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687A -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687A
KR20030039687A KR1020010070705A KR20010070705A KR20030039687A KR 20030039687 A KR20030039687 A KR 20030039687A KR 1020010070705 A KR1020010070705 A KR 1020010070705A KR 20010070705 A KR20010070705 A KR 20010070705A KR 20030039687 A KR20030039687 A KR 20030039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lower rim
driver
spoke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364B1 (ko
Inventor
이일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3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2Collis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에 관한 것으로, 조향휠로 운전자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받은 조향휠 부위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해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휠이 스포크(2)를 매개로 원형을 유지하는 상부림(1)의 하부부위에서 스포크(2)의 분기된 결합보스(2a)를 매개로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하부림(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림(2)의 내부에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형되어 운전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변형수단(3)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Steering wheel having absorbing to be impacted passenger}
본 발명은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승객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할 수 있도록 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향휠은 자동차의 주행시 운전자가 진행방향을 조작하는 데에 사용되지만, 만약 주행 중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급정거하는 경우,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므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더라도 신체의 머리부위나 가슴부위가 조향휠부위에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통상 비탄성체의 굳은 재질로 이루어진 조향휠의 특성상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고자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조향휠에 에어백 시스템을 장착하지만, 이와 같은 에어백은 그 설치 비용이 고가이므로 장착하지 않은 차량이 많음은 물론, 차속이 약 50~60km 이상의 속도에서 주행 시 충돌사고에 의해서만 펼쳐지는 문제점이 고 또한 급정거로 인해 위급한 상황에서 펼쳐지지는 않아 운전자의 신체가 조향휠부위로 충돌하는 현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에어백을 장착한 경우 펼쳐지면서 조향휠 쪼긍로 이동되는 운전자의 얼굴 부위를 가리면서 급격하게 펼쳐지므로 에어백의 충격으로 인해 오히려 호흡곤란을 겪는 위급한 문제점이 있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향휠로 운전자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받은 조향휠 부위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해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향휠이 스포크를 매개로 원형을 유지하는 상부림의 하부부위에서 스포크의 분기된 결합보스를 매개로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하부림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림의 내부에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형되어 운전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변형수단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변형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변형수단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휠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림1' : 하부림
2 : 스포크2a : 결합보스
3 : 변형수단4 : 변형튜브
4a : 변형부5 : 인플레이터
6 : 이동플레이트7 : 가이드로드
8 : 이동부재9 : 콘트롤러
10 : 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조향휠이 스포크(2)를 매개로 원형을 유지하는 상부림(1)의 하부부위에서 스포크(2)의 분기된 결합보스(2a)를 매개로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하부림(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림(2)의 내부에는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를 통해 변형되어 운전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변형수단(3)이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형수단(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2)의 분기된 결합보스(2a)와 분리된 하부림(1')을 서로 연결하는 변형튜브(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지는데, 이 변형튜브(4)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림(1')의 내부에 수용된 압력 센서(10)의 신호에 의해 발화·폭발되도록 배터리와 전원회로를 연결하는 콘트롤러(9)에 의해 작동되는 인플레이터(5)와, 이 인플레이터(5)의 폭발에 따른 팽창에 의해 스포크(2)쪽으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6), 이 이동플레이트(6)에 의해 스포크(2)의 결합보스(2a)를 감싸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수축되는 이동부재(8) 및 이 이동부재(8)를 지지하면서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하부림(1')과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로드(7)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림(1')에 내장된 압력 센서(10)는 충격 감지 성능을 높이도록 하부림(1')의 전체 구간을 따라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의 충돌이나 또는 급정거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가 관성력에 의해 조향휠로 이동되면서 운전자의 가슴부위로 조향휠의 하부부위를 가격하게 되면, 이 조향휠의 하부부위를 이루는 하부림(1')에 내장된 압력 센서(10)가 가해진 충격에 따라 콘트롤러(9)로 신호를 발생하고, 이와 같이 센서(10)의 신호를 받은 콘트롤러(9)가 내장된 프로그램(Program)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키도록 변형수단(3)의 인플레이터(5)와 전원회로를 이루게 된다.
