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929A -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929A
KR20030024929A KR10-2003-7003274A KR20037003274A KR20030024929A KR 20030024929 A KR20030024929 A KR 20030024929A KR 20037003274 A KR20037003274 A KR 20037003274A KR 20030024929 A KR20030024929 A KR 2003002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igarette
wrapping paper
unit
applica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8622B1 (ko
Inventor
키타오사토시
미우라케이고
마쯔우라사다요시
사시데후미오
후타무라쯔요시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14Machines of the continuous-rod typ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10Cigars; Cigarettes with extinguishers

Abstract

연소 중에 가연물 위에 방치되어도 연소조절제에 의한 자기(自己) 소화 또는 가연물에 의한 연소열 탈취로 가연물에 타눌은 자국을 발생시키지 않든지 타눌은 자국을 종래만큼 심하게 하지 않고, 저연소성 담배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의 웨브(20a)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상호 사이가 떨어진 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사이가 떨어진 복수의 위치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과,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 후의 권지에 대하여 살담배를 공급하는 유닛(14)과, 살담배가 공급된 권지를 담배용으로 마는 권관장치(23)와, 담배용으로 말린 권지를 담배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담배 절단유닛(2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LOW FLAME PROPAGATION CIGARETTE}
저연소성 담배란, 착화한 후에 방치해 두면 연소하지 않도록 구성된 담배나, 착화한 후에 방치해 두면 연소를 계속하여도 잘못하여 가연물 위에 낙하된 때에는 가연물에 연소열을 빼앗기고 말아 가연물을 태우기 전에 스스로 소화하도록 구성된 담배이다. 저연소성 담배 자체의 존재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제 2783803호에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저연소성 담배에서는, 권지(卷紙)에 있어서 담배의 길이방향에 따라 소정간격으로 서로 사이가 떨어진 복수의 위치에 고리 형상으로 연소조절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연소성 담배의 착화단에 착화한 후에 상기 저연소성 담배를 방치해 두면, 연소는 고리모양의 연소조절제에 도달한 때에 연소조절제에 의해 소화된다. 착화한 후에 계속 빨아들이면 연소가 고리모양의 연소조절제에 도달하여도 연소는 연소조절제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저연소성 담배에 있어서는, 복수 고리모양의 연소조절제 사이에서 연소하고 있는 동안에는 저연소성이 아닌 통상 담배와 같이 연소한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의 저연소성 담배가, 복수의 고리모양 연소조절제 사이에서 연소하고 있는 동안에 잘못하여 가연물 위에 방치되면, 연소가 고리모양의 연소조절제에 도달하여 연소조절제에 의해 소화될 때 까지에, 가연물은 태우지 않으나 가연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심하게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이루어 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하고 있는 동안에 잘못하여 가연물 위에 방치되어도 연소가 연소조절제에 의해 소화되든지, 또는 연소열이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것 보다도 가연물에 의해 탈취되어 가연물에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시키지 않든 지, 또는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시켜도 종래와 같이는 심하게 발생시키지 않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연소성(低延燒性),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하고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신규 구성인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며;
도 3A는, 도 2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롤러, 연소조절제 부착기, 그리고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의 장척 웨브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롤러, 연소조절제 부착기, 그리고 웨브의 정면도이며;
도 4A, 도 4B, 도 4C, 그리고 도 4D는, 도 2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이,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의 장척 웨브의 일면에 롤러의 외주면 여러가지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에 의해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帶)의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4E는, 도 4D 권지 장척의 웨브로부터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저연소성 담배를 필터를 접속한 상태에서 필터의 칩 페이퍼(Chip Paper)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변형예를 그 주변과 함께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며;
도 6A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변형예의 노즐부재의 확대된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노즐부재 정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의 측면도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부터 노즐부재의 권지에 마주하는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을 불량품 배제유닛과 함께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8A는, 도 7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이, 도 1의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로부터 도 1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제조장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를 검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와 같이하여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에 의해 검사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는, 도 7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에 의해 검사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가능한 저연소성 담배의 다른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 가능한 저연소성 담배의 또 다른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가능한 저연소성 담배의 또 다른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우선 최초는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중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구성은,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제조장치(10),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을 제외하고, 종래 담배 제조장치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1 중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는 통기성의 살담배 반송유닛(12)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살담배 반송유닛(12)은 통기성의 반송벨트를 사용하고 있다. 살담배 반송유닛(1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살담배 공급원으로부터 살담배 공급통로 부재(14)가 돌출해 오고 있다.
