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845A - 악기용 건반 - Google Patents
악기용 건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31845A KR20030031845A KR1020020062088A KR20020062088A KR20030031845A KR 20030031845 A KR20030031845 A KR 20030031845A KR 1020020062088 A KR1020020062088 A KR 1020020062088A KR 20020062088 A KR20020062088 A KR 20020062088A KR 20030031845 A KR20030031845 A KR 200300318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board
- weight
- keyboard body
- front plate
- ke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으로 건반에 터치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납과 같은 비중치를 갖거나 혹은 이보다 더 큰 소정의 값을 갖는 대체 재질을 이용함과 동시에, 건반본체에 중량체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소화하며, 건반본체가 깨지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건반은 정면판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건반본체까지 신장된 매설공(매(埋)設空)을 포함하는 건반본체 및 납을 대체하는 대체재질로 구성된 중량체를 포함한다. 중량체는 매끄러운부분 및 그 외주면에 널링부로 구성된다. 중량체는 매끄러운부에서부터 매설공에 압입하여 건반본체에 고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립형 피아노 및 그와 같은 악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건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터치감을 얻기 위해 내부에 중량체를 포함하는 악기용 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반을 기본으로 하는 악기, 즉, 직립형 피아노와 같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 건반내에 중량체를 고정시켜 건반 이용시 원하는 터치감(고정된 중량)을 부여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중량체를 거의 납 재질로 만들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직립형 피아노에 있어, 납으로 만든 소정의 사이즈의 실린더형 중량체가 밸런스핀 뒤에(도시되어 있지 않음) 소정의 위치에 있는 원목 재질의 건반본체(31)에 형성된 매설공(33)에 삽입되고, 건반본체(31)에 고정시키기 위해 양면을 코르킹한다. 중량체에 사용된 납은 다른 금속 재질에 비해 비중이 높고, 비용도 저렴하고,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종래의 건반(30)에 있어, 중량체(32) 재질로 납이 사용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납은 인체에 유해한 재질이기 때문에, 납을 대체할 만한 대체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체(32)는 각각의 건반본체(31)에 형성된 매설공(33)에 고정되고, 양 면들은 코킹에 의해 고정되며, 코킹은 각각의 건반에서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중량체(32)를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은 매우 번잡한일이다. 아울러, 중량체(32)가 코킹에 의해 고정되므로, 건반본체 (31)가 쪼개질 위험률이 매우 높고, 중량체(32)를 건반본체(31)에 코킹에 의해 고정시 매설공(33)에 충격이 가해져 쪼개질 위험도 있어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조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반에 원하는 터치감을 효과적으로 부여하고, 중량체 고정을 포함한 작업의 단순화 및 건반본체가 쪼개지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감소시키고, 중량체의 재질로 이용되는 납을 대체하는 대체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악기용 건반의 건반본체에 매설공을 제공하고, 납과 비중이 같거나 혹은 납보다 더 큰 비중을 갖는 대체 재료로 구성된 중량체를 제공하며, 그 세로방향의 외주표면에는 널링부가 구성되고, 중량체의 널링부는 매설공에 삽입되어 건반본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악기용 건반에 있어, 건반체의 중량체는 납보다 비중이 같거나 혹은 더 큰 비중을 갖는 대체 재료로 구성되고, 세로방향의 외주표면에 널링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중량체의 널링부는 건반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건반본체에 형성된 매설공에 압입되어 건반에 터치감을 부여한다. 또한 중량체는 매설공에 압입하여 건반본체에 고정될 수 있기때문에, 종래에 양면을 코킹해서 건반본체에 중량체를 고정시키는 작업보다 간단하고 수월하다.
