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367A - 전자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367A
KR20030028367A KR1020020056214A KR20020056214A KR20030028367A KR 20030028367 A KR20030028367 A KR 20030028367A KR 1020020056214 A KR1020020056214 A KR 1020020056214A KR 20020056214 A KR20020056214 A KR 20020056214A KR 20030028367 A KR20030028367 A KR 2003002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housing
armature
extending
piec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878B1 (ko
Inventor
마사히데 모치쥬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이씨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이씨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이씨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3002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자코일 및 아마츄어로 이루어지는 일차측 회로와 가동 및 고정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측 회로와의 절연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내전압을 향상시킨 전자계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 하우징(10)이 여자코일(56) 및 아마츄어(60) 사이를 뻗는 절연벽(14g)을 갖는 전자계전기(1)에 있어서, 베이스 하우징(10)은 가동 및 고정접촉편(21, 22)과 아마츄어(60)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 2절연벽(14b)을 갖고 있다. 또한 작동편(64)은 제 2절연벽(14b)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5)을 통해 가동접촉편(21)을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기판 상에 탑재하여 이용되는 소형 전자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계전기로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공평4-42766호 공보 참조).
이 전자계전기는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110)과 접촉편(120)과 조작전자석(130)과 케이스(140)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110)은 긴 쪽 방향으로 뻗는 대략 사각형체의 양단 상에 벽부재(115, 116)를 돌설하여 형성되고 각 벽부재(115, 116)의 전측(도 1의 앞측)에는 후술하는 문형 철심(131)의 한 쌍의 콘센트부(131a)(한 쪽만 도시)가 압입되는 콘센트구멍(111, 11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벽부재(115)측의 콘센트구멍(111)의각부(角部)에 근접하고 후술하는 아마츄어(133)의 각편부(133d)를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수혈 혹은 수용구멍(1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재(116)측의 콘센트구멍(112)의 각부(角部)에 근접하고 아마츄어(133)의 돌편부(133f)를 수용함과 동시에 아마츄어(133)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수용홈 혹은 홈(11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재(116)에는 후술하는 코일단자(135)의 삽통을 허용하는 한 쌍의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120)은 한 쌍의 고정접촉편(121) 및 가동접촉편(123)으로 구성되고, 고정접촉편(121) 및 가동접촉편(123)의 각각은 대향면에 각각 고정접점(122) 및 가동접점(124)을 가짐과 동시에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미도시)를 갖는다. 고정접촉편(121) 및 가동접촉편(123)의 각각은 인청동(燐靑銅) 등의 동합금판을 타발 및 굴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베이스 하우징(110)의 벽부재(115)에 고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전자석(130)은 문형 철심(131)과 해당 문형 철심(131)에 압입고정되는 회전틀 혹은 스풀(spool)(132)과, 아마츄어(133)와, 여자코일(134)을 구비하고 있다.