도시 되어 있지 않은 살담배 공급원으로부터는 살담배 반송유닛(12)으로와 살담배 공급통로 부재(14)를 개재하여 살담배가 공기류에 의해 반송되어 온다.
상기 살담배 공급원으로부터의 살담배는, 살담배 공급통로 부재(14)의 끝단에서 살담배 반송유닛(12) 위에,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따른 가늘고 긴 소정 폭의 대(帶) 형상으로 공기류에 의해 밀어 붙여진다.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의 끝단(E)에는, 담배용의 권지 공급원(16)으로부터 담배용 권지를 반송하기 위한 권지 반송유닛(18)의 주요부의 끝단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권지 공급원(16)에는, 개개의 담배용 권지로 절단되기 전(前) 권지의 소재로서 장척 웨브의 롤(20)이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있고,롤(20)로부터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에 의해 꺼내진 장척의 웨브(20a)는 이완방지 기구를 개재하여 상기 끝단까지 반송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는, 다수의 인장 롤러 대(對) 나 안내 롤러 대(對) 나 구동롤러 대를 포함하고 있다.
권지 공급원(16)에는, 롤(20)과 동일한 또 하나의 롤(20')도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 하나의 롤(20')의 웨브(20'a)의 시작단은 자동 연결기(21)를 개재하여, 롤(20)로부터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꺼내진 장척의 웨브(20a)에 마주하고 있다. 롤(20)로부터의 웨브(20a)의 끝단이 자동 연결기(21)에 의해 검출되면, 자동 연결기(21)는 또 하나의 롤(20')의 웨브(20'a)의 시작단을 롤(20) 웨브(20a)의 끝단에 접속한다. 그리고, 롤(20)의 웨브(20a)에 계속되는 또 하나의 롤(20')의 웨브(20'a)가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의 끝단으로 향하여 반송된다.
권지 반송유닛(18)은 상기 주요부의 끝단에 계속하여 권지지지 반송기(2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권지지지(卷紙支持) 반송기(22)는 복수의 안내롤러 및 구동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반송벨트(22a)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주요부의 끝단으로부터의 웨브 20a 또는 20'a는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에 설치되어 반송벨트(22a)에 의해 반송된다.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의 끝단(E)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집게(Tongs)가 배치되어 있고, 끝단(E)에서 살담배는 상기 집게에 의해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 위의 웨브 20a 또는 20'a 위로 인도된다.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에 의한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은 살담배 반송유닛(12)에 의한 살담배의 반송방향과 마찬가지이며,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 중심선과는 상하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 끝단(E)으로부터 상기 집게에 의해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 위의 웨브 20a 또는 20'a 위로 유도된다.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에 의한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은 살담배 반송유닛(12)에 의한 살담배의 반송방향과 마찬가지이며,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 중심선과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의 반송방향 중심선과는 상하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살담배 반송유닛(12)의 반송방향의 끝단(E)으로부터 상기 집게에 의해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 위의 웨브 20a 또는 20'a 위로 유도된 살담배는, 웨브 20a 또는 20'a 위로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 중심선에 따른 가늘고 긴 대(帶) 형상으로 퇴적된다.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에 따른 권관유닛(23)이 배치되어 있다. 권관유닛(23)은,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 부분 위에서 살담배가 가늘고 긴 대 형상으로 퇴적되어 있는 웨브 20a 또는 20'a를 반송벨트(22a)의 상방 수평이동부분의 진행과 함께 담배형상으로(즉, 가늘고 긴 둥근 관 형상으로) 말아올린다.
