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979A - 연료용 여과기 - Google Patents

연료용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979A
KR20030035979A KR1020020065799A KR20020065799A KR20030035979A KR 20030035979 A KR20030035979 A KR 20030035979A KR 1020020065799 A KR1020020065799 A KR 1020020065799A KR 20020065799 A KR20020065799 A KR 20020065799A KR 20030035979 A KR20030035979 A KR 20030035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fuel
fib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또고오이찌
Original Assignee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산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7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01D39/12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of wire gauze; of knitted wire; of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2Pleat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8Filter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s or pores
    • B01D2201/188Multiple filtering elements having filtering areas of different siz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용 여과기(2)는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는 여과재(11, 12)와, 이 여과재(11, 12)에 의해 둘러싸이고, 액체가 고이는 내부 공간(14)과, 이 내부 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내부 공간(14)의 액체를 상기 내부 공간(14)의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연결 부재(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재(11, 12)는 원료 섬유(31)와 접착 섬유(32)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이 접착 섬유(32)를 용융함으로써, 원료 섬유(31) 사이가 접착된다.

Description

연료용 여과기{FUEL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연료용 여과기의 개량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등의 연료 탱크내에 설치되는 인탱크(In-Tank)식 연료용 여과기의 개량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1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를 나타낸다. 상기 연료 탱크(1)내에는, 연료 분사 장치(3)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펌프(3)가 배치된다. 이 연료 펌프(3)의 상류측인 연료 흡입측에는 연결 부재(7)를 개재하여 연료용 여과기(2)가설치된다.
도12는 이 연료용 여과기(2)의 상세를 나타낸다. 연료용 여과기(2)는 연결 부재(7)를 개재하여 연료 펌프(3)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연료용 여과기(2)의 타단은 연료 탱크(1)의 저벽(9)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연료 펌프(3)는 상기 여과기(2)를 통하여 연료가 저위(低位)가 되더라도 충분히 연료를 빨아올릴 수 있다.
이 연료용 여과기(2)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구멍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여과재(5)와, 그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텍터(protector; 6)로 이루어진다. 이 프로텍터(6)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여과재(5)끼리의 밀착을 방지하고, 내부 공간(8)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된 연료 통로를 지탱하고 있다.
이들 여과재(5), 프로텍터(6) 및 연결 부재(7)의 3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연료용 여과기(2)의 조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여과재(5)를 상하로 되접어 꺽은 것, 또는 상하 2장의 여과재(5)를 준비하고, 그 여과재(5)의 측면에 연결 부재(7)용의 관통 구멍을 뚫는다. 이어서, 연결 부재(7)를 그 관통 구멍내에 삽입 통과시키고, 연결 부재(7)와 프로텍터(6)에 의해 관통 구멍 둘레의 여과재(5)를 끼워넣고, 여과재(5), 프로텍터(6) 및 연결 부재(7)의 3부품을 기밀(氣密) 형태로 조립한다. 그 후, 여과재(5)의 주위를, 프로텍터(6)를 그 내부에 싸넣는 형태로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봉쇄하고, 주머니 모양의 연료용 여과기(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인탱크식 연료용 여과기(2)는 내부에 프로텍터(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재(5)끼리의 밀착을 방지하고, 내부 공간(8)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여과재(5)에 연결 부재(7)를 장착함으로써, 연료용 여과기(2)와 연료 펌프(3)의 연결을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여과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욘, 유리, 아세테이트, 나일론 등을 이용한 원료 섬유(5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직포는 원료 섬유(5a)를 모아서, 천(cloth) 형상으로 한 것으로, 다공(多孔)을 가지며, 그 자체가 여과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도13에 나타낸 여과재의 단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과재의 표면에는 많은 섬유모(5b)가 보풀이 일게 된다.
