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피가열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피가열체를 가열하며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격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다수의 가열요소(heating element); 및 분리된 상기 가열요소 상호간의 전도성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열차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가열요소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차폐부는 상기 격리 공간 및 상기 격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인접하는 상기 가열요소의 주변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표면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홈과 상기 홈의 내부에 삽입된 내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피가열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하부에 환(ring)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열전달을 위한 복사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주변부를 가열하는 가열요소(heating element); 및 상기 가열요소로부터 전도된 열을 상기 복사공간을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중심부를 가열하며 상기 가열요소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용 기판을 지지하는 서셉터; 상기 서셉터의 하부에서 상기 기판을 가열하며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격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다수의 히터; 및 분리된 상기 히터 상호간의 전도성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열차폐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용 히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차폐부는 상기 격리공간 및 상기 격리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인접하는 상기 히터의 주변부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지지대의 표면에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홈과 상기 홈의 내부에 삽입된 내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의 온도는 390℃ 내지 420℃의 범위를 갖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웨이퍼를 지지하는 서셉터; 상기 서셉터의 하부에 환(ring)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열전달을 위한 복사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서셉터의 주변부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히터로부터 전도된 열을 상기 복사공간을 통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서셉터의 중심부를 가열하며,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용 히터 어셈블리.
상술한 바와 같은 가열장치에 의하면, 분리된 다수의 가열요소가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하여 열교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주변부 가열요소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할지라도 중심부 가열요소가 동시에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따라서, 주변부 가열요소의 온도를 중심부 가열요소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제어함으로써 반사도(RI), 메타펄스의 밀도 및 텅스텐(W)에 대한 실리콘(Si)의 비율을 일정한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반도체 제조공정중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인 화학기상 증착 장치(CVD)의 히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웨이퍼를 가열하는 히터는 상기 웨이퍼 주변부를 가열하기 위한 외측히터와 중앙부를 가열하기 위한 내측히터의 2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외측히터와 내측히터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상기 외측히터는 링 형상 및 상기 내측히터는 외측히터의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터는 동일한 중심을 기준으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다수의 링 형상과 하나의 디스크 형상으로 분할함으로써 3부분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900)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피가열체인 웨이퍼(5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인 서셉터(400), 상기 서셉터(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서셉터(400)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가열요소인 히터(100), 상기 히터(100)로 전류를 공급하는 파워공급부(200) 및 상기 히터(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인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상기 웨이퍼(500)는 일실시예로서 디스크 형상을 가지며, 웨이퍼(500)를 지지하는 상기 서셉터(400)도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서셉터(400)는 증착가스를 분사하는 분산헤드(미도시)와 열을 공급하는 상기 히터(100) 사이에서 그 중심이 상기 분산헤드 및 상기 히터(100)의 중심과 일직선을 형성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서셉터(400)의 양단에는 리프트 핑거(520)가 위치하여 상기 분산헤드(미도시)와 상기 서셉터(4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상기 히터(100)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서셉터(400)의 주변부를 가열하는 외측 히터(outer heater,120) 및 주변부 안쪽을 가열하는 내측 히터(inner heater,140)로 분리되는 듀얼 히터(dual heater)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는 상호간에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격리공간(isolating space, 1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측히터(140)는 상기 서셉터(40)의 대부분에 열을 가하며, 상기 외측히터(120)는 상기 서셉터(400)의 외곽 원주를 따라 주변부로 열을 공급한다. 상기 내측히터(140)는 얇은 원판(disc) 형상을 가지고 대략 0.1mm 내지 0.3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측히터(120)는 내측히터(140)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내측히터(140)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터(100)는 전기적인 양도체로 구성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에 의해 주울열을 발생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히터(100)의 표면에는 공정중의증착가스 또는 세척가스 기타 불순물로부터 상기 히터(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 보호막(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워공급부(200)는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히터(100)로 공급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외측히터(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파워공급부(220) 및 상기 내측히터(14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파워공급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파워공급부(220) 및 제2 파워공급부(240)는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에 