권관유닛(23)은, 상기 상방 수평이동 부분의 반송방향에 따라 배치된 말아 올리는 기구(24a, 24b)와 풀 부착기(25)와 풀 건조기(26)를 포함하고 있다. 말아 올리는 기구 24a는, 상방 수평이동 부분 위에서 살담배가 가늘고 긴 대 형상으로 퇴적되어 있는 웨브 20a 또는 20'a의 양측부(兩側部)를 상방으로 향하여 세워올려서 대략 U자 형상의 가로 단면으로 한 후에 한 쪽 측부를 가늘고 긴 대 형상의 살담배 위에 살담배를 싸 넣도록 다시 관(管) 형상으로 굽힌다. 풀 부착기(25)는, 상방으로 향하여 세워올린 채로 웨브 20a 또는 20'a의 한 쪽 측부 테두리에 풀을 부착시킨다. 또 하나의 말아 올리는 기구 24a는, 테두리에 풀이 부착된 웨브 20a 또는 20'a의 한 쪽 측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관 형상으로 굽혀져 있는 다른 쪽 측부의 테두리를 향하여 관 형상으로 굽혀서 상기 한 쪽 측부 테두리를 상기 다른 쪽 측부의 테두리에 풀로 부착한다. 상기 결과로서, 웨브 20a 또는 20'a는 살담배를 포함한 원통형상의 가늘고 긴 담배봉(CB)으로 성형된다.
가늘고 긴 담배봉(CB)은 풀 건조기(26)를 통과하여 풀을 건조시킨 후 풀 건조기(26)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된다.
즉,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반송방향은,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이다.
도 1중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데 까지의 구성은 종래 담배 제조장치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1 중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 신규 구성인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제조장치(10)는,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는, 도 1에 부가하여, 도 1 중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2를 참조하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은, 담배(CG) 권지의 연소(延燒)를 조절하는 연소조절제를,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에 있어서 웨브 20a 또는 20'a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으로 되는 쪽의 표면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소망하는 패턴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이 상기 내면에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은, 웨브 20a 또는 20'a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이다.
이와 같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은,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에 의해 반송되어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일면에 접촉가능하며 상기 반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30a)와, 롤러(30a)의 외주면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고 연소조절제를 부착시키는 연소조절제 부착기(30b)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30a)는,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중의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원에 의해, 장척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 및 반송속도에 합치된 회전방향 및 주속도(周速度)로 회전된다.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은, 후에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가 전술한 바와 같이 살담배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으로 된다.
연소조절제 부착기(30b)는, 연소조절제 탱크(32)와,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수단이 구비된 펌프(34)와 롤러(30a)의 외주면에 접하고 제어수단이 구비된 펌프(34)에 의해 연소조절제 탱크(32)로부터의 연소조절제를 상기 외주면에 부착시키는 연소조절제 부착부재(36)를 포함한다.
권지 반송유닛(18)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롤러(30a)의 부근에, 롤러(30a)의 외주면에 대한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상대적인 폭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권지 폭방향 위치조정기(18a)를 포함함과 동시에, 롤러(30a)의 외주면에 대한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또는 20'a의 접촉 또는 사이가 떨어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권지 접리(接離)유닛(18b)도 포함하고 있다. 권지 접리유닛(18b)은,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가 운전되지 않는 동안에는 도 1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롤러(30a)의 외주면으로부터 웨브 20a 또는 20'a 를 사이가 떨어지게 하고,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가 운전되는 동안에는 도 1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롤러(30a)의 외주면에 대하여 웨브 20a 또는 20'a 를 접촉시켜 둔다.
다음에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롤러(30a)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여기에 있어서 도 3A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롤러(30a), 연소조절제 부착기(36), 그리고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또한 도 3B는 도 3A의 롤러(30a), 연소조절제 부착기(36), 그리고 웨브 20a의 정면도이다.
롤러(30a)의 외주면에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 의해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패턴이나 수에 대응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轉寫)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帶: 20b)의 폭 방향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복수본의 대 형상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轉寫)영역(38)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본수(本數)나 각각의 폭이나 상호간의 간격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 의해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帶: 20b)의 본수(本數)와 각각의 폭과 상호간의 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롤러(30a)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길이의 범위 내에서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길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도 4C, 그리고 도 4D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의 웨브(20a)의 상기 일 면에 롤러(30a)의 외주면의 여러가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에 의해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대의 여러가지 예가 나타내져 있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L은,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의 담배(CG) 1본분의 길이이다.
