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039A -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039A
KR20110047039A KR1020090103794A KR20090103794A KR20110047039A KR 20110047039 A KR20110047039 A KR 20110047039A KR 1020090103794 A KR1020090103794 A KR 1020090103794A KR 20090103794 A KR20090103794 A KR 20090103794A KR 20110047039 A KR20110047039 A KR 2011004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member
foreign material
main roller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162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1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는: 메인롤러와 벨트부재의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에 의해 벨트부재가 볼록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측정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측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동작신호로 동작되며 메인롤러에서 벨트부재로 낙하되는 이물체를 제거하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103794
감지부, 제어부, 작동부, 벨트부재, 이물체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롤러와 벨트부재의 사이로 이송되는 이물체를 제거하여 벨트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 및 원료의 수송은 해상과 육상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대다수의 경우 선박을 통하여 운송되어 언로더를 통하여 하역되고,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된다.
선박에서 하역된 연료 및 원료의 장거리 이송이 필요할 경우에는, 여러 개의 벨트컨베이어를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야적장으로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는 무한궤도로 이루어지며, 벨트부재가 메인롤러에 의해 구동되므로 석탄이나 광석 등의 운송물을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부재를 따라서 운송물이 이송되며, 운송물을 이송하고 난 이후의 벨트부재는 일측의 메인롤러에 감겨서 하측으로 회전된 이후에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역방향으로 이동된 벨트부재는 타측의 메인롤러에 감겨서 상측으로 회전되어 정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벨트부재가 메인롤러에 감겨서 하측으로 회전된 이후에 역방향으로 이동할 때, 벨트부재에 낙광이나 유지보수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 등의 이물체가 낙하되어 벨트부재와 같이 이동된다. 벨트부재와 같이 이동되는 이물체는, 벨트부재와 메인롤러의 사이에 삽입되어 벨트부재를 손상시키므로, 작업 중지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며, 이를 수리하는 유지보수 비용도 증가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회송되는 벨트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이물체를 제거하여 벨트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는: 메인롤러와 벨트부재의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에 의해 벨트부재가 볼록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측정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측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동작신호로 동작되며 메인롤러에서 벨트부재로 낙하되는 이물체를 제거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는, 메인롤러에 감겨지는 벨트부재에 일측이 접하여 설치되며 타측은 탄성부재로 탄성 지지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는, 벨트부재의 폭방향으로 접하여 설치되는 터치바와, 터치바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및 회전축부재와 같이 회전되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부는, 벨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왕복 동작되는 이송부재 및 이송부재에 장착되며 벨트부재에 올려진 이물체를 벨트부재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부재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래퍼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는, 벨트부재와 메인롤러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를 감지부가 센싱하여 작동부를 동작시키므로, 벨트부재로 낙하되는 이물체를 벨트부재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벨트부재의 손상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의 지속적인 동작으로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철공장의 이송라인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가 동작되어 이물체가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1)는, 메인롤러(14)와 벨트부재(12)의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에 의해 벨트부재(12)가 볼록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측정하는 감지부(20)와, 감지부(20)의 측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60) 및 제어부(60)의 동작신호로 동작되며 메인롤러(14)에서 벨트부재(12)로 낙하되는 이물체를 제거하는 작동부(50)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1)가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10)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12)와, 벨트부재(12)의 양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롤러(14)를 포함한다.
메인롤러(14)의 상측(이하 도 1 기준)으로 이동되는 벨트부재(12)는 석탄이나 광석 등의 운송물(18)을 이송한다.
벨트부재(12)는 운송물(18)을 이송하고 난 이후에 일측의 메인롤러(14)에 감겨서 하측으로 회전되어 역방향(이하 도 1 기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역방향으로 이동된 벨트부재(12)는 타측의 메인롤러(14)에 감겨서 상측으로 회전되어 정방향(이하 도 1 기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운송물(18)을 이송한다.
메인롤러(14)의 사이를 이송하는 벨트부재(12)는 지지롤러(16)로 지지되어 쳐짐을 방지한다.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벨트부재(12)에 낙광이나 유지보수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 등의 이물체가 낙하되어 벨트부재(12)와 같이 이동된다.
벨트부재(12)와 같이 이동되는 이물체는 벨트부재(12)와 메인롤러(14)의 사이에 삽입되며, 메인롤러(14)를 따라 상측으로 회전되는 벨트부재(12)는 이물체의 삽입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감지부(20)를 동작시킨다.
일 실시예에 의한 감지부(20)는, 메인롤러(14)에 감겨지는 벨트부재(12)에 일측이 접하여 설치되며 타측은 탄성부재(38)로 탄성 지지되는 회전부(30) 및 회전부(3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재(40)를 포함한다.
회전부(30)는 벨트부재(12)의 돌출된 형상으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부재(40)도 회전부(30)의 회전을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광센서나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되며, 설치위치도 회전부(30)의 측면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벨트부재(12)의 폭방향으로 접하여 설치되는 터치바(32)와, 터치바(32)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34) 및 회전축부재(34)와 같이 회전되며 탄성부재(38)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부재(36)를 포함한다.
터치바(32)는 이물체의 삽입으로 볼록해진 벨트부재(12)를 감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벨트부재(12)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거나, 터치바(32)의 외측에 고무 재질의 날부재가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회전축부재(34)는 힌지브라켓(45)에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터치바(32)의 이동으로, 이에 연결된 회전축부재(34)와 지지부재(36)도 같이 회전된다.
감지부(20)의 측정신호는 제어부(60)로 전달되며, 제어부(60)는 작동부(5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작동부(50)는 메인롤러(14)와 벨트부재(12)의 사이에 끼인 이물체가 벨트부재(12)로 낙하된 후, 벨트부재(12)를 따라 메인롤러(14)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물체를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부(50)는, 벨트부재(12)의 폭 방향으로 왕복 동작되는 이송부재(52) 및 이송부재(52)에 장착되며 벨트부재(12)에 올려진 이물체를 벨트부재(1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래퍼(56)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58)에 고정되는 이송부재(52)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이송부재(52)의 일측에 구비된 로드(54)에는 스크래퍼(56)가 설치된다.
스크래퍼(56)는 이송부재(52)에 장착되어 벨트부재(12)의 횡방향으로 동작되며, 벨트부재(12)에 올려진 이물체를 벨트부재(1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과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래퍼(56)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며, 스크래퍼(56)가 벨트부재(12)와 접촉할 때, 벨트부재(12)의 손상을 최소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벨트부재(12)는 운송물(18)을 이송하고 난 이후에 일측의 메인롤러(14)에 감겨서 하측으로 회전되어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역방향으로 이동된 벨트부재(12)에 올려진 이물체는 벨트부재(12)와 같이 타측의 메인롤러(14)로 이동된다.
이물체가 벨트부재(12)와 타측의 메인롤러(14)의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벨트부재(12)는 볼록한 형상으로 회전된다.
벨트부재(12)가 볼록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터치바(32)를 포함한 회전부(30)가 회전을 하며, 회전부(30)의 회전은 센서부재(40)가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측정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60)는 작동부(5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이송부재(52)를 작동시키므로, 메인롤러(14)에서 벨트부재(12)로 낙하된 이물체는 스크래퍼(56)에 밀려서 벨 트부재(12)의 외측으로 제거된다.
작동부(50)는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정지되며, 작업자의 조작으로도 작동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부(30)는 탄성부재(38)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회전되며, 메인롤러(14)와 벨트부재(12)의 사이에 이물체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1)는, 벨트부재(12)와 메인롤러(14)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를 감지부(20)가 센싱하여 작동부(50)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벨트부재(12)로 낙하되는 이물체는 벨트부재(12)의 외측으로 제거되어 벨트부재(12)의 손상이 방지되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10)의 지속적인 동작으로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철공장의 이송라인에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벨트컨베이어를 사용하는 다른 공장에도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가 동작되어 이물체가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2: 벨트부재
14: 메인롤러 20: 감지부
30: 회전부 32: 터치바
34: 회전축부재 36: 지지부재
38: 탄성부재 40: 센서부재
50: 작동부 52: 이송부재
56: 스크래퍼 60: 제어부

