부 84: 교반기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처리 개통도로서, 처리수역의 현장에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의 준설방법에 있어서, 처리수의 바닥부의 일정영역에 작업수역(10)을 지정하고, 상기 작업수역(10)의 일측에서는 고압수(1)를 분사시켜 처리수역의 바닥부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토(2)를 유동시키고 타측에서는 유동되어지는 퇴적토(2)와 상기 고압수(1)를 처리수역의 표면으로 흡입시키면서 퇴적토(2)와 고압수(1)의 이송관로(3)에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4)를 주입시키고, 흡입된 퇴적토와 고압수를 선별장치(20)로 유입시켜 오니수(5)와 모래입자(6)로 선별한 후, 오니수(5)는 처리수역의 수면으로 분사시켜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또 다른 가압수(4a)에 의하여 응집물로 부상시켜 제거토록 하고, 모래입자(6)는 처리수역에 살포시켜 바닥면을 피복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압수(1)는 외부의 물을 사용하거나 처리수역의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처리수역의 오염된 심층수를 사용하면 심층수의 정화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니수(5)는 고압수(1)에 퇴적오니와 모래입자로부터 분리된 오니가 포함된 것이고, 처리수역에 살포되는 상기 모래입자(6)는 고압수(1)에 의하여 부착성 오니가 탈리된 상태인 것이다.
이때 상기 선별장치(20)의 전단에 교반장치(30)를 설치하여 흡입된 고압수(1)와 퇴적토(2)가 선별장치(20)로 유입되기 전에 교반장치(30)로 유입토록 함으로서 강한 교반에 따른 퇴적토(2)에 포함된 모래입자들이 서로 충돌되고 또한 모래입자 표면에서 강한 전단응력이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모래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니를 비롯한 각종 미세한 부착성 오염물질의 탈리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장치(30)의 내부 또는 교반장치(30)로의 유입관로에 초음파 진동장치(30a)를 설치하여 흡입된 퇴적토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부여토록 함으로서 모래입자와 유기성 입자의 분리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장치(20)로서 선회류를 일으키는 원심선별장치를 이용하면 선회류에 의한 모래입자(6)의 분리효율을 높여 오니수(5)와 모래입자(6)의 선별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별장치(20)로부터 모래입자(6)가 배출되는 영역으로 터빈이나 프로펠라 등의 교반기(40)를 수중에 설치하거나 수역의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이 영역에서의 수류에 교란을 발생시켜 모래입자(6)의 퍼짐을 발생시킴으로서 모래입자(6)에 잔재되어 있는 여분의 이물질까지도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세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퇴적토(2)의 이송관로(3)에 주입시키는 가압수(4)를 응집약품과 공기를 포함시켜 하나의 관로를 사용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만 설명되어 있으나,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 관로와 응집약품 주입관로를 별도로 하여 주입시켜도 동일한 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처리수역에는 처리수역을 미 처리수역과 구분토록 하기 위한 구획막(50)을 설치한 상태에서 준설작업을 실시토록 하면 처리수와 미 처리수의 혼합이 방지토록 됨으로서 퇴적오니의 준설과 동시에 오염된 수역의 물까지도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것으로, 퇴적오니 층의 두께에 따라 수질정화 처리영역과 퇴적오니 처리영역을 나누거나 동일한 작업수계 내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압수(1)에 전기분해로 생성된 전해수(1a)를 포함시켜 퇴적층에 함유되어 있는 용존성 유기물까지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반응은 전기분해할 때 생성되는 산성수에는 차아염소산 등 산화력이 강한 염소 이온이 포함되게 되는데, 이러한 이온들이 퇴적층으로 유입되면 퇴적층에 함유되어 있는 용존성 유기물을 산화시켜 제거시킴은 물론 냄새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고, 특히 산화력이 강한 차아염소산 등에 의하여 모래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던 유기물도 쉽게 제거됨으로서 모래입자의 세척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해수(1a)의 양은 반응 후 염소의 양이 잔류되지 않을 만큼의 적정량을 공급하여야 하는 것이나, 비록 염소가 잔류되어 있다 하더라도 현장 가압부상 과정에서 탈기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것은 없는 것이다.
