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152A -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152A
KR20030026152A KR1020010059412A KR20010059412A KR20030026152A KR 20030026152 A KR20030026152 A KR 20030026152A KR 1020010059412 A KR1020010059412 A KR 1020010059412A KR 20010059412 A KR20010059412 A KR 20010059412A KR 20030026152 A KR20030026152 A KR 2003002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ong
user
songs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057B1 (ko
Inventor
최성필
Original Assignee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0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저장된 곡들을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기기가 개시된다. 기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임의의 곡에 대하여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를 설정하면, 재생빈도가 설정된 그 곡을 포함한 복수의 곡이 재생될 때, 재생빈도 설정된 곡에 대하여 설정된 재생빈도로 재생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기기는 임의의 곡들이 그룹에 포함되도록 하는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내용에 따라 그룹명을 생성하며, 임의의 곡이 선곡되면, 그 선택곡이 생성된 그룹에 등록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기기는 그룹 및/또는 각 선택곡에 대하여 음색을 지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음색으로 각 곡이 재생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을 기기에 반영시킬 수 있게 되며, 보다 높은 만족도로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 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Digital audio device capable of reflection user's listening preference and method for programming the listening preference}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및 그 취향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MP3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오디오기기가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그러한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종전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서처럼 별도의 기록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곡을 인터넷으로부터 직접 다운 받아 재생할 수 있어 최신곡을 선호하는 젊은 층에게 대단히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이용되던 알고리즘은 대체적으로 기록매체에 기록된 곡들중 어느 한 곡에 대한 재생 반복 기능, 전곡의 재생 순서 섞기 기능, 그리고 전체 곡에 대하여 각각 초반부 재생 탐색 기능 등 전체 곡 또는 어느 한 곡을 대상으로 적용시키는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에서 사용자는 전체곡 중 일부곡들만 듣기 원하는 경우 리스트에서 자신이 원하는 곡을 매번 선택해 주어야 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있어서는, 저장된 전체곡들 중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곡만을 청취하기 위해서 매번 선곡을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주 소비층이면서 디지털 기기의 이용에 능숙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주 소비층인 젊은 층의 음악 청취 스타일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그들은 최신곡을 선호하며, 한 가수의 앨범에서도 타이틀 곡 또는 특정곡을 더 선호하여 한 곡 또는 몇몇 곡을 반복적으로 또는 더 자주 청취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이 점점 증대하면서, 보다 더 많은 곡을 기기에 기억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곡 수가 늘어남에 따라 원하는 곡을 빠른시간에 탐색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기분에 따라 어느 한 곡 또는 여러곡을 다양한 음색으로 청취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는데, 기존의 디지털기기에서는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는 있으나 재생시마다 음색을 새로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곡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빈도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 및 그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저장된 곡들에 대하여 보다 빠르게 탐색할 수 있으면서, 각 곡에 대하여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청취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및 그 그룹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에서 재생빈도 설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재생빈도 설정에 따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에서 곡들에 대한 그룹화 설정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그리고
도 5는 재생빈도 설정 및 그룹화 설정에 따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11 : 재생빈도설정부
12 : 그룹화설정부12-1 : 음색설정부
13 : 선곡부20 : 인터페이스
30 : 메모리40 : 디스플레이
50 : 재생부60 : 제어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사용자로부터 곡 재생빈도 설정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재생 가능한 곡들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생빈도 설정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를 전환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곡을 선곡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재생시 설정된 재생빈도로 상기 선택곡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택곡의 재생빈도가 설정되면, 재생곡 전체에 대한 상기 선택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곡이 재생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재생빈도 설정된 선택곡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생빈도가변불가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대비율에 관계없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재생빈도로 상기 선택곡이 재생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재생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재생빈도 설정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빈도 설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곡이 선곡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사용자가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제공하는단계; 및 제공된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 가 설정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설정된 재생빈도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가 설정되면 전체 재생빈도 설정된 곡들에 대한 상기 선택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 결과에 따른 재생빈도로 상기 선택곡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곡 재생시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 설정과 함께 재생빈도가변불가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곡의 전체곡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에 관계없이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그룹에 대한 재생시의 음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그룹의 음색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시의 음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선택곡의 음색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리스트의 각 곡은 복수의 그룹에 중복등록이 가능하다.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플레이 리스트 그룹화방법은, 재생 가능한 곡들에 대하여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로 분류하기 위한 그룹화 설정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곡들에 대한 그룹화 설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곡들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해주기 위한 설정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입력된 그룹명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명이 생성되면 재생 가능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서 임의의 곡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곡을 생성된 상기 그룹에 등록시키는 그룹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플레이 리스트 그룹화 방법은 상기 그룹에 대한 음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음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가능한 각 곡은 복수의 그룹에 중복 등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곡을 원하는 빈도로 청취할 수 있게 하며, 저장된 곡들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그룹화 할 수 있고, 원하는 음색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블록도이다.
