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828A -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828A
KR20030025828A KR1020020056756A KR20020056756A KR20030025828A KR 20030025828 A KR20030025828 A KR 20030025828A KR 1020020056756 A KR1020020056756 A KR 1020020056756A KR 20020056756 A KR20020056756 A KR 20020056756A KR 20030025828 A KR20030025828 A KR 20030025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ocal length
image
refractive powe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243B1 (ko
Inventor
나리마츠슈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6Projecting separately subsidiary matter simultaneously with main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한정된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여러 가지 수차가 저감된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투사 렌즈는, 스크린측으로부터 상면측(像面側)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1장의 부(負)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1 렌즈(1)와, 1장의 정(正)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2 렌즈(20)와, 부의 굴절력의 제 1 요소 렌즈(31)와 정의 굴절력의 제 2 요소 렌즈(32)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30)와, 1장의 정의 굴절력으로 이루어지는 제 4 렌즈(40)의 실질적으로 5장의 렌즈로 이루어져, 상면측으로 향하여 대략 텔레센트릭(telecentric)으로 형성되며,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면과 제 2 요소 렌즈(32)의 상면측의 면(33)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PROJECTION LENS AND PROJECTOR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이나 슬라이드, 또는 액정 표시기 등에 표시된 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에 바람직한 투사 렌즈와 이 투사 렌즈를 구비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저비용의 LCD 프로젝터용 렌즈를 고려하는 경우에, 밝은 것, 소형이고 경량인 것, 고해상도 화상이 얻어지는 것, 왜곡이 작은 것, 배율 색 수차가 작은 것, 텔레센트릭(telecentric)인 것, 백 포커스(back focus)가 긴 것, 짧은 투사 거리를 갖는 것, 저비용인 것 등이 요구된다.
한편, 필름이나 슬라이드, 또는 액정 표시기 등에 표시된 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영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는, 투영용의 광학계로서 텔레센트릭 타입의 줌 렌즈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줌 렌즈에서는 저비용인 것 등의 요건을 만족하기가 어렵다.
또한, 다수의 렌즈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고해상도 화상이 얻어지는 것, 왜곡이 작은 것, 배율 색 수차가 작은 것 등의 요건을 만족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매수를 많게 한 경우에, 단파장측의 투과율이 렌즈의 유리재의 내부 흡수에 의해 저감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파장측의 내부 흡수가 적은 납 함유 유리를 이용하여 밝기를 확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고비용을 초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소하여, 적은 매수의 렌즈로부터 구성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여러 가지 수차가 저감된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사 렌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렌즈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좌측이 스크린측을 나타내고 우측이 상면측(像面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투사 렌즈의 렌즈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OBJ는 면번호를 나타내고, RDY는 곡률 반경(단위 mm)을 나타내며, THI는 다음 면과의 사이의 렌즈 두께 또는 공기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투사 렌즈의 수차도로서, (a)는 구면 수차를, (b)는 비점 수차를, (c)는 왜곡 수차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투사 렌즈의 횡수차도로서, (a)는 상고비(像高比) 1.00에 있어서의 수차를, (b)는 상고비 0.80에 있어서의 수차를, (c)는 상고비 0.60에 있어서의 수차를, (d)는 상고비 0.40에 있어서의 수차를, (e)는 상고비 0.00에 있어서의 수차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면으로부터 출사되는 주 광선이 광축과 교차하는 위치인 조리개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광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투사 렌즈10 : 제 1 렌즈
11 : 면(비구면)20 : 제 2 렌즈
30 : 제 3 렌즈31 : 제 31 렌즈
32 : 제 32 렌즈40 : 제 4 렌즈
42 : 면(비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투사 렌즈는, 스크린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1장의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1 렌즈와, 1장의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2 렌즈와, 부의 굴절력의 제 1 요소 렌즈와 정의 굴절력의 제 2 요소 렌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와, 1장의 정의 굴절력으로 이루어지는 제 4 렌즈와의 실질적으로 5장의 렌즈로 이루어져, 상면측으로 향하여 대략 텔레센트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과 상기 제 2 요소 렌즈의 상면측의 면이 비구면으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면과 제 2 요소 렌즈의 상면측의 면(33)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 등의 여러 가지 수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를 f1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를 