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161B1 -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161B1
KR102311161B1 KR1020190130446A KR20190130446A KR102311161B1 KR 102311161 B1 KR102311161 B1 KR 102311161B1 KR 1020190130446 A KR1020190130446 A KR 1020190130446A KR 20190130446 A KR20190130446 A KR 20190130446A KR 102311161 B1 KR102311161 B1 KR 10231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outlet
indoor
ventilat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972A (ko
Inventor
김서안
Original Assignee
김서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안 filed Critical 김서안
Priority to KR102019013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2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흡음 환기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VENTILATOR FOR WINDOWS OR DOORS AND WINDOW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기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대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탁한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맑은 공기로 바꾸는 것이 흔하지만, 온도나 습도가 외부와 같도록 변경하거나 맞추기 위해 환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환기는 정체된 실내에서 자연스럽게 축적되는 냄새 또는 곰팡이의 창궐을 억제하여 쾌적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실내환경을 만들기 위해 권장된다.
건축물의 고층화나 창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열이나 차음을 위하여 실내공간의 밀폐성도 향상되었으나, 그에 맞는 쾌적한 분위기를 위한 충분한 환기장치가 없거나 있더라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대기 오염의 문제로 인하여 환기마저도 제약받는 현실에서도 환기의 중요성은 언제나 강조된다.
그럼에도 환기는 그 필요성만큼 실천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쉽게 잊어버리는 이유도 있으나, 도심에서 환기를 위하여 창을 열면 차량의 주행이나 공사장 등의 소음과 먼지까지 함께 유입되는 단점을 감수하고 싶지 않은 것도 있다.
환기 기능을 보유하면서도 소음을 차단시키는 제품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품은 강제 송풍을 위하여 별도의 팬 등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장치의 비용도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창호 창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흡음 환기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는, 상기 실내측 전면부로부터 상기 실외측 배면부로 연장하며, 그 단부가 상기 실외측 배면부와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격벽; 및 상기 실외측 배면부로부터 상기 실내측 전면부로 연장하고 그 단부가 상기 실내측 전면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다공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을 지지하는 창틀의 측면에 대하여 양면테이프 또는 벨크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하나의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중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하나의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는 하나의 통풍유닛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풍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통풍유닛 중 하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은 실내측 유출입구가 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은 실내측 유출입구가 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실내측 유출입구 및,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 및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각각 가지고,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실외측 유출입구 및 제2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제1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흡음 환기유로부 및,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제2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흡음 환기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상기 제1흡음 환기유로부와 상기 제2흡음 환기유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게 형성된 전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는 상기 제1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는 상기 제2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환기장치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창틀 및 상기 창틀에 장착되는 창; 상기 창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충창; 및 상기 창과 상기 방충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환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흡음 환기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에 의하면, 실외측 유출입구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지그재그 형태의 흡음 환기유로부를 지나는 동안 소음이 흡수되어 환기와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는 창문과 방충망 사이 또는 창문과 창틀 사이에 간단히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흡음 환기유로부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제1격벽과 제2격벽을 구비함으로써 소음의 감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가 상호 열교환될 수 있도록 전열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환기 과정에서 에너지가 버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환기장치(120)가 장착된 창호시스템(100)의 개략적인 정면도들로서, (a)는 창문이 닫혀 있는 상태이고, (b)는 창문이 열려져 환기장치(120)가 사용중인 상태를 보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들로서, 환기중인 공기의 흐름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른 환기장치(220)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에에 따른 환기장치(320)의 개념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환기장치(320)의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환기장치(120)가 장착된 창호시스템(100)의 개략적인 정면도들이다.
창호 시스템(100)은 창틀(102)과 창문(103, 104)의 사이에 환기장치(120)가 장착된 형태로서, 도 1(a)와 같이 창문(103, 104)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창문(103, 104)을 일정 폭으로 열었을 때, 환기장치(120)를 사용할 수 있다. 환기장치(120)는 창문(103, 104)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그 개방영역에 대응하는 면적 즉, 대응되는 폭과 창문(103, 104)과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실내에서 보았을 때 환기장치(120)는 복수의 실내측 유출입구(122)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실외에서 보았을 때 환기장치(120)는 복수의 실외측 유출입구(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들로서, 환기중인 공기의 흐름들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120)는 창문 프레임(103)과 방충창(105) 사이에서 창틀(102)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구성 면에서, 환기장치(120)는, 하우징(121), 실내측 유출입구(122), 실외측 유출입구(123), 실내측 전면부(124), 실외측 배면부(125), 제1격벽(126), 제2격벽(127) 등을 가질 수 있다.