디지털 오디오기기는 입력부(10),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디스플레이(40), 재생부(50), 그리고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입력부(10)는 재생빈도 설정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재생빈도설정입력부(11)와, 곡들의 그룹화 설정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그룹화설정입력부(12)와, 리스트로부터 곡을 선곡하기 위한 선곡입력부(13)가 마련되며, 기타 기기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복수의 키들이 마련된다. 여기서, 그룹화설정입력부(12)는 음색설정입력부(12-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0)는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메모리(3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오디오 데이터가 저장된다.
디스플레이(4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재생부(50)는 제어부(60)의 제어하에 메모리(30)에 저장된 곡이 재생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제어부(60)는 임의의 곡에 대하여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를 설정하면, 재생빈도가 설정된 곡을 포함한 복수의 곡이 재생될 때, 재생빈도 설정된 곡에 대하여 설정된 재생빈도로 재생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임의의 곡들이 그룹에 포함되도록 하는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입력한 내용에 따라 그룹명을 생성하며, 임의의 곡이 선곡되면, 그 선택곡이 생성된 그룹에 등록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그룹 및/또는 각 선택곡에 대하여 음색을 지정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음색으로 각 곡이 재생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재생빈도 설정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0)를 통해 재생빈도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S10), 제어부(60)에서는 시스템을 재생빈도 설정모드로 전환하고(S20), 메모리(30)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40)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리스트에서 임의의 곡을 선곡하면(S30), 제어부(60)에서는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를 설정해 줄 수 있는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제공한다(S40). 사용자가 설정도구를 통해 선택곡의 재생빈도를 설정하면, 제어부(60)는 선택곡에 대한 설정된 재생빈도를 기억한다(S5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재생빈도가 설정되면, 재생빈도 설정된 곡은 다른 곡들과 함께 재생이 될 때, 설정된 재생빈도로 재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A', 'B' 그리고 'C'라는 세 곡이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고, 각 곡의 재생빈도가 A와 B는 각각 20%로, C는 60%로 설정되었다고 하면, 제어부(60)는 A →C →B →C →C 의 순서를 갖는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여 그에 따른 재생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어느 곡에도 재생빈도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각 곡은 1/n이라는 재생빈도를 갖게 된다(n은 전체 곡의 수). 만일, 'A', 'B'가 각각 50%로 설정하면, 'C'는 자동으로 0%가 설정된다.
한편, 다수의 곡에 사용자가 재생빈도를 설정한 경우에 사용자는 각 곡에 대하여 설정한 재생빈도를 기억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60)는 선택곡에 대하여사용자가 임의의 재생빈도를 설정하면, 재생빈도 설정된 다른곡들과 현재 재생빈도 설정된 선택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한다(S60). 예를 들어, 'A', 'B' 그리고 'C'라는 세곡이 있다고 할 때, 사용자가 'A'는 40%, 'B'는 30%, 'C'는 20% 를 설정하였다고 하면, 각 곡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재생빈도가 계산이 된다.
위와 같은 식에 의해 각 곡은 대략 'A'는 44%, 'B'는 33% 그리고 'C'는 22%의 빈도로 계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 곡의 빈도가 계산되었을 때, 메모리(30)에 곡이 하나 추가되었다고 하면, 그 추가된 곡은 1/n의 재생빈도 값을 가지므로, 위 수학식을 통해 실제 재생빈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가곡에 대하여 재생빈도가 사용자에 의해 특정 값으로 설정되면,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에 의해 특정 값에 따른 실제 재생빈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D' 그리고 'E'라는 다섯곡이 각각 A: 20%, B: 30%, C: 20%, D: 10%, E: 20%라고 재생빈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F'라는 곡이 메모리에 추가되면, 'F'는 1/6의 재생빈도를 초기에 가지므로, 16.7%의 재생빈도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A, B, C, D, E, F 각 곡들은 다음과 같이 서로 상대적인 재생빈도가 계산이 된다.
A: 17.1%., B: 25.7%, C: 17.1%, D: 8.6%, E: 17.1%, F: 14.3%
한편, 위와 같이 곡 추가에 따른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또 다르게 재생빈도를 구하는 방법으로는 추가곡에 대해서 기본적인 재생빈도 16.7%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저장된 다른 곡들에 대하여 재생빈도를 상대적으로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 곡이 갖는 재생빈도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으로 구할 수 있다.
