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379A -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379A
KR20030044379A KR1020010075103A KR20010075103A KR20030044379A KR 20030044379 A KR20030044379 A KR 20030044379A KR 1020010075103 A KR1020010075103 A KR 1020010075103A KR 20010075103 A KR20010075103 A KR 20010075103A KR 20030044379 A KR20030044379 A KR 2003004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kirt
belt
skirt board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428B1 (ko
Inventor
황명환
임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4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벨트의 인접 상측과 슈트 사이에 구비되고 하단면이 이동벨트의 곡률반경과 대응되게 형성된 사각틀형태의 스커트보드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길이방향 양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슈트의 양단면에 그 상단이 고정된 고정포스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와 실린더로드에 의해 연결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폭방향 양단면에 고정된 다수의 스커트고정부재와; 상기 스커트고정부재에 연결되면서 이동벨트의 양단 하면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안내로울러와; 상기 안내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단부에 결합된 부시를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고정프레임상에 고정된 안내박스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길이방향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스커트보드의 기울어짐과 대응되게 기울임 작동되어 낙하되는 원료탄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컨베어 설비의 슈트 하부에 구비된 보드를 회동시킬 수 있고 그 회동에 따른 스커트 유동부재를 움직여 원료탄의 편심적재를 방지시킴으로써 원료탄이 벨트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ROTATING SKIRT BOARD DEVICE FOR ACCUMULATING LOADAGE BY BELT SLAN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어 설비의 슈트 하부에 구비된 보드를 회동시킬 수 있고 그 회동에 따른 스커트 유동부재를 움직여 원료탄의 편심적재를 방지시킴으로써 원료탄이 벨트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제철소에서 고로 부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탄(4)은 상부벨트(1)에 의해 이송된 후 슈트(3)를 통해 낙하 안내되어 이동벨트(2)의 중심부로 적재되어 후속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손상이나 기타 외적요인에 의해 상기 이동벨트(2)를 지지하는 캐리어롤러(22)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게 되면 이동벨트(2)의 편심이 유발되면서 낙하되는 원료탄(4)이 벨트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유발된다.
더구나, 이러한 편심적재 현상이 장시간 유지되게 되면 편심상태가 더욱 심화되면서 누출된 원료탄(4)의 재처리에 따른 작업시간 및 운송에 따른 처리비용이 급격하게 상승되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상부벨트에서 이동벨트로 원료탄 적재시 이동벨트의 편심에 따라 슈트의 하부스커트를 회동시켜 벨트의 편심된 면을 스커트 유동부재로 보상해줌으로써 원료탄의 누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벨트 컨베어 설비의 이송물 이송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일부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스커트보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이동벨트 3 : 슈트
6 : 스커트보드 14 : 작동실린더
16 : 연결로드 18 : 안내로울러
24 : 하우징 26 : 감지로드
27 : 접촉로울러 28,29,30 : 센서
50 : 안내박스 90 : 조절실린더
94 : 가이드판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이동벨트의 인접 상측과 슈트 사이에 구비되고 하단면이 이동벨트의 곡률반경과 대응되게 형성된 사각틀형태의 스커트보드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길이방향 양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샤프트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슈트의 양단면에 그 상단이 고정된 고정포스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와 실린더로드에 의해 연결된 작동실린더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폭방향 양단면에 고정된 다수의 스커트고정부재와; 상기 스커트고정부재에 연결되면서 이동벨트의 양단 하면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안내로울러와; 상기 안내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단부에 결합된 부시를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고정프레임상에 고정된 안내박스와; 상기 스커트보드의 길이방향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스커트보드의 기울어짐과 대응되게 기울임 작동되어 낙하되는 원료탄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커트보드 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 일부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르면, 이동벨트(2)의 상면에는 이와 약간의 유격을 두고 그 하단면이 상기 이동벨트(2)의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사각틀형태의 스커트보드(6)가 구비된다.
상기 스커트보드(6)의 단변측 양단면에는 샤프트(11)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11)에는 'U'형상의 고정포스트(7)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포스트(7)의 양단에는 고정브라켓(8)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8)에는 슈트(3)의 양단면이 볼트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샤프트(11)의 단부에는 아암(12)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아암(12)의 상단 측부에는 실린더로드(12)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12)에는 작동실린더(14)가 연결된다.