문형 철심(131)은 수평방향으로 뻗는 동체부(미도시)와 동체부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각부(131b)(한 쪽만 도시)를 갖는 문형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철심을 타발가공하여 형성된다. 문형 철심(131)의 양 각부(131b)의 하단에는 콘센트구멍(111, 112)에 압입되는 콘센트부(13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문형 철심(131)의 일단측 상방부에는 돌기(1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132)은 수평방향으로 뻗어 상방으로 열린 U자 홈을 갖는 단면 U자형 스풀동체부(미도시)와, 스풀동체부의 양단에 설치된 날개부(132a)와, 일방의 날개부(132a)에 이어서 한 쪽으로 붙여 설치된 단자부(132b)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132)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풀(132)의 스풀동체부의 U자 홈에 문형(門刑) 철심(131)의 동체부가 압입되어 양자는 일체화된다. 그리고 단자부(132b)에는 2개의 코일단자(135)가 고착되어 있다. 스풀(132)의 스풀동체부의 주위에는 여자코일(134)이 감겨지고 여자코일(134)의 양단은 각각의 코일단자(135)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마츄어(133)는 철판을 타발가공하여 역문형(逆門刑) 형상으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 뻗는 수평부(133a)와 수평부(133a)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뻗는 한 쌍의 수직부(133b, 133c)를 구비하고 있다. 아마츄어(133)의 일단측 수직부(133b)의 하단에는 아마츄어(133)의 지지부가 되는 각편부(脚片部)(133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마츄어(133)의 타단측 수직부(133c)의 하단에는 아마츄어(133)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돌편부(133f)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아마츄어(133)의 일단측 수직부(133b)의 상단에서 각편부(133a)의 축선 상에는 문형 철심(131)의 돌기(131c)에 감합되는 요부(133e)가 형성되어 있다. 아마츄어(133)의 수평부(133a)에는 절연성 작동편(作動片)(133g)이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조작전자석(130)은 베이스 하우징(110) 상에 조립 부착되지만 이 때 문형 철심(131)의 양 콘센트부(131a)를 콘센트구멍(111, 112)에 압입함과 동시에 아마츄어(133)의 각편부(133d)를 베이스 하우징(110)의 수용구멍혹은 수혈(受穴)(113)에 삽입하고, 돌편부(133f)를 수용홈(114)에 각각 삽입한다.
이 때 동시에 코일단자(135)를 베이스 하우징(110)의 관통공(117)에 삽통시킨다. 그러면 아마츄어(133)는 각편부(133a)가 수혈(受穴)(113)에 그 축선 상의 요부(133e)가 돌기(131c)에 지지되므로 각편부(133a)와 그 축선 상의 요부(133e)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아마츄어(133)는 복귀용수철을 겸하는 가동접촉편(123)에서 작동편(133g)을 통해 탄력을 받고, 여자코일(134)의 비여자 상태에서는 아마츄어(133)의 타단측 수직부(133c)가 문형 철심(131)에서 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자코일(134)의 여자시에 아마츄어(133)의 타단측 수직부(133c)는 각편부(133a)와 그 축선 상의 요부(133e)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문형 철심(131)에 흡착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편(123)이 압압되어 탄성변형하고 접점(122, 124) 사이가 닫히게 된다.
케이스(140)는 베이스 하우징(110) 및 베이스 하우징(110) 상에 조립 부착된 조작전자석(130)을 덮는 수용공간(미도시)이 내부에 형성된 거의 사각형 부재이다. 케이스(140)는 베이스 하우징(110) 및 조작전자석(130)을 덮고 베이스 하우징(110)에 계지된다. 케이스(140)의 수용공간에는 베이스 하우징(110) 및 조작전자석(130)을 덮은 때에 문형 철심(131)의 돌기(131c)측의 상단을 억제하는 돌기(미도시)와 아마츄어(133)의 회전지점측(일단측)의 수직부(133b)의 상단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전자계전기에 의하면 초소형 전자계전기를 높은 생산성으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계전기의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나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개평2001-68003호 공보참조).
이 전자계전기는 기본구조가 도 5에 나타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하우징(210)에 고정된 문형 철심(211)에 따르도록 아마츄어(21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츄어(212)는 철판을 타발가공하여 역문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단측 하단에 회동 중심이 되는 축편부(213)가 타단측 하단에 아마츄어(212)의 돌편부(214)가 설치되어 있다. 아마츄어(212)의 축편부(213)는 베이스 하우징(210)에 형성된 축수구멍(215)에 삽입되고 돌편부(214)는 베이스 하우징(210)에 형성된 수혈 혹은 수용구멍(216)에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또한 아마츄어(212)의 회동중심측이 되는 일단측의 상단에 있어서 축편부(213)의 축선상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요부(133e)와 동일한 요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는 도 5에 나타내는 요부(133e)와 마찬가지로 문형 철심(211)의 일단측 상방부에 설치된 돌기(미도시)에 감합하고, 축편부(213)와 함께 아마츄어(212)의 회동중심이 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210)의 L자형 절연벽(217)의 구석에 후육부(厚肉部)(218)를 형성하고 아마츄어(212)의 타단부의 각뿔을 후육부(厚肉部)(218)에 당접시켜서 아마츄어(212)의 개폐스트록(S)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6 중, 부호 219는 고정접촉편, 220은 가동접촉편이다.