아울러, 중량체의 널링부는 세로방향으로 중량체의 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매설공에 가하는 압력을 제한 할 수 있고, 동시에 중량체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확보할 수 있고, 본체가 쪼개지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제공된 건반에 있어서, 건반본체는 그 상단 후단부에 장착된 정면판, 정면판에 삽입된 캡스턴 와이어 및 정면판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건반본체의 후면까지 신장된 매설공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악기용 건반에 있어, 매설공은 건반본체의 상면후단부, 즉, 건반 지점에서 최대한 먼거리에 부착된 정면판에 형성된다. 따라서, 직립형 피아노의 경경우, 중량체가 건반 지점 뒷면의 건반본체의 고정부에 고정될때, 건반에 원하는 터치감을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면판은 건반본체보다 좀 더 단단한 원목재질로 구성되며, 널링부는 높은 고정력을 갖고 있어서, 종래와 같이 중량체를 건반 본체에 그대로 압입시키는 것보다 중량체가 이탈되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캡스턴 와이어가 정면판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에 캡스턴을 장착하고, 캡스턴 와이어 삽입, 매설공의 형성 및 중량체의 고정은 캡스턴 와이어를 삽입하는 기기 및 건반본체의 세로방향으로 점차 중량체를 삽입시키는 기기를 설치함으로 인해, 동시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직립형 피아노의 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의 건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 건반의 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중량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 건반의 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 건반의 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반 2 : 건반본체
4 : 정면판 5 : 캡스턴와이어
7 : 밸런스핀공(Banlance Pin Hole) 9 : 캡스턴
10 : 매설공 20 : 중량체
21 : 매끄러운부분 22 : 널링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의 건반을 도시한 것이다.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은 건반본체(2) ; 및 건반본체(2)의 정면부에 부착된 흰색건반커버부(3)로 구성된다. 정면판(4)은 건반본체(2) 상단의 후면부에 부착되고, 그 위에 박혀진 캡스턴 와이어(capstan wire)(5)를 포함하고, 그 안에 중량체(20)가 삽입된다.
건반본체(2)는 비교적 가벼운 무게, 점성 및 고탄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소나무나 혹은 스피루스와 같은 나무재질로 구성되고, 세로방향으로 신장된 직사각의 단면부로 형성된다. 흰색건반커버부(3)는 L-형의 아크릴이나 혹은 그와 같은 물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몰딩형성되고, 건반본체(2)의 정면부와 상단부의 정면 1/2 에 부착된다. 정면판(4)은 건반본체(2)보다 좀 더 단단한 원목인 너도밤나무 혹은 단풍나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중간판(6)은 건반본체(2)의 상단 중심부에 부착되고, 밸런스핀공(7)이 수직방향으로 이들을 통과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밸런스핀공(7)은 삽인된 밸런스핀(8)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건반(1)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런 구조체에서, 연주자가 정면부에서 건반(1)을 누를때, 건반(1)이 밸런스핀을 회동하여 캡스턴(9)을 들어올리게 되고, 이로인해 연주가 시작된다. 건반(1)의 터치감은 밸런스핀(8)에 대한 건반(1)과 이 작동으로 인한 중량체에 의해 얻어지는 모멘트의 조절에 의해 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공(10)은 캡스턴 와이어(5) 후면인 건반(1)의 가장 뒷면에 형성된다. 매설공(10)은 정면판(4)을 통해 수직 신장된다.
중량체(20)는 소정의 값을 갖는, 예를 들면, 철이나 동과 같거나 혹은 이보다 높은 비중을 갖는 납이외의 다른 재질로 구성되고,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형으로 몰딩된다. 중량체(20)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부분(21) 및 널링부(22)를 포함한다. 널링부(22)의 외경은 매끄러운 부분(21)보다 약간 넓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20)는 하부 방향으로 매끄러운 부분(21)과 같이 매설공(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중량체(20)는 정면판(4)을 통해 널링부(22)와 같이 건반본체(2)에 압입된다. 아울러, 다수의 중량체(20)들은 각기 다른 길이을 갖고 있으며, 이 중 하나가 건반본체(2)에 고정되어 그대로 건반(1)에 중량감을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의 건반(1)에 따라, 중량체(20)는 납과 같은 소정의 비중값를 갖거나 혹은 그보다 높은 비중값을 갖는 대체물질로 구성되며, 그 외주면은 소정의 크기인 널링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량체(20)는 매설공(10)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인 널링부(22)를 이용하여 매설공(10)에 압입되고, 이로써 건반(1)에 터치감을 부여한다. 중량체(20)가 매설공(10)에 압입되어 건반본체(2)에 부착되기 때문에, 고정을 포함하는 작업이 종래에 양면을 코킹하여 중량체를 고정하는 방법보다 좀 더 간소화 되었다. 또한, 매설공(10)은 정면판(4)을 통해 신장되어 건반본체(2)의 상단 후면부, 예를 들면, 밸런스핀(8)으로부터 가장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건반본체(2)에 중량체(20)를 고정한다.
또한, 정면판(4)은 건반본체(2)보다 좀 더 단단한 재질의 원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널링부(22)는 큰 고정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중량체(20)가 널링부(22)를 이용하여 정면판(4)에 압입되는 것은 매설공(10)에서 중량체가 이탈하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일반 중량체가 건반본체(2)에 압입되는 것에 비하여 감소시킬 수있다. 더욱이, 캡스턴 와이어(5)는 정면판(4)에 삽입되어, 그 상단부에 장착된 캡스턴(9)에 부착되기 때문에, 캡스턴 와이어(5), 매설공(10)의 형성 및 중량체(20)의 고정은 캡스턴 와이어를 삽입하는 기기 및 건반본체의 세로방향으로 점차 중량체를 삽입시키는 기기를 설치함으로 인해 동시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원가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피아노용 건반(1)의 후단부를 도시한다.