Claims (6)

  1. 메인롤러와 벨트부재의 사이에 삽입된 이물체에 의해 상기 벨트부재가 볼록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측정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신호로 동작되며, 상기 메인롤러에서 상기 벨트부재로 낙하되는 상기 이물체를 제거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메인롤러에 감겨지는 상기 벨트부재에 일측이 접하여 설치되며, 타측은 탄성부재로 탄성 지지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폭방향으로 접하여 설치되는 터치바;
    상기 터치바와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와 같이 회전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폭 방향으로 왕복 동작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벨트부재에 올려진 상기 이물체를 상기 벨트부재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20090103794A 2009-10-29 2009-10-29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1167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794A KR101167162B1 (ko) 2009-10-29 2009-10-29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794A KR101167162B1 (ko) 2009-10-29 2009-10-29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39A true KR20110047039A (ko) 2011-05-06
KR101167162B1 KR101167162B1 (ko) 2012-07-24

Family

ID=4423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794A KR101167162B1 (ko) 2009-10-29 2009-10-29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1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37B1 (ko) * 2012-02-28 2014-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CN107915022A (zh) * 2017-11-20 2018-04-17 龙口矿业集团有限公司 强力皮带机第九种皮带保护装置
KR101993665B1 (ko) * 2019-01-10 2019-06-27 (주)조은이엔티 컨베이어벨트장치
CN112573139A (zh) * 2020-11-30 2021-03-30 华能巢湖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往返带式输送机遇异物保护装置
CN115072322A (zh) * 2022-08-22 2022-09-20 泉州华数机器人有限公司 一种输送系统的自动清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7336B (zh) * 2013-12-05 2016-06-08 蒋小华 一种用于铝料熔炼的传输装置
KR101928171B1 (ko) * 2017-03-20 2018-12-11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분진 비산 방지장치
KR102101618B1 (ko) * 2019-09-16 2020-04-17 주식회사 에스제이천하 모헤어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534Y1 (ko) 1996-11-19 2001-05-02 이구택 보호장치를 구비한 벨트 콘베어의 크리너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37B1 (ko) * 2012-02-28 2014-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CN107915022A (zh) * 2017-11-20 2018-04-17 龙口矿业集团有限公司 强力皮带机第九种皮带保护装置
KR101993665B1 (ko) * 2019-01-10 2019-06-27 (주)조은이엔티 컨베이어벨트장치
CN112573139A (zh) * 2020-11-30 2021-03-30 华能巢湖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往返带式输送机遇异物保护装置
CN115072322A (zh) * 2022-08-22 2022-09-20 泉州华数机器人有限公司 一种输送系统的自动清胶系统及方法
CN115072322B (zh) * 2022-08-22 2022-12-30 泉州华数机器人有限公司 一种输送系统的自动清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162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206523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20100118028A (ko) 컨베이어 벨트용 이물질 감지장치
KR1012955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 감지장치
KR101140854B1 (ko) 철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1529198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950576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757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20110034376A (ko) 이송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211997567U (zh) 一种检测带式输送机输送带打滑的装置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20120121555A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1277575B1 (ko) 컨베이어벨트 손상감지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20130059899A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1246316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