이 전자계전기에 의하면 한계설계 중에서 아마츄어(212)의 개폐 스트록(S)을 안정시켜 개폐조작력이나 부하력이 일정한 동작신뢰성이 높은 전자계전기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계전기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전자계전기의 경우 아마츄어(133)는 각편부(133d)가 수용구멍 혹은 수혈(113)에 그 축선상의 요부(133e)가 돌기(131)에 지지되고, 각편부(133d)와그 축선상의 요부(133e)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수혈(113)에 의한 각편부(133d)의 지지는 아마츄어(133)의 수평방향(도에서의 좌우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각편부(133d)의 이동을 규제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가 불안정해지는 일은 없다. 한편, 돌기(131c)에 의한 요부(133e)의 지지는 아마츄어(133)의 수평방향에 있어서는, 요부(133e)의 이동을 규제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없지만, 상기 수평방향과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는 요부(133e)의 이동을 규제할 수 없으므로 그지지가 불안정하게 되어 있다. 요부(133e)의 전후방향 지지를 안정시키기 위해 케이스(140) 수용공간에는 아마츄어(133)의 회전지점측의 수직부(133b)의 상단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스(140)는 조작전자석(130) 및 베이스 하우징(110)을 덮는 큰 형상을 하기 때문에 성형시의 제품의 치수 오차가 크고 베이스 하우징(110)의 수용 공간에 형성된 상기 돌기의 치수 오차도 필연적으로 커지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요부(133e)의 전후방향의 지지가 돌기나 베이스 하우징(110)의 치수 오차에 기인하여 필연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마츄어(133)의 회동축이 안정되지 않고 아마츄어(133)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나는 전자계전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아마츄어(212)의 회동중심이 되는 요부의 전후방향의 지지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아마츄어(212)의 회동축이 안정되지 않고 아마츄어(212)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마츄어의 회동이 케이스나 베이스 하우징의 치수 오차나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마츄어가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는 전자계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조작전자석 및 베이스 하우징의 조립체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정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계전기의 각 구성부품의 정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조작전자석 및 베이스 하우징의 조립체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배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계전기의 각 구성부품의 배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계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전자계전기의 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전자계전기 10 베이스 하우징
18b 베이스 하우징의 요부 20 돌기부
21 가동접촉편 22 고정정촉편
40 평판상 계철 41 동체부
42 일방의 각부 43 타방의 각부
50 스풀 51 스풀동체부
52 연출부 52b 상방부
52c 스풀의 요부 56 여자코일
60 아마츄어 61 수평부
62 회동축부 62a 사각형상 축편
62b 사각형상 돌기 63 수직부
64 작동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동체부 및 해당 동체부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뻗는 각부를 갖는 거의 C자형 평판상 계철과, 상기 동체부에 취부되는 회전동체부를 갖고 해당 회전동체부의 주위에 여자코일을 감은 절연성 회전틀과, 상기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절연성 작동편이 설치된 수평부, 해당 수평부의 일단측에서 상기 각부 중 일방 각부의 연출방향으로 뻗는 회전축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단측에서 뻗어 상기 여자코일이 여자된 때에 상기 각부 중 타방의 각부에 접촉하는 수직부를 갖는 아마츄어와, 상기 계철의 양 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아마츄어의 회동 축부의 하단에 형성된 축편을 수용하는 요부 또는 구멍을 갖는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취부되고 상기 