또한 전기분해 시 사용되는 전극판으로서 알루미늄 전극판을 사용하게 되면 전기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알루미늄 이온이 응집제로 작용토록 됨으로서 입자성 오염물질의 제거 속도를 촉진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퇴적오니의 준설방법에 따르면, 지정된 작업수역의 일측으로 고압수(1)를 분사시킴으로서 처리수역의 바닥부 심층부까지 퇴적되어 있는 퇴적토(2)를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고, 작업수역 내로 유입된 고압수(1)와 작업수역 내에서 유동되어진 퇴적토(2)를 동시에 준설하면서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4)를 주입시킨 상태에서 선별장치(20)로 유입토록 함으로서 퇴적토(2)로부터 모래입자의 부착성 오니까지도 포함된 오니수(5)와 이로 인하여 오니가 제거된 세척 모래입자(6)로의 분리 효과가 크게 되는 것이고, 이때 발생되는 오니수(5)는 처리수역의 수면으로 분사토록 되어 또 다른 가압수(4a)에 의한 응집 반응으로 통상의 가압부상공법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퇴적오니 뿐만 아니라 표층수 및 심층수중의 오염물질도 제거되는 것이고, 세척된 모래입자(6)는 처리수역에 살포되어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피복토록 되어 세척된 모래층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바닥면으로부터 오염물질의 용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준설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퇴적오니 준설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위치시켜 작업수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50)와, 처리수역 내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 제어수단(60)과 처리수역에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이동수단(70)으로 구성되는 퇴적오니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0)의 상부로 연장되게 일측으로는 작업수역의 바닥부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토를 유동시키기 위한 고압수 유입이송관(5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입된 고압수가 포함된 퇴적토를 작업수역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퇴적토 유출이송관(52)과 퇴적토 유출이송관(52)으로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유입시켜 미세기포로 분사시키기 위한 가압수 분사관(53)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50)의 하부에는 롤라 구동체(54a)의 외주면에 갈퀴(54b)가 형성된 퇴적토 긁음기(54)가 형성됨으로서 보다 심층지역의 퇴적토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고, 본체부(50)의 상부에는 교반기(55)가 형성되어 유동되는 퇴적토에 포함된 모래입자를 교반시켜 모래입자들 간의 충돌을 일으킴으로서 모래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니를 비롯한 각종 미세한 부착성 오염물질의 탈리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퇴적토 유출이송관(52)에 형성되어진 가압수 분사관(53)은 다단으로 설치하여 수심별 다단 분사방식의 가압부상방법이 가능토록 하고, 이때 수심별로 분사관에 형성되어지는 노즐의 크기와 분사압을 달리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우수한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퇴적오니 준설장치는 본체부(50)의 하부를 처리수역의 바닥부에 설치하여 준설하고자 하는 작업수역을 지정토록 한 후, 일측에 형성된 고압수 유입이송관(51)을 통하여 고압수를 주입시키면 본체부(50)로 유입되는 고압수에 의하여 본체부(50) 바닥부에 퇴적되어진 퇴적토가 파해쳐져 유동되어지고, 타측에 형성된 퇴적토 유출이송관(52)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50)로 유입된 고압수가 포함된 상태의 퇴적토를 흡입시키면 흡입되는 동안 퇴적토 유출이송관(52)에 형성되어진 가압수 분사관(53)을 통하여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가 미세기포로 분사됨으로서 퇴적토에 포함된 모래입자의 부착성 오니가 분리되어 모래입자는 세척되어지고, 분리된 오니는 응집 약품과 반응되어 플록을 형성하면서 미세기포에 의하여 부상토록 됨으로서 퇴적오니의 처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세척된 모래입자는 오염원이 제거된 상태로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퇴적오니 준설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본체부(50)의 상부에 준설된 퇴적토가 오니수와 모래입자가 분리되어지는 고액분리실(80)이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고액분리실(80)의 중심부에는 상기 퇴적토 유출이송관(52)을 통하여 흡입된 퇴적토를 재 주입시키기 위한 퇴적토 반송관(81)을 형성하고, 상부로는 오니수를 처리수역의 수면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오니수 배출부(82)를 형성하고, 하부로는 세척된 모래입자를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포설시키기 위한 모래 배출부(83)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 분사관(53)은 상기 퇴적토 유출이송관(52)에 형성시키는 대신 퇴적토 