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04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049B1
KR100408049B1 KR10-2002-0005734A KR20020005734A KR100408049B1 KR 100408049 B1 KR100408049 B1 KR 100408049B1 KR 20020005734 A KR20020005734 A KR 20020005734A KR 100408049 B1 KR100408049 B1 KR 10040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state
statu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221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0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메시지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예, 통화 중, 전원 Off 상태 등)를 사전에 인지하여 내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 요구 시에 1차적으로 단말기 내부의 정보를 확인 후,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만 네트웍으로 발신을 요청하여 시간적, 물리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대 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요청을 받은 교환 시스템에서, 요청된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시점에 SMS를 이용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화상태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대 단말의 전화상태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전화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상태정보를 단말기 내부 데이터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시, 단말기 내부 데이터를 확인하여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통화(발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통화 불가시 그 이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MUTUAL PHONE STATE RECOGNI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MS(Short Message Service)의 메시지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예, 통화 중, 전원 Off 상태 등)를 사전에 인지하여 내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 요구 시에 1차적으로 단말기 내부의 정보를 확인 후,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만 네트웍으로 발신을 요청하여 시간적, 물리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모든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주소록 또는 전화 번호부라는 아주 기본적인 개인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능을 이용해 사용자들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등록/저장해 둠으로써, 따로 전화번호를 적은 수첩 등을 소지하거나 번호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이, 필요할 때마다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직접 검색하여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즉, 종래의 단말기들은 전화번호의 단순한 저장 및 그 저장된 번호의 검색 기능만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로 기지국과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주소록에는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주로 저장하는데, 이 호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호 설정(Call setup)을 위한 채널이 요구되어 할당되어져야 한다.
즉, 종래의 기술은 단말기가 발신을 요청하고, CN(Core Network)단 까지 접속 절차를 거친 후 CN에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얻은 후에야, 상대와의 연결 및 연결 실패를 위한 추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일부 연결이 실패한 경우(Power Off나 통화 중)에는 '발신을 시작한 시점부터 CN으로부터 상대 단말의 정보를 받는 부분'은 상대 단말이 연결가능 상태가 될 때 까지 계속 반복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호설정 과정은 만약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또는 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방 단말기의 망 접속 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호 설정이 되지 않더라도 시스템 자원이 소비되고, 통화중 신호나 통화 불가 신호가 출력될 때 까지 사용자가 전화를 대기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SMS의 메시지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예, 통화 중, 전원 Off 상태 등)를 사전에 인지하여 내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 요구 시에 1차적으로 단말기 내부의 정보를 확인 후,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만 네트웍으로 발신을 요청하여 시간적, 물리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대 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요청을 받은 교환 시스템에서, 요청된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시점에 SMS를 이용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화상태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대 단말의 전화상태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전화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상태정보를 단말기 내부 데이터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시, 단말기 내부 데이터를 확인하여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통화(발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통화 불가시 그 이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네트웍에서 전화 상태 관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사전에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수신하여 단말기의 내부 정보로 저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할 경우 교환 시스템을 통하기 전에, 단말기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판단하여, 연결 가능한 시점에만 발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은 상대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을 시도하기에 앞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무선 망 자원 및 사용자의 시간적인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크게 3가지 단계를 거쳐 수행하게 된다.
첫 번째로 교환 시스템은 전화상태 확인이 요청되면, 요청된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시점에 SMS를 이용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화상태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전화상태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은,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SMS를 통한 상대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 내부 데이터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세 번째로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할 때 상태확인이 등록된 가입자일 경우, 내부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단말기의 설정 여부에 따라 바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으로 상대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창에 출력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한 후 발신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기1(사용자 단말기)의 특정 메뉴(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확인을 요청 및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통해, 단말기2(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등록한다.
상기 단말기의 특정 메뉴를 통해 등록 요청된 서비스는,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CN(core network)의 HLR에 저장되어, 상태 관리를 요청한 상대 단말기의 변경사항 발생시, 서비스(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태요청한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2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세 부분의 동작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도1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교환 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MT-II)의 상태를 인지하여, 소정시간 간격 또는 상태 변화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SMS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MT-I)로 발신한다.
즉, 상대 단말기(MT-II)의 상태가 변경되면 그 시점에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어, 교환 시스템의 CN(Core Network)은 다음 <표1>에서 언급된 상태를 인지하고,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 메시지 생성을 요청한다.
단말상태 Flag '0' Flag '1'
Power 상태 켜짐 꺼짐
통화상태 대기상태 통화 중
다음, 상기 SMSC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MT-I)로 전송한다.