작동편의 압압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가동접촉편 및 고정접촉편을 구비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일방의 각부 근방에 상방향으로 뻗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스풀은 상기 스풀동체부에서 상기 일방의 각부측에 뻗음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일방 각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부를 갖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방부에 상기 동체부의 연출방향과 평행으로 뻗는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마츄어는 상기 회동 축부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아마츄어의 돌기는 상기 스풀의 요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C자모양」이란 뿔을 가지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조작전자석 및 베이스 하우징의 조립체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정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의 각 구성부품의 정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조작전자석 및 베이스 하우징의 조립체와 케이스를 분해한 상태의 배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의 각 구성부품의 배면측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 있어서 전자계전기(1)는 가동접촉편(21) 및 고정접촉편(22)을 고착한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10)과 베이스 하우징(10)에 조립부착되는 조작전자석(30)과 케이스(70)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조작전자석(30)은 평판상 계철(40)과 스풀(50)과 아마츄어(60)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전자석(30)의 평판상 계철(40)은 수평방향으로 뻗는 사각형상 동체부(41)와 이 동체부(4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뻗는 한 쌍의 사각형상 각부(42,43)를 갖는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고, 철판을 타발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각부(42, 43) 중 일방의 각부(42)(도 2에서의 우측 각부)의 상단 우측가장자리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틀 혹은 스풀(50)은 평판상 계철(40)의 동체부(41)의 상하 가장자리 및 배면(도 2에서의 후측)을 덮도록 상기 동체부(41)에 취부되는 스풀동체부(51)와 이 스풀동체부(51)의 우단에서 일방의 각부(42)의 배면측에 뻗는 연출부(52)와 스풀동체부(51)의 좌단에서 타방의 각부(43)의 배면측에 뻗는 단자부(5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풀(50)은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스풀동체부(51)의 주위에는 여자코일(56)이 감기고 여자코일(56)의 양단은 단자부(53)의 배면에 고착된 한 쌍의 코일 단자(57)의 각각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풀동체부(51)의 좌우 단부에는 칼날부(54, 55)가 각각 형성되고, 이들 칼날부(54, 55)에 의해 여자코일(56)의 좌우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출부(52)는 각부(42)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배면부(52a)와, 배면부(52a)의 상단에서 일방의 각부(42)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뻗는 상방부(52b)를 갖고 있다. 상방부(52b)에는 평판상 계철(40)의 동체부(41)의 연출방향과 평행으로 뻗는 요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52c)는 상방부(52b)의 우단측으로 열려있다. 또한 연출부(52)의 배면부(52a)에는 하방으로 열려있는 연출부측 안내요부(52d)가 형성되고, 단자부(53)의 배면에는 하방으로 열리는 단자부측 안내요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아마츄어(60)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수평부(61), 수평부(61)의 우측단에서 일방의 각부(42)의 연출방향으로 뻗는 회동축부(62) 및 수평부(61)의 좌측단에서 일방의 각부(63)의 연출방향으로 뻗는 수직부(63)를 갖는 거의 C자형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철판을 타발하여 형성된다. 수평부(61)에는 수평부(61)의 주위를 개구부(66)를 제외하고 덮는 절연성의 작동편(64)이 취부되어 있다. 