{ Rx: 각 곡의 실제 재생빈도
AS: 추가곡의 기본 재생빈도
Tall: 곡 전체의 설정 재생빈도의 합
ES: 각 곡의 이전 재생빈도 }
즉, 위와 같은 수학식을 통해 하나의 곡이 추가되었을 때, 추가된 곡에 따른 각 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 16.7%, B: 25% C: 16.7%, D: 8.3%, E: 16.7%, F: 16.7%
위와 같은 수학식 1 및 2는 메모리(30)에 저장된 곡이 삭제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각 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수학식 1 및 2는 선택사항이며, 두 식중 어느하나를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적용하여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구하게 된다. 도 3은 재생빈도가 설정된 곡들의 리스트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여기서 화면표시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재생빈도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60)에서 계산한 상대적인 재생빈도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제어부(60)에서 제공한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통해 재생빈도가변불가를 지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빈도가변불가가 설정되면(S71), 제어부(60)에서는 선택곡에 대해서 다른 곡들의 재생빈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설정한 재생빈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72). 이때, 재생빈도가변불가가 설정된 곡 외의 곡들은 보다 큰 가변폭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위의 'A', 'B', 'C', 'D', 'E', 'F' 곡이 메모리(30)에 저장된 경우에 'A'가 20%로 재생빈도가 설정되어 재생빈도가변불가로 지정되어 있다면(S70), 각 곡은 다음식을 통해서 상대적인 재생빈도가 결정된다.
{ Rx: 각 곡의 실제 재생빈도
NS: 재생빈도가변불가곡의 설정 재생빈도
Tall: 곡 전체의 설정 재생빈도의 합
ES: 각 곡의 설정 재생빈도 }
이에 따라, 각 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는, 수학식 1이 적용된 경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 20%, B: 24.8%, C: 16.5%, D: 8.2%, E: 16.5, F: 13.8
한편, 수학식 2가 적용된 경우에는 'A'와 'F'가 각각 가변불가이므로 두 곡의 재생빈도를 제외한 나머지 네 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의 값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선택곡의 재생빈도를 설정해 주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자주 또는 가끔씩 듣기 원하는 곡에 대하여 자신의 취향대로 청취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한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그룹화 설정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910)를 통해 그룹화 설정 명령이 입력되면(S110), 제어부는 메모리(30)에 저장된 각 곡들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해주기 위한 모드로 시스템을 전환한다(S120). 그리고 각 곡들에 대한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그룹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제공한다(S130). 이후, 사용자가 설정도구를 이용하여 그룹명을 작성하면(S141), 제어부(60)는 그에 따른 그룹을 생성하고(S142), 메모리에 저장된 전곡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40)에 표시한다(S150). 이렇게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임의의 곡을 선곡하면(S161), 제어부(60)는 선택곡을 생성된 그룹에 등록시켜 기억한다(S163). 이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곡에 대하여모두 생성된 그룹에 등록시킨다(S170).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부(10)를 통해 또 다른 그룹을 생성하기 원하면(S180), 제어부(60)는 이전과 같이 그룹명을 작성하도록 설정도구를 다시 제공하게 된다(S130).
여기서, 제어부(60)는 사용자가 그룹설정도구를 통해 그룹명을 작성하면(S142), 그룹의 음색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그룹음색지정 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제공한다(S143). 그리고 사용자가 그룹의 음색을 지정하면(S143-1) 그 그룹에 대한 음색을 기억한다(S143-2).
또한, 제어부(60)는 그룹에 등록될 곡이 선곡되면, 선택곡의 음색을 지정할 수 있도록 선택곡 음색지정설정도구를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S162).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곡에 대하여 음색을 지정하면(S162-1), 선택곡에 대한 음색을 기억한다(S162-2).