제 2실시예에서, 종래의 건반(30)과 같은 경우에는 매설공(10)은 건반본체(2)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 처럼, 중량체(20)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부분(21)과 널링부(22)를 포함한다. 중량체(20)는 매끄러운 부분(21)부터 널링부(22)와 같이 건반본체(2)의 매설공(10)에 압입된다. 제 2실시예의 건반(1)의 잔여구조물은 제 1실시예의 구조물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건반(1)은 건반본체(2)가 깨지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 1실시예처럼 원하는 터치감을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따른 직립형 피아노용 건반(1)의 후단부를 도시한다.
제 3실시예에서, 매설공(10)은 건반본체(2)의 세로방향으로 건반본체(2)의 최후단부에 형성된다. 제 1실시예와 같이, 중량체(20)의 외주면은 매끄러운 부분(21)과 널링부(22)를 포함한다. 중량체(20)는 매끄러운 부분(21)부터 널링부(22)를 이용하여 매설공(10)에 삽입되고, 건반본체에 압입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건반(1)은 제 2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직립형 피아노용 건반에 한정되어 실행되는 것을 설명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중량체가 고정되는 어떤 건반, 예를 들면, 그랜드 피아노, 전자 피아노, 키보드가 구비된 장난감 등과 같은 모든 건반에 실행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범위와는 별도로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행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반에 터치감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납과 같은 비중치를 갖거나 혹은 이보다 더 큰 소정의 값을 갖는 대체 재질을 이용하고, 건반본체에 중량체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소화하며, 건반본체가 깨지는 등의 빈번한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회동가능한 건반본체에 형성된 매설공; 및소정의 값보다 크거나 혹은 동일한 비중을 갖으며, 그 외주면에 세로방향의 널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매설공을 통해 건반본체에 압입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건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면후단부에 부착된 정면판과 상기 정면판에 삽입된 캡스턴 와이어를 포함하는 상기 건반본체, 및상기 정면판을 통과하여 수직방향으로 상기 건반본체까지 연장되는 상기 매설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318581 | 2001-10-16 | ||
JP2001318581A JP3753645B2 (ja) | 2001-10-16 | 2001-10-16 | 鍵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1845A true KR20030031845A (ko) | 2003-04-23 |
Family
ID=1913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62088A KR20030031845A (ko) | 2001-10-16 | 2002-10-11 | 악기용 건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693235B2 (ko) |
JP (1) | JP3753645B2 (ko) |
KR (1) | KR20030031845A (ko) |
CN (1) | CN100452170C (ko) |
DE (1) | DE10248000B4 (ko) |
TW (1) | TW59466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93040B2 (ja) * | 2003-09-12 | 2009-07-08 | ヤマハ株式会社 | 鍵構造体 |
US20060032366A1 (en) * | 2004-08-11 | 2006-02-16 | Chun-Kuan Lin | Keyboard device with adjustable key touch sensation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4783177B2 (ja) * | 2006-02-27 | 2011-09-28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鍵盤楽器の黒鍵 |
JP5124165B2 (ja) * | 2007-04-23 | 2013-01-23 |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 鍵盤楽器の黒鍵および黒鍵カバーの製造方法 |
DE102007036857B3 (de) * | 2007-08-06 | 2008-11-27 | Udo Elliger | Taste für ein Musikinstrumen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US7633002B2 (en) * | 2008-03-06 | 2009-12-15 | Asami Inouye | Piano key assembly |
DE102008013293B4 (de) | 2008-03-07 | 2010-11-04 | Udo Elliger | Dämpferhebel für eine Dämpferanordnung für Flügel sowie Dämpferanordnung |
EP2657930A1 (en) * | 2012-01-26 | 2013-10-30 | AXL Musical Instruments Co., Ltd. Corp. | Piano key assembly and method of adjusting a piano key assembly |
EP2827075B1 (en) | 2012-03-14 | 2023-02-15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equipment system |
AT515615B1 (de) * | 2014-04-02 | 2016-03-15 | Merzendorfer Leopold | Verfahren zur Gewichtsreduktion und optimierter Gewichtsverteilung von Klaviertasten |
US10431403B2 (en) * | 2017-04-04 | 2019-10-01 | Yamaha Corporation | Reactive force generation device |