작동편(64)의 배면에는 가동접촉편(21)의 탄성용수철편(21c)을 압압하여 고정접촉편(22)에 접촉시키기 위한 돌기부(6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부(62)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하우징(10)에 형성된 요부(18b)에 수용되는 사각형상 축편(62a)가 돌출 형성되고, 회동축부(62)의 상단에서 사각형상 축편(62a)의 축선상에는 스풀(50)에 형성된 요부(52c)와 후술하는 베이스 하우징(10)의 돌출부(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사각형상 돌기(62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아마츄어(60)는 사각형상 축편(62a)이 요부(18b)에 그 축선상의 사각형상 돌기(62b)가 스풀(50)에 형성된 요부(52c)와 베이스 하우징(10)의 돌출부(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지지됨으로써 사각형상 축편(62a)과 사각형상 돌기(62b)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해 진다. 아마츄어(60)는 복귀용수철을 겸하는 가동접촉편(21)의 탄성용수철편(21c)에서 작동편(64)을 통해 탄력을 받아 여자코일(56)의 비여자 상태에서는 아마츄어(60)의 타단측 수직부(63)가 평판상 계철(40)의 타방의 각부(43)에서 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여자코일(56)의 여자시에는 아마츄어(60)의 타단측 수직부(63)는 사각형상 축편(62a)과 사각형상 돌기(62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부(43)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긴 쪽 방향으로 뻗는 거의 사각형판부(11)와 이 사각형판부(11)의 뒷가장자리(도 2에서의 후측 가장자리)부터 시작하는 후벽(12)과 거의 사각형판부(11)의 우측끝 가장자리(도 2에서의 우측단부의 가장자리)부터 시작하는 단벽(13)을 구비하고 절연성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10)의 후벽(12)의 하측 거의 절반에서 전방을 향해 단벽(13)의 부분에 있어서 열리도록 접촉편 수용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편 수용공간(14)은 가동접촉편(21) 및 고정접촉편(22)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후벽(12)에서 전방으로 뻗는 전방연출벽(14a)과, 전단연출벽(14a)의 전단가장자리, 거의 사각형판부(11) 및 단벽(13)을 연결하는 전벽(14b)와 전방연출벽(14a)의 좌단가장자리, 전벽(14b)의 좌단가장자리, 거의 사각형판부(11) 및 후벽(12)을 연결하는 측벽(14c)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전방연출벽(14a)은 전벽(14b)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여자코일(56)과 아마츄어(60)의 수평부(61)사이를 뻗는 절연벽(14g)을 갖는다. 전멱(14b)의 대략 중랑부에는 작동편(64)의 돌기부(65)가이동가능한 사각형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벽(12)의 우단측 전면에 있어서 전방연출벽(14a)의 상방에는 평판상 계철(40) 및 스풀(50)의 조립체를 베이스 하우징(10)에 조립부착하는 때에 스풀(50)의 연출부측 안내요부(52d)가 안내되는 레일(16a)이, 후벽(12)의 좌단측의 전면에는 스풀(50)의 단자부측 안내요부(53a)가 안내되는 레일(16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의 사각형판부(11)의 좌단측 레일(16b)의 양측에는 코일단자(57)가 삽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17)(한 쪽만 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거의 사각형판부(11)의 우단측 앞가장자리 근방에는 단벽(13)에서 거의 사각형판부(11)의전방을 막는 듯이 뻗는 L자형 융기부(18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L자형 융기부(18a)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아마츄어(60)의 일단측에 있는 거의 사각형상 축편(62a)을 수용하는 요부(18b)를 획정한다. 또한 거의 사각형판부(11)의 좌단측 앞가장자리 근방에는 지지부(19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9a)는 L자형 융기부(18a)와 함께 평판상 계철(40)의 각부(43, 42)를 위치결정 및 지지한다. 지지부(19a)에 인접하는 돌조(19b)는 작동편(64)의 하단 돌기(67)와 당접하고, 아마츄어(60)의 회동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10)의 단벽(13) 상단에는 취부되는 평판상 계철(40)의 돌출부(42a)를 수용하는 요부(16c)가 형성됨과 함께 그 요부(16c)의 전측에는 평판상 계철(40)의 일방 각부(42)의 근방에 상방향으로 뻗는 돌기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0)는 평판상 계철(40) 및 스풀(50)의 조립체를 베이스 하우징(10)에 조립부착하면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스풀(50)의 요부(52c) 내의 전측에 위치하고 요부(52c)과 돌기부(20)에 의해 거의 사각형상 돌기(62b)가 배치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가동접촉편(21)은 도 2 및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촉편 수용공간(14)의 하방에 위치하는 거의 사각형판부(11)에 있어서 단벽(13)측에서 좌방향(도 4에서의 우방향)에 연출하도록 형성된 압입 홈(14d)에 압입되는 기부(21a)를 구비하고, 인청동 등의 동합금판을 타발 및 굴곡가공하여 형성된다. 