대한 전류공급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외측히터(120) 및 내측히터(140)의 온도를 서로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히터(120)의 온도를 상기 내측히터(140)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서셉터(400)의 가장자리부에서 복사에 의해 손실되는 열량을 보상함으로써 상기 서셉터(400)의 전 표면에서 온도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히터(100)는 지지대(3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300)는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제외한 산 및 알칼리에 침해되지 않으며 화학적으로 매우 순수한 물질인 석영으로 형성되어 증착가스 기타 반응 부산물로부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90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히터 컵(600)에 수용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히터(10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10)와 상기 상부 지지대(310)를 지지하며, 증착가스 기타 반응 부산물이 히터의 배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르곤 가스 주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지지대(3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310)와 하부지지대(320)의 사이에 상기 파워공급부(200)와 외부전원(미도시)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지지대(310)의 표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대(310)를 매개로 한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 사이의 열교환을 억제하기 위한 열차폐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차폐부(330)는 상기 격리 공간(160)의 하부에서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의 주변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폭과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표면에 홈(332)을 형성한 후. 상기 홈(332)의 내부에 내열부재(334)를 삽입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히터(120)의 열량이 상기 상부 지지대(310)를 매개로 상기 내측히터(140)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내측히터(140)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차폐부(3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학 기상증착 장치의 히터 어셈블리(900)에 의하면, 상기 파워공급부(200)를 통하여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히터(1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적으로 양호한 도체인 흑연(graphite)으로 형성된 상기 히터(10)로부터 저항열이 발생되어 상기 서셉터(400)로 복사된다. 상기 히터(100)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상기 서셉터(400)는 상부에 안착된 웨이퍼(500)로 열이 전도되어 웨이퍼(500)가 가열된다. 이때, 상기 외측히터(120)의 온도를 내측히터(140)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서셉터(400)의 측면 복사에 의해 손실되는 열량을 보상하도록 한다. 상기 열차폐부(330)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를 매개로 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외측히터(120)로부터 저온인 내측히터(140)로의 전도성 열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내측히터(14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히터(120)의 온도상승에 따라 증가된 발생열량은 상기 내측히터(140)의 온도상승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서셉터(400) 측면에서의 손실열량을 충분히 보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웨이퍼(500) 표면에서의 온도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A는 히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중심으로 도 9에 도시된 히터 어셈블리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0B 내지 도 10D는 도 10A에 도시된 히터 어셈블리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A에 의하면, 상기 외측히터(120)의 내측 주변부 및 내측히터(140)의 주변부를 동시에 지지하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의 표면에는 소정의 폭(w)과 깊이(d)를 갖는 환(ring)상의 홈으로 형성된 열차폐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열차폐부(330)의 폭(w)은 상기 외측히터(120)의 내측면(124)으로부터 외측면(122)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1 거리(a),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 사이의 간격인 격리공간(160)의 폭(b) 및 상기 내측히터(140)의 외측면(142)로부터 상기 내측히터(140)의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제2 거리(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거리(a)는 상기 외측히터(120)의 내측면(124)과 외측면(122) 사이의 중점을 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거리(c)는 상기 히터 컵(600)의 경계벽(6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폐부(330)의 깊이(d)는 차단하고자 하는 전달열량과 상기 지지대의 응력변화를 고려하여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대(310)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대(320)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내에서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차폐부(330)의 깊이(d)가 상기 하부 지지대(320)의 바닥면까지 형성된 경우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내측히터(140)를 지지하는 내측 지지대(380)와 상기 외측 히터(120)를 지지하는 외측 지지대(360)로 분리되는 분할구조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히터구조를 갖는 히터 어셈블리를 예시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히터를 갖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도 이에 대응하여 분할되며, 상기 다수의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열차폐부의 수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열차폐부(330)는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에 공통으로 걸쳐 있으며, 열차폐 특성이 우수한 브론 나이트 라이드(Bron Nitride) 등과 같은 절연물질을 삽입함으로써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연물질로서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열차폐 효과와 공정효율 및 원가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절연물질로서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열차폐부(330)와 상기 격리공간(160)이 연동되어 상기 내측히터(140)와 외측히터(120)는 서로 공간적으로 격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히터(12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외측히터(120)에서 내측히터(140)로의 전도성 열전달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외측히터(120)의 온도상승과 함께 상기 내측히터(140)의 온도도 동반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 주변부로 공급되는 열량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다.