여기서, 각 곡은 하나의 곡이 한 그룹에만 포함되는게 아니라, 복수의 그룹에 중복 등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한 곡이 여러그룹에 속하도록 하고, 각 그룹에 따라 음색을 다르게 지정해주면, 한 곡을 청취자의 스타일에 맞게 다양한 음색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재생빈도 설정 및 그룹화 설정이 반영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면에는 전체 곡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고 있으며, 하단부에 아침, 점심, 저녁, 바쁠때라는 그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쁠때라는 그룹에는 1, 3, 4, 8번의 곡이 등록되어 있으며, 바쁠때 그룹에 속한 각 곡의 재생빈도 및 각 곡의 음색이 표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곡에 대한 재생빈도 설정 및 그룹화 설정을 통해 자신의 취향을 기기에 더 많이 반영시킬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른 재생에 의해 음악 청취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곡 재생빈도 설정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의 동작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재생 가능한 곡들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재생빈도 설정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를 전환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곡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재생시 설정된 재생빈도로 상기 선택곡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택곡의 재생빈도가 설정되면, 재생곡 전체에 대한 상기 선택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하고, 그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곡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곡에 대해서는 설정된 재생빈도로 재생하며, 상기 선택곡을 제외한 나머지 재생곡들 각각에 대해서는 재생빈도가 상대적으로 조정되어 재생되도록 하려는 경우를 위하여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재생빈도 설정된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가변불가를 더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4. 사용자로부터 재생빈도 설정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재생빈도 설정 모드로 전환 및 저장된 곡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곡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사용자가 재생빈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재생빈도 설정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 가 설정되면,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설정된 재생빈도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선택곡에 대한 재생빈도가 설정되면, 전체 재생곡 각각의 재생빈도에 대한 상기 선택곡의 상대적인 재생빈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 결과에 따른 상대적인 재생빈도로 상기 선택곡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재생빈도 설정된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빈도가변불가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곡이 설정된 재생빈도로 재생되며, 상기 선택곡을 제외한 나머지 재생곡들 각각의 재생빈도가 상대적으로 조정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7. 사용자로부터 재생 가능한 곡들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관련 명령 및 기기의 동작 관련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재생 가능한 곡들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부를 통해 그룹화 설정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곡들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해주기 위한 모드로 전환하며, 사용자에게 그룹을 설정해주기 위한 설정도구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그룹명을 작성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곡들에 대한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임의의 곡을 선곡하면, 상기 선택곡이 생성된 상기 그룹에 등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생성된 상기 그룹에 대한 재생시의 음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의 음색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9. 제 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재생시의 음색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곡의 음색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리스트 된 각 곡은 복수의 그룹에 중복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
  11. 재생 가능한 곡들에 대하여 복수의 플레이 리스트로 분류하기 위한 그룹화 설정 관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곡들에 대한 그룹화 설정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상기 곡들에 대하여 그룹을 설정해주기 위한 설정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설정도구를 통해 입력된 그룹명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그룹명이 생성되면 재생 가능한 곡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서 임의의 곡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곡을 생성된 상기 그룹에 등록시키는 그룹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그룹의 음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곡에 대하여 음색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된 각 곡은 복수의 그룹에 중복 등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사용자 취향 설정방법.
KR10-2001-0059412A 2001-09-25 2001-09-25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KR10042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12A KR100420057B1 (ko) 2001-09-25 2001-09-25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12A KR100420057B1 (ko) 2001-09-25 2001-09-25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52A true KR20030026152A (ko) 2003-03-31
KR100420057B1 KR100420057B1 (ko) 2004-02-25

Family

ID=2772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12A KR100420057B1 (ko) 2001-09-25 2001-09-25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81B1 (ko) * 2004-07-27 2006-07-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에서 오디오 파일 랜덤 재생 장치및 방법
KR100850774B1 (ko) * 2006-11-13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3201A (ja) * 1995-01-26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再生装置
KR970071669A (ko) * 1996-04-30 1997-11-07 배순훈 비디오 씨디 시스템의 반복 재생 방법
KR19980079020A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광 디스크 체인저의 예약 재생 방법
KR20000041480A (ko) * 1998-12-22 2000-07-15 전주범 비디오 씨디 시스템의 반복 재생 방법
KR100745262B1 (ko) * 2000-03-23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오디오 데이터 기록 관리방법
KR100383194B1 (ko) * 2000-09-19 2003-05-12 주식회사 레인콤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81B1 (ko) * 2004-07-27 2006-07-2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에서 오디오 파일 랜덤 재생 장치및 방법
KR100850774B1 (ko) * 2006-11-13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057B1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4615B2 (ja)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899830B2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usic reproducing program for the apparatus
JP3879545B2 (ja) 楽曲再生制御装置、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WO2006075432A1 (ja) 音楽再生装置、方法、記録媒体、および集積回路
JP4316432B2 (ja) 楽曲再生装置および楽曲再生方法
US20070130545A1 (en)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program
KR100420057B1 (ko) 사용자의 청취 취향을 반영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기기및 그 청취 취향 설정 방법
JP4211709B2 (ja) 自動演奏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85285A (ja)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JP3988795B2 (ja) 楽曲再生制御装置及び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3577958B2 (ja) 楽曲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852427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071403B2 (en) Method of enabling MIDI functions in a portable device
US20070089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media files
JP3744477B2 (ja) 演奏データ再生装置及び演奏データ再生プログラム
JP3778781B2 (ja) 信号記録再生装置
JPH086929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514004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적 재생 방법
JP2007122830A (ja) 楽曲再生装置と楽曲再生装置用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楽曲再生方法
JP4263151B2 (ja) 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方法
JP2702809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13195A (ja) カラオケ装置
JP2005148648A (ja) 電子音楽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053048A (ja) 情報処理装置、撮影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7273083A (ja) 楽曲再生制御装置及び楽曲再生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