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62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622B1
KR100365622B1 KR1020000057021A KR20000057021A KR100365622B1 KR 100365622 B1 KR100365622 B1 KR 100365622B1 KR 1020000057021 A KR1020000057021 A KR 1020000057021A KR 20000057021 A KR20000057021 A KR 20000057021A KR 100365622 B1 KR100365622 B1 KR 100365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iving
opening information
transmitting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321A (ko
Inventor
김근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7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6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622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관리함에 있어서, 단말기의 최초 개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최초 개통시 최초개통 정보를 전송할 상대방측 전화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전화번호로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SMS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FIRST OPENING INFORM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시 SMS를 이용한 정보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는 제고관리나 기타 경영상의 통계 데이터를 위하여 현재 개통되어 사용중인 자사의 단말기 개수를 조사하는 경우가 빈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는 자사의 단말기가 현재 몇 대 정도나 개통되어 사용중인지를 조사하고자 하는 경우 각 대리점으로 공급한 자사의 단말기 개수를 확인하고, 각 대리점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들중 현재 몇 대가 개통되어 사용중인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한 후 다시 복잡한 계산 과정을 통해서 통계 데이터의 산출이 가능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현재 개통되어 사용중인 자사의 단말기 수를 계산해 낸다 하더라도 각 대리점으로부터의 수치나 공급 단말기의 수치가 틀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계산 수치가 정확하게 맞는지 여부를 확신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사용중인 특정 제조사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수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SM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입자가 특정 키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처음으로 개통되는 시점을 찾아내어 필요한 경우 초기화가 요구되는 단말기 내부의 정보를 초기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통되어 기지국과 최초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후 기지국과 단말기간 통신이 안정되는 시점에 안정되게 단문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관리함에 있어서, 단말기의 최초 개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의 최초 개통시 최초개통 정보를 전송할 상대방측 전화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전화번호로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SMS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최초 개통여부 판단 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SMS(Short Message Service)전송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는 기지국(102)을 통해 이동교환국(104)에 보내지게 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04)에서는 상기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상기 단말기(100)가 호출한 상대 단말기(110,112,114)로 전달한다. SMS센터(106)은 상기 이동교환국(104)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이동교환국들, 공중교환망이나 종합정보통신망 등에 연결되며, 이들중 한쪽으로부터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다른 쪽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단말기 관리장치(116)는 제조 업체측에서 단말기 개통 상황을 통계 데이터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치한 장치로써, 자사의 단말기(100)로부터 최초 개통시 최초 개통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수신용 단말기들(110,112,114)을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등 외부 접속장치를 통해 연결하여 자사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최초 개통 정보를 수집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최초 개통시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등과 같은 최초 개통정보를 미리 설정된 상대방측 전화번호로 SMS전송한다. 메모리(206)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00)에 의해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문자서비스 시스템 센터(106)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듀플렉서(Duplexer)(214)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210)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안테나(AT)를 통해 입력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듀플렉서(214)에 의해 분리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송신부(208)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이하 설명될 오디오부(212)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스(214)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오디오부(212)는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링신호가 발생할 때 수신부(210)를 통해 상기 링신호를 감지한 후 링거(Ringer)를 통해 송출한다. 키입력부(202)는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표시부(20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며, 키입력부(202)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20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최초 개통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통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단말기에서 최초 개통여부를 판단하는 처리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말기 제조업자는 단말기 제조시에 최초 개통 여부의 판단을 위한 최초 개통 여부 식별자(flagDectect)를 "FALSE"로 셋팅시키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어부(200)는 상기 도 3의 (300)단계에서 최초 개통 여부 식별자(flagDectect)을 "FALSE"로 초기화시키게 된다. 이어 최초 개통을 위한 사용자로부터의 전화번호 수정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302)단계에서 전화번호 수정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새로운 전화번호 입력을 대기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수정모드에서 단말기에 부여받은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00)는 이에 응답하여 (30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수정된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저장시키게 된다.