그런데, 인탱크식 연료용 여과기(2)는 상기 연료 탱크(1)내의 연료가 저위(低位)로 되어도 충분히 연료를 빨아올릴 수 있도록 저벽(9)에 맞닿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1)는 주행중 항상 진동을 받으며, 연료용 여과기(2)의 저면은 연료 탱크(1)의 저벽(9)과 맞스치게 된다. 이 때문에, 부직포에 의해서만 성형되는 여과기(2)는 그 저면이 마모되고, 파단(破斷)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 부직포에 의해 주머니 모양의 여과재(5)를 형성하면, 그 여과재(5)의 내면도 많은 섬유모(5b)가 보풀이 일게 된다. 이 섬유모(5b)는 때로는 원료 섬유(5a)로부터 박리되어, 연료중에 혼입되어 연료 펌프(3)에 흘러들어서, 연료 펌프(3)를 로크(lock)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본 발명의 관련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여과재(5)의 내면에서의 섬유모(5b)의 박리, 및 외면의 연료 탱크(1)의 저벽(9)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내외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재(5)의 내면측, 즉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측에 비교적 거친 보풀 발생 방지용의 커버층(5c)을 적층하고, 그것과 반대인 면, 즉 연료 탱크(1)의 저벽(9)과 맞닿는 측의 외면에는 메쉬(mesh) 형상의 스크린층(5d)을 적층하고, 이들 3층을 다수의 스폿 형상의 열 용착에 의해 고정하고 있었다. 백색의 화살표는 여과재(5)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연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최근에는 여과재(5)의 여과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여과재(5)가 거친 층 내지 촘촘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는다. 도15는 거친 층 및 촘촘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갖는 여과재를 나타낸다. 이 다층 구조의 여과재(5)는 거친 층(51), 중간층(52) 및 촘촘한 층(53)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5)가 형성된다. 그리고, 거친 층(51)측은 연료 탱크(1)측이 되고, 촘촘한 층(53)측은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여과재(5)의 내면측이 되고, 도14와 마찬가지로, 여과재(5)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연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백색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료가 흐른다. 연료는 거친 층(51)측으로부터 흡입되어, 중간층(52) 및 촘촘한 층(53)을 통과하는 동안에, 크고 작은 이물질이 각각의 층에서 여과되어,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여과재(5)내로 흘러든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5)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 즉 거친 층(51)측에서는 연료 탱크(1)의 저벽(9)과 맞스치게 되어 마모된다고 하는 문제, 촘촘한 층측에서는 원료 섬유(5a)의 섬유모(5b)가 박리되어, 연료 펌프(3)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3층 구조의 것에 있어서도, 도1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보호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즉,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재(5)의 내면측, 즉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촘촘한 층(53)측에는, 비교적 거친 보풀 발생 방지용의 커버층(5c)을 적층하고 있다. 그리고, 커버층(5c)이 적층되는 면과는 반대인 면, 즉 연료 탱크(1)의 저벽(9)과 맞닿는 거친 층(51)측의 외면에는 메쉬 형상의 스크린층(5d)을 적층하고, 이들 5층을 다수의 스폿 형상의 열 용착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도14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도, 도15의 5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도,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여과재로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3층 구조, 또는 5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는 커버층(5c) 또는 스크린층(5d)과 본래의 여과재(5)와는 관계없는 부재를 사용하게 되며, 그만큼 부품수가 증가하고, 또한 커버층(5c) 또는 스크린층(5d)을 부착하기 위한 공정을 필요로 하며,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고 있었다.
또한, 연료용 여과기(2)는 여과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1장의 여과재를 절곡(折曲)하거나, 또는 2장의 여과재를 중첩시켜 주머니 모양으로 성형된다. 3층 별체(別體) 구조, 또는 5층 별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여과재를 사용한 경우, 이들 여과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폿 형상의 열 용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열 용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각각의 층이 별체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하든지 여과재의 절단면에는 도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섬유모(5b)가 보풀이 일게 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여과재를 절곡하거나 하여 여과재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섬유모(5b)가,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여과재(5)내에 섞여들고, 그 후 박리되어 연료 펌프(3)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탱크식 연료용 여과기(2)가 갖는 결점을 개선하는데 있으며,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공정을 간략화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연료용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섬유의 단면도.
도2는 본원 발명의 단층 여과재의 단면도.
도3은 본원 발명의 3층 일체 구조의 여과재의 단면도.
도4는 본원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한 제1 실시 형태인 연료용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도4의 X-X선 단면도.
도6은 도4의 연료 여과기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연료용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원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용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9는 본원 발명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료용 여과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도9의 연료용 여과기의 평면도.
도11은 인탱크(In-Tank)식 연료용 여과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12는 인탱크식 연료용 여과기의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관련 기술에 따른 여과재의 단면도.