f2-4로 했을 때에, 상기 f1과 상기 f2-4는 서로 반대 부호를 가지며, 0.7<|f1/f2-4|<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렌즈에 의해서 광각 범위의 광선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렌즈계 전체의 초점 거리 f에 대하여 백 포커스 거리(back focal distance)를 크게 잡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를 f2로 하고, 상기 제 4 렌즈의 초점 거리를 f4로 했을 때에, 0.8<f2/f4<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의 스크린측의 면의 곡률 반경은 상점측(像点側)의 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 4 렌즈의 스크린측의 면의 곡률 반경은 상점측의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렌즈와 제 4 렌즈 사이에서 여러 가지 수차를 서로 보상하는 관계로 하여, 제 2 렌즈와 제 4 렌즈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왜곡 수차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비구면으로 형성한 상기 면의 형상을 다음 비구면식
로 나타내고, 계수 A, B, C, D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전체의 초점 거리를 f로 했을 때, R은 0.5<R/f<1.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의 비구면의 형상을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의 여러 가지 수차의 크기를 커지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은, 유리재로 이루어지는 구면상에 UV 경화 수지의 박막을 형성하고, 이 박막의 외측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을 간단하게 비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을 투영하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투사 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화상 품질이 높은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사 렌즈의 렌즈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투사 렌즈(2)는 스크린측(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부터 상면측(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1장의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1 렌즈(10)와, 1장의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2 렌즈(20)와, 부의 굴절력의 제 1 요소 렌즈(31)와 정의 굴절력의 제 2 요소 렌즈(32)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30)와, 1장의 정의 굴절력으로 이루어지는 제 4 렌즈(40)의 5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투사 렌즈(2)는 상면측으로 향하여 대략 텔레센트릭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등에 있어서의 우측을 물점측(物点側)으로 하는 대신에 상면측으로 지칭한 것은, 이 상면측에서, 필름이나 슬라이드, 또는 액정 표시기 등에 표시된 상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사 렌즈(2)를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 3개의 액정 표시기를 이용한 프로젝터에 채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 4 렌즈(40)의 상면측에는 해당 3개의 액정 표시기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을 합성하는 합성 프리즘(7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이들 3 개의 액정 표시기가 투사 렌즈(2)의 상면(像面)의 위치 부근에 배치되게 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렌즈(10)에 의해서 광각 범위의 광선을 모으고, 제 2 렌즈(20)에 의해서 광선의 수속(收束)을 도모하여 제 3 렌즈(30)로 보내고, 제 3 렌즈(30)로 색 수차의 저감을 도모하고, 제 4 렌즈(40)로 광선의 수속을 도모한다.
투사 렌즈(2)에서는,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면(11)과 제 2 요소 렌즈(32)의 상면측의 면(33)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면(11)과 면(33)을 비구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색 수차 이외의 여러 가지 수차, 즉,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 등의 여러 가지 수차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3.0%의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 등의 여러 가지 수차를 약 1.5%로 저감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면(11)과 면(33)을 비구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망하는 여러 가지 수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투사 렌즈(2)에서는, 제 1 렌즈(10)의 초점 거리를 f1로 하고,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제 4 렌즈(40)의 합성 초점 거리를 f2-4로 했을 때, f1과 f2-4는 서로 반대 부호를 갖고, 0.7<|f1/f2-4|<1.0의 관계를 만족한다. 0.7<|f1/f2-4|<1.0의 관계는, 제 1 렌즈(10)에 의한 발산력과,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제 4 렌즈(40)에 의한 수속력(收束力)이 거의 같은 정도의 크기인 것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렌즈(10)에 의해서 광각 범위의 광선을 모으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렌즈계 전체의 초점 거리 f에 대하여 백 포커스 거리를 크게 잡아 상점측에 프리즘 등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f1/f2-4|가 1.0 이상인 때에는, 렌즈계 전체의 초점 거리 f에 대하여 백 포커스의 거리를 크게 잡을 수 없으며, 필요한 크기의 백 포커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체가 커져 소형으로 구성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f1/f2-4|가 0.7 이하인 때에는, 백 포커스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지만, 제 1 렌즈(10)의 파워가 커져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 등의여러 가지 수차가 커져 버린다.