이어 제어부(200)는 (306)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수정된 전화번호가 초기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던 전화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초기 설정 전화번호는 단말기 제조시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특정 값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3003003000" 등의 번호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최초 개통시 서비스 사업자의 국번에 따라 "0XX-XXX-XXXX" 등의 해당 전화번호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 만일 상기 수정된 전화번호가 초기 설정 전화번호와 동일한 경우 이는 단말기에 새로운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임을 의미함으로 제어부(200)는 최초 개통여부 판단 처리 동작을 그대로 종료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정된 전화번호가 초기 설정된 전화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0)는 상기 (306)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308)단계로 진행해서 단말기의 테스트 여부 판단을 위한 테스트 식별자(flagSend)가 "FALSE"로 셋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테스트 식별자(flagSend)는 단말기의 테스트를 위하여 단말기 제조사 개발실 등에서 사용하는 식별자로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테스트 모드시 상기 식별자가 "FALSE"로 셋팅된다. 따라서 이때 만일 상기 단말기의 테스트 식별자(flagSend)가 "FALSE"로 셋팅되어 있다면 이는 단말기의 테스트 중임을 의미함으로 제어부(200)는 상기 (306)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최초 개통여부 판단 처리 동작을 그대로 종료한다. 이와 달리 상기 테스트 식별자(flagSend)가 "TRUE"로 셋팅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310)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최초 개통여부 식별자값을 "TRUE"로 전환시켜 단말기가 최초 개통중임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초기 개통시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제조사의 단말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처리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도 3의 과정을 거쳐 단말기가 최초 개통상태임을 판단하면 제어부(200)는 상기 도 4의 (400)단계에서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판단하면 제어부(200)는 (402)단계로 진행해서 최초 개통여부 식별자(flagDetect)가 "TRUE"로 셋팅되어 있는지 여부를 다시 검사한다. 이어 제어부(200)는 상기 최초 개통 여부 식별자(flagDetect)가 "TRUE"로 셋팅되어 있는 경우 (404)단계로 진행해서 SMS전송 카운터값(count)을 "0"으로 셋팅시킨다. 상기 SMS전송 카운터값(count)은 SMS전송 실패를 위해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포함한 SMS를 다수 번 전송시키기 위한 값으로 그 임계값은 단말기 제조시에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이어 제어부(200)는 (406)단계로 진행해서 단말기 최초 개통정보를 SMS전송할 상대방측 전화번호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대방측 전화번호는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시 미리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개통된 전화번호중 일의 자리수를 인식하여 해당 번호로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최초 개통정보는 예를 들면, 단말기 제조시의 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408)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단말기의 최초 개통에 따른 개통정보를 SMS를 통해 상기 (406)단계에서 결정된 해당 상대방측 전화번호로 송신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200)는 (410)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카운터값(count)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상기 카운터값(count)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운터값(count)을 "1"증가 시킨 후 다시 SMS전송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카운터값(count)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414)단계로 진행해서 최초 개통 여부 식별자(flagDetect)를 "FALSE"로 셋팅시켜 동일 단말기에서 최초 개통 정보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최초 개통시 단말기의 개통정보가 자동으로 단말기 제조업체로 SMS송신되도록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각 대리점 등을 통하여 개통되는 단말기의 통계 데이터를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교환국에 연결되는 기지국들을 통해 이동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최초 개통시 자신의 최초 개통정보를 미리 설정된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상기 기지국을 통해 SMS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연결되며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SMS를 상기 이동교환국을 통해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상기 이동교환국을 통해 전송하는 SMS 센터와,
    상기 SMS 센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SMS를 상기 기지국을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SMS에 따른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단말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상기 수신측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수신측 단말기를 통해 상기 최초 개통되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전송받아 개통되는 단말기의 통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상기 단말기 관리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일련번호를 참조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측 단말기의 번호로 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3. 단말기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관리 시스템에서,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시 최초 개통정보를 전송할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측 단말기로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SMS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최초 개통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SMS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관리 장치로 상기 최초 개통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 관리 장치가 상기 최초 개통정보를 수신하여 최초 개통되는 단말기의 통계 데이터를 관리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를 포함한 SMS는 미리 설정된 횟수 만큼 상기 수신측 단말기로 반복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일련번호를 참조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번호로 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개통여부 검사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 수정 요구가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초기 설정 전화번호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설정 전화번호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최초 개통임을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부 관리방법.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개통여부 검사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식별자(flagDetect)를 "FALSE"로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테스트 중인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테스트 중이 아닌 경우 상기 최초 개통여부 식별자(flagDetect)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의 최초 개통임을 나타내도록 "TRUE"로 전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방법.
KR1020000057021A 2000-09-28 2000-09-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21A KR100365622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21A KR100365622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21A KR20020025321A (ko) 2002-04-04
KR100365622B1 true KR100365622B1 (ko) 2002-12-26

Family

ID=1969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021A KR100365622B1 (ko) 2000-09-28 2000-09-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83B1 (ko) 2005-12-24 2007-07-11 주식회사 케이티 기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21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9629A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단문메시지 멀티전송방법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CA2352651C (en) Duplicate message detection apparatus
KR1003656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최초 개통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4651A (ko) 카 오디오 기기에서의 차량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00044264A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시간 자동 설정 방법
KR100383593B1 (ko)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1005399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문자서비스 메시지 확인방법
KR1003653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270661B1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200400649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0749201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JP2000115304A (ja) 移動通信端末及びこの端末における状態報知方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200500053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703520B1 (ko) 투넘버 서비스를 제공받은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 서비스방법
KR100656951B1 (ko) 수신전계강도 표시수단이 구비된 무선단말기 시스템 및수신전계강도 표시방법.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KR20030002968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KR19980074472A (ko) 무선단말기의 착신 링 거부방법
KR20060097494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1000444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메모 메시지 수신 및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