도14는 본원 발명의 관련 기술에 따른 3층 별체 구조인 여과재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관련 기술에 따른 5층 별체 구조인 여과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용 여과기
11 : 상측 부재
12 : 하측 부재
13 : 연결 부재
14 : 내부 공간
30 : 섬유
31 : 원료 섬유
32 : 접착 섬유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연료용 여과기는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는 여과재와, 이 여과재에 의해 둘러싸이며, 액체가 고이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상기 내부 공간의 액체를 외부로 내보내는 연통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재는 원료 섬유와 접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상기 접착 섬유 부분을 용융함으로써, 섬유 사이가 접착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연료용 여과기를 부직포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으며, 또한 접착 섬유 부분을 용융하여 섬유 사이를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재의 표면은 물론이고, 절단면에 있어서도 도13에 나타낸 섬유모(5b)의 보풀 발생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그 섬유모(5b)의 박리가 없어진다. 또한, 원료 섬유 외주상에 코팅된 접착 섬유가 남겨진 상태로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부직포 전체의 강도가 증가하고, 부직포만으로 연료용 여과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층(5c) 또는 스크린층(5d)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여과재는 적어도 2장의 여과지끼리를 중첩시킨 다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그 여과재는 상기 접착 섬유 부분을 용융함으로써, 여과재 섬유 사이 및 이웃하는 다층 여과지 사이를 접착하고,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다층 구조는 거친 층 및 촘촘한 층으로 이루어지는 조밀(粗密) 구배(勾配)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15에 나타낸 조밀 구배를 갖는 3층 구조와 같은 것에 있어서도, 커버층(5c) 또는 스크린층(5d)은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여과지 섬유 사이가 접착되는 것은 물론이고, 이웃하는 여과지 사이, 즉 층 사이도 접착되기 때문에, 3층 일체 구조의 여과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다층 구조의 여과재를 절단하더라도 그 절단면에 섬유모의 보풀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 여과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면과,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연료용 여과기의 저부를 형성하고, 연료 탱크의 저벽과 접촉하는 면이 되는데, 그 면의 내구성이 더욱 증대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섬유 1개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단층 여과재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3층 일체 구조의 여과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1에 나타낸 섬유를 사용한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그 섬유(30)는 중심부의 원료 섬유(31)와, 그 원료 섬유(31)의 외주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접착 섬유(32)로 이루어진다. 원료 섬유(31)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레이온, 유리, 아세테이트 등으로 형성된다. 접착 섬유는 예를들면 변성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에틸렌, 변성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등이 이용되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원료 섬유(31)의 외주에 코팅된다. 이 경우, 원료 섬유(31)의 융점은 약 250℃인데 비하여, 접착 섬유(32)의 융점은 그것보다도 낮고, 예를 들면 40∼240℃의 것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융점의 접착 섬유(32)를 사용하는 이유는 원료 섬유(31)까지도 용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나타낸 섬유(30)를 사용하고, 이들 섬유(30)로 부직포를 제작하고, 이 부직포를 가열 성형함으로써 여과재(5)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 여과재(5)를 사용하여 연료용 여과기(2)가 형성된다. 또, 모든 섬유(32)에 접착 섬유(32)를 코팅할 필요는 없으며, 그 일부의 섬유(30)는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여과재(5)는 다음과 같이 가열 성형한다. 즉, 예를 들면 성형 다이에 배치한 원료 섬유와 접착 섬유의 혼합물에 대하여, 고온조 등의 가열 분위기에서 프레스 가공을 행하거나, 또는 미리 가열한 성형 다이에 넣어 프레스 가공을 행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용이하게 원료 섬유와 접착 섬유의 혼합물을 소망하는 형상의 여과재로 성형할 수 있다. 가열 분위기 또는 가열한 성형 다이의 온도는 적어도 접착 섬유의 접착을 위한 성분이 용융되어, 원료 섬유와 접착되는 정도의 온도,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40∼240℃ 정도의 온도이다.
접착 섬유는 융점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서 가열 성형후의 섬유 밀도가 다르고, 섬유 밀도를 낮게(섬유 사이의 틈새는 많고, 여과 기능은 충분히 갖지만, 강도는 떨어진다) 했다면, 그 융점 온도가 낮은 것을 사용함과 아울러, 가열 시간을 짧게 한다. 반대로, 접착 섬유의 섬유 강도를 높게(섬유 사이의 틈새가 적어지고, 여과 기능은 감소하지만, 강도는 증가한다) 했다면, 그 융점 온도가 높은 것을 사용함과 아울러, 가열 시간을 길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섬유의 강도를 높이고, 더욱 수지화할 수 있다. 그러나, 섬유 밀도는 융점 및 가열 시간의 조합에 의해 가변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과재(5)는 본래의 기능인 여과 기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연료 탱크(1)의 저벽(9)과 맞스치더라도 마모되지 않는 적당한 강도가 되도록 가열 성형이 행해진다.
