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956A -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956A
KR20030033956A KR1020020064430A KR20020064430A KR20030033956A KR 20030033956 A KR20030033956 A KR 20030033956A KR 1020020064430 A KR1020020064430 A KR 1020020064430A KR 20020064430 A KR20020064430 A KR 20020064430A KR 20030033956 A KR20030033956 A KR 2003003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mobile communic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쭈쭈미
히데나리카토
히사시타케시타
쇼고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3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휴대 전화기(12, 14)와 네트워크 장치(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는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의 송신 요구는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2)에 수신된다. 또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휴대 전화기(12)로부터는 해당하는 정보가 격납부(17)로부터 판독되고,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정보송수신 프로그램{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network device,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gra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HS 등의 이동 통신 단말의 보급과 함께,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는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여러 가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는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혹은 이동체 통신망에 접속된 서버 장치. 이하 동일.)에 액세스함으로써, 해당 서버 장치 내에 격납되어 있는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특개평6-161918호", "특개평9-214935호", "특개평10-149309호", "특개 2001-313913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정보 유통이 활발화되는 현재에는 정보의 발신자와 수신자라는 명확한 구별은 사라지고, 누구나 정보의 수신자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정보의 발신자로도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가 스스로 정보를 발신하고자 생각하는 경우, 해당 유저는 인터넷 접속 사업자 등이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해당 정보를 업로드함으로써 자기가 갖는 정보를 널리 다른 유저에게 발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유저는 상기 인터넷 접속 사업자 등이 관리하는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상기 유저가 발신하는 정보를 다운로드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제시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해당 정보를 업로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수속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할 수 있는 정보는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업로드된 정보에 한정된다. 따라서, 가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극히 유용한 정보를 갖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해당 정보가 업로드되지 않으면, 수신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발신자로부터가 자발적인 송신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은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할 때의 편리성이 높지 않았 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 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은 정보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송수신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정보를 격납해두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수신 수단이,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스텝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을,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이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격납 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함으로써,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해당 정보를 업로드하지 않더라도, 해당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은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송수신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수단이,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스텝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수신 수단이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스텝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시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은 이동 통신 단말을,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과,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과,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이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시함으로써, 해당 정보가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정보를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수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장치는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3 수신 수단과, 상기 제 3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수단과, 상기 제 3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수신 수단과, 상기 제 4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4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 송신하고,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를 통하더라도, 해당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정보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어느 한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어느 한(정보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통신 단말을 구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를 통하더라도,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통신 단말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 또는 수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격납부의 디렉토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구성도.
