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498A - 판상물 운반용기 - Google Patents

판상물 운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498A
KR20030038498A KR1020020068858A KR20020068858A KR20030038498A KR 20030038498 A KR20030038498 A KR 20030038498A KR 1020020068858 A KR1020020068858 A KR 1020020068858A KR 20020068858 A KR20020068858 A KR 20020068858A KR 20030038498 A KR20030038498 A KR 20030038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container
tray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쿠니하루
츠보타류수케
호시노켄지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요도가와 휴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65D2519/0087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collapsibl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Abstract

(요약)
(과제)종래의, 액정패널용 유리판 등의 판상물을 운반하는 운반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판상물을 1개의 카세트에 수납하여 운반했었지만, 판상물의 가장자리부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하는 판상물의 사이즈가 커지면, 그 중앙부가 자중에 의해 휘어지고, 판상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해결수단)바닥판(51)과, 천판(52)과, 바닥판(51)과 천판(52)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판(53·53)과, 적어도 1개의 측판(53)에 형성되는 판상물(5)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부(50a)와, 개구부(50a)를 개폐하는 덮개(54)을 구비한 밀폐가능한 운반트레이(50)로서,
판상물(5)을 지지하는 지지핀(59)을 바닥판(51)의 상면에 있어서의 판상물(5)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했다.

Description

판상물 운반용기{CONTAINER FOR CONVEYING PLATE-SHAPED ARTICLES}
본 발명은, 액정용패널,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또는 유기EL(Electro-Luminescent)디스플레이패널로서 이용되는 유리판 또는 수지판 등의 특히 대형(850 mm×950mm 이상)의 판상물을 수납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장의 판상물을 개별로 밀폐상태로 수납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패널 등의 판상물의 운반에 이용되는 용기로서는, 복수장의 판상물을 일정간격을 형성하여 적층상태로 수납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판상물을 넣고빼기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것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20,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구된 카세트(101)에, 복수장의 액정패널용 유리판(102)을 적층상태로 수납하고, 액정패널용 유리판(102)이 수납된 카세트(101)를 자동운반장치(Automated Guided Vehicle)에 의해 운반한다. 이 카세트(101)내에는 액정패널용 유리판(102)의 양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101a·101a)이 돌출되어 있고, 복수단의 선반을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판상물의 용기는, 판상물의 가장자리부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하는 판상물의 사이즈가 커지면, 그 중앙부가 자중에 의해 휘어지고, 판상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판상물의 중앙부가 휘어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구성된 선반에 판상물을 수납하는 경우에, 상하의 판상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하의 선반의 간격을 넓게 할 필요가 있어, 수납효율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용기는 밀폐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납하는 판상물이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하면 안되는 액정패널과 같이, 운반경로를 모두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클린룸의 설비비나 그 유지비가 든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납하는 판상물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판상물을 밀폐상태로 수납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물 운반용기의 일실시예인 운반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단 겹쳐져 있는 상태의 운반트레이를 나타낸 정면단면도이다.
도 3은 운반트레이의 덮개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운반트레이에 수납되는 판상물을 넣고 꺼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운반트레이의 상부 좌우결합부와 하부 좌우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가다.
도 6은 운반트레이의 상부 전후결합부 및 하부 전후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운반트레이의 상부 전후결합부 및 하부 전후결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운반트레이의 운반상태를 나타낸 도가다.
도 9는 운반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운반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은 2단으로 겹쳐진 운반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12는 운반트레이의 덮개부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3은 운반트레이의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운반트레이의 이송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이송시스템의 판상물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이송시스템의 판상물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판상물 이송장치의 오프너에 의해 덮개가 개폐되는 운반트레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롤러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운반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롤러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되는 운반트레이를 나타내는 정면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판상물 운반용기인 카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판상물 운반용기인 카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50:운반트레이
2·54:덮개
5:판상물
6·66:상부 좌우결합부
7·67:하부 좌우결합부
11·62:매엽이송장치
62a:포크
59:지지핀
66:운반용 손잡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1의 발명에 있어서는,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판상물을 넣고꺼내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바닥부재의 상면에 있어서의 판상물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했다.
또한, 청구항2의 발명에 있어서는,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판상물을 전후방향으로 넣고꺼내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의 좌우양단부와,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했다.
또한, 청구항3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재에 대향 하는 측벽부재에, 개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설치했다. 상기 덮개부재에는, 판상물의 판상물 운반용기로의 수납 또는 판상물 운반용기로부터의 취출이 행해지는 판상물 운반용기 탑재대에 부설된 덮개부재 개폐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한 피결합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4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파지용의 손잡이가 부착되며, 이 손잡이는 판상물 운반용기를 운반수단에 의해서 운반할 때, 운반 수단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가이드가 된다.