도2는 단층(單層)의 여과재(5)를 나타낸다. 외곽선을 굵게 하고 있는 것은 섬유모의 보풀 발생이 없는 것을 나타내며, 이 때문에 도14,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커버층(5c) 및 스크린층(5d)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백색의 화살표는 여과재(5)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연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3은 3층 일체 구조의 여과재(5)를 나타낸다. 각 층은 거친 층(51), 중간층(52) 및 촘촘한 층(53)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거친 층(51)측은 연료 탱크(1)측이 되고, 촘촘한 층(53)측은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여과재(5)의 내면측이 되고, 도2와 마찬가지로 여과재(5)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연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 백색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료가 흐른다. 연료는 거친 층(51)측으로부터 흡입되고, 중간층(52) 및 촘촘한 층(53)을 통과하는 동안에, 크고 작은 이물질이 각각의 층에서 여과되어, 프로텍터(6)가 개재되는 여과재(5)내에 흘러든다. 이러한 조밀 구배를 갖는 다층 구조의 것을 가열 성형한 경우에는, 여과재(5)의 섬유 사이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여과재 사이까지도 접착되기 때문에, 전체가 일체화된다. 도3에서는, 각 층 사이의 경계를 굵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층 사이는 접착되고, 일체화되어 있다. 물론 외주부는 도2의 것과 마찬가지로, 섬유털의 보풀 발생은 없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여과재(5)를 사용하여 형성한 여러가지 형태의 연료용 여과기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용 여과기이고, 도4는 그 단면도, 도5는 도4의 X-X선 단면도, 도6은 그 평면도이다. 이 제1 실시 형태의 여과기는 1장의 여과재를 되접어 꺽어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탱크식 연료용 여과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료용 여과기(1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연료용 여과기(10)는 연결 부재(13)를 개재하여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료 탱크(1)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3)의 상류측에 연결되며, 연료내의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 완료된 연료만을 연료 펌프(3)에 공급한다.
연료용 여과기(10)는 연결 부재(13)가 연결되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과, 연결 부재(13)가 연결되지 않은 측의 대략 절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1장의 여과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13)가 연결되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은 상측 여과재(11)를 형성하고, 연결 부재(13)가 연결되지 않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은 하측 여과재(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 부재(11, 12)는 중앙부의 절첩부(19)에서 되접어 꺽여지고, 각각 서로 중첩되는 주연부(17a, 17b)는 초음파 용착, 또는 전기용착 등의 열 용착 수단에 의해 용착되거나,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며, 그 내부에 내부 공간(14)을 형성한다.
상기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는 도1 내지 도3에서 설명한 부직포로 형성됨과 아울러, 절곡 등의 수단에 의해 여과재(11, 12) 각각에는 복수개의 요철(15, 16)이 형성된다.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요철(15, 16)의 내측 선단부(15a, 16a)는 맞닿게 되고, 또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이고 또한 90도 어긋나게 교차하고 있다. 이들 양 요철(15, 16)의 내측 선단부(15a, 16a)의 맞닿음 부위는 간단히 맞닿게 해 두는 것만으로도 된다. 여과기를 더욱 강고하기 하기 위해서는, 열 용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한다.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료용 여과기(10)의 내부에 내부 공간(14)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여과기(10) 전체를 강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용 여과기(10)의 내부에 형성하고 있던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프로텍터(6)를 없앨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6)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상측 여과재(11)의 중심부에는 요철이 없는 중앙 내부 공간(14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중앙 내부 공간(14a)의 상측 여과재(11)에는 연결 부재(13)의 선단부가 삽입가능한 관통 구멍(11a)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 부재(13)의 선단에는 플랜지(13a) 및 그 플랜지(13a)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상 돌출부(1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 돌출부(13b)를 관통 구멍(11a)에 삽입하고, 관통 구멍(11a) 둘레의 상측 여과재(11)의 외면과 플랜지(13a)면을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固着)한다. 