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821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821A
KR20030045821A KR10-2003-7005024A KR20037005024A KR20030045821A KR 20030045821 A KR20030045821 A KR 20030045821A KR 20037005024 A KR20037005024 A KR 20037005024A KR 20030045821 A KR20030045821 A KR 2003004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ail
strip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275B1 (ko
Inventor
알렝 트리브와
Original Assignee
륄만, 쟝-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륄만, 쟝-필립 filed Critical 륄만, 쟝-필립
Publication of KR2003004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2009/02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the supporting ceiling grid acting as air diffusers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천장(2)을 사용하고 천장(1), 밀폐된 가상 천장(2)과 벽(3)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로의 처리된 공기의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벽을 따라 공기 발산을 확보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련되고, 이 장치는 벽과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부분(6) 사이에 가로대(4)를 구비하고, 이 가로대는 벽에 평행 방향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균일한 간격으로 위치되며, 상기 가로대는 상기 벽상에 또는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부분에 고정되고, 건물의 외주 전체에 걸쳐 공기의 발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벽과 가상 천장 사이에 틈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공기 발산이 차단되어야 하는 구역에서의 틈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부분과 벽 사이에 하나 또는 다수의 고정된 로드(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AIR CONDITIONING DEVICE}
기본적으로 세종류의 카테고리들로 분류되는 천장을 통한 공기 조화 과정이 알려져 있다.
- 이른바 정적(static) 과정으로서, 모든 경우에서 독립적인 환풍 시스템에 의한 공기의 재생을 필요로 하고, 가열 모드에서 전기 가열 필름 또는 열수 순환에 의해 가상 천장의 온도 증가를 확보하고, 그리하여 그 후 이 가상 천장은 방열에 의한 건물의 가열을 확보하고, 열적 편안함을 저해하는 빈번한 가상 천장 온도 과잉의 결점을 보이는 과정이다. 냉각 모드에서, 이 동일한 과정들이 가상 천장을 냉각하는-예를 들어 코일 내의-순환수를 사용하고(EP-A-0 552 690), 이 순환수는 순환하며 건물로 방열하고, 응축 문제를 방지하고 그에 따라 그러한 시스템의 냉각가능성을 한정하기 위해 가상 천장의 온도를 제한해야하는 결점을 보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이른바 가열 또는 냉각이라는 두가지 모드 중 하나로서만 운전한다.
- 점거(占居)된 체적 내로 처리된 공기 도입의 상당한 속력을 요하는 가상 천장 내에 위치되는 노즐, 슬롯 또는 선형 발산기를 통한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 혼합물의 불어 넣기(blowing)에 의한 과정(US-A-3 779 150). 이 과정은 공기 흐름의 느낌과 그 공기가 건물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 사실 때문에 점거(占居)자의 불쾌를 초래한다.
- 가열 모드와 냉각 모드 양 쪽 모두에서, 편안함의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 수준을 갖지만 투과성 천장의 빠른 오염을 발생시키는 결점을 보이는 투과성의 가상 천장의 전체에 걸친 공기의 발산을 이용하는 과정.
공기 조화 설비를 위해 공기 통과를 위한 주변 공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천장 부착이 DE-U-89 08 672에 의해 알려져 있고, 그리하여 이 부착이 규칙적인 간격을 갖고 가로대에 의해 실행된다.