실내측 전면부(124)와 실외측 배면부(125)는 창문(103, 104)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창문(103, 104)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실내측 전면부(124)과 실외측 배면부(125)는 적어도 창문(103, 104)의 개방되는 폭과 창문(103, 104)의 높이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것처럼, 실내측 전면부(124)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122)가 형성되며, 실외측 배면부(125)에도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123)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와 같이, 실내측 유출입구(122) 및 실외측 유출입구(123)는 각각 실내측 전면부(124) 및 실외측 배면부(125) 상에서 복수 개가 상하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122)는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123)와 하나의 흡음 환기유로부(126, 127)에 의하여 연결되며, 흡음 환기유로부(126, 127)에 연결됨에 따라 실외측 유출입구(123)는 실내측 유출입구(122)에 대하여 높이차를 가질 수 있다. 흡음 환기유로부(126, 127)는 실내측 유출입구(122)와 실외측 유출입구(123)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와 같이,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122),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123) 및 하나의 흡음 환기유로부(126, 127)를 하나의 통풍유닛으로 보면, 환기장치(120)는 복수의 통풍유닛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흡음 환기유로부는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격벽(126)과 제2격벽(127)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격벽(126)은 실내측 전면부(124)로부터 실외측 배면부(125)로 연장하고 있으며, 그 단부가 실외측 배면부(125)와 이격된다. 반대로 제2격벽(127)은 실외측 배면부(125)로부터 실내측 전면부(124)로 연장하고 있으며, 그 단부가 실내측 전면부(124)와 이격된다. 효율적인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7)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2개의 제1격벽(126)과 2개의 제2격벽(127)이 상호 교대로 배치된 것을 보인다. 다만, 이와 상이한 수를 갖는 격벽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실내측 전면부(124), 실외측 배면부(125),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7)은 흡음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공성 재질(예: 폴리에스테르나 유리섬유 등이 충전되어 성형된 형태, 수지 폼에 의해 성형된 형태, 패브릭이 표면에 부착된 형태, 복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형태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조 면에서, 실내측 전면부(124), 실외측 배면부(125),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7)은 각각의 부품이 제조되고 조립된 형태이거나, 몇 가지 부품이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부품과 조립된 형태 또는 모두가 일체로 성형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이중 일체로 성형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내측 전면부(124), 실외측 배면부(125),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7)은 하우징(121)에 의하여 패킹될 수 있다. 패킹된 실내측 전면부(124), 실외측 배면부(125),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7)(이하, '패킹바디'라 한다)은 하우징(12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패킹바디가 하우징(121)의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돌출되는 경우, 창틀(102)을 열었다가 닫는 과정에서 창문(103, 104)이 패킹바디에 밀착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패킹바디와 창문(103, 104) 사이의 기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우징(121)은 창문(103, 104)을 지지하는 창틀(102)에 대하여 양면 테이프 또는 벨크로(velcro)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하우징(121)은 내부에 설치된 패킹바디를 취급하기 위한 요소로서, 부착 및 편의성을 위하여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거나, 교체성을 위하여 벨크로에 의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외에 하우징(121)은 자성이 있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창틀(102)에 설치된 자석(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부착될 수 형태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사용중일 때의 환기장치(120)는 통풍유닛별로 여러 공기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전체적으로 실외측에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예를 들어, 방문 등이 열려 있고 방이 전체적으로 저압 상태인 경우), 도 4(b)와 같이 하부 쪽의 통풍유닛은 외기가 들어오고 상부 쪽의 통풍유닛은 내기가 나가는 흐름을 보인다(예를 들어, 방이 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안이 외부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 어느 경우이든 외부의 소음은 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동안 감쇄되어 차단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른 환기장치(2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했던 환기장치(120)의 경우, 모든 통풍유닛에서 실내측 유출입구(122)가 실외측 유출입구(123)보다 높게 위치되었다면, 본 예의 환기장치(220)는 하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의 경우 실내측 유출입구(222)가 실외측 유출입구(22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의 경우 실내측 유출입구(232)가 실외측 유출입구(23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상하의 통풍유닛의 배치는 그와 반대될 수도 있다. 실내측 유출입구와 실외측 유출입구의 엇갈린 위치의 배치는 신속한 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나머지의 구성인 실내측 전면부(224, 234), 실외측 배면부(225, 235), 제1격벽(226, 236) 및 제2격벽(227, 237)은 앞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며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에에 따른 환기장치(320)의 개념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환기장치(320)의 횡단면도이다. 본 예의 환기장치(320)는 제1환기장치(320A)와 제1환기장치(320B)가 병렬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보인다. 다만, 제1환기장치(320A)를 이루는 제1실내측 유출입구(322), 제1실외측 유출입구(323) 및 제1흡음 환기유로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 제2환기장치(320B)를 이루는 제2실내측 유출입구(342), 제2실외측 유출입구(343) 및 제2흡음 환기유로부를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폐쇄형으로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제1흡음 환기유로부와 제2흡음 환기유로부의 사이에는 제1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제2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서로 열교환될 수 있도록, 전열판(350)이 배치되어 있다. 전열판(350)은 구리판 또는 알루미늄판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내측 유출입구(322)를 제1실외측 유출입구(323)보다 높게 배치하고, 제2실내측 유출입구(342)가 제2실외측 유출입구(343)보다 낮게 배치함으로써, 같은 높이에서는 상호 반대되는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있는 경우, 환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온도가 높고 실외의 온도가 낮은 경우, 실외로부터 제1환기장치(320A)를 통하여 공기가 들어오는 동안, 반대쪽인 제2환기장치(320B)를 통하여 실내로부터 나가는 공기의 열이 전열판(350)을 통하여 제1환기장치(320A)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기로 전달되어 폐열이 회수된다. 이러한 작용은 냉방중인 실내온도가 낮고 실외온도가 높은 여름철의 경우에도 밖으로 나가는 냉각된 실내공기와 들어오는 실외공기의 열교환을 유도하여 유입된 실외공기의 냉방을 위한 에너지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창호 시스템 101: 벽
