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402A -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402A
KR20030026402A KR1020010059206A KR20010059206A KR20030026402A KR 20030026402 A KR20030026402 A KR 20030026402A KR 1020010059206 A KR1020010059206 A KR 1020010059206A KR 20010059206 A KR20010059206 A KR 20010059206A KR 20030026402 A KR20030026402 A KR 2003002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doors
concave groov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찌하루노부
나까다가쯔미
가끼누마젠이찌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5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6402A/ko
Publication of KR2003002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문의 전후방향에의 움직임(덜컹거림)이 크면, 문과 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냉기가 누출 또는 외기가 침입하기 용이하다.
문(8, 9)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62b, 63b)와, 하부레일(10)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11, 12)을 구비하고, 돌출부는 오목홈 내부를 이동하능하게 되고,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돌출부의 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한 것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한다.

Description

저장고 {Storage Cabinet}
본 발명은 저장실의 개구를 미닫이식의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저온 진열장이나 냉장고 등의 저장고는, 예를 들면 도12 내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실(7)의 개구를 유리제의 2매의 미닫이식 문(108, 109)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그런데 관련 저장고의 저장실(7) 내에는 선반(103)이나 저장실(7)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104)등이 설치되어 있고, 선반(103)을 제거하거나 냉각기(104) 등의 유지보수를 할 때에는, 문을 일단 저온 진열장 본체로 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전면개구(15)의 상하에 설치된 상부레일(105) 또는 하부레일(110)로 부터 문을 제거할 때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05,110)과 문(108,109)의 사이에는 문을 경사시키기 위한 소정의 치수(도15의 A 치수 또는 B치수)가 필요하고, 이 치수가 큰 경우에는 문이 전후로 보다 크게 이동해 버리기 때문에, 소위 문의 덜컹거림이 커지게 되고, 문과 문 사이에 공간(간극)가 생긴다. 그래서, 종래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 수지등으로 된 연질부(168)를 설치하여 문 폐색시의 공간(간극)을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문의 덜컹거림이 크면, 그 공간(간극)으로부터 냉기가 누출하거나 외기가 침입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냉각성능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관련 종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이고, 문의 덜컹거림을 감소시켜서, 개구에 설치된 앞문과 뒷문 사이의 간극이 작게 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저장실 내의 냉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의 저장고는,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하부에 하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하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가능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이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적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저장고는, 제1항에 있어서, 문의 하부가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 더하여, 문의 하부는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므로, 문의 하부와 하부레일과의 간극이 없어져서,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3항의 저장고는, 제1항에 있어서, 오목홈은 저부보다 상부가 넓어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의 경사면을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 더하여, 오목부는 저부보다 위쪽이 넓어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이 오목홈의 경사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전후방의 문이 일정한 위치를 슬라이딩하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4항의 저장고는,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상부에 상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 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상부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하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이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적게되는 것과 동시에,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5항의 저장고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입출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내지 제4항에 더하여, 돌출부는 입출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이므로, 저온 진열장 본체로부터 일단 문을 제거하기 위하여 문을 경사시킬 때에 필요한 레일과 문 사이의 소정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적게되는 것과 동시에,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6항의 저장고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문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내지 제6항에 더하여, 돌출부는 문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것이므로, 문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7항의 저장고는,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하부에 하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 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전후방향 치수가 큰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의 상모서리부에 닿아서 접촉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의 상모서리부에 닿아 접촉하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이므로, 전후방의 문이 일정한 위치를 슬라이딩하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저장고의 실시예로서의 저온 진열장의 사시도.
도2는 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3은 도2의 요부 평단면도.
도4는 저온 진열장의 정면도.
도5의 (a)는 좌측문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5의 (b)는 우측문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6은 도3에 있어서 A-A선에서의 측단면도.
도7은 도6의 하부단면도.
도8은 문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9는 제2이 실시예의 하부단면도.
도10은 제3의 실시예의 하부단면도.
도11은 제4의 실시예이 하부단면도.