도 4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휴대 전화기(14)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을 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로 정보 일람을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로 정보를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격납 정보 일람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을 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퍼스널 컴퓨터(46)로 정보 일람을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퍼스널 컴퓨터(46)로 정보를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네트워크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하고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휴대 전화기(12, 14; 이동 통신 단말)와 네트워크 장치(1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편의상, 휴대 전화기(12)를 정보 송신측의 휴대 전화기, 휴대 전화기(14)를 정보 수신측의 휴대 전화기로서 설명하지만, 휴대 전화기(12)가 정보 수신측의 휴대 전화기가 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휴대 전화기(14)가 정보 송신측의 휴대 전화기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2)는 격납부(17; 제 1 격납 수단)와, 속성 부가부(18; 부가 수단)와, 요구 수신부(20; 제 1 수신 수단)와, 정보 송신부(22; 제 1 송신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격납부(17)에는 화상, 음악, 텍스트 등, 여러 가지 정보가 파일로서 격납되어 있다. 또한, 격납부(17)는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는 디렉토리의 작성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2는 격납부(17)의 디렉토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격납부(17)에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공되어 있는 루트 디렉토리의 하위에, 「화상」, 「음악」, 「메일」과 같은 하위 디렉토리가 휴대 전화기(12)의 유저에 의해 작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디렉토리에는 「화상 1」,「화상 2」와 같은 화상 정보가 화상 파일(예를 들면 JPEG, GIF, BMP, MPEG 파일)로서 격납되어 있고, 「음악」 디렉토리에는 「음악 1」, 「음악 2」와 같은 음악 정보가 음악파일(예를 들면 MIDI, WAV 파일)로서 격납되어 있고, 「메일」 디렉토리에는 「메일 1」과 같은 텍스트 정보가 텍스트 파일로서 격납되어 있다. 또한, 격납부(17)의 디렉토리 구성은 휴대 전화기(12)의 유저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디렉토리의 더 하위에 「정지화」 디렉토리와 「동작화」 디렉토리를 작성하여, 계층적인 디렉토리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루트 디렉토리에는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이 격납되어 있다. 도 3은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구성도이다. 「격납 정보 일람」 파일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파일)의 일람과,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 각각에 대한 송신 허용 여부 정보, 전송 허용 여부 정보, 편집 허용 여부 정보, 저작권 정보, 데이터 사이즈 등의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송신 허용 여부 정보란,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4))에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 즉, 정보를 남에게 공개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전송 허용 여부 정보란,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4))에 송신한 후에, 해당 다른 휴대 전화기로부터 또 다른 휴대 전화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4) 이외의 휴대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지의 여부, 즉, 정보를 2차 배신(配信)하여도 좋은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편집 허용 여부 정보란,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4))에 송신한 후에, 해당 다른 휴대 전화기에서 편집하는 것을허용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더욱이, 저작권 정보란, 정보에 저작권이 붙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속성 부가부(18)는 격납부(17)에 격납된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에 대하여 해당 정보의 속성에 관한 속성 정보를 부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속성 부가부(18)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격납부(17)에 격납된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 각각에 대하여 송신 허용 여부 정보, 전송 허용 여부 정보, 편집 허용 여부 정보, 저작권 정보를 부가하고, 이들을 「격납 정보 일람」 파일에 기록한다. 또한, 속성 부가부(18)는 격납부(17)에 격납된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 각각의 데이터 사이즈를 검출하고, 이것을 「격납 정보 일람」 파일에 기록한다.
요구 수신부(20)는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송신되는, 자신(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 요구 수신부(20)는 또한,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송신되는 자신(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
정보 송신부(22)는 요구 수신부(20)에 의해 수신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자신(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을,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22)는 요구 수신부(20)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자신(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를,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이 경우, 정보 송신부(22)는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송신 허용 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요구된 정보의 송신이 허용될 때는 그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한편, 정보의 송신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그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송신부(22)는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전송 허용 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요구된 정보의 전송이 허용될 때는 그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한편, 정보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그 정보를 전송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22)는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편집 허용 여부 정보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요구된 정보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 정보의 편집이 허용될 때는 그 정보를 편집 가능한 상태로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한편,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 그 정보의 편집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그 정보를 편집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정보 송신부(22)는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저작권 정보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요구된 정보에 저작권이 붙어 있으면, 그 취지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12)는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휴대 전화기(12)는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휴대 전화기(12)가 수신 전파 강도가 작은 영역에 들어가면, 호출이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정보 송신부(22)는 휴대 전화기(14)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미완의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4)와의 사이의 호출이 절단된 경우, 수신 전파 강도가 큰 영역으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재차 호출 접속을 하고, 휴대 전화기(14)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재개한다.
휴대 전화기(12)의 속성 부가부(18), 요구 수신부(20), 정보 송신부(22)는 각각, 상술한 속성 부가부(18), 요구 수신부(20), 정보 송신부(22) 각각의 기능을 휴대 전화기(12)에 실현시키기 위해서 프로그램(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을 휴대 전화기(12)에 인스톨함으로써 실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미리 휴대 전화기(12)에 인스톨되어 있어도 좋고, 반송파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고, 그 후에 인스톨되어도 좋다.
휴대 전화기(14)는 요구 송신부(24; 제 2 송신 수단)와, 정보 수신부(26; 제 2 수신 수단)와, 격납부(28; 제 2 격납 수단)와, 정보 제시부(30; 제시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요구 송신부(24)는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요구 송신부(24)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정보 수신부(26)는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12)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정보 일람을 수신한다. 정보 수신부(26)는 또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12)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를 통하여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다.