이어, 상기 인플레이터(5)에 전원이 공급되면 순간적으로 폭발하면서 팽창해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플레이트(6)를 스포크(2)의 결합보스(2a)쪽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6)가 인플레이터(5)의 팽창에 의해 이동부재(8)를 가압하면서 스포크(2)의 결합보스(2a)를 따라 수축되고 이때, 하부림(1')과 스포크(2)사이를 이어주는 변형튜브(4)는 상기 이동부재(8)의 수축을 원활히 하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찌그러지는 변형부(4a)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림(1')과 스포크(2)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던 이동부재(8)가 운전자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폭발된 인플레이터(5)를 통해 수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림(1)과 동일 선상을 이루는 하부림(1')이 초기위치에서 변형위치로 이동되면서 운전자에 의해 가해진 충격력(F)을 그 변형간격을 통해 흡수·완충해 신체 부상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향휠이 서로 분리되는 상·하부림으로 형성하면서 운전자로부터 충격을 받는 하부림의 내부에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를 폭발·팽창시켜 하부림을 충격 방향으로 이동시켜, 차량의 충돌이나 급정거에 의해 조향휠로 운전자가 부딪히더라도 충격을 받은 조향휠 부위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완충해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스포크(2)를 매개로 원형을 유지하는 상부림(1)의 하부부위에서 스포크(2)의 분기된 결합보스(2a)를 매개로 서로 분리되어 결합된 하부림(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림(2)의 내부에는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콘트롤러(9)의 제어신호에 의해 변형되어 운전자의 손상을 방지하는 변형수단(3)이 구비되어진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수단(3)은 스포크(2)의 분기된 결합보스(2a)와 분리된 하부림(1')을 서로 연결하는 변형튜브(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지는데, 이 변형튜브(4)내에는 하부림(1')의 내부에 수용된 압력 센서(10)의 신호에 의해 발화·폭발되도록 배터리와 전원회로를 연결하는 콘트롤러(9)d와 연결된 인플레이터(5)와, 이 인플레이터(5)의 폭발에 따른 팽창에 의해 스포크(2)쪽으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6), 이 이동플레이트(6)에 의해 스포크(2)의 결합보스(2a)를 감싸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수축되는 이동부재(8) 및 이 이동부재(8)를 지지하면서 충격에 의해 이동되는 하부림(1')과 함께 이동되는 가이드로드(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0)는 충격 감지 성능을 높이도록 하부림(1')의 전체 구간을 따라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10-2001-0070705A 2001-11-14 2001-11-14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10046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05A KR100461364B1 (ko) 2001-11-14 2001-11-14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705A KR100461364B1 (ko) 2001-11-14 2001-11-14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687A true KR20030039687A (ko) 2003-05-22
KR100461364B1 KR100461364B1 (ko) 2004-12-13

Family

ID=2956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705A KR100461364B1 (ko) 2001-11-14 2001-11-14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95B1 (ko) * 2002-07-26 2004-09-16 송미영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조작기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284Y1 (ko) * 1994-07-18 1999-01-15 전성원 인체상해 저감용 스티어링 휠
KR960022060A (ko) * 1994-12-26 1996-07-18 한승준 차량용 스티어링 휠
JPH10100910A (ja) * 1996-09-27 1998-04-21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キャブオーバ車における衝突緩和装置
KR19990006675U (ko) * 1997-07-29 1999-02-25 양재신 차량의 충격흡수식 스티어링 휠
KR19990036667U (ko) * 1998-02-26 1999-09-27 홍종만 충돌 감응형 스티어링 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95B1 (ko) * 2002-07-26 2004-09-16 송미영 자동차용 조향 장치의 조작기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364B1 (ko) 200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706A (en) Passenger compartment sensor requiring substantial velocity change
EP1874590B1 (en) Protection means for road vehicles
US6305711B1 (en)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movable infl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0461364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US6886853B2 (en) Air bag system for protecting the knees of a driver
US4715617A (en) Passenger compartment sensor with low bias
GB2157044A (en) Passenger compartment sensor with low bias
WO1992019476A1 (en) A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KR200143795Y1 (ko) 차량 전복시 프리텐셔너 구동 장치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CN110979443B (zh) 方向盘、具有该方向盘的安全防护系统及方法
EP1203702B1 (en) Safety system with a plurality of expandable and releasable protective elements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1003912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
JPS6218382B2 (ko)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JPH05229395A (ja) 乗員保護装置
KR20050101403A (ko) 탑 마운트 방식 운전자용 에어백 시스템
KR101014118B1 (ko) 충격흡수를 위한 스티어링 휠 구조
KR19980049064A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의 가스배출조절장치
KR19980037939A (ko) 차량충돌경보장치
KR20060070084A (ko) 펀치아웃현상 저감용 차량의 조수석에어백장치
KR20010059768A (ko)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KR19980026369U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