도 10C에 의하면, 상기 상부 지지대(310)는 상기 히터(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상기 히터(100)와 상부 지지대(310) 사이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은 상기 히터(100)와 상기 지지대(300)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한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 사이의 전도성 열전달을 억제하는 열차폐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대(310)의 상부표면에는 상기 히터(100)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히터(100)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 바(supporting bar, 3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390)는 상기 외측히터(120)의 하부면 중앙부를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외측히터(120)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바(390a) 및 상기 내측히터(140)의 하부면 주변부를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내측히터(140)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바(39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 바(390a)와 제2 지지 바(390b)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열차폐부(330)는 상기 내측히터(140)와 외측히터(1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격리공간(160)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히터(120)와 내측히터(140)는 물리적으로 서로 격리되어 전도성 열전달이 억제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바(390)는 상기 상부 지지대(310)에 탭을 형성하고 상기 탭과 나사결합으로 형성된 보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울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히터(100)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열차폐부(330)의 내부는 열차폐 특성이 우수한 절연물질로 채울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채워진 빈 공간으로 형성하여 히터 어셈블리의 제작 편의성을 제고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10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300)의 접촉방식을 종래의면접촉 방식에서 보울트 등과 같은 지지 바를 이용한 점접촉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히터와 지지대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히터(120)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대(310)로 전도되는 열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내측히터(14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 바(390a)를 포함하는 외측 지지대(360)와 상기 제2 지지 바(390b)를 포함하는 내측 지지대(380)로 상기 지지대(300)를 분할한다. 따라서, 상기 열차폐부(330)는 상기 외측 지지대(360)와 내측 지지대(380)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열차폐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소자 제조장치인 화학기상 증착 장치(CVD)의 히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는 도 9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와 비교하여 히터, 상부 지지대 및 파워공급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부재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이용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900)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으로서 피가열체인 웨이퍼(5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인 서셉터(400), 상기 서셉터(4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서셉터(400)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가열요소인 히터(100), 상기 히터(100)로 전류를 공급하는 파워공급부(200) 및 상기 히터(100)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인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히터(100)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상기 서셉터(40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서셉터(400)의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만 가열할 수 있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종래의 듀얼 히터 시스템과 비교하여 상기 서셉터(400)의 중앙부를 가열하기 위한 내측히터는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의 내부에는 복사에 의해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복사공간(18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히터(100)의 내측에는 더 이상의 히터가 위치하지 않음으로 상기 복사공간(180)은 히터(10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터(100)의 하단부에는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히터(100)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파워공급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히터(10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컵(600) 내부에 수용된 지지대(30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300)는 히터(100)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310)와 상기 상부 지지대(310)를 지지하며, 증착가스 기타 반응 부산물이 히터의 배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르곤 가스 주입구를 구비하는 하부 지지대(3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00)와 접촉하지 않는 상기 지지대(300)의 상부면은 상기 지지대(300)와 상기 서셉터(40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복사공간(180)을 사이에 두고 서셉터(400)의 하부면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워공급부(200)를 통하여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히터(1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적으로 양호한 도체인 흑연(graphite)으로 형성된 상기 히터(100)로부터 저항열이 발생되어 상기 서셉터(400)의 주변부로 복사되는 동시에상기 지지대(300)를 매개로 전도된 후, 상기 복사공간(180)을 