또한, 청구항5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파지용의 손잡이가 부착되고, 이 손잡이는 판상물 운반용기를 운반수단에 의해서 운반할 때, 운반 수단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가이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판상물 운반용기의 일실시예인 운반트레이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1, 도2에 나타내는 운반트레이(1)는, 액정용 패널,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디스플레이패널로서 이용되는 유리판 또는 수지판 등의 판상물, 특히 대형(850mm×950mm이상)의 판상물(5)이 한 장의 수납가능한 두께가 은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운반트레이(1)의 일측면은 개구되어 개구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a)에는 덮개(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운반트레이(1)는,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측벽부재에 설치되는 판상물을 넣고꺼내기 위한 개구부(1a)와, 개구부(1a)를 개폐하는 덮개(2)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2)는, 예를 들면, 상단에 설치된 힌지부(8)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덮개(2)를 열면, 판상물(5)을 개구부(1a)로부터 운반트레이(1)에 대하여 넣고꺼낼 수 있고, 덮개(2)를 덮으면, 운반트레이(1)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2)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부(2a)가 돌출되어 있으며, 덮개(2)를 개폐할 때에는, 이 손잡이부(2a)를 덮개(2)의 개폐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장치의 암 등에 의해, 운반트레이(1)외부로부터 파지함으로써, 상기 덮개(2)의 개폐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덮개(2)의 개폐기구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3에 나타내듯이, 덮개(2)의 상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개폐가능하게 하더라도 좋다. 그 밖에, 덮개(2)의 개폐기구로서, 상하에 슬라이드하는 것이나, 덮개(2)전체가 앞으로 벗겨지는 기구여도 좋다. 덮개(2)와 운반트레이(1)본체와의 사이에는,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O링 등의 공지의 시일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운반중에 덮개(2)가 열리지 않도록, 덮개(2)와 운반트레이(1)본체를 고정하는 각종의 잠금기구를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판상물(5)이 액정용 유리인 경우에는, 개구 및 덮개는, 운반트레이(1)의 전후양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판상물(5)을 세정하는 경우, 전후에 개구 및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운반트레이(1)로부터 판상물(5)을 꺼내는 일없이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부(1a)를 운반트레이(1)의 앞면으로 한 경우, 상기 운반트레이(1)에 있어서의 좌우측면으로부터, 각각 측면지지부(3a)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운반트레이(1)의 바닥면으로부터 바닥면지지부(3b)가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닥면지지부(3b)는, 본 예의 경우, 한개 설치되고,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지지부(3a) 및 바닥면지지부(3b)는, 운반트레이(1)의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측면지지부(3a) 및 바닥면지지부(3b)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트레이(1)안에 수납하는 판상물(5)을, 측면지지부(3a) 및 바닥면지지부(3b)에 형성되는 돌기(4·4…)위에 탑재하여, 좌우양단부에 설치되는 측면지지부(3a) 및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바닥면지지부(3b)의 3개소에서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물(5)의 운반트레이(1)에 대한 넣고꺼내기는, 판상물(5)의 이송을 행하는 매엽형 이송장치 등의 포크(11)에 의해 판상물(5)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포크(11)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하여진다.
따라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지지부(3a) 및 바닥면지지부(3b)는,지지한 판상물(5)과 운반트레이(1)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적어도, 상기 포크(11)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h)이 형성되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1)로부터 꺼내는 경우에는, 측면지지부(3a) 및 바닥면지지부(3b) 상에 탑재되어 있는 판상물(5)을, 포크(11)에 의해 일단 윗쪽으로 들어 올려 꺼내기 때문에, 판상물(5)과 운반트레이(1)의 상면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지지부(3a)와 바닥면지지부(3b) 사이에는, 상기 포크(11)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w)이 형성되어 있다.