더욱이, US-A-3 352 076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규칙적 간격으로 위치되고 필요에 따라 닫히거나 열릴 수 있는 밀폐 가능한 입구들이 설치되는 가상 천장부를 기술한다. 그러나, 이 문서에는 벽을 따라 정해진 위치 내로의 공기 흐름을 유연하고 조심스럽게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벽면, 천장과 가상 천장(false ceiling) 사이에 형성되는 체적 내에 수용되지만, 그 외주변의 전체 또는 부분에 걸쳐 형성된 적은 공간을 구비하여 이를 통하여 처리된 공기를 사용하는 건물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 천장을 냉각하거나 가열한 후에, 순환하며 건물에 발산되는 이 처리된 공기는 건물 공기의 혼합과 재생뿐만 아니라 건물의 난방 또는 냉방열의 잔류를 확보하기 위한 벽과 가상 천장 사이의 공간에 퍼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 조화되는 건물의 수평면의 단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공기 조화되는 건물의 수직면을 나타내는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가상 천장이 단단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에 가장자리 레일과 벽의 연결의 상세부를 벽에 수직인 수직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가상 천장이 당겨 늘려지는 탄성 막으로 구성되어, 펼쳐지는 막의 가장자리 레일의 형태가 도시된 형태로 주어진 경우에 가장자리 레일의 벽으로의 연결의 상세부를 벽에 수직한 수직 면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을 향상시킨 장치의 벽에 수직인 수직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의 분배를 완벽하게 제어하면서도, 벽을 따라 건물 내의 공기발산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상기 결점들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공기 조화는 점거자들을 위해 안락함의 우수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적절한 건물 내의 인공 기후의 형성으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가상 천장을 설치하고, 천장, 밀폐된 가상 천장과 벽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로 처리된 공기(trated air)가 들어가도록 허용함으로써 벽을 따라 공기의 분산을 확보하는 본 공기 조화 장치는, 벽과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 사이에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상기 벽에 평행하게 소폭을 가지며 등간격으로 띄워지고, 그리하여 벽 또는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에 부착되는 상기 가로대가 건물의 외주 전체에 걸쳐 공기의 분산을 허용하기 위해 벽과 가상 천장 사이에 공간을 남겨두도록 하는 장치로서, 미리 정해진 구역에, 공기의 분산을 차단하도록 요구되는 상기 구역 내의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레일과 벽 사이에서 체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로드(ro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가상 천장을 이용하여 벽을 따라 공기의 분산을 확보함으로써 건물의 공기 조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처리된 공기가 천장, 밀폐된 가상 천장과 벽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로 들어가도록 허용한다. 처리된 공기는 새로운 공기 또는 재순환된 공기 또는 두가지의 혼합 공기가 될 수 있다: 이 공기는 여과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정도의 습도, 냉각 또는 가열로 세팅될 수 있다. 이 처리된 공기는 천장과 가상 천장 사이의 벽에 만들어지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입구와 같은 어떠한 적합한 수단에 의해 가상 천장 위의 체적 내로유입된다. 이 처리된 공기는 또한 가상 천장과 천장 사이의 공간이 충분하다면 가상 천장 위의 체적 내에 직접 위치되는 팬-대류식 방열기(fan-convector) 또는 천장 라이트 박스(light box)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이 목적을 위해서 벽과 가상 천장 사이에 가로대들을 구비하고, 이것은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은 폭을 갖고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져 위치된다. 가상 천장은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지거나 가장자리 레일 사이에서 당겨 늘려지는 밀폐된 탄성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는 벽과 가상 천장 사이에 공간을 남기고 따라서 건물의 전체 주위에 걸쳐 공기의 분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가로대는 벽 또는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건물 내 처리된 공기가 미리 결정된 발산 속도를 얻도록 계산된 (벽에 수직한) 두께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가장자리 레일이 단일 주입-몰딩 작업을 통해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면 가로대는 가장자리 레일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처리된 공기가 매우 느린 속력으로 가상 천장 위의 체적 내로 확장될 때, 이 처리된 공기는, 순환하며 건물에 방열하는 천장과 가상 천장을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그 후 공기는 가열 또는 냉각의 잔류, 건물 공기의 혼합,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기의 재생을 확보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건물의 점거(占居)된 구역 바깥쪽 벽을 따라 발산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당한 편안함을 줄 수 있다.
- 건물의 열 로드(load)는 건물내 공기의 발산과 순환에 의해 얼마간씩 확보되고,
- 따라서 다른 벽들과 공기 사이의 온도 차이는 감소되고,
- 상기 공기는 건물의 점거(占居)된 구역을 넘어 발산되고,
- 상기 공기는 건물 전체에 균일하게 발산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레일과 벽 사이에서 체결되는 로드(rod)는 속이 찬 로드(rod)일 수 있다. 또한 이 로드(rod)들을 홀 또는 슬롯과 같은 구멍이 뚫린 로드(rod)의 형태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재순환 공기의 회수 또는 오염된 공기의 추출의 전후에, 건물 내에서 순환하지 않고 직접적인 회수를 발생시키는 공기의 발산을 막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천장과 가상 천장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순환하는 공기 로드(load)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은 그 상부 벽측 상부 마루 위에 그 만곡부 중심이 건물의 내부쪽으로 향하는 둥근 형태를 구비한다.