두 번째로 상기와 같이 상대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SMS로 전송함으로써, 교환 시스템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그 SMS를 통해 수신된 상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참조 데이터로 변경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는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SMS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 영역을 확인하여, 상대 단말기의 상태관리 메시지인 경우 자동으로 데이터 분석 절차(상기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상태, 통화 상태 등의 분석)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분석된 상태정보는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Phonebook)의 특정 필드에 추가된 플랙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번호와 상태를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석된 상태정보는 단말기의 설정 여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도 있고 디스프레이되지 않게 할 수도 있으며, 상태 정보 저장을 위한 플랙을 전화 번호부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설정은 단말기 제작사의 편의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첫 번째, 두 번째 단계를 통한 과정은 단말기와 교환 시스템간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어 있기만 하면 거의 실시간으로 상대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 번째 단계로 사용자가 상대 단말기로 발신(통화)을 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내부 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전화 번호부를 검색하여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면, 종래의 경우 바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먼저 그 전화번호의 단말기에 대한 내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하여, 통화 가능 상태인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내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즉, 상태 관리 단말기로 등록된 단말기의 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로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 또한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파워 온 상태이고 통화중 상태가 아닌 경우)인 경우에도 바로 발신 진행 절차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검색된 단말기의 상태가 연결 불가능 상태(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통화중 상태)인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 혹은 음성 안내 후 통화 접속 종료절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은, SMS의 메시지 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상대 사용자 단말기의 상태(예, 통화 중, 전원 Off 상태 등)를 사전에 인지하여 내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와의 연결 요구 시에 1차적으로 단말기 내부의 정보를 확인 후,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만 네트웍으로 발신을 요청하여 시간적, 물리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대 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요청을 받은 교환 시스템에서, 요청된 단말의 상태가 변경된 시점에 SMS를 이용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전화상태 확인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상대 단말의 전화상태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기 전화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필요한 상태정보를 단말기 내부 데이터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2단계와;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시, 단말기 내부 데이터를 확인하여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통화(발신) 절차를 수행하거나, 통화 불가시 그 이유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기의 상태 관리 서비스 요청을 받은 교환 시스템은,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변경되면 그 상태(파워 상태, 통화 상태)를 인지하여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를 통해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말의 상태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그 상태정보 메시지에서 데이터 영역을 확인하여, 데이터 분석 절차를 거쳐, 단말기 자체의 데이터 관리 포맷에 따라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Phonebook)의 특정 필드에 추가된 플랙에 관리 번호와 상태를 저장하거나, 다른 임의의 영역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전화 번호부를 검색하여 통화를 시도할 경우, 그 전화번호의 단말기에 대한 내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통화 가능 상태를 파악하여, 상대 단말기의 상태가 정상(파워 온 상태이고 통화중 상태가 아닌 경우)인 경우 바로 발신 진행 절차를 수행하고, 통화 불가능 상태(파워 오프 상태이거나 통화중 상태)인 경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통한 안내 혹은 음성 안내 후 통화 접속 종료절차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KR10-2002-0005734A 2002-01-31 2002-01-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KR10040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734A KR100408049B1 (ko) 2002-01-31 2002-01-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734A KR100408049B1 (ko) 2002-01-31 2002-01-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221A KR20030065221A (ko) 2003-08-06
KR100408049B1 true KR100408049B1 (ko) 2003-12-03

Family

ID=3222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734A KR100408049B1 (ko) 2002-01-31 2002-01-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27B1 (ko) * 2006-11-15 2013-04-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원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음원 푸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32A (ko) * 2002-03-08 2002-04-13 김규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상태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169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데이터 세션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9267B1 (ko) * 2004-10-07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ms망에서의 단말기 전원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588201B1 (ko) * 2005-04-13 2006-06-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및 방법
KR100788964B1 (ko) * 2006-12-12 2007-12-27 주식회사 케이티 비상주 단말 플랫폼 상에서 콜백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및 그 방법
KR102143771B1 (ko) * 2018-10-08 2020-08-13 주식회사 시큐어링크 D2d 기반 실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상태 확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6062A (ja) * 1987-02-21 1988-08-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メモ通信用デイジタル電話機
JPH09247747A (ja) * 1996-03-13 1997-09-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
KR20000001311A (ko) * 1998-06-10 2000-01-15 김영환 단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단문 서비스 방법
JP2000174905A (ja) * 1998-12-01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メッセージ送信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2000261856A (ja) * 1999-03-10 2000-09-22 Kokusai Electric Co Ltd 簡易型携帯電話機
JP2001313984A (ja) * 2000-04-28 2001-11-09 Sony Corp 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6062A (ja) * 1987-02-21 1988-08-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メモ通信用デイジタル電話機
JPH09247747A (ja) * 1996-03-13 1997-09-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機
KR20000001311A (ko) * 1998-06-10 2000-01-15 김영환 단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자단문 서비스 방법
JP2000174905A (ja) * 1998-12-01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メッセージ送信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2000261856A (ja) * 1999-03-10 2000-09-22 Kokusai Electric Co Ltd 簡易型携帯電話機
JP2001313984A (ja) * 2000-04-28 2001-11-09 Sony Corp 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ビージーメッセージ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627B1 (ko) * 2006-11-15 2013-04-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음원 전송 시스템, 방법 및 음원 푸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221A (ko) 200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3317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rom a mobile phone
US20070121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call connection when parties try to sumultaneously call each other
KR2005002932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조건별 수신 처리 방법
KR100740749B1 (ko) 서비스 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KR100770828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회의 통화 중에 1:1 통화 제공방법
EP1231798B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080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CN103118178A (zh) 一种将移动终端接入固定电话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US2004020366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eiver situation mod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107191B1 (ko) 인증서 등록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8243B1 (ko) 무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N115396870A (zh) 通话控制方法、装置、通话系统、可穿戴设备及可读介质
CN112291722A (zh) 一种呼叫等待状态的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3701164B2 (ja) 携帯型通信機器
KR100350445B1 (ko)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80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통신망간의 직접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0157713B1 (ko)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방법
CN102891912A (zh) 通信设备及其通信方法
KR1004551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호출자 신원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JP3048322B2 (ja) 通信方法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0184478B1 (ko) 키폰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제어방법
KR20000019352A (ko) 무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의 사용자 정보백업방법
KR100426171B1 (ko) 이동 통신망 기반 워키토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295754B1 (ko) 전화통신시스템의호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