또, 측면지지부(3a) 대신에, 바닥면지지부(3b)를 운반트레이(1)의 좌우단부 에 설치해서,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1)의 좌우 및 대략 중앙의 3개소에 설치한 바닥면 지지부(3b)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운반트레이(1)의 좌우단부에 형성되는 측면지지부(3a·3a)(또는 바닥면 지지부(3b·3b))의 사이에 설치하는 바닥면 지지부(3b)를, 1개뿐만아니라 복수설치하여, 판상물(5)을 4점이상에서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지지부(3a)와 바닥면 지지부(3b) 사이, 또는 바닥면지지부(3b)와 바닥면지지부(3b) 사이에는 포크(11)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적어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측면지지부(3a)와 바닥면지지부(3b) 사이, 또는 바닥면지지부(3b)와 바닥면 지지부(3b)의 간격은, 탑재되는 판상물(5)이 휘어지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1)는 복수단 겹쳐질 수 있고, 상기운반트레이(1)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상부 좌우결합부(6) 및 하부 좌우결합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좌우결합부(6)는 운반트레이(1)의 상면 좌우양단부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좌우의 상부 좌우결합부(6·6)의 내측면은 간격(Ra)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하부 좌우결합부(7)는 운반트레이(1)의 하면 좌우양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좌우의 하부 좌우결합부(7·7)의 내측면은 간격(R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 좌우결합부(6·6)의 간격(Ra)과 하부 좌우결합부(7·7)의 간격(Rb)은 대략 같게 형성되어 있고, 운반트레이(1)를 겹치면, 상부 좌우결합부(6·6)와 하부 좌우결합부(7·7)가 결합하여, 상하에 인접하는 운반트레이(1)의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지고, 좌우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운반트레이(1)를 겹친 상태로 운반하는 경우에, 진동 등으로 상쪽의 운반트레이(1)가 위치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또는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좌우결합부(6)의 좌우외측면은, 아랫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하부 좌우결합부(7)의 좌우내측면은, 윗쪽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좌우결합부(6)와 하부 좌우결합부(7)가 결합했을 때, 상부 좌우결합부(6)의 좌우외측의 경사면과 하부 좌우결합부(7)의 좌우내측의 경사면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의 경사면이 접촉함으로써, 상하의 운반트레이(1)의 위치어긋남이 보정되며, 윗쪽의 운반트레이(1)와 아래쪽의 운반트레이(1)의 좌우위치가 일치하고, 항상 정확한 위치결정이 행하여짐과 아울러, 요동이 억제되게 되며, 이송장치에 의한 이송시 등에 운반트레이(1)의 설치위치가 어긋나고, 작업미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 도6, 도7에 나타내듯이, 운반트레이(1)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후단부에는 상기 힌지부(8)가 설치되고, 힌지부(8)에는, 상부 전후결합부(8a)가 형성 되며, 하면에서의 전후단부에는 하부 전후결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전후결합부(8a)의 전후내측면에는, 아랫쪽으로 갈수록 전후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하부 전후결합부(9)의 전후외측면에는 아랫쪽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반트레이(1)를 겹치면, 상부 좌우결합부(6) 및 하부 좌우결합부(7)의 경우와 같이, 상부 전후결합부(8a·8a)와 하부 전후결합부(9·9)가 결합하여, 인접하는 상하의 운반트레이(1)의 전후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8)에 상부 전후결합부(8a)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전후결합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전후의 결합부(8a·9)는, 힌지부(8) 및 운반트레이(1)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장소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부 좌우결합부(6)의 길이방향의 일부분에 노치부를 형성하고, 하부 좌우결합부(7)에, 상기 노치부에끼워맞춰지는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전후결합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1)에는, 수납하는 판상물(5)의 제조로트, 제조번호, 제조이력 등의 해당 판상물(5)에 고유의 데이터를 갖는 ID 태그(15)가 붙여져 있다. 상기 ID 태그(15)가 갖는 판상물(5)에 관한 데이터는 바코드나 숫자나 기호 등으로 표시되어 있거나, 자기 등에 의해 기록이 행하여지는 기록부재에 기록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ID 태그(15)는, 운반트레이(1)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지만, 상면이나 하면, 또는 덮개(2)에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운반트레이(1)는, 상기 운반트레이(1)내에 한 장의 판상물(5)을 수납하여, 덮개(2)를 닫고 내부를 밀폐한 상태로 운반된다. 이 경우, 운반트레이(1)는 복수단으로 겹친 상태, 또는 한층만으로 운반된다.
예를 들면,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운반트레이(1A·lB·1C·lD)는 겹쳐진 상태로, 자동운반장치(V)에 의해, 제조공정에서의, 어느 공정으로부터 도8(b)에 나타내는 자동창고(S)로 운반되어, 일단 저장된다.
자동창고(S)내에 저장된 운반트레이(1A·1B·1C·1D)는, 출고전이 되면 상기 자동창고(S)에 설치되어 있는 이송장치에 의해, 소트 및 머지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8(c)와 같이, 겹쳐진 상태의 운반트레이(1A·1B·1C·1D)가, 이송장치에 의해, 운반트레이(1A·1B·1D)와 운반트레이(1C)로 분할해서 임시로 놓여진다.