격납부(28)에는 정보 수신부(26)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 일람 및 상기 정보가 보존된다. 여기서, 격납부(28)도,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와 같이,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는 디렉토리의 작성이 가능해지고 있다.
정보 제시부(30)는 정보 수신부(26)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 일람, 및 상기 정보를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제시부(30)는 휴대 전화기(14)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정보 일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정보가 화상이나 텍스트이면, 이들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정보가 음악이면, 이들의 정보를 스피커로부터 재생 출력한다.
휴대 전화기(14)의 요구 송신부(24), 정보 수신부(26), 정보 제시부(30)는 각각, 상술한 요구 송신부(24), 정보 수신부(26), 정보 제시부(30) 각각의 기능을 휴대 전화기(14)에 실현시키기 위해서 프로그램(정보 송수신 프로그램)을 휴대 전화기(14)에 인스톨함으로써 실현한다. 해당 프로그램은 미리 휴대 전화기(14)에 인스톨되어 있어도 좋고, 반송파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고, 그 후에 인스톨되어도 좋다.
네트워크 장치(16)는 통신 장치(32)와, 어드레스 해결 장치(34; 특정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통신 장치(32)는 요구 수신부(36; 제 3 수신 수단)와, 요구 송신부(38; 제 3 송신 수단)와, 정보 수신부(40; 제 4 수신 수단)와, 정보 송신부(42; 제 4 송신 수단)와, 격납부(44; 제 3 격납 수단)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통신 장치(32)의 요구 수신부(36)는 휴대 전화기(14)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되는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 요구 수신부(36)는 아직, 휴대 전화기(14)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되는,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다.
어드레스 해결 장치(34)는 통신 장치(32)의 요구 수신부(36)에 의해 수신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해야 할 휴대 전화기(12)를 특정하고, 그 결과를 통신 장치(32)의 요구 송신부(38)에 대하여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레스 해결 장치(34)는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 중에서 상대편의 휴대 전화기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전화번호나 기체번호)를 추출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편의 휴대 전화기를 특정한다.
통신 장치(32)의 요구 송신부(38)는 어드레스 해결 장치(34)에 의해 특정된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기도 하고, 전원 OFF로 되어 있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요구 송신부(38)는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격납부(44)에 격납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고, 혹은 전원 ON으로 되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격납부(44)로부터 판독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고, 혹은 전원 ON으로 된 것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등록 요구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통신 장치(32)의 정보 수신부(40)는 요구 송신부(38)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휴대 전화기(1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 일람, 및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32)의 정보 송신부(42)는 정보 수신부(40)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 일람, 및 정보를, 요구원인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고,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송수신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고, 도 5는 휴대 전화기(14)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 접속을 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로 정보 일람을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로 정보를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를 휴대 전화기(14)가 수신하기위해서, 우선, 휴대 전화기(14)가 휴대 전화기(12)에 접속된다. 이 경우,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S1). 이러한 접속 요구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편의 휴대 전화기(12)를 특정하는 정보로서, 휴대 전화기(12)의 전화번호 「090000000」가 포함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의해 상기 접속 요구가 수신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32)로부터 어드레스 해결 장치(34)에 대하여 접속처의 문의가 행해진다(S2).
접속처의 문의가 행해지면, 어드레스 해결 장치(34)에 의해, 상기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휴대 전화기(12)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접속처의 휴대 전화기(12)가 특정되고, 그 결과가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통지된다(S3).
접속처의 휴대 전화기(12)가 특정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4)로부터의 접속 요구의 전송, 무선 링크의 설정 등을 포함하는 접속순서가 실시되고(S4), 해당 접속 순서의 종료에 동반하여, 휴대 전화기(12)와 휴대 전화기(14) 사이의 접속이 완료된다(S5).
접속 완료 후에, 휴대 전화기(14)가,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을 수신하는 경우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가 송신된다(S6).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의해 수신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되고, 휴대 전화기(12)에 의해 수신된다(S7).