냉각 모드에서, 공기는 주위의 공기에 비해 더 무겁기 때문에 벽과 가상 천장 사이에 남겨진 공간에서의 속력은 낮을지라도, 쉽게 건물 속으로 침투한다. 반면, 가열 모드에서, 이 공기가 건물로 침투하도록 힘을 가하고 층이 발생하는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공기의 발산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특정 실시예에 따라, 벽과 가장자리 레일 심(core)의 벽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벽에 수직한 두께를 갖는 로드(rod)가 가장자리 레일과 외주의 전체 또는 부분에 걸친 벽 사이의 공간 내에 - 예를 들어 바닥에 의해 - 단단하게 잡힌다. 벽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로드(rod)상에서 균등하게 띄워져 위치되는 폭이 좁은 유연한 블레이드들이 스프링 효과에 의해 상기 로드(rod)의 잡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해법은 가열과 냉각 시의 요구에 따라 상기 로드(rod)의 배치와 그 후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결점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모든 특정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특정 레벨에서 미리 정해놓은 온도에서 그리고 건물 내의 특정 위치 내에서,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에 남겨진 공간의 폐쇄 정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가장자리 레일에는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허용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가장자리 레일에는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한편으론 그 상부 위에서 가장자리 레일과 결합되는 수평의 날개를 구비하고, 다른 한편으론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폐쇄 스트립(striip)이라 불리는 부분을 구비하는데, 그 블레이드는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날개에 평행하고 그 위에 있으며, 둥근 형태에 의해 벽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만곡부의 중심이 건물의 내부쪽으로 향하고, 그리하여 벽측 위의 둥근 형태의 단부는 가장자리 레일의 벽의 측 위의 상부 마루위에 놓임으로써 벽과 가로대 위 가장자리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으로 침투할 것이고, 그리하여 추가적으로 , 상기 폐쇄의 옆면 형상은 휘어진 부분과 블레이드 사이에 닫혀진 상자를 생성하는 L자 형태를 갖고, 그리하여 상기 폐쇄 스트립은 가장자리 레일의 벽 측 위의 상부 마루보다 건물 측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수직 블레이드를 통하여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날개에 연결되고, 그리하여 상기 폐쇄 스트립과 수직 블레이드 사이의이 결합은 그 상부 부분 내의 더 작은 두께의 구역에 의해 혹은 다른 어떤 수단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결합부 주위로의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추가하여, 가로대 보다 더 작은 벽에 수직인 두께를 갖지만, 상기 가로대의 것과 거의 동등하거나 동일한 벽에 평행한 폭을 갖는 블록이 공간의 폐쇄를 제한하기 위해 벽과 같은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라, 오므려지는 스프링이라 불리는 코일 스프링 또는 리프(leaf) 스프링이 일정한 간격으로 폐쇄 스트립의 블레이드와 그 건물 측 단부 옆의 가장자리 레일의 수평 상부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고,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벽 측부 스토퍼(stop)에 대하여 폐쇄 스트립을 인접하도록 유지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 주위로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져 위치되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이는 폐쇄 스트립의 블레이드와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수평 날개 사이의 가장자리 레일에 만들어지는 오목부 덕택에, 가장자리 레일과 폐쇄 스트립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수직 블레이드에 가깝게 그러나 벽측부로부터 장착된다. 상기 전자석은 천장과 밀폐된 가상 천장과 벽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 내에 위치되는 회로 차단기에 의하거나 또는 온도 센서에 종속장치로 연결(slaving)에 의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원거리에서 제어된다. 상기 전자석의 작용은 건물이 냉각되는 대신에 가열될 필요가 있을때 연결부 주위의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유발한다. 필요하다면, 블록에 대하여 근접하는 위치로의 폐쇄 스트립의 복귀는 오므려지는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 주위의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이른바 왁스 또는 액체 또는 포화기체의 팽창 벌브(bulb)라 불리는, 왁스, 액체 또는 포화 기체를 포함하는 저장소를 구비하고, 이것은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지고, 폐쇄 스트립의 블레이드와, 가장자리 레일과 폐쇄 스트립과 벽 측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수직 블레이드에 인접한 가장자리 레일의 평행 날개 사이에서 가장자리 레일에 만들어지는 오목부로 인해 장착된다. 그 상부에서, 상기 벌브는 상기 벌브 내에 위치되는 왁스 또는 액체의 팽창 또는 유체의 증발을 유발하는 온도 증가의 경우에 연결부 주위로의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피스톤 또는 탄성 막 또는 풀무를 구비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 주위로의 폐쇄 스트립의 회전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그들 표면 전체에 걸쳐 서로 결합되는, 매우 다른 팽창률을 갖는 두 물질들로 구성되는, 두개의 긴 수평 날개를 포함하는 U자형의 두가지 금속으로 된(bimetallic) 스트립을 구비한다. 