DE102017130974B3 (de) | 2017-12-21 | 2018-08-02 | Seiler Pianofortefabrik GmbH | Taste für ein Tasten-Musikinstrument mit einem länglichen Tastenkörper und einem Balancegewich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Taste |
DE202022103944U1 (de) | 2022-07-13 | 2023-10-16 | Christoph Kerschgens | Tastengewicht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20433A (en) | 1973-06-07 | 1974-06-28 |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 Bushing structure for use in pivotally supporting the keys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
US4119008A (en) * | 1977-02-09 | 1978-10-10 | D. H. Baldwin Company | Means for improving the repetition characteristics of an upright piano action |
JPS58127994A (ja) * | 1982-01-26 | 1983-07-30 | ヤマハ株式会社 | 電子楽器の鍵盤装置 |
JPH0326554Y2 (ko) * | 1985-01-22 | 1991-06-07 | ||
US4890533A (en) * | 1987-10-12 | 1990-01-02 |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 Key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
CN2233615Y (zh) * | 1995-04-07 | 1996-08-21 | 施安康 | 一种钢琴琴键改进结构 |
JP2917863B2 (ja) * | 1995-06-20 | 1999-07-12 | ヤマハ株式会社 |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およびその質量体製造方法 |
US5763799A (en) * | 1996-10-24 | 1998-06-09 | Baldwin Piano & Organ Co., Inc. | Simulated escape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
JP3704930B2 (ja) * | 1997-12-22 | 2005-10-12 | ヤマハ株式会社 | 鍵盤楽器の鍵盤 |
JPH11212543A (ja) * | 1998-01-23 | 1999-08-06 | Yamaha Corp | 鍵盤楽器の鍵盤 |
JP2001042872A (ja) * | 1999-07-30 | 2001-02-16 |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 複合部品 |
US6531651B2 (en) | 1999-11-11 | 2003-03-11 |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 Key for musical instrument |
-
2001
- 2001-10-16 JP JP2001318581A patent/JP3753645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
- 2002-10-02 TW TW091122696A patent/TW59466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10-02 US US10/261,603 patent/US6693235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0-11 KR KR1020020062088A patent/KR2003003184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10-15 DE DE10248000.1A patent/DE10248000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0-16 CN CNB021514836A patent/CN10045217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594668B (en) | 2004-06-21 |
CN100452170C (zh) | 2009-01-14 |
US20030070534A1 (en) | 2003-04-17 |
JP3753645B2 (ja) | 2006-03-08 |
DE10248000A1 (de) | 2003-04-17 |
CN1412740A (zh) | 2003-04-23 |
DE10248000B4 (de) | 2018-12-13 |
JP2003122345A (ja) | 2003-04-25 |
US6693235B2 (en) | 2004-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0031845A (ko) | 악기용 건반 | |
JP4236611B2 (ja) | 電子打楽器 | |
JP4691780B2 (ja) | 鍵盤楽器の鍵盤装置 | |
KR930007787B1 (ko) | 전자건반악기의 피아노액션장치 | |
US6774294B2 (en) | Key for musical instrument | |
KR100391708B1 (ko) | 전자파아노등의건반 | |
JP5114992B2 (ja) | 電子楽器用の鍵盤装置 | |
JP3533777B2 (ja) | ピアノ用ハンマーおよびその成形方法 | |
JP2009069848A (ja) | 電子打楽器 | |
JPH11212543A (ja) | 鍵盤楽器の鍵盤 | |
JP4247272B2 (ja) | 電子ハイハットシンバル | |
JP3704930B2 (ja) | 鍵盤楽器の鍵盤 | |
KR200339395Y1 (ko) |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 |
JP5212458B2 (ja) | 鍵盤楽器の鍵盤装置 | |
JP4429679B2 (ja) | 鍵盤楽器の鍵 | |
JP2009145731A (ja) | 鍵盤楽器の鍵構造 | |
KR101407843B1 (ko) | 터치감이 개선된 전자건반악기용 건반구조 | |
KR100772123B1 (ko) | 자동 연주용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동작을 위한 높이조절장치 | |
JPH0922288A (ja) | 電子楽器の鍵盤装置 | |
JP3650529B2 (ja) | 楽器用鍵盤 | |
KR200434702Y1 (ko) | 자동 연주용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동작을 위한 높이조절장치 | |
JP2005031174A (ja) | ピアノの鍵 | |
JP2007232782A (ja) | 鍵盤楽器の黒鍵 | |
JPH0532873Y2 (ko) | ||
JP2001195056A (ja) | 鍵 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01 Effective date: 200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