연결 부재(13)의 타단은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료 탱크(1)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3)에 연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의 내측 선단부(15a, 16a)의 교차각은 90도이다. 다만, 연료용 여과기(10) 내부에 침입한 모든 연료가, 상측 여과재(11)와 일체 성형되는 연결 부재(13)의 하류측에 형성되는 중앙 내부 공간(14a)까지 흐를 수 있는 범위에서 그 교차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요철(15, 16)의 내외측 선단부(15a, 16a)는 평면에서 보아 직선이지만, 곡선 또는 지그재그 형상이어도 되고, 여과재의 형상에 관해서도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원형 등의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에서는,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 모두 도1 내지 도3에서 설명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측 여과재(11)는 상기 부직포를 사용하지만, 하측 여과재(12)는 연료용 여과기(10)의 저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료용 여과기(10)를 연료 탱크(1)내에 배치한 상태에서는, 연료 탱크(1)의 저벽에 맞닿게 된다. 이 때문에, 연료 탱크(1)가 진동으로 흔들리면, 하측 여과재(12)가 연료 탱크(1)의 저벽(9)에서 스치게 되고, 최악의 경우에는 하측 여과재(12)가 파단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폐해를 없애기 위하여, 하측 여과재(12)의 재질을 메쉬 스크린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측 여과재(12)는 그대로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부직포로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로 형성한 하측 여과재(12)의 외주에 메쉬 스크린을 적층시켜도 좋다. 상기 메쉬 스크린은 이미알려진 것으로, 합성수지제의 다공을 갖도록 거칠게 짠 것이어도 좋고, 또는 얇은 평판 형상의 것에 다수의 구멍을 뚫은 것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연료용 여과기(10)는 부직포로서 원료 섬유와 접착 섬유의 혼합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여과재에 요철을 일체 성형하더라도, 이들 요철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요철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그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요철에 의해 내부 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재(11, 12) 전체로부터 내부 공간(14)에 칩입한 연료는 빠르게 중앙 내부 공간(14a)에 흐르고, 결과적으로 연료 펌프의 흡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상측 여과재(11)에는 요철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장방형 길이 방향으로, 또한 연결 부재(13)를 사이에 둔 대칭 위치에, 연료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연료내의 공기를 양호하게 배출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통로인 띠형상 통로(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띠형상 통로(18)에 의해, 내부 공간(14)에 침입한 연료 및 공기는 원활하게 중앙 내부 공간(14a)을 통하여 연결 부재(13)에 흐른다. 이 때문에, 설령 연료용 여과기내에 공기가 침입했다고 하더라도 요철내에 머무르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된다. 물론, 상측 여과재(11)에 형성하는 요철의 방향을, 띠형상 통로(18)의 방향과 동일한 장방형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하측 여과재(12)에 형성하는 요철의 방향을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요철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띠형상 통로(18)는 불필요하게 된다.
도7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는 제1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를 갖는 1장의 여과재를 절첩부(19)(도7에서는 연결 부재(13)에 의해 감춰져 있다)에서 되접어 꺽어서 형성되는 여과재에 복수개의 요철이 형성된다. 그 되접어 꺽은 부위에 연결 부재(13)가 연결되어 있다.
즉, 연료용 여과기(10)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직포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요철을 갖는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로 형성된다. 이들 양 여과재(11, 12)는 1장의 여과재를 그 대략 중앙의 절첩부(19)에서 되접어 꺽어서 형성된다. 그 절첩부(19)에는 연결 부재(13)의 선단부가 삽입가능한 관통 구멍(11a)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 부재(13)의 선단에는 플랜지(13a) 및 그 플랜지(13a)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관형상 돌출부(1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 돌출부(13b)를 관통 구멍(11a)에 삽입하고, 관통 구멍(11a) 둘레의 상측 여과재(11)의 외면과 플랜지(13a)면을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다. 되접어 꺽은 후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양 여과재(11, 12)의 주연부(17a, 17b)는 초음파 용착, 또는 전기 용착 등의 열 용착 수단에 의해 용착되거나,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고, 그 내부에 내부 공간(14)이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연료용 여과기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것과의 차이는 제1 실시 형태가 1장의 여과재로 연료용 여과기(10)를 형성하고 있는데 비하여, 제2 실시 형태는 2장의 여과재로 연료용 여과기(10)를 형성하는 점이다. 도8에 나타낸 여과기(10)의 측면도 및 평면도는 도5 및 도6과 동일하다.