이와 같이, 운반트레이(1)를 복수단 겹쳐진 상태로 수납하는 것에 의해, 자동창고(S)의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소트 및 머지는, 각 운반트레이(1A·1B·1C·1D)에 부착된 ID 태그(15)에 기초하여, 다음공정에서의 처리에 따른 상태가 되도록 행해진다. 즉, 본 예에서는 다음공정인 장치에 의해 처리를 행하는 판상물(5)을 수납하는 운반트레이(1A·1 B·1D)와, 별도의 장치에 의해 처리를 하는 판상물(5)을 수납하는 운반트레이(1C)로 분할되어 있다.
그 후, 운반트레이(1A·lB·1D)는 자동운반장치(V)에 의해 다음공정의 어느 장치로 운반되고, 운반트레이(1C)는 자동운반장치(V)에 의해 다음공정에서의 별도의 장치로 운반되어 각각 처리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복수장의 판상물(5)을 1개의 카세트에 수납하여 운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장의 판상물(5)에 관한 데이터가 정리되어 카세트에 부착되어 있고, 소트 및 머지를 행하는 판상물(5)이 카세트내의 어떤 단에 수납되어 있다라는 정보가 필요했다. 따라서, 어떤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판상물(5)을 다른 카세트에 옮겨 바꾸면서 소트 및 머지를 행할 때, 이송미스 등에 의해 이송된 판상물(5)에 관한 데이터가 오류로 되어, 다음 공정에서의 작업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본 안에 있어서는, 운반트레이(1)는 한 장의 판상물(5)을 수납가능하게 되며, 상기 판상물(5)에 고유의 데이터를 갖는 ID 태그(15)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물(5)과 ID 태그(15)가 갖는 해당 판상물(5)에 관한 데이터가 1대1로 대응하고 있고, 판상물(5)이 어떤 단에 수납되어 있는지의 정보는 불필요하다.
또한, 소트 및 머지를 행할 때도, 운반트레이(1)로부터 판상물(5)을 꺼내는 일없이, 판상물(5)을 수납한 채로의 상태로 운반트레이(1)를 이송하기 때문에, 이송미스 등에 의해서 lD 태그(15)가 갖는 데이터와 운반트레이(1)에 수납되는 판상물(5)이 어긋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의 작업은 확실하고 정확히 행해지게 되며, 데이터의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운반트레이(1)는, 덮개(2)를 닫은 밀폐상태로 운반되기 때문에,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1)에 수납할 때 운반트레이(1)내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면, 상기 운반경로의 분위기나 운반트레이(1)의 소트 및 머지를 행하는 장소의 분위기를, 어느 정도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클린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운반트레이(1)는, 상부 좌우결합부(6), 하부 좌우결합부(7), 상부 전후결합부(8a) 및 하부 전후결합부(9)를 가지고 있으며, 위치결정을 하면서 겹칠 수 있으므로, 운반경로 등의 클린도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종래의 카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판상물(5)을 일괄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운반효율·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반트레이(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하는 판상물(5)을, 적어도 양단부와 중간부의 3개소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판상물(5)의 치수가 큰 경우라도, 양단에서만 지지한 경우와 같이, 중앙부가 휘어지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판상물(5)의 상하방향의 수납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운반트레이(1)의 높이치수를 억제하고, 상기 운반트레이(1)를 겹친 경우에 있어서의판상물(5)의 수납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안에 있어서는, 판상물(5)은, 1장씩 운반트레이(1)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어떤 운반트레이(1)내에 수납되어 있는 판상물(5)을 잘못해서 파손한 경우라도, 다른 운반트레이(1)에 수납되어 있는 판상물(5)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운반트레이(1)의 운반 및 이송은 각종 운반설비에 의해 행하는 것을 전제로 기재했지만, 운반설비가 고장난 경우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운반가능하도록, 운반트레이(1)의 측면에 손잡이(16)(도1,도2 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16)는, 예를 들면, 운반트레이(1)의 좌우양측면의 전후에서, 탑재되어 있는 판상물(5)의 하면보다 하측에, 각각 오목부로 해서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16)를,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측면지지부(3a)보다 하측에 형성한다. 이 높이위치에 손잡이(16)를 형성함으로써, 데드스페이스로 되어 있는 상기 포크(11)를 삽입하기 위해서 형성한 간격(h)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운반트레이(1)의 높이가, 손잡이(16)의 높이만큼 높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판상물 운반용기의 제2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9∼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50)는, 판상물(5)이 한 장 수납가능한 두께가 얇은 대략 직방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운반트레이(50)의 바닥면부에 설치되는 바닥판(51)과, 천정면부에 설치되는 천판(52)과, 측면부에 설치되어 바닥판(51)과 천판(52)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판(53·53)과, 마찬가지로 측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50a·50a)와, 상기 개구부(50a·50a)를 개폐하는 덮개(54·54)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측판(53·53)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개구부(50a·50a)는 측판(53·53)에 대한 수직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바닥판(51)의 아래쪽에는, 井자형의 테두리프레임(61a)에 복수의 보강프레임(61b)을 걸쳐서 구성한 베이스프레임(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61)에 바닥판(51)을 장착함으로써, 운반트레이(50)를 보강하여 변형이나 비뚤어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베이스프레임(61)의, 측판(53·53)이 설치되는 측(도9 및 도10에 있어서의 좌우)의 면에서는, 운반용 손잡이(66·66)가 각각 외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운반용 손잡이(66·66)를 파지해서 운반트레이(50)를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도12에 도시하듯이, 상기 덮개(54)는 예를 들면, 복수의 힌지(58)에 의해 천판(52)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50a)를 개폐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덮개(54)를 열면, 개구부(50a)로부터 판상물(5)의 운반트레이(50)에 대한 이송을 행할 수 있고, 덮개(54)를 모두 닫으면, 운반트레이(50)내를 밀폐할 수 있다.