상기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은 건물 측 단부에서 폐쇄 스트립의 블레이드 내에 그리고 건물 측 단부에서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수평 날개 내에 제공되는 슬롯에 일정한 간격으로 단단하게 잡히고, 그리하여 상기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은 두개의 물질이 온도 증가의 효과 하에 더 높은 팽창 계수를 갖는 것이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을 구성하는 U자 형태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구성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가상 천장 위에 위치되는 공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의 두 단부의 접근은 가장자리 레일과 폐쇄 스트립 사이의 연결을 확보하는 수직 블레이드의 꼭대기에 제공되는 연결부 주위로의 회전에 의해 폐쇄 스트립의 들어 올려짐을 유발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에 남겨진 공간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허용하는 수단은 둥근 형태로 벽의 측부에서 끝나는 주름진 부분을 구비하고, 그 둥근 형태의 단부는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으로 침투하고 그 타단부는 가장자리 레일의 상부 수평 날개의 건물측 단부에 부착되고, 이렇게 하여 상기 주름진 부분은, 그 상부 면에서, 주름진 부분을 구성하는 물질 보다 더 낮은 열 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시트로 덮히고 결합된다. 주름진 부분을 구성하는 두 물질들의 차별적인 팽창의 효과 하에, 가상 천장 위 체적에서의 온도가 상승되는 동안, 벽과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의 더 혹은 덜 뚜렷한 폐쇄가 일어나고, 폐쇄는 가로대 위에 위치되는 블록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한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벽(3)과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좁은 폭을 갖고 동일 간격으로 띄워지는 가상 천장(2) 사이의 가로대(4)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가로대들은 벽(3)과 레일(6) 사이에 공간(5)을 남긴다. 이 공간은 가상 천장(2)과 천장(1)과의 대류에 의한 처리된 공기의 열교환 때문에 천장(1), 밀폐된 가상 천장(2)과 벽(3)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가상 천장 체적 내로 통과 후의 온화한 처리된 공기가 건물 주위 전체에 걸쳐 발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로대(4)는 예를 들어, 벽(3) 또는 가장자리 레일(6)에 볼트로 고정되거나 레일(6)이 단일 주입-몰딩 조작으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면 직접적으로 레일(6)에 통합되도록 한다. 이 가로대들은 건물 내에서 적절하게 낮은 재생 속도를 가진 처리된 공기의 발산 속도를 얻도록 계산된 벽(3)에 수직인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본 공기 조화장치는 공기의 발산을 막도록 요구되는 구역들에서 공간(5)을 폐쇄하기 위해 레일(6)과 벽(3)사이에서 체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로드(rod)(7)가 미리 정해 놓은 구역들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레일(6)과 벽(3) 사이에 체결되는 로드(rod)(7)는 속이 찬 로드(ro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홀 또는 슬롯과 같은 구멍이 뚫린 로드(rod)의 형태로 이 로드(rod)(7)들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6)은 그 상부에서, 벽 측의 그 상부 마루(15)위에 만곡부의 중심이 건물의 내부쪽으로 향해지는 둥근형태(8)를 구비한다. 이 둥근 형태(8)는 그곳에서의 압력 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5)으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7에 따르는 실시예에서, 로드(rod)(9)는, 그것의 벽(3)에 수직인 두께가 벽(3)과 레일(6) 중심의 벽 가까이의 면(35)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레일(6)의 면(35)을 마주보거나 또는 벽을 마주보는 공간(5) 내에 위치된다. 이 로드(rod)는 그 벽측 면 위에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로드(rod) 상에서 동등하게 띄워지는 작은 폭의 유연한 블레이드(1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는 스프링 효과에 의해 레일(6)과 벽(3) 사이의 공간(5)에서 꽉 잡혀짐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건물 외주의 전체에 걸쳐 또는 부분에 걸쳐 위치되는, 이 로드(rod)(9)는 공간(5)내의 처리된 공기의 통과 부분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고 이는 공기 속력을 증가시켜 장치가 가열 모드를 가동할 때 건물 내 아래 방향으로 공기에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가장자리 레일(6)에는 벽과 가장자리 레일(6) 사이의 남겨지는 공간(5)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벽과 가장자리 레일 사이의 남겨진 공간의 다양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도시한다. 가장자리 레일(6)은, 한편으론 그 상부 위에서 레일(6)과 결합되는 수평 날개(12)를 구비하고, 다른 한편에 블레이드(11)를 구비하는 스트립(20)을 구비하는데, 이 블레이드(11)는 가장자리 레일(6)의 상부 날개(12)에 평행하고 그 위에 있으며, 둥근 형태(13)에 의해 벽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둥근 형태의 만곡부의 중심은 건물의 내부쪽을 향하고, 그리하여 벽 측 상의 둥근형태의 단부(14)는 레일(6)의 벽 측부 위의 상부 마루(15) 위에 놓여 가로대(4)의 위쪽 공간(5)으로 침투한다.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폐쇄 스트립(20)을 고정 하기 위해 이 폐쇄 스트립(20)은 구부러진 부분(13)과 블레이드(11)사이의 폐쇄된 박스를 생성하는 L자 형태(33)를 갖는다. 그리하여 상기 폐쇄 스트립(20)은 마루(15)보다 건물 측(17) 단부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수직 블레이드(16)를 통하여 레일(6)의 상부 날개(12)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립(20)과 수직 블레이드(16) 사이의 연결은 작은 두께(18)의 구역에 의해 또는 어떤 다른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연결부(18) 주위의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블럭(19)이 벽과 같은 평면에 위치되어 가로대(4)를 그 상부로 연장한다; 그 블럭들은 가로대(4)보다 작은 벽에 수직인 두께를 갖지만 가로대(4)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거나 동일한 벽에 평행한 폭을 갖는다. 오므려질 수 있는 스프링의 기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이나 리프 스프링(21)이 스트립(20)의 블레이드(11)와 그단부(17) 가까이의 레일(6)의 날개(1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되고, 레일(6)의 스토퍼(15)에 대해 스트립(20)을 인접하게 유지한다.