즉 연료용 여과기(10)는 연결 부재(13)가 연결되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과, 연결 부재(13)가 연결되지 않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2장의 여과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부재(13)가 연결되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은 상측 여과재(11)를 형성하고, 연결 부재(13)가 연결되지 않는 측의 대략 절반 부분은 하측 여과재(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 부재(11, 12)는 각각 중첩되고, 맞닿는 주연부(17a, 17b)를, 초음파 용착, 또는 전기 용착 등의 열 용착 수단에 의해 용착하거나,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고, 그 내부에 내부 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는 도1 내지 도3에서 설명한 부직포로 형성됨과 아울러, 절곡 등의 수단에 의해 여과재(11, 12) 각각에는 복수개의 요철(15, 16)이 형성된다. 도8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요철(15, 16)의 내측 선단부(15a, 16a)는 맞닿게 되고, 또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이고, 또한 90도 어긋나게 교차해 있다. 이들 양 요철(15, 16)의 내측 선단부(15a, 16a)의 맞닿음 부위는 간단히 맞닿게 해 두는 것만으로 충분한데, 더욱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열 용착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한다.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료용 여과기(10)의 내부에 내부 공간(14)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여과기(10) 전체를 강고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용 여과기(10)의 내부에 형성하고 있던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프로텍터(6)를 없앨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6)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상측 여과재(11)의 중심부에는 요철이 없는 중앙 내부 공간(14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중앙 내부 공간(14a)의 상측 여과재(11)에는 연결 부재(13)의 선단부가 삽입가능한 관통 구멍(11a)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 부재(13)의 선단에는 플랜지(13a) 및 그 플랜지(13a)의 선단에 연장형성되는 관형상 돌출부(1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 돌출부(13b)를 관통 구멍(11a)에 삽입하고, 관통 구멍(11a) 둘레의 상측 여과재(11)의 외면과 플랜지(13a)면을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다. 연결 부재(13)의 타단은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료 탱크(1)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3)에 연결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장을 중첩시켜 형성하기 때문에, 양 여과재의 재질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으며, 하측 여과재(12)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 재질을 메쉬 스크린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연료용 여과기를 나타내며, 도9는 그 일부 단면도, 도10은 그 전체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복수개의 요철 대신에 복수개의 딤플(dimple)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을 여과재를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즉,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료용 여과기(10)는 연결 부재(13)를 개재하여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료 탱크(1)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3)의 상류측에 연결된다. 상기 연료용 여과기(10)는 도1 내지 도3에서설명한 본 발명의 부직포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를 갖는 1장의 여과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양 여과재(11, 12)를 절첩부(19)에서 되접어 꺽고, 중첩되는 양 여과재(11, 12)의 주연부(17a, 17b)는 초음파 용착, 또는 전기 용착 등의 열 용착 수단에 의해 용착되거나,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며, 그 내부에 내부 공간(14)이 형성된다.
연료용 여과기(10)는 본 발명의 부직포로 형성됨과 아울러,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여과재(11)에는 그 표면을 돌기물로 누르는 등의 수단에 의해 원추형상의 오목부인 복수개의 딤플(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딤플(20)의 선단부(20a)는 하측 여과재(12)의 내면에 맞닿게 되고, 주연부(17a, 17b)는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서 맞닿음부에 열 용착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이들 부위를 결합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맞닿음부를 몇 개, 어떤 방향으로 형성하더라도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14)에 침입한 모든 원료는 원활하게 중앙 내부 공간(14a)을 통하여 연결 부재(13)에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연료용 여과기(10)의 내부에 형성하고 있던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로텍터(6)를 생략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6)를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상측 여과재(11)의 중심부에는 요철이 없는 중앙 내부 공간(14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중앙 내부 공간(14a)의 상측 여과재(11)에는 연결 부재(13)의 선단부가 삽입가능한 관통 구멍(11a)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 부재(13)의 선단에는 플랜지(13a) 및 그 플랜지(13a)의 선단에 연장형성되는 관형상 돌출부(1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 돌출부(13b)를 관통 구멍(11a)에 삽입하고, 관통 구멍(11a) 둘레의 상측 여과재(11)의 외면과 플랜지(13a)면을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다. 연결 부재(13)의 타단은 도11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료 탱크(1)내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3)에 연결된다.