덮개(54)에는 자석(54a)이 부설됨과 아울러, 운반트레이(50)의 본체측에는 피흡착부재(50c)가 고정되어 있고, 덮개(54)를 닫은 경우에는 상기 자석(54a)과 피흡착부재(50c)가 흡착하여,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덮개(54)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54)가 운반트레이(50)의 이동이나 진동등에 의해, 뜻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54)와 운반트레이(1)본체를 고정하는 잠금기구를 설치하여, 운반 중에 덮개(2)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덮개(54)의 개폐기구는, 덮개(54)가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것이나, 덮개(54)전체가 앞으로 벗겨지는 기구 등, 다른 기구여도 좋고, 덮개(54)와 운반트레이(50)본체 사이에는, O링 등의 공지의 시일수단을 설치하여 밀폐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50a)의 형성면을 운반트레이(50)의 전후측면(도9에 있어서의 상하면)으로 하면, 판상물(5)의 이송은 전후방향으로 행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운반트레이(50)를, 바닥판(51)과, 천판(52)과, 측판(53·53)과, 개구부(50a)를 개폐하는 덮개(54)로, 밀폐가능한 용기로 구성함으로써, 운반트레이(50)내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면, 운반경로 등의 외부의 분위기를 그다지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클린도를 낮게 해서 설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13에 나타내듯이, 덮개(54)의 좌우단면에서는, 각각 개폐용 손잡이(55)가 돌출되어 있고, 후술하는 덮개개폐수단인 오프너(80)에 의해 덮개(54)를 개폐할 때에는, 상기 오프너(80)의 개폐암(81)을 개폐용 손잡이(55)에 결합하여 개폐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9,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물(5)이 액정용 유리인 경우에는, 본 예와 같이 개구부(50a) 및 덮개(54)는 운반트레이(50)의 전후양쪽의 측면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운반트레이(50)에 수납된 판상물(5)을 세정하는 경우, 한쪽의 개구부(50a)로부터 세정액을 침입시켜 다른쪽의 개구부(50a)로 배출하는 것과 같이, 세정액의 운반트레이(50)에 대한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운반트레이(50)로부터 판상물(5)을 빼내는 일없이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운반트레이(50)의 운반경로에 있어서의 전후양측으로부터 판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운반트레이(50)내부에 있어서는, 복수의 지지핀(59·59…)이 바닥 판(51)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복수의 지지핀(59·59…)위는 운반트레이(50)에 수납되는 판상물(5)을 지지하는 것으로, 각 지지핀(59·59…)은, 상기 지지핀(59·59…)위에 탑재된 판상물(5)이 휘어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지지핀(59·59…)은 판상물(5)의 이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Sd)을 형성해서 배열되어 있고, 본 예에서는 3열의 지지핀열(59a·59a…)이 소정의 간격(Sw)을 형성하여 좌우양단부와,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후방향의 간격(Sd) 및 좌우방향의 간격(Sw)을 탑재된 판상물(5)이 휘어지지 않는 치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도9,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지핀열(59a·59a…)의 설치간격(Sw)은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50)내로의 수납 또는 취출을 행하는 후술하는 로더/언로더(70)가 구비되는, 매엽이송장치(62)의 한 쌍의 포크(62a·62a)가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예의 경우는, 상기 지지핀열(59a·59a…)이 상기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내에 이송하는 매엽이송장치(62)의 한 쌍의 포크(62a·62a)와 간섭하지 않는 간격으로, 이송방향을 따라 3열로 설치되어 있다.