연결부(18) 주위로의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은,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져 위치하는 전자석(22)을 구비할 수 있고, 이것은 레일(6) 내에 만들어지는 오목부(36) 덕에 스트립(20)의 블레이드(11)와 레일(6)의 날개(12) 사이에, 벽측의 수직 칼날(16)에 근접하여 장착된다. 상기 전자석은 건물내의 특정 위치와 특정 레벨에서 회로 차단기에 의하거나 미리 정해 놓은 온도에서 종속 장치로 작동시키는 것(slaving)에 의하는 것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원거리에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의 작용은 건물이 냉각 되는 대신에 가열될 필요가 있을때 스트립(20)의 들어 올려짐을 유발한다. 전자석의 레벨로의 들어올려짐은 연결부(18) 주위로의 스트립(20)의 회전으로 인해 레버 효과에 의해 일정 비율로 내려진다. 이 스트립(20)의 회전은 발산되는 공기의 속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간(5)의 부분적이고 자동적인 폐쇄를 초래한다. 블록(19)은 공기가 항상 그곳에서 순환하도록 이 공간의 폐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로서 사용된다.
도 9는 연결부(18) 주위로의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이 수단은 이른바 왁스 또는 액체 또는 포화 기체의 팽창을 위한 벌브(bulb)라 불리는, 위에서 언급된 전자석과 바람직하게 대체될 수 있는 왁스, 액체 또는 포화 기체를 포함하는 저장소(23)을 구비한다. 사실상, 상기 벌브는, 그 상부 부분에, 상기 벌브 내에 위치되는 왁스 또는 액체 또는 유체의 증발물의 팽창을 유발하는 온도 증가의 경우에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피스톤(24) 또는탄성 막 또는 풀무를 구비한다.
도 10은 연결부(18) 주위로의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도시한다. 이 수단은 두개의 긴 날개(26과 27)를 구비하는 두개의 금속으로 된 U자 형태의 스트립(25)을 구비하고, 이 두개의 긴날개는 그들 표면 전체에 걸쳐 서로 결합된 매우 다른 팽창 계수를 가진 두개의 물질로 구성되고, 스트립(20)의 블레이드(11)와 레일(6)의 날개(12)에 제공되는 슬롯(28과 29)에 일정한 간격으로 단단하게 잡혀진다. 상기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은 온도 증가의 효과 하에 높은 팽창 계수를 갖는 것이 U(25) 형태의 바깥쪽 면에 위치되어 두 물질이 구성되도록 생성된다.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을 구성하는 두 물질의 팽창의 차이는 가상 천장 위의 공기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날개(28과 29)의 두 단부가 서로를 향해 움직이도록 유발한다. 이 공동-늘이기는 연결부(18) 주위로의 폐쇄 스트립(20)의 회전을 유발하고 따라서 공간(50)의 부분적인 폐쇄를 초래한다.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간(5)의 다양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둥근 형태(31)에 의해 벽측에서 종결되는 물결 형태(30)를 구비하고, 앞선 둥근형태의 단부는 공간(5)으로 침투하고 그 타단부는 수평 날개(12)의 단부(32)에 부착되고, 그리하여 상기 부분(30)은, 그 상부면에, 부분(3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시트(34)가 덮히고 결합된다. 따라서, 가상 천장 위의 체적 내의 온도 증가의 영향 하에, 부분(30)과 시트(34)로 구성되는 두 물질의 팽창 차이는 둥근 형태(31)가 벽을 향해 움직이도록 하고 따라서 입구(5)의 부분적인 폐쇄를 유발하는데, 이 폐쇄는 가로대 위쪽에 위치된 블록에 의해 제한된다.