도12는 종래의 저온 진열장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13은 도12에 있어서 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14는 도13의 요부 평단면도.
도15는 도12의 진열장에 있어서 문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저온 진열장
5: 상부레일
7: 저장실
8: 우측문
9: 좌측문
10: 하부레일
11, 12, 13, 14: 오목홈
11a, 12a: 저면
11b, 12b: 전방벽
11c, 12c: 후방벽
13a, 14a: 천정면
13b, 14b: 전방벽
13c, 14c: 후방벽
31, 32: 오목홈
41, 44: 우측샤시
42, 43: 좌측샤시
45, 47: 상부샤시
46, 48: 하부샤시
46a, 48a: 전방 경사면
46b, 48b: 후방 경사면
46c, 48c: 정점부
51, 52: 오목홈
51d, 51e, 52d, 52e: 상부 가장자리부
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 돌출부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실시예와 기능적 또는 구성적으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저장고의 실시예로서의 저온 진열장의 사시도, 도2는 문을 닫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3은 도2의 요부 평단면도, 도4는 저온 진열장의 정면도, 도5의 (a)는 좌측 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5의 (b)는 우측 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3에 있어서 A-A 선에서의 측단면도, 도7은 도6의 하부단면도, 도8은 문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9는 제2의 실시예의 하부단면도, 도10은 제3의 실시예의 하부단면도, 도11은 제4의 실시예의 하부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저온 진열장(S)의 단열 상자체(1)는 전방으로 개구된 강판제 외부상자(2)와, 그 외부상자(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서 짜넣어진 전방으로 개구된 강판 혹은 경질수지제의 내부상자(3)와, 이들 외부상자(2)와 내부상자(3)로 둘러싸인 공간에 현장발포방식으로 충전된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된 단열재(6)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외부상자(2) 및 내부상자(3)의 개구 측가장자리에는 경질 합성수지제의 브레이커(4)가 설치되고, 또한 개구 상부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부 레일(5)과 하부레일(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상자(3) 내부에 저장실(7)이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저장실(7)의 전면 개구(15)는 상기 상부가장자리의 상부레일(5) 및 하부 가장자리의 하부 레일(10) 사이에 끼워진 두장의 미닫이식의 우측문(8)과 좌측문(9)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된다. 또한, 단열상자체(1)의 하방(저장실외)에는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기계실이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저장실(7) 내의 상부에는 상기 냉동사이클에 포함된, 도시하지 않은 냉각기와 냉각 팬이 설치되어, 저장실(7) 내부는 냉각되고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부 레일(10)의 상부에는 전후에 오목홈(11, 12)이 각각 상호 간격을 갖고, 길이방향(저온 진열장의 좌우방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저면(11a, 12a)과 전방벽(11b, 12b)과 후방벽(11c, 12c)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오목홈(11, 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11, 12)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후술하는 문 하부의 돌출부(61b, 62b 및 63b, 64b)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큰 치수이고, 후술하는 문의 하부의 두께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부 레일(5)의 하부에는 전후에 오목홈(13, 14)이 각각 상호 간격을 갖고, 길이방향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천정면(13a, 14a)과 전방벽(13b, 14b)과 후방벽(13c, 14c)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오목홈(13, 1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13, 14)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후술하는 문 상부의 돌출부(61a, 62a, 및 63a, 64a)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큰 치수이고, 후술하는 문의 상부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하고 있다.
다음으로, 우측문(8) 및 좌측문(9)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문(8)의 직사각형 형상의 투명 유리판(40)의 측연부에는 각각 우측샤시(41), 좌측샤시(42)가, 상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상부샤시(45) 하부샤시(46)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샤시(41)는 경질 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손잡이(41d)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샤시(42)는 경질 및 연질 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되고, 후방으로 돌출한 연질부(42b)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샤시(45, 46)는 경질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된다.