판상물(5)의 운반트레이(50)에 대한 이송은, 판상물(5)의 이송을 행하는 상기 매엽이송장치(62)의 한 쌍의 포크(62a·62a)에 의해 판상물(5)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포크(62a·62a)를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지지핀(59·59…)은, 지지한 판상물(5)과 운반트레이(50)의 바닥판(51) 사이에 적어도, 상기 한 쌍의 포크(62a·62a)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50)로부터 꺼내는 경우에는, 지지핀(59·59…)위에 탑재되어 있는 판상물(5)을, 매엽이송장치(62)에 의해 일단 상방으로 들어올려 꺼내기 때문에, 상기 판상물(5)과 운반트레이(50)의 상면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일형태로서는, 지지핀(59)은, 판상물(5)을 운반트레이(50)내에 이송하는 매엽이송장치(62) 등의 이송장치의 한 쌍의 포크(판상물 지지부)(62a·62a)와 간섭하지 않는 간격으로, 이송방향을 따라 3열로 설치되어 있지만, 지지핀(59)의 열형상 설치인 지지핀열(59a·59a…)은 각 열의 간격(Sw)이 상기 한 쌍의 포크(62a·62a)의 삽입가능한 간격이며, 또한 판상물(5)이 휘어지지 않는 간격이면, 4열이상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지핀(59·59…)을 배열함으로써, 통상 한 쌍의 포크(62a·62a)를 갖는 매엽이송장치(62)에 의한 판상물(5)의 이송을, 지장없이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핀(59·59…)의 설치간격(Sd) 및 간격(Sw)을 판상물(5)이 휘어지지 않는 치수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패널 등의 판상물(5)이 운반트레이 (50)나 한 쌍의 포크(62a·62a)에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운반트레이(50)의 높이치수를 억제하여, 상기 운반트레이(50)를 겹친 경우에 있어서의 판상물(5)의 수납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1,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5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겹칠 수 있고, 상기 운반트레이(50)상면의 모서리부, 및 하면의 모서리부에는, 운반트레이(50)를 겹쳤을 때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운반트레이(5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상부결합부(56)이며,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하부결합부(57)이며, 상부결합부(56) 및 하부결합부(57)는 4모퉁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부결합부(56)는 천판(52)의 상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56a)를 가지며, 하부결합부(57)는, 그 하단위치를 베이스프레임(61)의 하면에 맞춤과 아울러, 상기 돌기(56a)의 형상에 맞춘 노치부(57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운반트레이(50)를 상하로 겹치면, 각 모서리부에서 상부결합부(56)와 하부결합부(57)가 결합하고, 상하에 인접하는 운반트레이(5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며, 양자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운반트레이(50)를 겹쳐 쌓은 상태에서의 운반중에, 진동 등으로 윗쪽의 운반트레이(50)가 위치어긋남을 일으키거나, 또는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운반트레이(50)의 상하방향으로의 적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운반트레이(50)의 이송시 등에 운반트레이(50)의 설치위치가 어긋나, 작업미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54)에 설치되는 상기 개폐용 손잡이(55)는, 좌우 외방으로 돌출하는 축(55a)에 의해 롤러(55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롤러(55b)는, 후술하는 오프너(80)의 개폐암(81)이 접촉하는 부위이며, 덮개(54)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50)는 무인운반차(V) 등에 의해 운반되며, 로더/언로더(70)로 이송된다. 로더/언로더(70)에 있어서는, 복수의 운반트레이(50)가, 도시하지 않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된 기대(71)상에 겹쳐지며, 각 운반트레이(50)에 수납되는 판상물(5)이 매엽이송장치(62)에 의해 처리장치(M)에 이송된다.
또한, 도15,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더/언로더(70)의 기대(71)상에는 복수의 탄성부재(72·72…)가 설치되어 있고, 운반트레이(50·50…)는 탄성부재(72·72…)를 통해 기대(71)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72·72…)를 통해 지지되어 있는 운반트레이(50·50…)는, 기대(71)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기대(71)의 대각선상에 설치한 한 쌍의 위치결정부재(73)에 의해 수평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15∼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71)의 근방에는, 운반트레이(50)의 덮개(54)를 개폐조작하는 승강가능한 오프너(80)가 설치되어 있다.
오프너(80)는, 상하로 요동가능한 개폐암(8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개폐암(81)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요동가능하게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암(81)이 덮개(54)의 개폐용 손잡이(55)에 결합하여, 상기 개폐용 손잡이(55)를 윗쪽으로 들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덮개(54)가 열리고, 운반트레이(50)로 판상물(5)을 이송하거나 또는 운반트레이(50)로부터 판상물(5)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운반트레이(50)의 윗쪽에 회전지점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덮개(54)를 덮개(5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개폐암(81)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덮개(54)를 열고, 개폐암(81)을 아래쪽으로 내림으로써 덮개(54)를 닫을 수 있다.