이 경우,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고 있거나, 전원 OFF가 되고 있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없을 때는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가 격납부(44)에 일단 격납된다. 그 후,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고, 혹은 전원 ON으로 되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가 격납부(44)로부터 판독되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요구측의 휴대 전화기(14)의 지시에 의해, 상술한 제어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즉,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고 있거나, 전원 OFF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거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거나, 전원 ON이라고 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지를, 휴대 전화기(14)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정보 송신측의 휴대 전화기(12)의 지시에 의해, 상술한 제어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즉,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고 있거나, 전원 OFF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정보 일람의 송신을 중지하거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거나, 전원 ON으로 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상기 정보 일람을 송신하는지를 휴대 전화기(12)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 전화기(12)에 의해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가 수신되면,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이 격납부(17)의 「격납 정보 일람」 파일로부터 판독되고,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송신된다(S8). 이러한 경우, 「격납 정보 일람」 파일에 포함되는 송신 허용 여부 정보, 전송 허용 여부 정보, 편집 허용 여부 정보, 저작권 정보, 데이터 사이즈 등의 속성 정보도 정보 일람에 포함하여 송신된다.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의해 수신된 정보 일람은 또한,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되고, 휴대 전화기(14)에 의해 수신된다(S9).
휴대 전화기(14)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 일람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S10). 즉, 휴대 전화기(14)의 디스플레이에는 전화번호가 「090-000-0000」인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 일람으로서, 「화상 1」,「화상 2」,「음악 1」,「음악 2」라는 정보의 명칭이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정보에 관해서, 전송 허용 여부 정보, 편집 허용 여부 정보, 저작권 정보, 데이터 사이즈 등의 속성 정보도 더불어 표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2)로부터의 송신이 허용되고 있지 않는 정보(도 3의 예로 말하면 「메일 1」)에 관해서는 정보 일람으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정보 일람의 표시 형태로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상 1」,「화상 2」,「음악 1」,「음악 2」라는 정보의 명칭을 속성에 따라서 색별 분류하여도 좋다. 또한, 송신이 허용되고 있지 않는 정보도, 정보 일람에 포함시켜 두고, 해당 정보가 지정되면, 「송신할 수 없습니다」라는 표시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 전화기(14)의 유저가 상기 정보 일람을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4)가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정보의 송신 요구가 송신된다(S11). 정보의 송신 요구에는 원하는 정보를 특정하는 정보(예를 들면「화상 1」이라는 정보명)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의해 수신된 정보의 송신 요구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되고, 휴대 전화기(12)에 의해 수신된다(S12).
이 경우,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고 있거나, 전원 OFF가 되고 있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없을 때는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가 격납부(44)에 일단 격납된다. 그 후,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고, 혹은 전원 ON으로 되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가 격납부(44)로부터 판독되고,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된다. 또한, 이 경우, 정보 요구측의 휴대 전화기(14)의 지시에 의해, 상술한 제어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즉,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거나, 전원 OFF로 되어있는 경우는 정보의 송신 요구의 송신을 중지하거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거나, 혹은 전원 ON으로 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지를, 휴대 전화기(14)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정보 송신측의 휴대 전화기(12)의 지시에 의해, 상술한 제어를 행하는 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즉,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외로 이동하고 있거나, 전원 OFF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정보의 송신을 중지하거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 통신 에어리어의 권내로 되돌아가거나, 전원 ON으로 되었을 때,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휴대 전화기(12)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 전화기(12)에 의해 정보의 송신 요구가 수신되면,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해당하는 정보(예를 들면 「화상 1」)가 판독되고,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송신된다(S13). 이 경우,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전송 허용 여부 정보가 참조되고, 해당하는 전송이 허용될 때는 그 정보가 전송 가능한 상태로 송신된다. 한편, 정보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그 정보가 전송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되어 송신된다. 또한,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편집 허용 여부 정보가 참조되고, 해당하는 정보의 편집이 허용될 때는, 그 정보가 편집 가능한 상태로 송신된다. 한편, 정보의 편집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그 정보가 편집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되어 송신된다. 더욱이, 격납부(17)에 격납된 「격납 정보 일람」 파일의 저작권 정보가 참조되고, 해당하는 정보에 저작권이 붙어 있으면, 그 취지도 더불어 송신된다.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의해 수신된 정보(예를 들면 「화상 1」)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되고, 휴대 전화기(14)에 의해 수신된다(S14). 휴대 전화기(14)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휴대 전화기(14)의 격납부(28)에 일단 격납된다(S15).