반송관(81)에 설치하여도 가능하고, 효율의 증진을 위하여 퇴적토 유출이송관(52)과 퇴적토 반송관(81) 모두에 설치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액분리실(80)에도 교반기(84)를 설치하여 분리되어 하강되어지는 모래입자를 교반시켜 모래입자들 간의 충돌을 일으킴으로서 모래입자의 세척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퇴적오니의 준설장치는 고액분리실(80)을 추가로 형성되어 장치 내에서 오니수와 모래입자의 분리가 용이하여, 분리된 오니수는 처리수역의 표면으로 배출시켜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정화작업이 가능토록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척된 모래입자를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포설시키는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질정화방법에 의하면,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현장에서 퇴적토를 준설하여 퇴적토를 오니수와 부착오니를 제거한 모래입자로 분리시킨 후 오니수는 처리수역의 표면으로 부상시켜 통상의 가압부상공법에 의하여 처리토록 함으로서 퇴적오니의 처리가 가능한 것이고, 동시에 세척된 모래입자를 이용하여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포설시켜 피복층을 형성시킴으로서 바닥부에서의 오염물 용출을 방지시켜 수질오염예방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처리수역의 현장에서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퇴적오니의 준설방법에 있어서, 처리수의 바닥부의 일정영역에 작업수역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수역의 일측에서는 고압수를 분사시키고, 타측에서는 유입된 고압수가 포함된 퇴적토를 작업수역의 수면으로 배출시키면서 이송관로에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주입시켜 오니수와 모래입자를 분리시키는 단계와,
    분리된 오니수와 모래입자를 선별장치로 유입시켜 오니수는 처리수역의 수면으로 분사시키고 모래입자는 처리수역의 바닥면으로 포설시키기 위한 오니수와 모래입자의 선별단계와,
    수면으로 분사되어진 오니수에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또 다른 가압수를 분사시켜 통상의 가압부상공법으로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니수와 모래입자의 선별단계 전 단계에 교반장치가 설치된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장치의 내부 또는 교반장치로의 유입관로에 초음파 진동장치가 설치된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로부터 모래입자가 배출되는 영역으로 교반기를 수중에 설치하거나 수역의 외부로부터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수류를 교란토록 한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는 선회류를 일으키는 원심선별장치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로서 처리수역의 심층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로서 처리수역의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시킨 전해수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의 전기분해 시 사용되는 전극판으로서 알루미늄 전극판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방법.
  9. 처리수역의 바닥면에 위치시켜 작업수역을 지정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부(50)와, 처리수역 내에서의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높이조절 제어수단(60)과, 처리수역에서의 위치 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이동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퇴적오니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0)에는 상부로 연장되게 일측으로는 고압수 유입이송관(5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유입된 고압수가 포함된 퇴적토를 배출시키기 위한 퇴적토 유출이송관(52)과 퇴적토 유출이송관(52)으로 응집약품과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유입시켜 미세기포로 분사시키기 위한 가압수 분사관(53)이 형성되어 오니수와 모래입자가 작업수역에서 분리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0)의 상부에 오니수와 모래입자가 분리되어지는 고액분리실(80)이 추가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퇴적토 반송관(8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니수 배출부(82)가 형성하고, 하부에는 모래 배출부(8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0)의 하부에 퇴적토 긁음기(5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50)의 상부에 교반기(5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분사관(53)은 다단으로 설치되어 수심별 다단 분사방식의 가압부상방법이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실에 교반기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 강, 댐,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퇴적오니 준설장치.