기부(21a)의 상단에는 접촉편 수용공간(14)의 하방에 위치하는 후벽(12)에 있어서 단벽(13)측에서 좌방향에 연출하도록 형성된 다른 압입 홈(14e)에 압입되는 고정편(21b)이 절곡형성되고, 기부(21a)의 하단에는 회로기판(미도시)에 접속되는기판접속부(21e)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기부(21a)의 좌단 가장자리에는 선단후면에 가동접점(21d)을 갖는 탄성용수철편(21c)이 좌방향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 탄성용수철편(21c)은 기부(21a)의 좌단 가장자리에서 비스듬히 전방으로 뻗고나서 절곡되어 접촉편 수용공간(14)의 전벽(14b)에 근접하여 따르도록 뻗는다. 한편 고정접촉편(22)은 기부(22a)를 갖고 인청동 등의 동합금판을 타발 및 굴곡가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기부(22a)의 좌단 가장자리에는 접촉편 수용공간(14)의 좌우방향 거의 중앙부 하방에 위치하는 압입 홈(14f)에 압입되는 고정편(22b)이 절곡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22a)의 하단에는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22e)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22a)의 좌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동접점(21d)의 대향면에 고정접점(22d)을 갖는 평판부(22c)가 좌방향으로 연출하고 있다. 이 평판부(22c)는 고정접촉편(22)이 베이스 하우징(11)에 고착된 때(여자코일(56)의 비여자 상태)에는 가동접촉편(21)의 탄성용수철편(21c)과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고, 고정접점(22d)과 가동접점(21d)가 서로 이반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여자코일(56)이 여자되어 아마츄어(60)의 타단측 수직부(63)가 평판상 계철(40)의 타방측 각부(43)에 접촉하면 작동편(64)의 배면에 있는 돌기부(65)가 사각형구멍(15)을 통해 가동접촉편(21)의 탄성용수철편(21c)를 압압하여 탄성용수철편(21c)가 탄성변형하고 가동접점(21d)가 고정접점(22d)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70)는 베이스 하우징(10) 및 베이스 하우징(10) 상에 조립부착된 조작전자석(130)을 덮는 수용공간(미도시)이 내부에 형성된 거의 사각형부재이다. 케이스(70)는 절연성 수지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계전기(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동접촉편(21) 및 고정접촉편(22)을 고착한 베이스 하우징(10) 상에 아마츄어(60)를 조립부착한다. 조립부착시에는 아마츄어(60)에 취부된 작동편(64)을 베이스 하우징(10)의 절연벽(14g)과 거의 사각형 판부(11)과의 사이에 삽입하면서 일단측의 사각형상 축편(62a)을 요부(18b)에 삽입한다. 아마츄어(60)를 조립부착한 후, 평판상 계철(40) 및 스풀(50)의 조립체를 베이스 하우징(10) 상에 조립부착한다. 조립부착시에는 스풀(50)의 연출부측 안내요부(52d)를 베이스 하우징(10)의 레일(16a)에, 단자부측 안내요부(53a)를 레일(16b)에 각각 안내하고 코일단자(57)를 거의 사각형판부(11)의 한 쌍의 관통공(17)에 삽입하고 평판상 계철(40)의 돌출부(42a)를 베이스 하우징(10) 의 요부(16c)에 삽입한다. 그러면 베이스 하우징(10)의 돌기부(20)가 도 1 및 도 3에 나타나는 것처럼 스풀(50)의 요부(52c) 내의 전측에 위치하여 요부(52c)와 돌기부(20)에 의해 아마츄어(60)의 사각형상돌기(62b)의 배치가능한 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사각형상돌기(62b)가 상기 공간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아마츄어(60)는 사각형상축편(62a)이 요부(18b)에 그 축선상의 사각형상돌기(62b)가 스풀(50)에 형성된 요부(52c)와 베이스 하우징(10)의 돌기부(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지지됨으로써 사각형상축편(62a)와 사각형상돌기(62b)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아마츄어(60)는 복귀용수철을 겸하는 가동접촉편(21)의 탄성용수철편(21c)에서 작동편(64)의 돌기부(65)를 통해 탄력을 받아 여자코일(56)이 비여자 상태이므로 아마츄어(60)의 타단측수직부(63)가 평판상 계철(40)의 타방 각부(43)로부터 이반하고 있다. 평판상 계철(40) 및 스풀(50)의 조립체를 베이스 하우징(10) 상에 조립부착한 후, 케이스(70)를 그들의 상방부터 피복한다. 이렇게 하여 전자계전기(1)는 완성된다.