건물의 상부로 처리된 공기를 불어넣음에 의한 종래의 공기 조화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된 마지막 실시예가 사용된다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신중하게 선택된 위치로의 로드(rod)(7)의 배치와 그 후 가상 천장의 배치로, 단일 부분의 배치를 필요로 한다.
예를 한정하지 않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다음과 같은 건물의 안락한 공기 조화를 위해 사용하도록 의도된다.
- 아파트와 주택,
- 은행, 상점, 약국과 같은 상업용 건물들
- 의료와 치의료 영업소,
- 거대한 높이의 홀을 제외한 전시홀
- 사무실들과 컴퓨터실
- 호텔과 병원의 객실
- 학교와 대학
물론,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성의 관점으로부터 또는 동등한 기술의 대체에 의해서, 그럼으로써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초과함 없이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가상 천장(2)을 설치하고, 천장(1), 밀폐된 가상 천장(2)과 벽(3)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로 처리된 공기가 들어가도록 허용함으로써 벽을 따라 공기의 발산을 확보하며,
    상기 벽(3)과 상기 가상 천장(2)의 가장자리 레일(6) 사이에,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폭을 가지고 등간격으로 띄어져 위치하여, 상기 벽(3) 또는 상기 가상 천장(2)의 가장자리 레일(6)에 부착되어 건물의 외주 전체에 걸쳐 공기의 발산을 허용하기 위해 벽(3)과 가상 천장(2)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가로대(4)를 구비하고,
    공기 분산의 차단이 요구되는 소정의 구역 내에서는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레일(6)과 벽(3) 사이에서 체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로드(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6)과 상기 벽(3) 사이에 체결되는 상기 로드(7)는 속이 찬 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6)과 상기 벽(3) 사이에 체결되는 상기 로드(7)는 홀이나 슬롯과 같은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천장의 가장자리 레일(6)은 그 상부에 둥근형태(8)를 구비하고, 그리하여 그 상부 벽 측 마루(15)에서, 이 둥근 형태의 만곡부의 중심은 건물의 내부쪽으로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rod)(9)는, 상기 벽(3)에 수직한 두께가 상기 벽(3)과 상기 레일(6) 코어의 벽측 면(35)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건물의 외주 전체 또는 부분에 걸쳐 상기 레일(6)과 상기 벽(3) 사이의 공간(5)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6)에는 상기 공간(5)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허용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5)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한편에 그 상부에서 상기 레일(6)과 결합되는 수평 날개(12)를 구비하고, 다른 한편에 블레이드(11)를 구비하는 스트립(20)을 구비하는데, 상기 블레이드(11)는 상기 가장자리 레일(6)의 상기 상부 날개(12)에 평행하고 그 위에 있으며, 그 만곡부의 중심이 건물의 내부쪽을 향하는 둥근 형태(13)에 의해 상기 벽 옆으로 연장되고, 그리하여 상기 둥근형태의 벽측 단부(14)는 상기 레일(6)의 상기 벽측 상부 마루(15) 위에 놓여 상기 가로대(4) 위쪽의 공간(5)으로 침투하고, 구부러진부분(13)과 상기 블레이드(11) 사이의 폐쇄된 박스를 생성하는 L자 형태(33)를 나타내고, 그리하여 상기 스트립(20)은 상기 마루(15)보다 건물측 단부(17)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수직 블레이드(16)에 의해 상기 레일(6)의 상기 상부 날개(12)에 연결되고, 그리하여 상기 수단은 연결부(18) 주위의 상기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상기 공간(5)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스프링(21)들이 상기 스트립(20)의 상기 블레이드(11)와 상기 레일(6)의 상기 날개(12) 사이에-상기 날개의 단부(17) 가까이에-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위치되고, 상기 레일(6)의 상기 스토퍼(15)에 대해 상기 스트립(20)을 인접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8) 주위로의 상기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전자석(22)을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은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져 위치하고, 건물내의 특정 위치와 특정 레벨에서 회로 차단기에 의하거나 미리 정해 놓은 온도에서 종속 장치로 작동시키는 것(slaving)에 의하는 것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원거리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8) 주위로의 상기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이른바 왁스 또는 액체 또는 포화 기체의 팽창 벌브라 불리는 왁스, 액체 또는 포화 기체를 포함하는 저장소(23)를 구비하고, 상기 벌브는 동등한 간격으로 띄워져 위치되고, 그리하여 상기 벌브는 상기 벌브 내에 위치되는 왁스 또는 액체의 팽창 또는 유체의 증발을 유발하는 온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연결부(18) 주위로의 상기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시키는 