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52A -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52A
KR20000019352A KR1019980037388A KR19980037388A KR20000019352A KR 20000019352 A KR20000019352 A KR 20000019352A KR 1019980037388 A KR1019980037388 A KR 1019980037388A KR 19980037388 A KR19980037388 A KR 19980037388A KR 20000019352 A KR20000019352 A KR 20000019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ata
data
ba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661B1 (ko
Inventor
조희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6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30Network data restoration; Network data reliability; Network data fault tole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간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백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지국을 통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백업 대상 이동통신단말기인 제2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에서 소정의 키가 입력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로 설정하는 데이터 백업 모드 설정과정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제2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 링크 형성과정과,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유지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정보를 백업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통신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CS) 통시단말기 또는 일반 디지털 셀룰라 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들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해 놓고 사용한다. 이러한 것으로는 스피드 다이얼 또는 단축다이얼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음성인식 기능이 있다. 상기 스피드 다이얼 또는 단축다이얼 기능은 키를 원터치(One Touch) 또는 투터치(Two Touch)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이얼번호로 다이얼링 하는 기능이다.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다이얼링 하는 사람의 이름과 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이름 또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기 원하는 사람을 검색하여 다이얼링 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리고 음성다이얼링 기능은 사용자가 음성으로 소정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전화번호를 키를 입력하여 저장한 다음, 다이얼링 시 상기 저장한 음성만을 말하면 그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는 기능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새 이동통신단말기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는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해 놓은 상기 스피드 다이얼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그리고 음성인식 기능을 위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새로 구입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새로 구입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단말기로 백업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기지국을 통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백업 대상 이동통신단말기인 제2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에서 소정의 키가 입력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로 설정하는 데이터 백업 모드 설정과정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제2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 링크 형성과정과,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a, 2b 및 도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과 103은 기지국 105를 통해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과 103은 각각 메모리 107과 109를 가진다. 상기 메모리 107과 109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이이피롬(EEPROM) 또는 플래쉬롬(Flash ROM)으로서, 사업자 데이터 영역, 전화번호부 영역, 단축다이얼 영역, 음성인식 영역 등을 가진다. 상기 영역 중 사업자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단말기 제조 시 사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영역이고, 다른 영역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영역이다. 도1에서 일 예로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의 메모리 107은 사업자 데이터 영역, 전화번호부 영역, 단축다이얼 영역, 음성인식 영역이 사용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 사용자가 메모리 107의 사용자 영역 3을 모두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의 메모리 109는 사업자 데이터 영역만 사업자에 의해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고, 사용자 영역 3인 전화번호부 영역, 단축다이얼 영역, 음성인식 영역은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가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을 새로 구입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2a와 도2c 제1, 2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2b는 기지국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1에서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의 사용자 정보를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 백업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도2a를 참조하여 제1이동통신단말 101의 사용자 정보 백업방법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1단계에서 키입력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1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백업 대상인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의 다이얼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한다.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의 다이얼 번호 입력 요구 후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 번호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 번호가 입력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6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6단계에서 통화키가 입력되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7단계에서 다이얼번호와 수신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태의 채널 형성 요구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 105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채널 형성 요구 정보에는 MSN(Manufacturing Serial Number)와 ESN(Electronic Serial Number)도 포함하고 있으며,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의 데이터 백업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소정의 서비스 형태 정보를 헤더(Header)에 포함하고 있다. 상기 채널 형성 요구 정보를 송신한 다음,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09단계에서 백업 대상인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수신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백업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기지국 105는 241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프레임 형태로 입력되는 채널 형성 요구정보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이때,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이 채널 형성 요구를 하면, 기지국 105는 24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 형성 요구 정보의 헤더를 검사하여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의 서비스 형태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채널 형성 요구 정보의 헤더에 구성되어 있는 서비스 형태에 대한 정보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형태가 일반 서비스이면 26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데이터 백업 서비스이면 기지국 105는 24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채널 형성 요구 정보로부터 다이얼번호를 검출한 다음,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인 제2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고,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이에 응답하면 247단계에서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과 데이터 채널을 형성한다.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61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 또한 사용자 정보 백업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기 위해 초기화하는 과정(도시하지 않음)이다. 이러한 초기화 과정은 메모리 109가 이이피롬 또는 플래쉬롬의 메모리임으로 사용자 데이터 영역 3을 초기화하고. 이후에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메모리 109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바로 저장하기 위한 준비하는 과정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사용자에게 데이터 송신 모드인지 수신 모드인지를 묻는다(도시하지 않음). 이때, 제2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 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수신모드가 선택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63단계에서 사용자 정보 백업 모드를 설정하고, 265단계로 진행하여 호가 착신되는지를 검사한다. 호가 착신되고, 사용자가 통화키를 입력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66단계에서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과 기지국 102를 통해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기지국 105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과 103이 데이터 채널을 통해 연결되면 기지국 105는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데이터 백업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248단계에서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데이터 채널 형성 후 26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102로부터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69단계에서 수신 가능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사용자 정보 백업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게 된다.