102: 창틀 103: 창문 프레임
104: 창유리 105: 방충창
120: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121: 하우징 122: 실내측 유출입구
123: 실외측 유출입구 124: 실내측 전면부
125: 실외측 배면부 126: 제1격벽
127: 제2격벽

Claims (12)

  1.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가지며,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흡음 환기유로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상기 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실외측 유출입구 및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는 하나의 통풍유닛을 구성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통풍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통풍유닛 중 하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은 실내측 유출입구가 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통풍유닛은 실내측 유출입구가 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환기유로부는,
    상기 실내측 전면부로부터 상기 실외측 배면부로 연장하며, 그 단부가 상기 실외측 배면부와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격벽; 및
    상기 실외측 배면부로부터 상기 실내측 전면부로 연장하고 그 단부가 상기 실내측 전면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다공성 재질에 의해 형성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전면부, 상기 실외측 배면부, 상기 제1격벽 및 상기 제2격벽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착탈될 수 있게 구성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을 지지하는 창틀의 측면에 대하여 양면테이프 또는 벨크로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7. 삭제
  8. 삭제
  9. 창이 일정 폭만큼 개방될 때 적어도 상기 창의 개방영역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실내측 전면부와 실외측 배면부;
    상기 실내측 전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실내측 유출입구 및,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와 나란히 배치되는 제2실내측 유출입구;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 및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에 대하여 높이차를 각각 가지고, 상기 실외측 배면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게 형성된, 제1실외측 유출입구 및 제2실외측 유출입구;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제1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1흡음 환기유로부 및,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와 상기 제2실외측 유출입구 사이의 지그재그 형태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며 실외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제2흡음 환기유로부; 및
    상기 제1흡음 환기유로부와 상기 제2흡음 환기유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제2흡음 환기유로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될 수 있게 형성된 전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실내측 유출입구는 상기 제1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제2실내측 유출입구는 상기 제2실외측 유출입구보다 낮게 배치된,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30446A 2019-10-21 2019-10-21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KR10231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46A KR102311161B1 (ko) 2019-10-21 2019-10-21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446A KR102311161B1 (ko) 2019-10-21 2019-10-21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72A KR20210046972A (ko) 2021-04-29
KR102311161B1 true KR102311161B1 (ko) 2021-10-13

Family

ID=7572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446A KR102311161B1 (ko) 2019-10-21 2019-10-21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087A (ja) * 2007-11-29 2009-06-18 Ykk Ap株式会社 建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3792U (ko) * 1981-02-16 1982-08-20
KR100719001B1 (ko) * 2005-03-21 2007-05-16 고명한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3087A (ja) * 2007-11-29 2009-06-18 Ykk Ap株式会社 建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972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702B1 (ko) 전열교환기
KR860003477A (ko) 클리인 루움(clean room)
KR101973530B1 (ko) 환기장치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JP5472669B2 (ja) 横ばり及び縦仕切り埋立型窓戸用の換気装置
JPH0216211Y2 (ko)
KR101070648B1 (ko) 공기식 열교환기
JP2017215055A (ja) サーバーシステムの空気調和装置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JP5741880B2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102311161B1 (ko) 창호 장착형 환기장치 및 이를 갖는 창호 시스템
JP4212689B2 (ja) 置換換気式空気調和装置
JP2001165484A (ja) 換気装置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JP2009209516A (ja) 通気遮音ドア
KR102105008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JP3521764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天井構造
KR100223528B1 (ko) 정숙성을 갖는 공기조화기
JPH0410504Y2 (ko)
KR102235582B1 (ko) 환기장치
KR102225624B1 (ko) 대형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JPH03271639A (ja) 冷暖房装置
KR102548326B1 (ko)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