도 4A는, 권지 장척의 웨브(20a)의 시작단으로부터 끝단까지 웨브(20a)의 반송방향에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연속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대(20b)는, 롤러(30a)의 외주면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4B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의 시작단에서 끝단까지 사이에서 웨브(20a)의 반송방향(웨브 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대(20b)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술한 담배(CG) 2본분의 길이 2L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형성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는, 상술한 담배(CG)의 2본분의 길이 2L의 정수배인 원주방향 길이를 가진 롤러(30a)의 외주면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상기 소정의 간격으로 단락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와 길이방향에 있어서 다음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와의 사이 단락의 간격(Y)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C는, 권지 장척 웨브(20a)의 시작단으로부터 끝단까지 사이에서 웨브(20a)의 반송방향(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도 4B의 소정간격의 반인 또 하나의 소정간격을 벌려 형성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은 상술한 담배(CG)의 1본분의 길이 L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은 또한, 임의의 부 간격으로 단락할 수 있다.
상기 경우에도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와 길이방향에 있어서 다음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사이의 단락 간격(Y)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또 하나의 소정간격을 벌려서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대(20b)는, 상술한 담배(CG)의 1본분의 길이(L)의 정수배의 원주방향 길이를 가진 롤러(30a) 외주면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으로 단락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을 다시 임의의 부(副) 간격으로 단락하여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는, 상술한 담배(CG)의 1본분의 길이(L)의 정수배의 원주방향 길이를 가진 롤러(30a)의 외주면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으로 단락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의 각각을 임의의 부 간격으로 단락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도 4D는, 권지 장척의 웨브(20a)의 시작단으로부터 끝단까지 사이에서 웨브(20a)의 반송방향(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도 4C의 또 하나의 소정간격을 벌려서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에 있어서,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지 마는장치(26)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에 담배(CG)의 착화단으로 되는 단측(端側)만, 상기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X) 만큼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소정의 거리(X)는 약 10mm 와 약 25mm 사이의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에 있어서,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에 담배(CG)의 착화단과는 반대측으로 되는 단측에는 1/2 ·Y의 연소조절제 무도포 간격이 생긴다.
도 4B 및 도 4C 각각의 웨브(20a)에 있어서,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와 길이방향에 있어서 다음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사이의 단락 간격(Y)은,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에 담배(CG)의 일단 또는양단에 1/2 ·Y의 연소조절제 무도포 간격을 발생시킨다.
상기의 간격 Y는, 절단유닛(28)이 연소조절제의 대(20b)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연소조절제가 절단유닛(28)에 부착하여, 이 절단유닛(28)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의 권지 담배(CG)가 절단됨으로써 맛이 저하될 염려를 없앤다.
도 4E에는, 도 4D의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살담배(T)를 수반하여 도 1의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되고, 또한 담배(CG)의 착화단과는 반대측으로 되는 단측의 1/2 ·Y의 연소조절제 무도포 간격에, 필터(FL)를 동반한 칩 페이퍼(CP)가 설치된 모습이 나타내져 있다.
담배(CG)의 착화단으로 되는 단측으로 형성된, 연소조절제의 대(20b)가 없는 이와 같은 소정의 거리(X)의 간격은 상기 착화단으로의 불 붙이기를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착화 직후 최초의 수 모금의 담배(CG) 맛에서 연소조절제 대(20b)의 영향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소정간격으로, 또한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권관유닛(23)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 담배(CG)의 착화단으로 되는 단측만, 상기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X) 만큼 형성되어 있지 않도록, 상기 권지에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는, 롤러(30a)의 외주면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이하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술한 담배(CG)의 1본분의 길이(L)의 정수배의 원주방향 길이를 가진 롤러(30a) 외주면의 상기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38)의 각각을 상기 또 하나의 소정간격(즉 L)으로 단락함과 동시에, 또한 상기 또 하나의 소정의 간격으로, 웨브(20a)를 구성하고 있는 권지가 도 1의 권지 마는장치(26)에 의해 담배용으로 말린 후에 절단유닛(28)에 의해 상기 또 하나의 소정길이의 담배(CG)로 절단될 때의 담배(CG)의 착화단으로 되는 단측만, 상기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X) 만큼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념에 따르면, 도 4D와 같이 간헐적으로 형성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각각을, 다시 임의의 부 간격으로 단락할 수 도 있다.