또한, 투사 렌즈(2)에서는, 제 2 렌즈(20)의 초점 거리를 f2로 하고, 제 4 렌즈(40)의 초점 거리를 f4로 했을 때에, 0.8<f2/f4<1.2의 관계를 만족한다. 제 2 렌즈(20)의 스크린측의 면(21)의 곡률 반경 R21은 상점측의 면(22)의 곡률 반경 R22보다 작고, 제 4 렌즈(40)의 스크린측의 면(41)의 곡률 반경 R41은 상점측의 면(42)의 곡률 반경 R42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곡률 반경이 작은 면(21)과 면(42)은 서로 외측으로 향하도록 쌍을 형성하며, 곡률 반경이 큰 면(22)과 면(41)은 서로 내측으로 향하도록 쌍을 형성하고 있다.
0.8<f2/f4<1.2의 관계는, 제 2 렌즈(20)의 초점 거리와 제 4 렌즈(40)의 초점 거리가 거의 같은 것을 의미한다. 0.8<f2/f4<1.2의 관계에 의해서, 제 2 렌즈(20)와 제 4 렌즈(40) 사이에서 여러 가지 수차를 서로 보상하도록 하고, 제 2 렌즈(20)와 제 4 렌즈(40)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왜곡 수차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비구면으로 형성한 면(11)의 형상을 다음 비구면식
로 나타내고, 계수 A, B, C, D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전체 초점 거리를 f로 했을 때, R은 0.5<R/f<1.0을 만족한다. 여기서, R은 정성적으로는 면(11)의중심 근방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0.5<R/f<1.0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면(11)의 비구면의 형상을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의 여러 가지 수차의 크기를 커지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R/f가 0.5 이하인 경우에는, R이 너무 작고 광각성이 너무 강해서 왜곡 수차 등의 여러 가지 수차가 커진다. 또한, R/f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R이 크고 제 1 렌즈(10)의 파워가 작게 되어 투사 렌즈(2) 전체가 크게 구성되어 버린다. R이 상술한 관계식을 만족함에 따라, 왜곡 수차 등의 여러 가지 수차를 저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의 투사 렌즈(2)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 투사 렌즈(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투사 렌즈(2)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투사 렌즈(2)의 렌즈 데이터를 도 2에 나타낸다. 또, OBJ는 면번호를 나타내어 스크린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각 렌즈의 면에 부여한 번호이며, RDY는 곡률 반경(단위 mm)을 나타내고, THI는 다음 면과의 사이의 렌즈 두께 또는 공기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단위 mm). GLA는 렌즈 재료의 d 선굴절율과 아베(Abbe)수를 나타내며, 예컨대 GLA가 1.48749_70.4는 렌즈 재료의 d 선굴절율이 1.48749이며 아베수가 70.4인 것을 나타낸다.
투사 렌즈(2)의 수차도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또, 도 3에 있어서 (a)는 구면 수차를, (b)은 비점 수차를, (c)은 왜곡 수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중 (b)의 비점 수차 도면에 있어서의 부호 S, T는, 각각 구결면(sagittal plane), 자오면(tangential plane)에 대한 수차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횡수차도이며, 도면 중 (a),(b),(c),(d),(e)는 각각 상고비(1.00), (0.80), (0.60), (0.40), 및(0.00)에 있어서의 수차를 나타낸다.
제 1 렌즈(10)의 비구면(11)의 형상은, 전술한 비구면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도 2에 있어서, 계수 R은 NO2의 면을 나타내는 란에서 나타내어지는 곡률 반경(RDY)으로 주어지고, 계수 K, A, B, C, D는 NO2의 면을 나타내는 란에 나타내는 값이다.
제 3 렌즈(30)의 비구면(33)의 형상은, 마찬가지로 상기 비구면식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도 2에 있어서, 계수 R은 NO7의 면을 나타내는 란에서 나타내어지는 곡률 반경(RDY)으로 주어지며, 계수 K, A, B, C, D는 NO7의 면을 나타내는 란에 나타내는 값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투사 렌즈(2) 전체의 초점 거리 f=16.62mm 이며, 제 1 렌즈(10)의 초점 거리 f1=-26.24mm 이며, 제 2 렌즈(20)의 초점 거리 f2=26.48mm 이며, 제 3 렌즈(30)의 초점 거리 f3=-57.64mm 이며, 제 4 렌즈(40)의 초점 거리 f4=24.70mm 이다.
또한,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제 4 렌즈(40)의 합성 초점 거리 f2-4=31.53mm 이며, f1/f2-4=-0.828이며, 0.7<|f1/f2-4|<1.0의 관계가 만족되고 있다.