통하여 복사됨으로써 상기 복사공간(180)에 대응하는 상기 서셉터(400)의 하부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셉터(400)의 주변부에서는 직접 상기 히터(100)에 의해 가열되므로 높은 열량이 방출되고, 주변부를 제외한 서셉터의 하부표면은 상기 지지대(300)를 매개로 한 전도성 열량이 복사에 의해 전달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열량이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서셉터(400)의 측면에서 복사에 의해 손실되는 열량이 충분히 보상됨으로서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이 변경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에서 온도편차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분할된 지지대를 구비하는 히터 어셈블리를 지누스 7000 장비에 장착한 후 25포인트 t/c 웨이퍼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내측히터는 395℃로 고정되고, 외측히터는 각각 385℃, 395℃, 405℃, 415℃로 계속 증가하면서 웨이퍼의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도 12A 내지 도 12D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굵게 표시된 실선은 웨이퍼의 평균온도를 나타내는 평균온도 곡선(MT)이다. 또한, 상기 측정 데이터를 정리한 결과가 표 1에 포함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 및 표 1을 참조하면, 외측히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웨이퍼 표면에서 최고온도 및 최저온도도 함께 상승하며, 이에 따라 웨이퍼 표면의평균온도도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 1에 의하면, 외측히터의 온도가 395℃ 내지 415℃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외측히터의 사용온도인 385℃와 비교하여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가 약 절반정도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조하면, 외측히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웨이퍼 표면의 온도프로파일은 간격이 넓게 나타난다. 이는 히터 표면에서 온도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영역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웨이퍼 표면의 온도편차가 개선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균온도 곡선(MT)은 웨이퍼의 표면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온도편차가 작으면 작을수록 웨이퍼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치우쳐 표시되고 폐원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가장 이상적으로, 온도편차가 전혀 없다면, 웨이퍼의 가장자리와 일치하여 평균온도 곡선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D의 평균온도 곡선(MT)의 변화를 살펴보면, 외측히터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평균온도 곡선(MT)이 웨이퍼의 주변부로 밀려나면서 폐원을 형성하지 못하고 원호형상을 띠면서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히터의 온도상승은 내측히터의 온도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웨이퍼 표면의 온도편차 개선에 직접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즉, 외측히터의 온도상승에 따른 증가된 열량은 내측히터의 온도증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서셉터의 측면에서 복사에 의해 손실되는 열량을 보상함으로써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를 개선하게 된다.
도 1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지지대와 외측히터만 구비한 히터 어셈블리를 지누스 7000 장비에 장착한 후 25포인트 t/c 웨이퍼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외측히터는 395℃로 고정된다. 도 15는 도 14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굵은 실선은 웨이퍼의 평균온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실험데이터를 정리한 결과는 표 1에 포함되어 있다.
도 14 및 표 1을 참조하면, 웨이퍼 표면에서의 최고온도는 377℃, 최저온도는 372℃로 측정되었으며 측정데이터를 통한 평균온도는 374℃임을 알 수 있다. 외측히터의 온도가 395℃로 동일한 상태에서 내측히터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도 12B 참조)와 비교해 보면,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는 374℃로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웨이퍼 중심부의 최고온도는 낮아지게 되어 온도편차는 더욱 개선된 5℃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 15에 의하면, 온도 프로파일의 간격은 도 13B와 비교하여 더욱 넓게 나타나며,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 곡선(MT)도 웨이퍼 주변부로 더욱 치우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가 더욱 개선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개의 히터만 사용하여 온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링 형상을 갖는 외측히터만 사용하는 것이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 개선에 더욱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도 12A 내지 도 12D 및 도 14에 표시된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와 온도차이를 나타낸 표이다.
표 1
항목 시료 |
I |
II |
III |
IV |
V |
최고온도(℃) |
374 |
378 |
385 |
396 |
377 |
최저온도(℃) |
364 |
372 |
380 |
390 |
372 |
평균온도(℃) |
368 |
374 |
382 |
392 |
374 |
온도편차 |
10 |
6 |
5 |
6 |
5 |
표 1 표 1에서 시료I 내지 IV는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측정자료를 분석한 것이며, 시료 V는 도 14에 도시된 측정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시료 I 내지 IV는 내측히터의 온도가 395℃로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히터의 온도를 385℃, 395℃, 405℃, 415℃로 증가시킨 경우의 웨이퍼 평균온도 및 온도편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료 V는 내측히터를 제거하고 외측히터의 온도를 395℃로 설정한 경우의 웨이퍼 평균온도 및 온도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외측히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편차는 줄어들지만 웨이퍼의 평균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웨이퍼의 평균온도가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면 텅스텐 실리사이드의 증착시 텅스텐 실리사이드 그레인(WSix grain)이 과도하게 형성되거나, 브리지 불량을 야기하게 된다.