다음에는, 도 1에 부가하여,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변형예를 그 주변와 함께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변형예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변형예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은, 권지 반송유닛(18)의 주요부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노즐부재(40)와, 노즐부재(40)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는 연소조절제 공급기(42)를 구비하고 있다.
연소조절제 공급기(42)는, 가압기(42a)를 구비한 연소조절제 탱크(42b)와, 펌프(42c)와, 펌프(42c)에 접속된 제어기(42d)에 접속된 동기장치(42e)와, 펌프(42c)로부터의 연소조절제를 노즐부재(40)에 반송하는 연소조절제 반송튜브(42f)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도 6A, 도 6B, 그리고 도 6C를 참조하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의 노즐부재(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에 있어서, 도 6A는 도 5의 노즐부재(40)의 확대된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노즐부재(40)의 정면도이며, 그리고 도 6C는 도 6A의 측면도와는 정반대 방향으로부터 노즐부재(40)의 권지 대향부분(40a)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노즐부재(40)는,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접촉 또는 접근하고 상기 일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웨브 20a 또는 20'a의 폭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통형상의 권지 대향부분(40a)을 포함하고 있다. 권지 대향부분(40a)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노즐공(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공(40b)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 의해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폭방향의 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복수의 노즐공(40b)의 수나 각각의 직경이나 상호간의 간격은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 의해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수나 각각의 폭이나 상호간의 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연소조절제 공급기(42)의 동기장치(42e)는,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의해 권지 반송유닛(18)의 상기 주요부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담배 1본 1본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후에 도 1의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의 권관유닛(23)에 의해 살담배와 함께 통형상으로 말려 절단유닛(28)에 의해 개개의 담배(CG)로 절단되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부분에 대하여,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소망하는 길이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를 형성하도록, 제어기(42d)가 펌프(42c)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신호를 제어기(42d)에 공급한다.
동기장치(42e)는, 예를 들면 권지 반송유닛(18) 중의 안내 또는 지지롤러에설치되어 있는 엔코더(Encoder)를 사용할 수 있다.
동기장치(42e)에 의해 알 수 있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있어서 담배(CB)의 1본분에 상당하는 웨브 20a 또는 20'a의 송출거리에 동기시켜서 제어기(42d)가 펌프(42c)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결과로서, 예를 들면 도 6B 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부재(40)는 복수의 노즐공(40b)으로부터 대응하는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소망하는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를 형성할 수 있다.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변형예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을 사용하여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롤러(30a)를 사용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과 마찬가지로,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D 중에 나타내고 있는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의 열(列)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패턴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소망하는 농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소조절제로서 사용가능한 물질은 현재 여러가지 알려져 있으나, 상기 예로서는 :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글루텐(Gluten)등의 단백질; 전분, 키산탄검(에코검), 로카스트빈검, 구아검(구아팩), 트라가칸트검, 타라검,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글리로이드) 카라야검, 아라비아검, 플루란, 덱스트린, 시클로 덱스트린(올리고세븐), 갓티 등의 점도를 증대시키는 작용을 가지는 다당류; 카라기난, 카드린, 한천(寒天), 젤라틴, 파셀란, 펙틴, 쉐란검, 켈코겔 등의 겔화 작용을 가지는 다당류: 레시틴 등의 지방질(脂質);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즈(CMC), 메틸 셀룰로즈(MC),알긴산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PGA), 가공전분(예를 들면, 인산전분) 등의 천연 고분자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각종 합성 고분자 유화제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 염화 암모늄, 인산 암모늄, 인산 수소 암모늄, 인산 2수소 암모늄, 브롬화 암모늄, 황산 암모늄과 같은 무기 암모늄염, 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수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무기 수산화물, 그외 붕산 나트륨, 붕산, 염화아연,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황산 나트륨 등의 무기염 난연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연소조절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부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 신규 구성인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8A는 도 7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이, 도 1의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에서 도 1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제조장치(10)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를 검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와 같이 하여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에 의해 검사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에 의해 검사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검사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검사유닛(11)은, 도1의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에 있어서 도 1의 저연소성 담배용 권지 제조장치(10)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소망하는 종류가 형성된 상기 일면에 마주하고 있는 광원(50)과, 상기 웨브 20a 또는 20'a에서 상기 일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면을 마주하여 광원(50)으로부터 투광되어 상기 웨브 20a 또는 20'a를 통과한 투과광의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기(52)를 구비하고 있다.