전자계전기(1)가 완성된 상태에 있어서는 아마츄어(60)는 사각형상축편(62a)가요부(18b)에 그 축선상의 사각형상 돌기(62b)가 스풀(50)에 셩성된 요부(52c)와 베이스하우징(10)의 돌부(20)에 의하여 구획된 공간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아마츄어(60)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사각형상 축편(62a) 및 사각형상 돌기(62b)의 이동을 규제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아마츄어(60)의 회동축이 안정되고 아마츄어(60)의 회동이 베이스 하우징(10)이나 케이스(70)의 치수오차나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아마츄어(60)를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하우징(10)에는 아마츄어(60)의 사각형상 축편(62a)을 수용하는 요부(18b)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 사각형상 축편(62a)을 수용하는 것은 반드시 요부일 필요는 없고 구멍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계되는 전자계전기에 의하면 베이스 하우징이 거의 C자형 평판상 계철의 일방 각부의 근방에 상방향으로 뻗는 돌기부를 갖고, 스풀이 스풀동체부에서 상기 일방의 각부측에 뻗음과 동시에적어도 상기 일방의 각부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부를 갖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방부에 계철 동체부의 연출방향과 평행으로 뻗는 요부를 형성하고, 아마츄어는 상기 회동축부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갖고 아마츄어의 돌기는 상기 스풀의 요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배치되므로, 아마츄어의 수평방향 및 수평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축편뿐만아니라 아마츄어의 상기 돌기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마츄어의 회동축이 안정되고 아마츄어의 회동이 베이스 하우징이나 게이스의 수치 오차나 변형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아마츄어을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다.

Claims (1)

  1. 수평방향으로 뻗는 동체부 및 해당 동체부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뻗는 각부를 갖는 거의 C자형 평판상 계철과, 상기 동체부에 취부되는 스풀동체부를 갖고 해당 스풀동체부의 주위에 여자코일을 감은 절연성 회전틀과, 상기 수평방향으로 뻗으면서 절연성 작동편이 설치된 수평부, 해당 수평부의 일단측에서 상기 각부 중 일방 각부의 연출방향으로 뻗는 회동축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단측에서 뻗어 상기 여자코일이 여자된 때에 상기 각부 중 타방의 각부에 접촉하는 수직부를 갖는 아마츄어와, 상기 계철의 양 각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아마츄어의 회동축부의 하단에 형성된 축편을 수용하는 요부 또는 구멍을 갖는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과, 해당 베이스 하우징에 취부되어 상기 작동편의 압압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가동접촉편 및 고정접촉편을 구비한 전자계전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일방의 각부의 근방에 상방향으로 뻗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회전틀은 상기 스풀동체부에서 상기 일방의 각부측에 뻗음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일방의 각부 상방에 위치하는 상방부를 갖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방부에 상기 각부의 연출방향과 평행으로 뻗는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아마츄어는 상기 회동축부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아마츄어의 돌기는 상기 회전틀의 요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돌기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계전기.