상기 스커트보드(6)의 장변 양측에는 각각 스커트고정부재(1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커트고정부재(15)에는 다수의 간격유지홀(37)이 천공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홀(37)에는 고정볼트(17)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스커트보드(6)의 상면 테두리에는 신축가능한 씰링부재(35)가 고정된다.
상기 씰링부재(35)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커트보드(6)가 기울여질 때에 스커트보드(6)와 슈트(3) 간의 이격공간을 밀폐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간격유지홀(37)은 연결로드(16)의 고정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17)는 연결로드(16)의 상단을 상기 스커트고정부재(15)에 연결고정시키며, 상기 연결로드(16)는 상기 스커트보드(6)의 장변 양측면과 간섭되지 않으면서 그와 연결된 안내로울러(18)에 경사각을 주기 위해 둔각을 이루며 1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로드(16)의 하단에는 안내로울러(18)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안내로울러(18)는 이동벨트(2)의 양단 직하면과 접촉가능한 경사를 가지고 배치된다.
상기 안내로울러(18)의 하단에는 그와 대략 직교되는 방향으로 롤형태의 부시(19)가 구비되며, 상기 부시(19)는 사각형태의 안내박스(50)에 내장되어 이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박스(50)는 상기 안내로울러(18)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바, 도 4의 예시와 같이 이동벨트(2)를 그 하면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캐리어스탠드(22)가 고정된 고정프레임(23) 상의 캐리어스탠드(22) 인접위치에 이동벨트(2)의 폭방향으로 고정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커트보드(6)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그 폭방향 양측에 가이드판(94)이 그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바, 상기 가이드판(94)은 스커트보드(6)의 길이방향 양단에 걸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92)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94)의 길이 중앙부 후면에는 조절실린더(90)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판(94)을 밀거나 당겨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조절실린더(90)는 상기 가이드판(94)과 스커트보드(6)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며 그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고정프레임(23)의 안내박스(50) 혹은 캐리어스탠드(22)의 인접위치에는 이동벨트(2)의 양단, 즉 엔드부와 접촉되는 접촉로울러(27)가 도 6과 같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로울러(27)는 감지로드(2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이동벨트(2)의 편심에 따라 상기 감지로드(26)가 삽입된 하우징(2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4)은 고정프레임(23)에 상기 이동벨트(2)의 곡률반경에 해당하는 경사각을 가지고 기울여 고정되며, 그 길이 일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제1,2,3센서(28,29,3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4)에는 감지로드(26)의 상단이 장입되며, 상기 감지로드(26)의 상단과 하우징(24)의 상단 내면에는 상기 감지로드(26)를 탄압하는 탄성스프링(25)이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원료탄(4)을 이송하는 중에 이동벨트(2)에서 편심이 유발되면, 예컨대 도 6의 (가)와 같이 오른쪽으로 편심이 유발되게 되면 이동벨트(2)의 하면이 편심된 측 안내로울러(18)를 가압하면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내로울러(18)는 안내박스(50)를 따라 밀리게 된다.
동시에, 상기 안내로울러(18)와 연결된 연결로드(16)는 세워지면서 스커트고정부재(15)를 밀게되고, 이로 인해 그 대향측은 당겨지면서 스커트보드(6)가 이동벨트(2)의 편심측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이동벨트(2)의 편심에 따라 감지로드(26)가 상승동작되면서 차례로 제1,2,3센서(28,29,30)에 의해 감지되게 되고 그 감지신호는 작동실린더(14)를 작동시켜 감지신호가 유발된 측 제1,2,3센서(28,29,30)의 대향측으로 아암(12)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12)과 샤프트(11)에 의해 고정된 스커트보드(6)는 감지된측 대향방향으로 편심된 만큼 기울어지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제1,2,3센서(28,29,30)는 공지된 근접센서나 혹은 광센서가 바람직하며 그 감지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실린더(14)의 스트로크를 설정토록 함으로써 편심량에 대응되게 상기 스커트보드(6)를 기울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커트보드(6)의 내면에 설치된 가이드판(24)도 상기 제1,2,3센서(28,29,30)의 센싱 위치에 따라 상기 스커트보드(6)의 기울임 정도와 대응되게 기울여짐이 바람직한 바, 이들 가이드판(24)도 편심된 반대측으로 기울여지도록 하여 슈트(3)로부터 낙하되는 원료탄(4)이 이동벨트(2)의 편심 사행에도 불구하고 사행된 만큼을 감안하여 항상 그 중심에 적재되도록 하여 준다.