또한, f2/f4= 1.072이며, 0.8<f2/f4<1.2의 관계가 만족되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비구면으로 형성한 면(11)의 형상에 대하여, 계수 K, A, B, C, D를 NO2의 면을 나타내는 란에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했을 때에, R/f=0.7154이며, 0.5<R/f<1.0의 관계가 만족되고 있다.
또,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면(11)을 비구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유리면 자체를 비구면으로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유리면을 구면으로 가공하고 그 구면 상에 예컨대 두께 50㎛ 정도로 UV 경화 수지의 박막을 형성하여 이 박막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면(11)을 비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렌즈(10)는 실질적으로 1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투사 렌즈(2)는, 제 1 렌즈(10)와, 제 2 렌즈(20)와, 제 1 요소 렌즈(31)와 제 2 요소 렌즈(32)로 이루어지는 제 3 렌즈(30)와, 제 4 렌즈(40)의 실질적으로 5장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5장의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투사 렌즈(2)를 밝고, 소형이며 경량으로 할 수 있어, 저비용의 LCD 프로젝터용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사 렌즈(2)에서는, 제 1 렌즈(10)의 상면측의 면(11)과 제 2 요소 렌즈(32)의 상면측의 면(33)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색 수차 이외의 여러 가지 수차, 즉 왜곡 수차나 코마 수차나 비점 수차를 저감할 수 있어, 고해상도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사 렌즈(2)에서는, 제 3 렌즈를 제 1 요소 렌즈(31)와 제 2 요소 렌즈(32)의 2장의 합성 렌즈로 하는 것에 의해 색 수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0.7<|f1/f2-4|<1.0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긴 백 포커스를 가지며 짧은 투사 거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및 제 4 렌즈(40)를 1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지만, 여기서 1장의 렌즈는 실질적으로 1장인 것을 나타내며, 박막을 표면에 가공 부착시킨 경우도 실질적으로는 1장의 렌즈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투사 렌즈는, 모두,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한 프로젝터에 있어서, 해당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을 투영하는 투사 렌즈로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형성 수단의 예로서는, 액정 표시기나 화소가 마이크로 미러에 의해서 구성된 장치와 같은 광 변조 장치 및 필름이나 슬라이드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투사 렌즈를 프로젝터에 채용하면, 화상 품질이 높은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적은 매수의 렌즈로 구성된 간단한 구성으로 양호하게 여러 가지 수차가 저감된 투사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스크린측으로부터 상면측(像面側)으로 향하여 순서대로 배치된 1장의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1 렌즈와, 1장의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제 2 렌즈와, 부의 굴절력의 제 1 요소 렌즈와 정의 굴절력의 제 2 요소 렌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 3 렌즈와, 1장의 정의 굴절력으로 이루어지는 제 4 렌즈의 실질적으로 5장의 렌즈로 이루어지며,
    상면측으로 향하여 대략 텔레센트릭(telecentric)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과 상기 제 2 요소 렌즈의 상면측의 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를 f1로 하고,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를 f2-4로 했을 때에, 상기 f1과 상기 f2-4는 서로 반대 부호를 가지며,
    0.7<|f1/f2-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를 f2로 하고, 상기 제 4 렌즈의 초점 거리를 f4로 했을 때에,
    0.8<f2/f4<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스크린측의 면의 곡률 반경은 상점측(像点側)의 면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 4 렌즈의 스크린측의 면의 곡률 반경은 상점측의 면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비구면으로 형성한 상기 면의 형상을 다음 비구면식
    로 나타내고, 계수 A, B, C, D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전체의 초점 거리를 f로 했을 때에,
    R은,
    0.5<R/f<1.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상면측의 면은, 유리재로 이루어지는 구면상에 UV 경화 수지의 박막을 형성하고, 이 박막의 외측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 거리 f1=-26mm 이며, 상기 제 2 렌즈, 상기 제 3 렌즈 및 상기 제 4 렌즈의 합성 초점 거리 f2-4=32mm 이며, f1/f2-4=-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초점 거리 f2=27mm 이며, 상기 제 4 렌즈의 초점 거리 f4=25mm 이며, f2/f4=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 렌즈.