광원(50)은, 마주하고 있는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서, 도 8A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웨브 20a 또는 20'a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라인 조명장치이며, 상기 폭 방향에 따라 균일한 조도(照度)로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일면을 비춘다.
광 강도 검출기(52)는,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다른 면측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의 광원(50)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도 8A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 장척의 웨브 20a 또는 20'a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웨브 20a 또는 20'a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라인 센서이며, CCD(Charge Coupled Device)를 사용하여 상기 투과광의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광 강도 검출기(52)는, 라인 센서 대신에, 웨브 20a 또는 20'a의 상기 다른 면 측에 있어서 상기 일면측의 광원(50)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웨브 20a 또는 20'a의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선 위에서 웨브 20a 또는 20'a의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에만 대응하고 있는 복수의 스폿센서(Spot Sensor)일 수도 있다.
광 강도 검출기(52)에는, 광 강도 검출기(52)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기(54)가 접속되어 있고, 신호처리수단(54)에는, 불량품 배제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불량품 배제장치는 통상, 담배 제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담배(CG)에 대하여 칩 페이퍼에 의해 필터를 접속하는 필터 접속장치와 조합되어 있다.
도 8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강도 검출기(52)에 의해 도 8A에 나타내져 있는 웨브 20a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를 검출한 때의 검출결과가, 웨브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나타내지고 있다.
도 8B에서 명백한 것 처럼, 웨브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웨브 20a의 외측(WO)보다도 웨브 20a가 존재하는 범위(WB) 쪽이 광 투과 강도가 약하고, 또한 웨브 20a가 존재하는 범위(WB)에서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에 대응하는 소범위(WC)에서 광 투과 강도는 더욱 약하게 된다.
소범위(WC)에 있어서 출력의 정도(程度)로부터 소범위(WC)에 대응한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농도를 알고, 소범위(WC)의 값으로부터 소범위(WC)에 대응한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폭을 알고, 웨브 20a가 존재하는 범위(WB) 내에 있어서 소범위(WC)의 수에 의해 웨브 20a로 형성되어 있는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본 수를 알고, 웨브 20a가 존재하는 범위(WB) 내에 있어서 복수의 소범위(WC)의 분포에 의해 웨브 20a의 폭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분포를 알고, 더욱이는, 웨브 20a가 존재하는 범위(WB) 내에 있어서 복수의 소범위(WC) 상호간 폭의 값으로부터 웨브 20a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조절제의 대(20b) 상호간의 폭 방향에 있어서 거리를 알 수 있다.
도 9에는,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신호처리기(54)가 2 값화(2 値化) 신호로 해서, 연소조절제 도포에 관한 여러가지의 불량 및 권지 접속개소를 판단한 검사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 불량예로는, 웨브 폭방향 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있어서 웨브 20a의 폭 방향에 소정의 배열로 소정의 농도로 배치되어 있어야 할 소정 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중의 1 본의 연소조절제 대(20b)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이 판단되어 있다.
도포없음 예로서는, 웨브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있어서 웨브 20a의 폭 방향에 소정의 배열로 소정의 농도로 배치되어 있어야 할 소정 수의 연소조절제 대(20b) 중의 1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형성(도포)이 행하여져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되어 있다.
폭 불량 예로서는, 웨브 폭 방향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있어서 웨브 20a의 폭 방향에 소정의 배열로 소정의 농도로 배치되어 있어야 할 소정 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중의 1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폭이 소정의 값이 아니었다는 것이 판단되어 있다.