좌우 샤시(41, 42)에는 상하에 걸쳐서 각각 삽입공(41a, 42a)이 설치되고, 그 삽입공(41a, 42a)에 강재로 형성된 봉상의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봉상의 부재가 우측문(8)의 상하로 입출이 자유롭게 돌출하여 돌출부(61a, 61b, 62a, 62b)가 형성되어있다.
한편, 좌측문(9)의 직사각형 형상 투명유리판(40)의 측연부에는 각각 좌측 샤시(43), 우측샤시(44)가, 상하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상부샤시(47), 하부샤시(48)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샤시(43)는 경질 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되고, 손잡이(43d)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샤시(44)는 경질 및 연질 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서 성형되고, 전방으로 돌출한 연질부(44b)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샤시(47, 48)는 경질염화비닐의 일체압출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좌우 샤시(43, 44)에는 상하에 걸쳐서 각각 삽입공(43a, 44a)이 설치되고, 그 삽입공(43a, 44a)에 강재로 형성된 봉상의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봉상의 부재가 좌측문(9)의 상하로 입출이 자유롭게 돌출하여 돌출부(63a, 63b, 64a, 6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상기 우측문(8) 및 좌측문(9)이 상부레일(5) 및 하부레일(10)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에 의해서 전면의 개구(15)가 폐색된다.
즉, 하부레일(10) 및 상부 레일(5)에 설치된 오목홈(11, 13)에 우측문(8)의 돌출부(61a, 61b, 62a, 62b)가 걸려서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우측문(8)의 하부샤시(46)가 하부레일(10)의 상면을 슬라이딩한다. 마찬가지로, 하부레일(10) 및 상부레일(5)에 설치된 오목홈(12, 14)에 좌측문(9)의 돌출부(63a, 63b, 64a, 64b)가 걸려서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좌측문(9)의 하부샤시(48)가 하부레일(10)의 상면을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서, 미닫이식 우측문(8) 및 좌측문(9)은 저장실(7)의 전면개구 (15)를 자유롭게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측문(8)의 좌측샤시(4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연질부(42b)가 좌측문(9)의 전면과 닿아 접하고 있고, 또 좌측문(9)의 우측샤시(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연질부(44b)가 우측문(8)의 후면과 닿아 접하고 있다.
또한, 오목홈(11, 12)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봉상의 부재로부터 형성된 하부의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의 직경(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하였기 때문에, 우측문(8) 및 좌측문(9)은 전후방향으로 거의 덜컹거리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측문(8) 및 좌측문(9)의 전후의 위치관계가 대략 일정하게 된고, 문(8, 9)을 닫은 때에 연질부(42b, 44b)가 대체로 소정의 위치에서 각각의 문에 닿아서 접하게 된다. 따라서, 우측문(8)과 연질부(44b)의 사이 또는 좌측문(9)과 연질부(42b)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에 저장실(7) 내의 냉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냉각기등의 유지보수를 할 때나 선반을 제거할 때 등에는 문(8, 9)을 본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우측문(8), 좌측문(9)의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입출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문의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를 문의 샤시(41, 42, 43, 44) 내부에 눌러 넣으면서 우측문(8), 좌측문(9)의 상부를 전방으로 기울여서 제거하고, 냉각기 등의 유지보수나 선반을 제거하는 작업을 행한다. 그 후, 도8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문(8), 좌측문(9)의 상부를 후방으로 기울이면서,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를 문의 샤시(41, 42, 43, 44) 내부에 눌러 넣으면서,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를 상부레일(5) 및 하부레일(10)의 오목홈(11, 12, 13, 14)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61a, 61b, 62a, 62b, 63a, 63b, 64a, 64b)를 문의 샤시(41, 42, 43, 44) 내부에 눌러 넣으면서 우측문(8), 좌측문(9)의 상부를 전방으로 기울이면서 제거 및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부레일(5) 및 하부레일(10)의 오목홈(11, 12, 13, 14)의 앞벽(11b) 으로부터 뒷벽(11c)까지의 전후방향의 치수가, 문의 돌출부(61a)의 전후방향의 치수와 비교하여 조금 큰 치수이더라고 돌출부(61a)를 오목홈(11, 12, 13, 14)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문(8, 9)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감소하고, 우측문(8)과 좌측문(9)의 전후의 위치관계가 대략 일정하게 되고, 우측문(8)과 좌측문(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저장실(7) 내부의 냉기가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9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이 오목홈(11, 12)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문 하부의 돌출부(61b)의 직경(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큰 치수이고, 문의 하부의 두께 치수(도9의 C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하고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달리, 우측문(8) 또는 좌측문(9) 하부의 돌출부(61b)가 하부레일(10)의 오목홈(11, 12)의 저면(11a, 12a)을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우측문(8)과 좌측문(9)의 전후의 위치관계가 대략 일정하게 되고, 우측문(8)과 좌측문(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저장실(7) 내부의 냉기가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0은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략 수평한 저면(31a, 32a)과 전방상승의 전방벽(31b, 32b)과 전방하강의 후방벽(31c, 32c)에 의해서 둘러싸이고, 하부레일(10)의 오목홈(31, 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바닥보다 상부바닥이 큰 역사다리꼴 형상이다. 