KR1020020056214A 2001-10-01 2002-09-16 전자계전기 KR100924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5620A JP3934376B2 (ja) 2001-10-01 2001-10-01 電磁継電器
JPJP-P-2001-00305620 2001-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367A true KR20030028367A (ko) 2003-04-08
KR100924878B1 KR100924878B1 (ko) 2009-11-02

Family

ID=1912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214A KR100924878B1 (ko) 2001-10-01 2002-09-16 전자계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71153B2 (ko)
EP (1) EP1298690B1 (ko)
JP (1) JP3934376B2 (ko)
KR (1) KR100924878B1 (ko)
CN (1) CN1276448C (ko)
DE (1) DE60208506T2 (ko)
ES (1) ES2254613T3 (ko)
TW (1) TW559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1252C (zh) * 2005-05-19 2008-01-09 厦门宏发电声有限公司 一种电磁继电器的线圈部件
US7548146B2 (en) * 2006-12-27 2009-06-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relay
JP5251616B2 (ja) * 2009-03-06 2013-07-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251615B2 (ja) 2009-03-06 2013-07-31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352429B2 (ja) * 2009-11-09 2013-11-2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磁継続器
CN202650990U (zh) * 2012-07-02 2013-01-02 宁波福特继电器有限公司 一种小型大功率磁保持继电器
JP2015153564A (ja) * 2014-02-13 2015-08-2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325278B2 (ja) * 2014-02-19 2018-05-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102014103247A1 (de) * 2014-03-11 2015-09-17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Elektromagnetisches Relais
CN105244230A (zh) * 2015-11-06 2016-01-13 浙江凡华电子有限公司 一种超薄型继电器
JP6664978B2 (ja) * 2016-01-29 2020-03-1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102018109864B4 (de) * 2018-04-24 2021-09-0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elai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2631A (ja) 1987-03-13 1989-12-06 Fuji Electric Co Ltd 電磁継電器
KR910005073B1 (ko) * 1988-01-26 1991-07-22 후지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전자계전기(電磁繼電器)
US5070315A (en) * 1989-05-26 1991-12-03 Om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relay
US5191306A (en) * 1990-09-14 1993-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iniature electromagnetic assembly and relay with the miniature electromagnet assembly
US6486760B2 (en) * 1998-12-07 2002-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relay
JP2001068003A (ja) * 1999-08-25 2001-03-16 Fuji Electric Co Ltd 電磁継電器
DE10209810B4 (de) * 2001-03-09 2006-11-16 Omron Corporation Rela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4376B2 (ja) 2007-06-20
EP1298690A1 (en) 2003-04-02
KR100924878B1 (ko) 2009-11-02
JP2003115247A (ja) 2003-04-18
DE60208506T2 (de) 2006-08-31
US20030062976A1 (en) 2003-04-03
CN1276448C (zh) 2006-09-20
US6771153B2 (en) 2004-08-03
ES2254613T3 (es) 2006-06-16
TW559849B (en) 2003-11-01
EP1298690B1 (en) 2006-01-04
CN1409342A (zh) 2003-04-09
DE60208506D1 (de)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8643B2 (ja) 電磁継電器
KR100924886B1 (ko) 전자계전기
JP4190379B2 (ja) 複合型電磁継電器
US7986204B2 (en) Relay with a contact arrangement consisting of contact springs
WO1995025336A1 (fr) Relais electromagnetique
JP2004164948A (ja) 電磁継電器
US20220293381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30028367A (ko) 전자계전기
JP3593774B2 (ja) 電磁継電器
JP2007048705A (ja) リレー
CN115083844A (zh) 电磁继电器
JP2002237241A (ja) 電磁継電器
US11538647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4470837B2 (ja) リレー
JP3551593B2 (ja) 電磁継電器
JP5323963B2 (ja) 電磁継電器
JP3959894B2 (ja) 電磁継電器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JP4424280B2 (ja) リレー
JP4158653B2 (ja) シーソー型接極子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リレー
JPH10255630A (ja) 電磁継電器
JP2023174278A (ja) スイッチ装置
JP4035957B2 (ja) 電磁継電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9189B2 (ja) 電磁継電器
KR200384749Y1 (ko) 정음형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