고온에서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증착하게 되면, 잉여 실리콘이 발생하여 후속공정에서 산화되어 산화실리콘(SiO2)을 형성한다. 브리지 불량이란 상기 산화실리콘이 텅스텐 실리사이드 그레인을 게이트 라인 밖으로 밀어내어 패드 폴리(Pad Poly)와 결합함으로써 야기되는 반도체 소자의 접속불량이다.
한편, 고온증착에 의한 그레인 형성이나 브리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의 온도를 낮추게 되면, 웨이퍼 표면의 온도편차가 크게 되어 웨이퍼의 주변부와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주변부에서는 저온상태에서 증착공정이 진행된다. 저온에서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증착하게 되면, 잉여 텅스텐이 발생하여 하부막과 증착되는 막 사이의 결합력이 약화되고 내부응력이 증가하게 되어 후속 열처리 공정에서 하부막과 분리되는 조각분리(delamination, 혹은 리프팅(lifting)이라고도 한다)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술한 그레인 생성이나 브리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제1 온도를 상한으로 갖고 상기 조각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제2 온도를 하한으로 갖는 온도범위 내에서 상기 웨이퍼 표면온도가 결정될 때, 상술한 웨이퍼 표면에서의 온도균일성도 공정효율을 개선하게 된다.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난 웨이퍼 표면온도를 가지면서 웨이퍼의 전 표면을 통하여 온도가 균일하게 형성된다면, 상기 웨이퍼의 모든 셀에서 동시에 브리지 불량 또는 조각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웨이퍼 표면에서 막을 균일하게 증착하기 위하여 웨이퍼의 표면온도를 균일하게 형성하여야 하지만, 균일하게 형성된 웨이퍼의 표면온도는 상기 잉여 실리콘 또는 잉여 텅스텐을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온도 및 제2 온도를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로 하는 특정한 범위내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잉여 실리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상한을 정하기 위해 메타펄스(metapulse) 계측기를 통하여 텅스텐 실리사이드 박막의 메타펄스 밀도를 측정하였다.
도 16은 각 온도별로 텅스텐 실리사이드 박막의 메타펄스 밀도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에서, 가로축은 지누스 7000 장비의 3.9버전(version) 공정챔버의 내측 히터에 설정된 온도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측정된 메타펄스의 밀도를 나타낸다. P1 내지 P9는 웨이퍼 표면의 임의의 지점을 의미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내측히터의 온도가 405℃인 경우를 경계로 하여 웨이퍼 내의 모든 측정지점에서 메타펄스의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405℃에서 메타펄스의 밀도는 5.2에서 5.4의 범위를 갖지만, 415℃에서는 수직 상승하여 425℃의 경우에는 6.2 내지 6.8의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내측히터의 온도가 405℃ 이하인 경우에서 안정적인 메타펄스 밀도분포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5포인트 t/c 웨이퍼를 이용하여 이때의 웨이퍼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에 의하면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는 370℃로 밝혀졌다.
즉,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가 370℃ 이상이면, 고온증착 상태가 되어 잉여 실리콘을 함유하는 박막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그레인이나 브리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히터 온도에 따른 ILS(in line sem) 사진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은 히터 온도 변화에 따른 텅스텐 실리사이드 그레인의 발생정도를 보여주는 ILS 사진이다. 도 17에서 증착온도는 증착 당시의 히터온도를 의미하며 400℃에서 5℃ 간격으로 415℃까지 측정되었다.