또한, 문의 돌출부(61b)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하부바닥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상부바닥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문의 돌출부(61b)는 오목홈(31, 32)의 경사진 전방벽(31b, 32b) 및 후방벽(31c, 32c)에 의해서 각각 지지되어, 문의 돌출부(61b)는 전후방향 대략 일정한 위치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서, 문(8, 9)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감소하고, 우측문(8)과 좌측문(9)의 전후의 위치관계가 대략 일정하게 되어, 우측문(8)과 좌측문(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저장실(7) 내부의 냉기가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홈(31, 32)의 전방벽(31b, 32b) 또는 후방벽(31c, 32c)의 어느 하나가 경사져 있고, 다른 하나가 대략 수직인 수직벽이라도, 문의 돌출부(61b)는 경사져 있는 벽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문의 돌출부(61b)는 전후방향에 대략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고, 전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이들 실시예를 저장실(7)의 상부 또는 하부의 어느 하나만에 실시한 경우에도 문(8, 9)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감소하고, 저장실(7) 내부의 냉기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1은 제4 실시예를 도시한다. 문(8, 9)의 하부샤시(76, 78)의 하부는 각각 후방하강의 경사면(76a, 78a)과 전방하강의 경사면(76b, 78b)을 갖고, 게다가, 이들 경사면이 교차하여 각각 정점부(76c, 78c)를 형성하고 있고, 하부레일(10) 위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76d, 78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좌측문(8) 하부의 전후의 경사면(76a, 76b)은 오목홈(51)의 상부 가장자리부(51d, 51e)에 각각 닿아서 접촉하고, 좌측문(9) 하부의 전후의 경사면(78a, 78b)은 오목홈(52)의 상부 가장자리부(52d, 52e)에 각각 닿아서 접촉하고 있으며, 정점부(76c, 78c)는 오목홈(51, 52)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딩부(76d, 78d)는 오목홈(51, 52)의 전후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므로, 문(8, 9)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감소하는 것과 동시에, 우측문(8)과 좌측문(9)의 전후의 위치관계가 대략 일정하게 되고, 우측문(8)과 좌측문(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저장실(7) 내부의 냉기가 누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61a, 61b)가 문의 길이방향(좌우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등한 것이면, 문(8, 9)과 상하부 레일(5, 10)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저장실(7) 내부의 냉기가 누출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저온 진열장(S)에 본 발명을 적용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또는 업무용 냉장고 등의 각종 저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유효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이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에의 덜컹거림이 적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 더하여, 문의 하부는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므로, 문의 하부와 하부레일과의 간극이 없어져서,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 더하여, 오목부는 저부보다 위쪽이 넓어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이 오목홈의 경사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이므로, 전후의 문이 일정한 위치를 슬라이딩하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의 간극을 최소으로 유지하고,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하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이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적게되는 것과 동시에,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내지 제4항에 더하여, 돌출부는 입출이 자유롭게 된 것이므로, 저온 진열장 본체로부터 일단 문을 제거하기 위하여 문을 경사시킬 때에 필요한 레일과 문 사이의 소정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위 문의 전후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이 적게되는 것과 동시에,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1항 내지 제5항에 더하여, 돌출부는 문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것이므로, 문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의 상부모서리부에 닿아 