피스톤(24) 또는 탄성 막 또는 풀무를 그 상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8) 주위로의 상기 스트립(2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두개의 긴 날개(26과 27)를 갖는 U자 형태의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25)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립은 다른 팽창 계수를 가진 두개의 물질로 구성되고, 그리하여 상기 두개의 금속으로 된 스트립은 상기 스트립(20)의 블레이드(11)와 상기 레일(6)의 날개(12)에 제공되는 슬롯(28과 29)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5)의 변경 가능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둥근 형태(31)로 상기 벽측에서 종결되는 물결 형태부(30)를 구비하고, 상기 물결 형태부의 단부는 상기 공간(5)으로 침투하고 그 타단부는 수평 날개(12)의 단부(32)에 부착되고, 그리하여 상기 물결 형태 부분(30)은, 그 상부면에, 상기 부분(30)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더 낮은 열 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시트(34)가 덮히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37005024A 2000-10-09 2001-10-08 공기 조화 장치 KR100748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2898A FR2815112B1 (fr) 2000-10-09 2000-10-09 Dispositif de climatisation mettant en oeuvre un faux plafond et assurant une diffusion d'air le long des parois
FR00/12898 2000-10-09
PCT/FR2001/003094 WO2002031414A1 (fr) 2000-10-09 2001-10-08 Dispositif de climat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21A true KR20030045821A (ko) 2003-06-11
KR100748275B1 KR100748275B1 (ko) 2007-08-09

Family

ID=885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24A KR100748275B1 (ko) 2000-10-09 2001-10-08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877335B2 (ko)
EP (1) EP1325268B1 (ko)
JP (1) JP3914872B2 (ko)
KR (1) KR100748275B1 (ko)
CN (1) CN1195960C (ko)
AT (1) ATE396369T1 (ko)
AU (1) AU9567001A (ko)
BR (1) BR0114626B1 (ko)
CA (1) CA2425341C (ko)
CY (1) CY1108277T1 (ko)
DE (1) DE60134161D1 (ko)
DK (1) DK1325268T3 (ko)
DZ (1) DZ3476A1 (ko)
ES (1) ES2307651T3 (ko)
FR (1) FR2815112B1 (ko)
HK (1) HK1062039A1 (ko)
MA (1) MA25955A1 (ko)
MX (1) MXPA03003119A (ko)
NO (1) NO327412B1 (ko)
NZ (1) NZ525760A (ko)
PL (1) PL202641B1 (ko)
PT (1) PT1325268E (ko)
RU (1) RU2272967C2 (ko)
WO (1) WO2002031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273B1 (fr) * 2004-05-11 2008-04-11 Rene Philippe Ruhlmann Dispositif de maintien d'un faux plafond ou faux plancher.
NL2002077C (nl) * 2008-10-09 2010-04-12 Cornelis Johannes Evers Luchtbehandelingsconvector.
FR3006429B1 (fr) * 2013-06-04 2018-02-16 Hora Ensemble de plafond et installation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ensemble de plafond
DE102014009633A1 (de) 2014-06-27 2015-12-31 Schmid Januti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lüftung und Temperierung von Räumen
CN105357442A (zh) * 2015-11-27 2016-02-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摄像头拍摄角度调整方法及装置
FR3055342A1 (fr) 2016-08-24 2018-03-02 Jean Marc Scherrer Profile d'accroche permettant le passage d'air et ensemble de plafond comprenant un tel profile
CN106196241A (zh) * 2016-08-30 2016-12-07 广州伟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室内环境舒适度的供暖系统和供暖装置
GB2558625B (en) * 2017-01-11 2020-01-01 Sporting Edge Uk Ltd An air conditioning assembly
CN110345611B (zh) * 2018-04-03 2020-10-20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与环境信息采集模块组网匹配方法、装置及存储介质
RU182814U1 (ru) * 2018-04-26 2018-09-04 Елена Олеговна Полякова Профиль
FR3108164B1 (fr) * 2020-03-11 2022-03-18 Energie Solaire Sa Panneau rayonnant réversible, permettant la ventilation d’une pièce, système et construction comprenant un tel panneau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03776U (de) * 1973-05-17 Gebr Trox Gmbh Profilschiene, insbesondere als Schlitzauslaß in Klimaanlagen