여기서, 휴대 전화기(12)는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휴대 전화기(12)는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휴대 전화기(12)가 수신 전파 강도가 작은 영역에 들어가면, 호출이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휴대 전화기(14)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미완의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14)와의 사이의 호출이 절단된 경우, 휴대 전화기(12)가 수신 전파 강도가 큰 영역으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휴대 전화기(12)의 정보 송신부(22)에 의해, 재차 호출 접속이 행해지고, 휴대 전화기(14)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재개된다.
휴대 전화기(14)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격납부(28)에 격납되면,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절단 요구가 송신되고 (S16),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절단순서가 실시되고(S17), 휴대 전화기(12)와 휴대 전화기(14) 사이의 접속이 절단된다(S18).
또한,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격납부(28)에 격납된 정보가 제시된다(S19). 즉, 상기 정보가 화상이나 텍스트라면, 이들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정보가 음악이면, 스피커로부터 이들의 정보가 재생 출력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12)가, 휴대 전화기(14)로부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해당 정보를 업로드하지 않더라도, 해당 정보를 하나의 휴대 전화기(12)로부터 다른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발신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전화기의 유저가 정보를 발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14)가, 다른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해당 다른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고, 이러한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다른 휴대 전화기(12)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시한다. 따라서, 해당 정보가 이동체 통신 사업자가 설치한 서버 장치에 업로드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1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 전화기의 유저가 정보를 수신할 때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2)는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12)가 이동하면서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정보의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수신 전파 강도가 작은 영역으로 들어가면, 호출이 절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2)는 수신 전파 강도가 큰 영역으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재차 호출 접속을 하고, 상기 휴대 전화기(14)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재개한다. 그 결과,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상기 정보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격납부(17)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해당 정보의 속성 정보를 부가한다. 따라서,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마다, 예를 들면 송신 여부, 편집 여부 등의 여러 가지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격납부(17)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송신 허용 여부 정보를 부가하여, 해당 송신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의 송신이 허용될 때는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고, 정보의 송신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정보를 다른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2)의 유저는 스스로가 발신하고자 생각하는 정보만을 다른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격납부(17)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전송 허용 여부 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전송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의 전송이 허용될 때는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고, 정보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정보를 전송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되어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2)의 유저가 다른 휴대 전화기(14)로부터 또 다른 휴대 전화기에 전송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보에 관해서, 더욱이 다른 휴대 전화기로의 전송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격납부(17)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편집 허용 여부 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편집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의 정보의 편집이 허용될 때는 정보를 편집 가능한 상태로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하고,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의 정보의 편집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정보를 편집 불가능한 상태로 가공되어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2)의 유저가 남에게 편집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정보에 관해서, 남에 의한 편집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격납부(17)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저작권 정보를 부가하고, 저작권 정보를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4)의 유저는, 수신한 정보의 저작권에 관해서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자신의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정보 일람을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4)의 유저는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어떠한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2)에 있어서는,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여 격납부(17)의 디렉토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2)의 유저가 갖는 정보의 종류(예를 들면, 화상, 음악, 텍스트 등)에 따라서 디렉토리를 작성하여, 정보를 정리하여 격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4)에 관해서 생각하면,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는, 수신한 정보를 격납부(28)에 격납한다. 따라서, 수신 시에 한정되지 않고, 수신한 정보를 사후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는, 다른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되어 있는 정보 일람을 수신하여 제시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4)의 유저는 다른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어떠한 정보가 격납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휴대 전화기(14)에 있어서는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여 격납부(28)의 디렉토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4)의 유저가 수신한 정보의 종류(예를 들면, 화상, 음악, 텍스트 등)에 따라서 디렉토리를 작성하고, 정보를 정리하여 격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치(16)에 대하여 생각하면, 네트워크 장치(16)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격납부(44)에 격납해 두고, 휴대전화(12)에 대하여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있게 되었을 때, 해당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격납부(44)로부터 판독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 및 정보의 송신 요구를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휴대 전화기(14)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이지만, 휴대 전화기(12, 14)는 PHS 등의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은 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통신 단말이 휴대 전화기(14)이지만, 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통신 단말이라도 좋다. 도 9는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을 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퍼스널 컴퓨터(46)로 정보 일람을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퍼스널 컴퓨터(46)로 정보를 송신할 때의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46)가 수신하기 때문에, 우선,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 접속이 행해진다. 이 경우,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인터넷(48)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16)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S21). 이 접속 요구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장치(16)내의 어드레스 해결 장치의 IP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정보(어드레스 해결 장치의 도메인 네임인 「www.keitai.ne.jp/」)와, 상대편의 휴대 전화기(12)를 특정하는 정보(휴대 전화기(12)의 전화번호인 「0900000000」)가 포함되어 있다.