또, 상기 기대(71)는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대(71)를 적절히 승강시킴으로써 임의의 단의 운반트레이(50)의 덮개(54)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기대(71)의 높이는 고정해서 오프너(80)를 승강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오프너(80)에 의해 요동조작함으로써 덮개(54)가 개폐되는 개폐용 손잡이(55)를 상기 덮개(54)에 설치함으로써 덮개(54)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판상물(5)의 운반트레이(50)에 대한 수납 및 취출의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개폐용 손잡이(55)는, 상기 매엽이송장치(62)에 의한 판상물(5)의 수납 및 취출 시에, 한 쌍의 포크(62a·62a) 및 판상물(5)과 간섭하지 않도록 덮개(54)의 좌우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오프너(80)도 판상물(5)의 수납 및 취출 시에, 한 쌍의 포크(62a·62a) 및 판상물(5)과 간섭하지 않도록, 한 쌍의 포크(62a·62a) 및 판상물(5)의 이동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프너(80)는, 덮개(54)를 개폐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으로서 1개만 설치되어 있지만, 덮개(54)를 원활하게 열 수 있도록, 오프너(80)를 좌우 한 쌍 설치해서 동기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18,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반트레이(50)를 운반하는 컨베이어(83)는, 상기 운반트레이(50)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컨베이어(83a·83a)로 구성되며, 한 쪽의 롤러컨베이어(83a)의 롤러는 구동륜으로 되어 있다.
컨베이어(83)에 있어서의, 운반트레이(50)의 좌우 양측방에 롤러가이드(83b·83b)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가이드(83b)는, 수평회전하는 가이드롤러(83c)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운반트레이(50)를 운반할 때, 롤러가이드(83b·83b)의 가이 드롤러(83c·83c…)가 운반트레이(50)의 상기 운반용 손잡이(66·66)에 접촉해서, 상기 운반트레이(50)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운반용 손잡이(66·66)를 운반트레이(50)운반시의 안내가이드부재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반트레이(50)를 운반할 때 파지하기 위한 운반용 손잡이(66·66)를, 운반트레이(50)운반시의 안내가이드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운반트레이(50)에 가이드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운반트레이(50)의 본체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청구항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판상물을 넣고 꺼내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바닥부재의 상면에 있어서의 판상물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했기 때문에, 판상물 운반용기내를 청정한 상태에 유지하면, 운반경로 등의 외부의 분위기를 그다지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클린도를 낮게 하여 설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판상물의 휘어짐이 방지됨으로써 액정패널 등의 판상물이 판상물 운반용기나 판상물의 이송장치의 포크에 갑자기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판상물 운반용기의 높이치수를 억제하여 판상물의 수납피치를 작게 할 수 있어, 수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떤 판상물 운반용기내에 수납되어 있는 판상물을 잘못해서 파손한 경우라도, 다른 판상물 운반용기에 수납되어 있는 판상물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미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2와 같이,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적어도 1개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판상물을 전후방향으로 넣고 꺼내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 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의 좌우양단부와,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판상물 운반용기내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면, 운반경로 등의 외부의 분위기를 그다지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클린도를 낮게 하여 설비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판상물을 좌우양단부에 추가로, 중앙부에서도 지지하기 때문에, 양가장자리부근에서만 지지하는 경우에 비해, 판상물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측벽부재에 대향하는 측벽부재에, 개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판상물 운반용기에 수납된 판상물을 세정하는 경우, 한쪽의 개구부로부터 세정액을 침입시켜 다른 쪽의 개구부로부터 배출하는 것처럼, 세정액의 판상물운반용기에 대한 주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운반트레이로부터 판상물을 빼내는 일없이 세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판상물 운반용기내의 운반경로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판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에는, 판상물의 판상물 운반용기에의 수납 또는 판상물 운반용기로부터의 취출이 행해지는 판상물 운반용기 탑재대에 부설된 덮개부재 개폐수단에 의해서, 이동가능한 피결합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판상물의 판상물 운반용기에 대한 수납 및 취출의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피결합부재를 덮개의 좌우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덮개부재 개폐수단에 의한 덮개의 개폐시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의 측면에, 파지용 손잡이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는 판상물 운반용기를 운반수단에 의해서 운반할 때, 운반수단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가이드로 되기 때문에, 판상물 운반용기에 가이드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판상물 운반용기의 본체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1개이상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판상물을 넣고 빼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바닥부재의 상면에 있어서의 판상물에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물 운반용기.