KR10-2001-0075976A 2001-12-03 2001-12-03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KR10050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76A KR100501795B1 (ko) 2001-12-03 2001-12-03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76A KR100501795B1 (ko) 2001-12-03 2001-12-03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694U Division KR200307512Y1 (ko) 2002-12-09 2002-12-09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13A true KR20030046013A (ko) 2003-06-12
KR100501795B1 KR100501795B1 (ko) 2005-07-20

Family

ID=2957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76A KR100501795B1 (ko) 2001-12-03 2001-12-03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45B1 (ko) * 2009-06-09 2009-11-18 이엔비나노텍(주) 고압수를 이용한 물질이송장치
CN113830900A (zh) * 2021-11-01 2021-12-24 广东立行环境设计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富营养化湖泊的治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98B1 (ko) * 2007-06-15 2011-06-16 이엔비나노텍(주) 고압수를 이용한 물질이송장치
KR101046778B1 (ko) 2009-03-05 2011-07-05 경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래 흡입 조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0504A (ja) * 1995-09-04 1997-03-18 Hiroyuki Nagasaki 汚泥スカム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18697A (ja) * 1996-10-17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ム汚泥排砂設備
JPH10118698A (ja) * 1996-10-17 1998-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ダム汚泥排砂設備
KR100292426B1 (ko) * 1999-09-30 2001-06-01 주대성 이동식 수질 정화장치
KR100336453B1 (ko) * 1999-12-21 2002-05-13 주식회사 한국호소정화기술단 호소, 저수지, 댐의 수질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
JP3702302B2 (ja) * 2000-03-31 2005-10-05 下関市 汚泥除去装置
KR200242302Y1 (ko) * 2001-04-19 2001-10-11 김한규 워터제트를 이용한 퇴적물 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45B1 (ko) * 2009-06-09 2009-11-18 이엔비나노텍(주) 고압수를 이용한 물질이송장치
CN113830900A (zh) * 2021-11-01 2021-12-24 广东立行环境设计有限公司 一种适用于富营养化湖泊的治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1795B1 (ko)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5386A2 (en)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KR20200088943A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20110070647A (ko) 잉여공기를 재이용하는 용존공기부상장치와 침지식 막여과 장치의 일체형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JP2001020318A (ja) 水域浄化方法及び水域浄化システム及びダム排砂システム
KR20140105150A (ko) 다목적 해양오염 방제선
KR100501795B1 (ko)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KR100639042B1 (ko) 준설퇴적물의 정화시스템
KR100776651B1 (ko) 원심분리를 이용한 준설퇴적물정화장치
KR100984167B1 (ko) 복합오염 지하수 정화처리방법 및 장치
JP2003334533A (ja)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KR101925607B1 (ko)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JPH02248535A (ja) 水底に沈積した有機質汚泥の浚渫除去方法
KR101639072B1 (ko)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KR200307512Y1 (ko)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장치
JP5080734B2 (ja) 泥水処理方法、泥水処理装置及び泥水処理用海藻ペースト
JP2002355663A (ja) 高圧噴流土壌洗浄システム及び洗浄方法
JP5286201B2 (ja) 再懸濁による底質浄化工法
CN208218448U (zh) 一种喷涂废水气浮处理设备
JP4499937B2 (ja) スカム層除去方法、スカム層除去用スプレーノズル、及び生物反応槽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KR100228571B1 (ko) 오폐수 처리 시스템
CN111747559A (zh) 一种水体内源污染物治理系统及治理方法
JP5227679B2 (ja) 汚濁物浮上分離回収装置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KR100493652B1 (ko) 현장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처리수역 수중에서의수질정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