US2781557A (en) * 1951-11-15 1957-02-19 Walter M Ericson Acoustical and air distributing ceiling construction
US3352076A (en) * 1966-01-18 1967-11-14 Wheeling Steel Corp Airflow grid structure for air distribution through metal lath and plaster ceilings
US3779150A (en) * 1971-06-28 1973-12-18 F Sproul Combination valance and conditioned air admission duct
US3919457A (en) * 1974-04-22 1975-11-11 Sheldon Steiner Electrified suspension ceiling system
FR2475093A1 (fr) * 1980-02-05 1981-08-07 Scherrer Fernand Profile constituant une lisse exterieure d'un faux plafond ou un faux mur
JPS59185933A (ja) * 1983-04-05 1984-10-22 Matsushita Refrig Co 冷暖房機の自動風向切換装置
US4887437A (en) * 1988-03-18 1989-12-19 Trailmobile Inc. Integral false ceiling for refrigerated vehicles
DE8908672U1 (ko) * 1989-07-17 1989-11-30 Schmitt, Juergen, 6302 Lich, De
DE4015665C3 (de) * 1990-05-16 1995-06-01 Schmidt Reuter Klimasystem für Mehrraumgebäude
DE4201595C2 (de) * 1992-01-22 1995-03-09 Schmidt Reuter Raumkühldecke
US5261857A (en) * 1992-06-23 1993-11-16 Bart Petterson Ceiling vent with movable vane
US6606875B1 (en) * 2002-07-02 2003-08-19 Carrier Corporation Container with movable bulkhe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22926A (ja) 2004-07-29
NO20032978D0 (no) 2003-06-27
EP1325268B1 (fr) 2008-05-21
DK1325268T3 (da) 2008-09-29
CN1195960C (zh) 2005-04-06
DZ3476A1 (fr) 2002-04-18
DE60134161D1 (de) 2008-07-03
CA2425341C (fr) 2009-06-30
HK1062039A1 (en) 2004-10-15
FR2815112B1 (fr) 2004-07-16
BR0114626A (pt) 2003-10-14
NO20032978L (no) 2003-06-27
ES2307651T3 (es) 2008-12-01
PL202641B1 (pl) 2009-07-31
WO2002031414A1 (fr) 2002-04-18
CN1468354A (zh) 2004-01-14
AU9567001A (en) 2002-04-22
MA25955A1 (fr) 2003-12-31
ATE396369T1 (de) 2008-06-15
NZ525760A (en) 2006-02-24
KR100748275B1 (ko) 2007-08-09
FR2815112A1 (fr) 2002-04-12
PT1325268E (pt) 2008-10-28
CY1108277T1 (el) 2014-02-12
US6877335B2 (en) 2005-04-12
PL362135A1 (en) 2004-10-18
CA2425341A1 (fr) 2002-04-18
RU2272967C2 (ru) 2006-03-27
US20040020235A1 (en) 2004-02-05
JP3914872B2 (ja) 2007-05-16
NO327412B1 (no) 2009-06-22
MXPA03003119A (es) 2005-04-19
EP1325268A1 (fr) 2003-07-09
BR0114626B1 (pt)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75B1 (ko) 공기 조화 장치
EP1867932B1 (en) Automatic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with heating mode
NL2006421C2 (en)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and inlet part for such a system.
JP6484090B2 (ja) 放射空調システム
US5564975A (en) Air flow controll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vents
US20100323604A1 (en) Portable air distribution device
JP2007017080A (ja) 空調システム及び分岐ダクト
JP6811542B2 (ja) 放射冷暖房システム
JP2007024476A (ja) 置換換気空調システム
JP6811543B2 (ja) 放射冷暖房装置
CA132402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ir conditioning of rooms
JP3293012B2 (ja) 空調装置
JPS5918614B2 (ja) 流体偏向装置
SE442132B (sv) Anordning vid fonster for att bibringa den innersta rutan en ur komfortsynvinkel lemplig yttertemperatur
JP5749935B2 (ja) 仕切パネル及び輻射冷暖房システム
KR102561367B1 (ko) 환기 시스템 창
JPS62134448A (ja) 空気調和機の吹出装置
KR102311161B1 (ko)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JP2004019951A (ja) 暖房室内の空気循環装置
JPH0742017Y2 (ja) 可動型空気調和装置
US20100319875A1 (en) Displacement diffuser with heat/cool changeover
JP3136292B1 (ja) 空気調和設備
JPS62276358A (ja) 空調空気の天井吹出構造
JPH0914700A (ja) 空調システム
JPH0814643A (ja) 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