도 6의 (나)와 같이 왼쪽으로 편심될 경우에는 (가)의 설명과 완전하게 정반대 작동되게 된다.
이로써, 운송물의 손실과 이탈을 막하 안전하고 원활한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물을 후속공정으로 이송하는 이동벨트의 편심 사행이 유발되더라도 스커트보드가 그 편심량을 보상하여 편심된 반대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낙하되는 원료탄이 이동벨트의 중심에 적재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이송물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원활한 원료탄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동벨트(2)의 인접 상측과 슈트(3) 사이에 구비되고 하단면이 이동벨트(2)의 곡률반경과 대응되게 형성된 사각틀형태의 스커트보드(6)와;
    상기 스커트보드(6)의 길이방향 양단면에 일체로 고정된 샤프트(11)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슈트(3)의 양단면에 그 상단이 고정된 고정포스트(7)와;
    상기 샤프트(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와 실린더로드(12)에 의해 연결된 작동실린더(14)와;
    상기 스커트보드(6)의 폭방향 양단면에 고정된 다수의 스커트고정부재(15)와;
    상기 스커트고정부재(15)에 연결되면서 이동벨트(2)의 양단 하면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안내로울러(18)와;
    상기 안내로울러(1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그 단부에 결합된 부시(19)를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고정프레임(23)상에 고정된 안내박스(50)와;
    상기 스커트보드(6)의 길이방향 내부 양측에 설치되고 스커트보드(6)의 기울어짐과 대응되게 기울임 작동되어 낙하되는 원료탄(4)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판(9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보드(6)의 상면 테두리에는 신축성의씰링부재(35)가 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고정부재(15)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간격유지홀(37)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94)은 스커트보드(6)의 내면에 고정된 조절실린더(90)에 의해 회전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보드(6)는 고정프레임(23)에 이동벨트(2)의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기울기로 경사 고정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에 탄성스프링(25)의 개재로 탄성적으로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감지로드(26)와, 상기 감지로드(26)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벨트(2)의 엔드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접촉로울러(27)와, 상기 하우징(24)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고 감지로드(26)의 상단 위치를 검출하는 제1,2,3센서(28,29,30)에 의해 그 검출위치 대향측이 기울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KR1020010075103A 2001-11-29 2001-11-29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KR10083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03A KR100832428B1 (ko) 2001-11-29 2001-11-29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03A KR100832428B1 (ko) 2001-11-29 2001-11-29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379A true KR20030044379A (ko) 2003-06-09
KR100832428B1 KR100832428B1 (ko) 2008-05-26

Family

ID=2957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103A KR100832428B1 (ko) 2001-11-29 2001-11-29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3B1 (ko) * 2009-09-28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8312B (zh) * 2015-01-04 2016-12-14 东晶锐康晶体(成都)有限公司 一种搭载机成品料盘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40Y1 (ko) * 1996-11-23 2001-04-02 이구택 리클레이머의 호퍼불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3B1 (ko) * 2009-09-28 2012-03-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수송용 벨트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428B1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7039A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0832428B1 (ko) 벨트 편심에 따른 이송물질 적재용 회동 스커트보드 장치
KR10068208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 검출장치
US6371480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sheet-like articles
RU183146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грузонесущей емкости
KR10092423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과 수송물 편적 조절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KR102383806B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100905633B1 (ko)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철편 검출기 보호 장치
KR10191935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조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방법
EP0569973A1 (en) Improved vertical drier with movable trays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0908089B1 (ko) 컨베이어 벨트에서의 이송물 중앙 유도장치
KR102460727B1 (ko) 벨트 컨베이어용 편적 방지장치
KR100346885B1 (ko)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 장치
KR20020049178A (ko) 수송 컨베이어의 벨트절손 감지장치
KR200300374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72313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040051772A (ko) 벨트컨베이어의 이송롤 파손감지 및 롤분리 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20090072129A (ko)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KR200223553Y1 (ko) 수송 컨베이어의 벨트사행 조정장치
KR100950942B1 (ko) 파이프 타입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