  9.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서 형성된 화상을 투영하는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사 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02-0056756A 2001-09-21 2002-09-18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 KR100473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9266A JP2003098431A (ja) 2001-09-21 2001-09-21 投射レンズ
JPJP-P-2001-00289266 2001-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828A true KR20030025828A (ko) 2003-03-29
KR100473243B1 KR100473243B1 (ko) 2005-03-08

Family

ID=1911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56A KR100473243B1 (ko) 2001-09-21 2002-09-18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12474B2 (ko)
JP (1) JP2003098431A (ko)
KR (1) KR100473243B1 (ko)
CN (1) CN1410795A (ko)
TW (1) TWI22645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64B1 (ko) * 2014-09-23 2015-04-08 주식회사 세코닉스 필드렌즈를 사용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WO2018056547A1 (ko) * 2016-09-26 2018-03-29 주식회사 세코닉스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렌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383B1 (ko) * 2003-11-05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의 초 광각 줌 렌즈
CN101581823B (zh) * 2008-05-13 2011-03-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投影机镜头
JP5480089B2 (ja) 2010-09-29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用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CN102608735B (zh) * 2011-01-19 2014-01-08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变焦投影镜头
CN103091937B (zh) * 2012-10-11 2015-09-16 中山市众盈光学有限公司 投影镜头
TWI477813B (zh) * 2014-02-21 2015-03-21 Qisda Corp 投影鏡頭及相關投影裝置
KR101509462B1 (ko) 2014-08-29 2015-04-08 주식회사 세코닉스 프로젝터의 투사 렌즈 유닛
CN105892005A (zh) * 2015-01-26 2016-08-24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投影镜头
US10795137B2 (en) 2016-03-31 2020-10-06 Young Optics Inc. Image-space telecentric lens
US10185129B2 (en) 2017-03-22 2019-01-22 Young Optics Inc. Optical le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9856A (ja) * 1995-11-10 1997-07-22 Asahi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
JPH09318876A (ja) * 1996-03-22 1997-12-12 Nikon Corp 投射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投射装置
US6285509B1 (en) * 1997-12-25 2001-09-04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809270B2 (ja) * 1998-02-09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対物レンズ
US6236521B1 (en) * 1998-02-09 2001-05-22 Canon Kabushiki Kaisha Objective lens and image pickup device using the same
JP2000075202A (ja) * 1998-09-01 2000-03-14 Canon Inc 投射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投射装置
JP2000258687A (ja) * 1999-03-11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映像拡大投写システム、ビデオプロジェクー、リアプロジェクター、マルチビジョンシステム
JP4338827B2 (ja) * 1999-06-17 2009-10-07 フジ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4616966B2 (ja) * 2000-04-27 2011-01-19 日東光学株式会社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464B1 (ko) * 2014-09-23 2015-04-08 주식회사 세코닉스 필드렌즈를 사용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WO2018056547A1 (ko) * 2016-09-26 2018-03-29 주식회사 세코닉스 헤드업 디스플레이용 렌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12474B2 (en) 2004-03-30
CN1410795A (zh) 2003-04-16
JP2003098431A (ja) 2003-04-03
KR100473243B1 (ko) 2005-03-08
US20030058409A1 (en) 2003-03-27
TWI226452B (en) 200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258B1 (ko) 프로젝션 줌 렌즈
JP5042708B2 (ja) 投写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4855024B2 (ja) 2群ズーム投影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5468966B2 (ja) 投写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EP1455212A1 (en) Projector lens system
JP3573575B2 (ja) 光学系
JP5254146B2 (ja) 投写用広角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222408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
JP5275758B2 (ja)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206769B2 (ja) 投映用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ー
JP4750319B2 (ja) 投射用ズームレンズ
KR100473243B1 (ko) 투사 렌즈 및 이것을 구비한 프로젝터
JP3445404B2 (ja) 投影レンズ及び投影装置
JP4114515B2 (ja) 投映用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ー
JP2003015037A (ja) 投射用ズームレンズ
JP4161294B2 (ja) 投射レンズ
JP2015014677A (ja) 投写用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211373B2 (ja) 投射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ー
JP2008309991A (ja) 投写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4851146B2 (ja) 2群ズーム投影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2004109896A (ja) 投映用ズーム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ー
JP2005257896A (ja) ズームレンズ、画像表示装置、撮像装置
WO2013179582A1 (ja) 投写用変倍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143170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投影装置
JP2002131636A (ja) 投射用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