도 17에 의하면, 증착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입자 형상의 그레인(810) 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증착온도가 400℃ 및 405℃인 경우에는 상기 그레인(810)의 형성이 미약하게 확인되지만, 410℃에서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415℃에서는 밀도가 아주 높아져 있다. 따라서, 405℃를 경계로 하여 그레인(810)의 밀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인(810)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반사도(Reflect Index, 이하 RI)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I란 공정이 완료된 실리콘 웨이퍼의 반사율을 100으로 하였을 때, 공정 진행중의 웨이퍼 반사율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이다. 공정초기 단계에서는 증착되는 불순물이 적게 되므로 반사율이 높고 웨이퍼 제조 공정이 진행될수록 반사율은 100에 수렴한다. 따라서, 웨이퍼 제조공정의 초기단계에서는 RI 값이 높게 나오고 공정이 진행될수록 낮게 나온다. 따라서, 각 공정에서는 목표 RI값을 정해 놓고 공정불량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도 17에 의하면, 증착온도가 상승하면서 반사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증착온도가 상승하면서 증착되는 박막내부에 그레인 밀도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상기 RI값은 119 내지 122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122의 값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RI는 증착온도 상승에 따른 그레인의 성장에 연관되는 지수이고, 텅스텐 실리사이드를 증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증착 공정에서는 잉여 실리콘이 증가하게 되고, 저온증착에서는 잉여 텅스텐이 증가하게되므로 RI는 텅스텐에 대한 실리콘의 비율(Si/W) 변화(이하 Si/W 비)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착온도 증가에 따른 잉여 실리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증착온도를 달리하면서 Si/W 비를 측정하기 위한 오저 일렉트론 스펙트로스코프(AES, Auger Electron Spectroscpe)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AES 테스트는 반도체 소자의 막질에 대한 표면및 깊이에 대한 오염 또는 조성물의 조성비 등을 분석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상기 AES 테스트는 시료 표면의 원자에 전자빔을 주사하여 방출되는 오저 일렉트론(Auger Electron)의 운동 에너지값을 스캔(Scan)하여 시료내의 원소를 분석하는 테스트로서, 웨이퍼 표면의 파티클 분석, 손상부분 분석, 박막의 조성비 분석 등에 이용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히터온도가 405℃인 경우의 AES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9A 및 도 19B는 히터온도가 395℃인 경우의 AES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가로축은 웨이퍼 표면에 대한 전자빔의 주사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방출되는 오저 일렉트론(auger electron)의 집중도를 나타낸다. 도 18A 및 도 19A는 이온주입층을 확산시키기 전의 실리사이드에 대한 Si/W 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8B 및 도 19B는 이온주입층을 확산시킨 후의 중앙에서 Si/W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텅스텐 원자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곡선(I)이 항상 실리콘 원자의 집중정도를 나타내는 곡선(II) 보다 그래프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온주입층 확산여부에 따라 집중도의 크기는 다르지만, 텅스텐 원자의 집중도가 실리콘 원자의 집중도 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향은 동일하다. 이때, 이온 주입층이 형성되기전의 Si/W 값은 2,51이며, 이온 주입층 형성후의 Si/W 값은 2,65이다. 도 19A 및 도 19B의 경우에도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난 경향과 동일하다. 그러나, Si/W의 값은 이온주입층 전과 후에 각각 2.43 및 2.64로서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난 결과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증착막내에서 텅스텐보다 상대적으로 실리콘의 성분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레인의 밀도도 증가하게 되어 결국 RI의 값도 온도증가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Si/W의 값이 2.5 근방에서 형성되도록 증착중의 온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웨이퍼 제조공정에서 브리지 불량이나 조각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텅스텐 실리사이드 실리사이드의 증착공정에서 적절한 증착온도를 형성함으로써 잉여 실리콘의 성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며, 이를 확인하는 지표로서 상술한 메타펄스 밀도, RI값, Si/W 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는 상기 메타펄스 밀도를 6.2 이하로 제어하며, 상기 RI값이 117 내지 127의 범위에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W/Si 비율이 2.2 내지 2.6의 범위를 갖도록 증착 온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는 350℃ 내지 380℃의 범위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히터 어셈블리의 히터는 390℃ 내지 420℃의 범위에서 가열되도록 제어한다. 다만, 구체적인 작업환경에서 상기 웨이퍼 표면의 평균온도를 형성하기 위한 히터의 가열온도 범위는 오차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