접촉하고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한 것이므로, 전후방의 문이 일정한 위치를 슬라이딩하게 되고, 전방문과 후방문 사이의 간극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그 간극으로부터의 냉기의 누출 또는 외기의 침입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하부에 하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하부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하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가능하도록 되어있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의 하부는 상기 하부레일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저부보다 상부가 넓어진 경사면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의 경사면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4.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상부에 상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 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상부에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상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홈 내부를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오목홈의 전후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출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조금 크게함과 동시에, 상기 문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입출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문의 폭과 대략 동등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7. 저장실의 전면개구 가장자리의 하부에 하부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개구를 복수 개의 미닫이식 문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여 이루어진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문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부레일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방향의 치수보다 전후방향 치수가 큰 복수의 오목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오목홈의 전후의 상모서리부에 닿아서 접촉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KR1020010059206A 2001-09-25 2001-09-25 저장고 KR20030026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206A KR20030026402A (ko) 2001-09-25 2001-09-25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206A KR20030026402A (ko) 2001-09-25 2001-09-25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02A true KR20030026402A (ko) 2003-04-03

Family

ID=3741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206A KR20030026402A (ko) 2001-09-25 2001-09-25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640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700A (ja) * 1992-11-04 1994-05-27 Sekisui Chem Co Ltd スライドドア構造
WO1996004451A1 (en) * 1993-05-07 1996-02-15 Primo Sverige Ab Guide rail of plastic in a window or door frame groove
KR19980015537U (ko) * 1996-09-10 1998-06-2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안내상부레일
JPH10238203A (ja) * 1997-02-26 1998-09-08 Eidai Co Ltd 戸の下部案内構造
JPH1162367A (ja) * 1997-08-21 1999-03-05 Misawa Homes Co Ltd 吊り戸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700A (ja) * 1992-11-04 1994-05-27 Sekisui Chem Co Ltd スライドドア構造
WO1996004451A1 (en) * 1993-05-07 1996-02-15 Primo Sverige Ab Guide rail of plastic in a window or door frame groove
KR19980015537U (ko) * 1996-09-10 1998-06-25 최진호 쇼케이스의 도어안내상부레일
JPH10238203A (ja) * 1997-02-26 1998-09-08 Eidai Co Ltd 戸の下部案内構造
JPH1162367A (ja) * 1997-08-21 1999-03-05 Misawa Homes Co Ltd 吊り戸の取付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0703B2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41544B2 (en) Refrigerator
JP2010203735A (ja) 冷蔵庫
JP5882808B2 (ja) 冷蔵庫
KR20030026402A (ko) 저장고
JP5991903B2 (ja) 冷蔵庫
JP3797850B2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KR101304814B1 (ko) 냉장고 도어의 전후방 단차 방지구조
JP2021183903A (ja) 冷蔵庫
JP2002090045A (ja) 貯蔵庫
JP2013057472A (ja) 冷蔵庫
JP3679625B2 (ja) 冷却貯蔵庫
JP2004020162A (ja) 冷蔵庫
JP3471205B2 (ja) 貯蔵庫
KR101803625B1 (ko) 냉장고
JP2005156133A (ja) 冷蔵庫
WO2023157216A1 (ja) 冷蔵庫
US20230039876A1 (en) Refrigerator
JP2017207257A (ja) 冷蔵庫および引き出し式の扉
JP7422310B2 (ja) 冷蔵庫
JP7142224B2 (ja) 冷蔵庫
JP7019023B2 (ja) 冷蔵庫
JPH08233453A (ja) 冷蔵庫の棚装置
KR101495097B1 (ko) 김치냉장고
JP5885934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