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140A -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140A
KR20030032140A KR1020010063552A KR20010063552A KR20030032140A KR 20030032140 A KR20030032140 A KR 20030032140A KR 1020010063552 A KR1020010063552 A KR 1020010063552A KR 20010063552 A KR20010063552 A KR 20010063552A KR 20030032140 A KR20030032140 A KR 20030032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p
wire
cars
ho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088B1 (ko
Inventor
박석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0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lear vision, e.g. anti-frost or defog panes, rai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6Heaters using particula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에 설치된 열선과 연결된 열선단자는 단자캡와 단자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캡은 상측에 두 개 이상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몸체는 단자캡에 삽입되고 하부는 전선과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이탈방지용 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캡와 단자몸체가 결합시 하측을 막아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단자몸체 이탈방지용 가이드부재 하부에는 반발력을 유지하기위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cars glass heat rays terminal in connec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구조 {cars glass heat rays terminal in connect structure}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선단자가 견고하고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정성과 외관미 향상에 도움이 되는 차량용 열선단자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윈도우 그래스에는 동절기 등과 같이 차 실 내외의 온도차가 클경우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열선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열선은 차량에 설치된 축전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구조 대한 일 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98-450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는 종래의 차량용 글래스 열선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용 글래스 열선단자는 열선단자(200), 전선(30), 콘넥터(20), 그래스(110), 열선(120), 패널(130) 트림(14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 그래스(110)에 틈마개를 사이에 두고 트림(140)이 부착되는 차체 패널(130)에 지지되고, 후면 그래스(110)에 일정 간격으로 열선(120)이 형성되며, 열선(120) 끝에 전선(30)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면 그래스(110)의 열선단자(200) 연결구조는, 후면 그래스(110) 일측부에서 열선(120) 끝에 통전 가능하게 콘넥터(20)가 연결되고, 차체 내부면에 부착되는 트림(140) 사이로 연장되는 전선(30)이 트림(140) 상부로 노출되어 콘넥터(2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후면 그래스(110)의 열선단자(200) 연결구조는, 전원이 인가되면 전선(30)을 통해 열선(120)이 발열되고, 이로인해 후면 그래스(110)가 가열되어, 후면 그래스(110)에 생긴 성에나 수분이 증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면 그래스(110)의 열선단자(200) 연결구조는 전선(30)과 열선(120)을 연결하는 콘넥터(20) 부위가 노출되어, 외관이 보기 흉하게 되고, 콘넥터(20)가 탈거되거나 배선이 단선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 패널에 열선단자를 고정하여 외관상 돌출되지 않게 하고, 차량의 후면 그래스에 프린트되어 있는 열선과 접촉이된다.
상기 접촉을 강하게 해주기 위해 열선단자 내부에 반발력 유지용 스프링을 내장하여, 전류전달 축이 열선과 강하게 접촉하여 원활한 전류의 흐름을 만들어준다.
종래의 단자끼움 방식 열선단자보다, 본 발명의 접촉식 열선단자는 생산 조립시 콘넥터 단자 끼움공정이 없어지고, 단자 납땜 비용이 줄어 든다.
그래서, 열선단자의 운송도중 파손이나 변형도 없으므로 제조단가 낮추는데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종래의 차량용 글래스 열선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20 : 콘넥터
30 : 전선40 : 걸림턱
50 : 단자캡 60 : 단자몸체
70 : 가이드80 : 스프링
100 : 고정부재110 : 그래스
120 : 열선130 : 패널
140 : 트림200 : 열선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에 설치된 열선과 연결된 열선단자는 단자캡와 단자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캡은 상측에 두 개 이상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몸체는 단자캡에 삽입되고 하부는 전선과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이탈방지용 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캡와 단자몸체가 결합시 하측을 막아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그리고, 단자몸체 이탈방지용 가이드부재 하부에는 반발력을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는 걸림턱(40), 단자캡(50), 단자몸체(60), 가이드(70), 스프링(80), 고정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열선단자(200)의 조립은 순서는 단자캡(50)에 단자몸체(60)를 삽입하고 단자몸체(60)에 스프링(80)을 끼운다.
그리고, 고정부재(100)로 단자캡(50)에 끼워서, 단자몸체(60)와 스프링(8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시켜준다.
열선단자(200)의 조립이 완성되면 차체 판넬(130)의 구멍에 삽입하면 걸림턱(40)으로 고정이되며, 후면 그래스(110)를 안착시키고 트림(140)을 조립한다.
상기 단자캡(40)은 원통형 모양으로 중앙이 관통된 모양으로, 프라스틱 수지로 성형하여 전류로 인한 합선 등을 방지하며, 차체 패널(130)에 고정 시킬수있는 걸림턱(40)을 포함한다.
그리고, 후면 그래스(110)에 프린트되어 있는 열선(120)에 직각으로 접촉할수 있도록 유지해주며 단자몸체(60)가 상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단자몸체(60)를 잡아준다.
상기 단자몸체(60)는 원통형 모양으로, 전기적으로 전선(30)이 연결되어 있고 단자몸체(60) 중간부분에 가이드(70)를 포함하며, 전류의 흐름을 좋게 하기위해 동선을 사용하며 후면 그래스(110)에 프린트되어 있는 열선(120)과 접촉하여 전류를 통하게 한다.