  2. 바닥부재와, 천정부재와, 바닥부재와 천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측벽부재와, 1개이상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판상물을 전후방향으로 넣고 빼기 위한 개구부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 밀폐가능한 판상물 운반용기로서,
    판상물의 좌우 양단부와, 중앙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물 운반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측면부에 대향하는 측면부에, 개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물 운반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에는, 판상물의 판상물 운반용기로의 수납 또는 판상물 운반용기로부터의 취출이 행해지는 판상물 운반용기 탑재대에 부설된 덮개부재 개폐수단과 결합가능한 피결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물 운반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면에, 파지용 손잡이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는 판상물 운반용기를 운반수단에 의해서 운반할 때, 운반수단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안내가이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물 운반용기.
KR1020020068858A 2001-11-09 2002-11-07 판상물 운반용기 KR20030038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44661 2001-11-09
JP2001344661 2001-11-09
JPJP-P-2002-00181166 2002-06-21
JP2002181166A JP2003205991A (ja) 2001-11-09 2002-06-21 板状物搬送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498A true KR20030038498A (ko) 2003-05-16

Family

ID=2766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858A KR20030038498A (ko) 2001-11-09 2002-11-07 판상물 운반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05991A (ko)
KR (1) KR20030038498A (ko)
TW (1) TWI22295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11B1 (ko) * 2006-03-23 2007-10-12 지피에스코리아(주)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KR101109678B1 (ko) * 2010-07-21 2012-01-31 아리울씨앤디 주식회사 분수대 전력 제어 장치
KR20200000867U (ko) 2018-10-23 2020-05-06 최나도 판상물 이동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3010B2 (ja) * 2006-09-13 2012-06-13 株式会社ダイフク 基板収納用の収納容器
JP5921371B2 (ja) * 2012-07-13 2016-05-2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67U (ja) * 1992-11-13 1994-06-07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用マガジン
KR20000032134A (ko) * 1998-11-10 2000-06-05 김종인 대형 박판의 적재장치
JP3476052B2 (ja) * 1997-09-01 2003-12-1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輸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049A (ja) * 1990-03-19 1991-12-02 Fujitsu Ltd 基板収納容器
JPH09115997A (ja) * 1995-10-18 1997-05-02 Advanced Display:Kk 収納カセット
JPH09328188A (ja) * 1996-06-12 1997-12-22 Hitachi Ltd 基板の収納ケース
JPH11159218A (ja) * 1997-11-26 1999-06-15 Shin Etsu Polymer Co Ltd 精密基板容器のドアラッチ機構
JPH11278659A (ja) * 1998-03-25 1999-10-12 Nikon Corp 基板収納ケース
JP2000142876A (ja) * 1999-01-01 2000-05-23 Sharp Corp 基板収納カ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767U (ja) * 1992-11-13 1994-06-07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用マガジン
JP3476052B2 (ja) * 1997-09-01 2003-12-1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輸送容器
KR20000032134A (ko) * 1998-11-10 2000-06-05 김종인 대형 박판의 적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11B1 (ko) * 2006-03-23 2007-10-12 지피에스코리아(주)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KR101109678B1 (ko) * 2010-07-21 2012-01-31 아리울씨앤디 주식회사 분수대 전력 제어 장치
KR20200000867U (ko) 2018-10-23 2020-05-06 최나도 판상물 이동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05991A (ja) 2003-07-22
TWI222950B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8192A (ko) 평판 표시 장치 제조용 반송 시스템
JP5168594B2 (ja) 基板搬送設備
JP4853204B2 (ja) 板状物の搬送方法および板状物の搬送装置
TW202007622A (zh) 搬送系統
JP2004059116A5 (ko)
CN108290687B (zh) 保管装置以及输送系统
TW201719796A (zh) 搬運裝置
JP2006347752A (ja) 搬送システム
KR20030038498A (ko) 판상물 운반용기
KR102020227B1 (ko) 캐리어 이송 장치 및 방법
JP4222007B2 (ja) 搬送システム
JP2006347753A (ja) 搬送システム
KR20070013189A (ko) 매엽반송용 트레이
KR102189275B1 (ko) 이송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JP4858045B2 (ja) 板状物の受け取り方法および板状物の受け取り装置
JP5277572B2 (ja) 板状物の保管移送システムおよび板状物の保管移送方法
JP2005170682A (ja) ディスプレイ用基板の取り出し機構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基板の取り出し方法
KR102419509B1 (ko) 물품 반송 설비
JP2004031401A (ja) 蓋部材開閉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ステーション
JPWO2008129603A1 (ja) 基板搬送システム
KR20070013187A (ko) 매엽반송용 트레이 및 트레이 매거진
JP4269222B2 (ja) トレイ搬送システム
JP3601925B2 (ja) カセット搬送台車
JP2001326272A (ja) 基板搬送用トレー
JP2010182965A (ja) 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