또, 이 제3 실시 형태는 여과재에 형성하는 딤플(20)을 상측 여과재(11)에 수직으로 아래로 연장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하측 여과재(12)에 수직으로 상측 방향으로 세워 형성하거나, 또는 상측 여과재(11) 및 하측 여과재(12) 모두에, 서로 포개지지 않도록 형성하거나, 상호 선단끼리가 포개지도록 맞닿게 해도 좋다. 또한, 여과재는 1장을 되접어 꺽은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2장을 맞붙여서 결합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여과재로서 접착 섬유를 사용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 여과기의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여과재내에 프로텍터를 개재하는 것이어도 좋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료용 여과기의 여과재는 원료 섬유와 접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 형성됨과 아울러, 접착 섬유 부분을 용융함으로써, 섬유 사이를 접착한다. 그 결과, 여과재의 표면은 물론이고, 절단면에 있어서도 섬유모의 보풀 발생에 기인한 섬유모의 박리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여과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층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원료 섬유 외주상에 코팅된 접착 섬유가남겨진 상태로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부직포 전체의 강도가 증가하고, 설령 연료 탱크(1)의 저벽(9)과의 사이에서 스치는 일이 있더라도 견딜 수 있으며, 여과재의 스크린층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층 또는 스크린층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커버층 또는 스크린층을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만큼 생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로서의 부직포만으로 연료용 여과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여과재를 적어도 2장의 여과재끼리를 중첩시킨 다층 구조, 또는 조밀 구배를 갖는 다층 구조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조밀 구배를 갖는 3층 구조와 같은 것에 있어서도, 그 모든 외측 표면에는, 섬유털의 보풀 발생이 없어진다. 결과적으로, 여과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층 또는 스크린층을 없앨 수 있다. 이 때문에, 여과기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그 만큼 생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여과재 사이, 즉 층사이 또한 동시에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재 사이를 접착하는 공정을 없앨 수도 있다.
또한, 여과재는 1장의 플레이트를 되접어 꺽어서 결합함으로써 형성하거나, 2장의 플레이트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문에, 연료용 여과기의 제조를 간략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개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평면 형상의 여과재에 비하여 여과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용 여과기를 경량화 및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여과재의 요철에 의해 연료용 여과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그 요철에 의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프로텍터를 생략할 수 있다. 이 요철을 딤플로 함으로써, 여과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딤플로 이루어지는 요철에 의해 연료용 여과기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그 딤플에 의해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여과재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면과,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메쉬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연료용 여과기의 저면이 되고 연료 탱크의 저벽과 접촉하는 면이 되는데, 진동에 의해 연료 탱크가 흔들리고, 가령 양자가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그 사이가 파손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연료용 탱크를 연료 펌프의 상류측에 형성함으로써, 연료 펌프로의 연료 여과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고, 액체가 통과하는 여과재(11, 12)와, 상기 여과재(11, 12)에 의해 둘러싸이고, 액체가 고이는 내부 공간(14)과, 상기 내부 공간(14)과 상기 내부 공간의 외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내부 공간(14)의 액체를 상기 내부 공간(14)의 외부로 내보내는 연통로(13)로 이루어지는 연료용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는 원료 섬유(31)와 접착 섬유(32)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이며, 상기 접착 섬유(32)를 용융함으로써, 상기 원료 섬유(31) 사이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는 원료 섬유(31)의 외주를 접착 섬유(32)로 코팅하여 된 섬유(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섬유(31)는 상기 접착 섬유(32)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는 적어도 2장의 층(51, 52, 53)끼리를 중첩시킨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 섬유(32)를 용융함으로써, 여과재 섬유(31) 사이 및 이웃하는 층(51, 52, 53) 사이를 접착하고,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는 섬유 밀도가 거친 층(51) 및, 섬유 밀도가 촘촘한 층(53)으로 이루어지는 조밀(粗密) 구배(勾配)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를 되접어 꺽어서, 서로 대향하는 2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제1 면을 갖는 제1 여과재(11)와, 그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갖는 제2 여과재(12)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개의 요철(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딤플(dimple;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11, 12)는 상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면과, 메쉬(mesh) 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2)는 연료 펌프(3)의 상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여과기.