네트워크 장치(16)의 게이트웨이 장치(50)에 의해 상기 접속 요구가 수신되면, 상기 접속 요구에 포함된 어드레스 해결 장치의 도메인 네임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 장치(50)로부터 어드레스 해결 장치(34)에 대하여 접속처의 문의가 행해진다(S22).
접속처의 문의가 행해지면, 어드레스 해결 장치(34)에 의해, 상기 송신 요구에 포함되는 휴대 전화기(12)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접속처의 휴대 전화기(12)가 특정되고, 그 결과가 통신 장치(32)에 대하여 통지된다(S23).
접속처의 휴대 전화기(12)가 특정되면,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로부터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의 접속 요구의 전송, 무선 링크의 설정 등을 포함하는 접속 순서가 실시되고(S24), 해당 접속 순서의 종료에 동반하여,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휴대 전화기(12)로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하, 퍼스널 컴퓨터(46)가,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 일람을 수신하는 경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가,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게이트웨이 장치(50), 통신 장치(32)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된다. 또한, 정보 일람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정보 일람이 휴대 전화기(12)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 게이트웨이 장치(50)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46)에 대하여 송신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46)가 휴대 전화기(12)의 격납부(17)에 격납된 정보를수신하는 경우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의 송신 요구가, 퍼스널 컴퓨터(46)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게이트웨이 장치(50), 통신 장치(32)를 통하여 휴대 전화기(12)에 대하여 송신된다. 또한,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화상, 음악, 텍스트 등의 정보가, 휴대 전화기(12)로부터 네트워크 장치(16)의 통신 장치(32), 게이트웨이 장치(50)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46)에 대하여 송신된다.

Claims (23)

  1. 정보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 및
    상기 제 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미완의 상태에서 상기 통신 단말과의 사이의 호출이 절단된 경우, 재차 호출 접속을 하고,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에 대하여 해당 정보의 속성에 관한 속성 정보를 부가하는 부가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되는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정보의 송신 허용 여부에 관한 송신 허용 여부 정보로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송신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이 허용될 때는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정보의 송신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되는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로의 상기 정보의 전송 허용 여부에 관한 전송 허용 여부 정보로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전송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의 전송이 허용될 때는 상기 정보를 전송 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정보의 전송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정보를 전송 불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되는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상기 정보의 편집 허용 여부에 관한 편집 허용 여부 정보로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편집 허용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상기 정보의 편집이 허용될 때는 상기 정보를 편집 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단말에서의 상기 정보의 편집이 허용되지 않을 때는, 상기 정보를 편집 불가능한 상태로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에 의해 부가되는 상기 속성 정보는 상기 정보의 저작권에 관한 저작권 정보이고,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저작권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정보 일람을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은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는 디렉토리의 작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0.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 및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격납하는 제 2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 일람을 수신하고, 상기 제시 수단은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 일람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납 수단은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는 디렉토리의 작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4.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3 수신 수단,
    상기 제 3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수단,
    상기 제 3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수신 수단, 및
    상기 제 4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4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격납하는 제 3 격납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3 송신 수단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없을 때,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상기 제 3 격납 수단에 격납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할 수 있게 되었을 때,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상기 제 3 격납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8.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정보를 격납해 두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수신 수단이,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스텝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스텝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미완의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 통신 단말 사이의 호출이 절단된 경우, 재차 호출 접속을 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20. 이동 통신 단말의 송신 수단이,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스텝,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수신 수단이, 상기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스텝,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제시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방법.