그래서, 동절기 등과 같이 차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 경우에 발생하는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열선(1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선(120)은 차량에 설치된 축전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전선(30)을 통해 열선(120)이 발열되고, 이로 인해 후면 그래스(110)의 열선(120)이 가열됨으로서, 후면 그래스(110)에 생긴 성에나 수분이 증발되도록 한다.
또한, 단자몸체(60)는 단자캡(50)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스프링(80)의 반발력을 제어하고 스프링(80)을 고정시키는 가이드(70)가 단자몸체(60)의 중앙부에 원뿔모양으로 형성돼 있다.
상기 스프링(80)은 단자몸체(60)가 후면 그래스(110)에 프린트되어 있는 열선(120)에 접촉이 잘되도록 반발력을 주고 후면 그래스(110) 조립시 눌림 역할도 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원형의 캡 모양으로 단자캡 하부와 조립된다. 그리고, 단자캡(50)에 조립되는 부품들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단자캡(50) 하부에 결합되어 진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는 열선(120), 패널(130), 트림(140)을 포함한다.
상기에 상술한바와 같이, 차량의 후면 그래스(110)에 틈마개를 사이에 두고 트림(140)이 부착되는 차체 패널(130)에 지지되고, 후면 그래스(110)에 일정 간격으로 열선(120)이 형성되며, 열선(120) 끝에 전선(30)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면 그래스(110)의 열선단자(200) 연결구조는, 차체 패널(130)의 구멍에 삽입되어 후면 그래스(110)에 프린트되어 있는 열선(120)에 통전 가능하게 열선단자(200)가 조립되며, 차체 내부면에 부착되는 트림(140) 안쪽으로 전선(30)이 연결되어 통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열선단자(200) 연결구조는 트림(140) 안쪽에서 조립이 되어, 외관 노출이 없다.
그리고, 열선단자(200) 연결구조의 조립을 간단하게 하여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선단자 연결구조를 후면 그래스에 조립시, 단자 조립의 어려움을 접촉식 스프링형 봉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하였고, 외관 노출로 인한 외관미 저하를, 차체 트림 안쪽에서 조립하여 외관미를 개선하고, 열선단자 연결구조의 단자위치의 한계를 없앤 구조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자동차의 상품성과 품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신뢰성 등을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윈도우 글래스에 설치된 열선과 연결된 열선단자;
    상기 열선단자는 단자캡와 단자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단자캡은 상측에 두 개 이상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캡에 삽입되고 하부는 전선과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이탈방지용 가이드가 설치된 단자몸체;
    상기 단자캡와 단자몸체가 결합시 하측을 막아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몸체 이탈방지용 가이드부재 하부에는 반발력을 유지하기위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KR10-2001-0063552A 2001-10-16 2001-10-16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KR100423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552A KR100423088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552A KR100423088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140A true KR20030032140A (ko) 2003-04-26
KR100423088B1 KR100423088B1 (ko) 2004-03-16

Family

ID=2956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552A KR100423088B1 (ko) 2001-10-16 2001-10-16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14B1 (ko) 2005-10-05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 장착 구조
CN106143073A (zh) * 2014-11-07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壳体以及使用该壳体的车门连接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715B2 (ja) * 1989-06-15 1995-07-19 富士通株式会社 アラーム検出機構
KR970035774U (ko) * 1995-12-29 1997-07-26 자동차 유리의 열선단자 연결구조
KR200236936Y1 (ko) * 1999-06-30 2001-09-29 이계안 리어 글래스 개방형 차량의 디포거 전원 연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14B1 (ko) 2005-10-05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 장착 구조
CN106143073A (zh) * 2014-11-07 2016-11-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壳体以及使用该壳体的车门连接件
CN106143073B (zh) * 2014-11-07 2018-12-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壳体以及使用该壳体的车门连接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088B1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1294B2 (ja) 低プロフィル・ランプソケット組立品および製造法
JP4754333B2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US20200379206A1 (en) Optical device with heating element
JPS60140022A (ja) 電気煙草ライター用コネクターレセプタクル
KR100391665B1 (ko) 자동차 윈도우의 열선 컨넥터 구조
JPH0911749A (ja) 車両のためのサンバイザ
KR100423088B1 (ko) 차량용 글래스 열선 단자의 연결 구조
JP2816814B2 (ja) ランプソケット
JP2001023413A (ja) 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2002343309A (ja) 電球及び電球の製造方法
CN1644981B (zh) 汽车前照灯的装配工具
JP2004039631A (ja) めくら組み付け部内において組み付けられる接触子幾何形状体を、より強固に結合するための方法
KR200366496Y1 (ko) 벌브커넥터
JPH0717584Y2 (ja) Led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H09293550A (ja) タブ端子
KR200146472Y1 (ko) 자동차 유리의 열선단자 연결구조
CN209692459U (zh) 电机用骨架
CN208585208U (zh) 一种汽车后挡风玻璃的专用线束
CN105960151A (zh) 一种集成插头电动车控制器结构
US5597327A (en) Spr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king a spring terminal
KR100573568B1 (ko) 차량용 열선 커넥터
JPH08130404A (ja) ガラスアンテナの接続構造
KR0126252Y1 (ko) 전선 퓨우즈의 고정장치
KR200240265Y1 (ko) 자동차 램프의 콘넥터 일체형 더스트카바
IT9053095U1 (it) Lampada di segnalazione per veic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