KR1020020065799A 2001-10-29 2002-10-28 연료용 여과기 KR20030035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30321 2001-10-29
JP2001330321A JP2003126619A (ja) 2001-10-29 2001-10-29 燃料用濾過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79A true KR20030035979A (ko) 2003-05-09

Family

ID=1914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799A KR20030035979A (ko) 2001-10-29 2002-10-28 연료용 여과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80046A1 (ko)
EP (1) EP1306119B1 (ko)
JP (1) JP2003126619A (ko)
KR (1) KR20030035979A (ko)
CN (1) CN1250314C (ko)
DE (1) DE6021162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2621B4 (de) * 2003-05-20 2006-05-04 Siemens Ag Zur Befestigung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vorgesehene Fördereinheit
JP2006326515A (ja) * 2005-05-27 2006-12-07 Aisan Ind Co Ltd フィルタ
US20060266701A1 (en) * 2005-05-31 2006-11-30 Dickerson David P Gradient density depth filtration system
JP2009503314A (ja) * 2005-07-22 2009-01-29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燃料フィルタ
JP2008025471A (ja) * 2006-07-21 2008-02-07 Aisan Ind Co Ltd 燃料フィルタと燃料フィルタユニット
US20110138791A1 (en) * 2009-12-15 2011-06-16 Delphi Technologies, Inc. Liquid Reductant Dosing Module with Heating Device
US20110138790A1 (en) * 2009-12-15 2011-06-16 Delphi Technologies, Inc. Urea Delivery Tank Module
CN102753246B (zh) 2010-02-12 2016-03-16 唐纳森公司 液体过滤介质
KR102280136B1 (ko) * 2011-08-12 2021-07-22 도널드선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하는 액체 여과 매질
DE102011112326A1 (de) * 2011-09-02 2013-03-07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flüssigem Reduktionsmittel mit einem Partikelsieb
US8372278B1 (en) * 2012-03-21 2013-02-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quid fuel strainer assembly
KR101340914B1 (ko) * 2013-05-23 2013-12-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스트레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펌프모듈
JP6363793B2 (ja) * 2014-05-22 2018-07-25 クス フィルトレ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ソックス型フィルタを通過する流路を維持するための濾過媒体の形成
JP6520680B2 (ja) * 2015-01-15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WO2016114132A1 (ja) * 2015-01-15 2016-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CN104911945B (zh) * 2015-05-11 2017-02-01 杭州特种纸业有限公司 高精度柴油复合滤纸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7017894A1 (ja) * 2015-07-29 2017-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JP6265200B2 (ja) * 2015-07-29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JP6319281B2 (ja) 2015-09-03 2018-05-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クション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KR102178858B1 (ko) * 2019-09-25 2020-11-13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용 스트레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187A (en) * 1988-05-27 1991-10-08 Kyosan Denki Kabushiki Kaisha Fuel filter incorporated in a fuel tank
JP3353986B2 (ja) * 1993-10-04 2002-12-09 株式会社ニフコ 燃料用フィルター
US6169045B1 (en) * 1993-11-16 2001-01-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ilter media
DE69528076T2 (de) * 1994-10-31 2003-04-30 Kimberly Clark Co Hochdichte faservliesfiltermedien
US5665229A (en) * 1995-07-07 1997-09-09 Kuss Corporation In-tank fuel filter with floating mounting
US5716522A (en) * 1996-10-25 1998-02-10 Kuss Corporation Non-woven depth media in-tank fuel filter
US5902480A (en) * 1997-05-13 1999-05-11 Kuss Corporation Depth media in-tank fuel filter with extruded mesh shell
US6241899B1 (en) * 2000-02-28 2001-06-05 Maritza L. Ramos Disposable filter bags for pool cleaners
JP2002028408A (ja) * 2000-07-18 2002-01-29 Kyosan Denki Co Ltd 濾過器
US6471072B1 (en) * 2000-09-22 2002-10-29 Kuss Corporation Filter with pump retaining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11623D1 (de) 2006-06-29
US20030080046A1 (en) 2003-05-01
EP1306119A3 (en) 2003-05-07
EP1306119B1 (en) 2006-05-24
EP1306119A2 (en) 2003-05-02
JP2003126619A (ja) 2003-05-07
CN1416934A (zh) 2003-05-14
CN1250314C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5979A (ko) 연료용 여과기
KR100774232B1 (ko) 여과기
US6193773B1 (en) Dust filter bag
US9084950B2 (en) Fluid filter
KR100590398B1 (ko) 연료용 필터장치
KR100952421B1 (ko) 내연기관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67884A (ko)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011721A (ko) 연료용 필터
JP2006326515A (ja) フィルタ
KR20080035477A (ko) 필터 유닛 및 필터 유닛 패널
US20050061723A1 (en) Filter unit
JP2004218607A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JP4905128B2 (ja) 菊花型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濾過体及び流体フィルタ
US6706183B2 (en) Filter
JP7309952B2 (ja) 燃料用フィルタ
JP4559667B2 (ja) 燃料用フィルタ装置
CN110049807B (zh) 过滤介质、其制备方法和所述过滤介质在过滤元件中的用途
CN102639208A (zh) 紧凑式过滤器、用于制造紧凑式过滤器的方法和过滤介质
JPH0824546A (ja) 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器
JP2004270865A (ja) 自動変速機用オイルフィルタの濾過材
JP2003117315A (ja) 濾過器
JP2003126618A (ja) 濾過器
JP2004243314A (ja) 自動変速機又はエアクリーナ用濾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5059A (ja) 濾過器
KR20220155083A (ko) 연료필터, 연료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연료 내 불순물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