기지국 105는 상기 수신 가능 여부 확인 메시지 전송 후 249단계로 진행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ESN과 MSN과 수신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에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ESN, MSN과 수신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지국 105는 251단계로 진행하고,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형성된 채널을 절단하고 종료한다. 상기 251단계에서 기지국 102는 수신 가능 메시지를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로 송신한다.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다이얼번호와 채널 형성 요구 정보 송신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수신 가능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기지국 102을 통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수신 가능 메시지의 수신 여부에 의해 판단된다.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이 수신 가능 상태이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211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리드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기지국 102는 상기 251단계 후, 253단계에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과정을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 송신한다.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상기 수신 가능 메시지 송신 후, 271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 영역109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되기 시작하면 21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중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215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완료와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상태 메시지는 사용자 데이터 전송 오류를 판단하기 위한 메시지이다.
기지국 105는 253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하던 중에 주기적으로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로부터 데이터 전송 완료와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와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지국 105는 256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전송 완료와 상태 메시지를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와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기지국 105는 25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57단계에서 기지국 105는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으로부터 재전송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일정 시간동안 재전송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하고, 상기 일정 시간 내에 재전송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지국 105는 259단계로 진행하여 재전송 메시지를 제1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상기 수신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기 시작하면 27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데이터 전송완료와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73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7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상태 메시지와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상태를 비교한다.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상기 277단계에서 수신된 상태 메시지와 사용자 데이터 영역 3에 저장된 상태 메시지가 동일한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수신된 상태 메시지와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가 동일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79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 백업이 완료되었음을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표시(도시하지 않음)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동일하지 않으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35단계로 진행하여 279단계에서 재전송 여부 확인 메시지를 LCD에 표시한 다음, 28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재전송 요구가 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재전송 요구가 입력되면 제2이동통신단말기 103은 283단계에서 재전송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 102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로 송신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상기 215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완료와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217단계로 진행하여 재전송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17단계에서 사용자 데이터 재전송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207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재전송 메시지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제1이동통신단말기 101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액정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새로 구입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무선 데이터통신을 통해 백업할 수 있음으로 사용자 정보를 일일이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기지국을 통한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백업 대상 이동통신단말기인 제2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 및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에서 소정의 키가 입력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이동통신단말기간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로 설정하는 데이터 백업 모드 설정과정과,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백업 모드에서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제2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 링크 형성과정과,
    상기 데이터 링크를 통해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백업하는 데이터 백업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링크 형성과정이,
    제1이동통신단말기의 키입력부에서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하는지를 검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 백업키가 입력하면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는 제2단계와,
    상기 다이얼 번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다이얼 번호가 입력하면 상기 다이얼 번호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다이얼 번호와 상기 백업 대상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수신여부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 대상 이동통신단말기가 송신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 수신 가능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와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 백업과정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와 제2이동통신단말기간 데이터 링크가 형성되면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송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하여 자신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면 사용자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와 사용자 데이터 상태 정보를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데이터 전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데이터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를 검사하는 제4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동일하면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제1이동통신단말기로 사용자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은 패킷데이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7388A 1998-09-10 1998-09-10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10027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388A KR100270661B1 (ko) 1998-09-10 1998-09-10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388A KR100270661B1 (ko) 1998-09-10 1998-09-10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52A true KR20000019352A (ko) 2000-04-06
KR100270661B1 KR100270661B1 (ko) 2000-11-01

Family

ID=1955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388A KR100270661B1 (ko) 1998-09-10 1998-09-10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6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51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30033956A (ko) * 2001-10-22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KR100732965B1 (ko) * 2005-07-20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업그레이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951A (ko) * 2001-05-22 200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30033956A (ko) * 2001-10-22 2003-05-01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이동 통신 단말, 네트워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정보송수신 방법, 정보 송수신 프로그램
KR100732965B1 (ko) * 2005-07-20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업그레이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661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9629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단문메시지 멀티전송방법
US8249648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030938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KR100270661B1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19990025866A (ko) 디지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과금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4080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JPS59104850A (ja) 電話装置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44484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상태 표시 방법
JP4597654B2 (ja) データ更新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200400122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중전화부 관리 방법
JP4062014B2 (ja) 携帯端末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85912A (ko) 휴대 통신단말기간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KR200000444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쇼트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JP2002027558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ネットワーク接続方式
KR200700796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접속 모드 변경 방법
JP2000092192A (ja) 携帯形通信端末装置
KR1016702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24336B1 (ko) 지에스엠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 설정방법
KR10077293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 번호에 특정 번호를 추가하기위한 방법
JP3049686B2 (ja) 電話装置
KR10036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17543B1 (ko)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부재중 수신메시지목록 확인기능이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