  21. 이동 통신 단말을,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수단과,
    상기 제 1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 1 송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수단은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이 미완의 상태에서 상기 통신 단말과의 사이의 호출이 절단된 경우, 재차 호출 접속을 하고,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한 상기 정보의 송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23. 이동 통신 단말을,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다른 이동 통신 단말의 격납 수단에 격납된 정보의 송신 요구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수단,
    상기 제 2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정보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수단, 및
    상기 제 2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제시하는 제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KR1020020064430A 2001-10-22 2002-10-22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KR20030033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4084 2001-10-22
JPJP-P-2001-00324084 2001-10-22
JPJP-P-2002-00296534 2002-10-09
JP2002296534A JP2003204581A (ja) 2001-10-22 2002-10-09 移動通信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情報送受信方法、情報送受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56A true KR20030033956A (ko) 2003-05-01

Family

ID=2662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430A KR20030033956A (ko) 2001-10-22 2002-10-22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078034A1 (ko)
EP (1) EP1304894B1 (ko)
JP (1) JP2003204581A (ko)
KR (1) KR20030033956A (ko)
CN (1) CN1234256C (ko)
DE (1) DE60213936T2 (ko)
SG (1) SG10206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358A (ko) * 2005-02-21 2006-08-2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휴대 단말기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KR101044888B1 (ko) * 2004-07-09 201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2091B2 (en) * 2001-10-03 2008-12-30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Virtual customer database
US7441016B2 (en) * 2001-10-03 2008-10-2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Service authorizer
US7640006B2 (en) * 2001-10-03 2009-12-29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Directory assistance with multi-modal messaging
US7363053B2 (en) * 2003-03-28 2008-04-22 Lockheed Martin Corproation System for integrated mobile devices
US7305230B2 (en) * 2003-07-01 2007-12-04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server
KR100540241B1 (ko) * 2003-07-21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관리방법
JP4434788B2 (ja) 2004-03-11 2010-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通話制御システム、通話管理システムおよび通話制御方法
JP2005267286A (ja) * 2004-03-18 2005-09-29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情報提供サイトアクセス方法及び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KR100600750B1 (ko) * 2004-07-27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US9143380B2 (en) * 2004-08-06 2015-09-22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third party specified generation of web server content
JP2006165650A (ja) * 2004-12-02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タデータ管理装置
US20060143297A1 (en) * 2004-12-27 2006-06-29 Panu Korhon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20080171562A1 (en) * 2007-01-16 2008-07-17 Age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to access and download data from a mobile device using a cellular network
JP5167726B2 (ja) * 2007-08-23 2013-03-2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課金システム、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567827B (zh) * 2008-04-22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会话切换中传送会话记录的方法、系统及设备、终端
US7991418B2 (en) * 2008-04-28 2011-08-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data from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5429780B2 (ja) * 2009-01-28 2014-02-26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2010272973A (ja) * 2009-05-19 2010-12-02 Sharp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8953478B2 (en) *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680A (ja) * 1996-01-26 1997-08-05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移動電話機間のデータ送受信方法
KR19990066290A (ko) * 1998-01-23 1999-08-16 서평원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및 셀룰라 전화망에서 이동 데이터 단말기간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00019352A (ko) * 1998-09-10 2000-04-06 윤종용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JP2001128242A (ja) * 1999-10-28 200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間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KR20020059066A (ko) * 2000-12-30 2002-07-12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기기 간 직접 데이터 통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5138A (ko) * 2001-06-15 200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간의 데이터 공유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225A (en) * 1996-03-28 1999-06-22 Ericsson Inc. Remotely retrieving SIM stored data over a connection-less communications link
US5889860A (en) * 1996-11-08 1999-03-30 Sunhawk Corporation, Inc. Encryption system with transaction coded decryption key
JP3098442B2 (ja) * 1997-01-28 2000-10-16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電話システム
JPH1125076A (ja) * 1997-06-30 1999-01-29 Fujitsu Ltd 文書管理装置および文書管理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6477373B1 (en) * 1999-08-10 2002-11-05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connectivity for mobile terminals in wireless an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EP1139631A1 (en) * 2000-03-31 2001-10-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of initiating a data transfer from a server to a client
US20020035634A1 (en) * 2000-06-26 2002-03-21 Nadine Smolarski-Koff Data exchange method and communication protocol used during same
JP2002016956A (ja) * 2000-06-30 2002-01-18 Toshiba Corp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位置情報取得方法
JP2002099287A (ja) * 2000-09-22 2002-04-05 Toshiba Corp 音楽データ配信装置、音楽データ受信装置、音楽データ再生装置及び音楽データ配信方法
US7143939B2 (en) * 2000-12-19 2006-12-05 Intel Corporation Wireless mus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6931454B2 (en) * 2000-12-29 2005-08-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ynchronization of network devices
JP3902730B2 (ja) * 2001-03-30 2007-04-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管理方法及びその実施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JP3705747B2 (ja) * 2001-03-30 2005-10-1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配信方法、画像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421411B2 (en) * 2001-07-06 2008-09-02 Nokia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7320033B2 (en) * 2001-07-27 2008-01-15 Intel Corporation Dynamic local drive and printer sharing
US20030225744A1 (en) * 2002-05-28 2003-12-04 Luke Waaler Method,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exchange of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680A (ja) * 1996-01-26 1997-08-05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移動電話機間のデータ送受信方法
KR19990066290A (ko) * 1998-01-23 1999-08-16 서평원 개인 휴대통신 서비스 및 셀룰라 전화망에서 이동 데이터 단말기간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00019352A (ko) * 1998-09-10 2000-04-06 윤종용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JP2001128242A (ja) * 1999-10-28 200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端末間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
KR20020059066A (ko) * 2000-12-30 2002-07-12 김지한, 김재형 무선 통신 기기 간 직접 데이터 통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05138A (ko) * 2001-06-15 200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간의 데이터 공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888B1 (ko) * 2004-07-09 201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패드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93358A (ko) * 2005-02-21 2006-08-25 주식회사 팬택 복수의 휴대 단말기간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4894B1 (en) 2006-08-16
JP2003204581A (ja) 2003-07-18
CN1234256C (zh) 2005-12-28
US20030078034A1 (en) 2003-04-24
CN1414808A (zh) 2003-04-30
EP1304894A3 (en) 2003-10-08
EP1304894A2 (en) 2003-04-23
SG102063A1 (en) 2004-02-27
DE60213936D1 (de) 2006-09-28
DE60213936T2 (de) 200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3956A (ko)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US681350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cess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rver
CN101223765B (zh) 使用呼叫方id获取关于呼叫方的其他信息的方法和装置
US7747762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utilizing multip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simultaneously in response to user request without specifying recipient's communication information
US68766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RU2419238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общей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связи
KR10071336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3502914A (ja) 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のサーバからコンテンツを取り出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124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138211A1 (en) Data synchronization system with data security and proxy capabilities
KR200700058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사진 등록 방법
KR100436687B1 (ko) 데이터 취득방법 및 단말
GB2353919A (e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access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erver
JP2005020708A (ja) 移動通信端末機を用いた位置情報検索装置及び方法
KR1004881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개인 정보 관리 서버의 정보 동기화 방법
WO2008026797A1 (en) Data backup and recover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301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인터넷 데이터 저장방법
KR100424508B1 (ko) 음성인식을 통한 무선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JP2007028217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50064275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웹사이트 북마크 방법
JP2005012627A (ja) 携帯通信端末、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メール通信制御方法
KR101360200B1 (ko)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재다운로드 방법
KR10036447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KR20020069880A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의 이메일 첨부파일 전송방법
KR20040041220A (ko) 피투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벨소리 교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28

Effective date: 2007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