도포량 불량에서는, 웨브 폭 방향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있어서 웨브 20a의 폭 방향에 소정의 배열로 소정의 농도로 배치되어 있어야 할 소정 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중의 2 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농도가 소정의 값이 아니었다는 것이 판단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2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중의 1 본의 농도는 소정의 농도범위의 상한 값(상기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서는 상기 소정의 농도범위에 대응한 출력범위의 하한 TD)을 넘어서 상기 소정의 농도 범위보다도 짙게 되어 있고, 또 1 본의 농도는 소정 농도 범위의 하한 값(상기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서는 상기 소정의 농도범위에 대응한 출력범위의 상한 TU)에 도달하고 있지 않고 상기 소정의 농도범위 보다도 옅게 되어 있다.
권지 접속개소 검출에서는, 도 1의 권지 공급원(16)에 있어서 1 본 권지의 장척 웨브(20)의 끝단에 또 1본의 권지의 장척 웨브(20')의 시작단이 자동 연결기(22)에 의해 접속된 개소가, 웨브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광 강도 검출기(52)의 라인센서로부터의 출력에 있어서 웨브(20a)의 연소조절제의 대(20b)가 없는 부분의 저 투과 출력 레벨과 웨브(20a)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배열에서 소정의 농도로 배치되어야 할 소정 수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모두에 있어서 지(紙) 투과 출력레벨이, 이들이 상기 접속된 개소가 아닌 개소에서 정상적으로 검출된 경우에 비교하여, 함께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광 강도 검출기(52)로부터의 출력을 기초로 신호처리기(54)가, 권지 장척의 웨브 20 또는 20'위에 소정의 배열 및 소정의 농도로 형성되어야 할 소정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불량이나 권지의 장척 웨브 20 및 20'의 접속개소를 검출한 때에는, 이들의 불량 또는 접속개소를 포함하는 권지 장척의 웨브 20 또는 20'의 개소에서 말린 담배(CG)가 절단전의 담배 봉(CB)로부터 도 1의 절단유닛(28)에 의해 절단되게 되는 타이밍은 도 5의 변형예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 있어서 사용되어 있던 동기장치(42e)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전술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불량품 배제장치에 의해 필터구비의 정상적인 담배(CG)로부터 배제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이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 강도 검출기(52)로부터의 출력을 기초로 신호처리기(54)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웨브 20 및 20'가 소정 속도에서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권지 장척의 웨브 20 또는 20'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웨브 20 또는 20'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각각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광 강도 검출기(52)가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의 각각을 검출하지 않았던 시간과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웨브 20 또는 20'의 반송속도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 각각의 존재하지 않는 길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권지에 있어서 상기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20b)가, 권지 장척의 웨브 20 또는 20'가 개개의 담배용으로 절단된 때에 착화단으로 되는 단으로부터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형성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거리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정거리의 구체적인 수치도 검출할 수도 있고, 상기 소정의 거리가 약 10mm 와 약 25mm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것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념에 따르면, 도 10A 중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의하면,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웨브 20 또는 20'에 대하여 그 것이 권관(卷管)유닛(23)에 있어서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망하는 간격으로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전체 길이로 이동, 또는 소망하는 길이로 이동,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경우도 또한, 웨브 20 또는 20'에 있어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가 형성되는 것은, 웨브 20 또는 20'에 대하여 그것이 권관(卷管)유닛(23)에 있어서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내측으로 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는, 도 3A 및 도 3B 중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서는, 롤러(30a)의 외주면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소망하는 거리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위치에서 롤러(30a)의 회전 중심선에 따른 방향으로 돌출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 중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에서는,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웨브 20 또는 20'에 대하여 노즐부재(40)의 복수 노즐공(40b)으로부터 연소조절제를 분사하는 시간을 짧게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도 10B 중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웨브 20 또는 20'위에 형성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은, 다수의 작은 점의 집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다수의 작은 점의 집합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은, 웨브 20 또는 20'위에서 도 10B 중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웨브 20 또는 20'에 대하여 그것이 권관유닛(23)에 있어서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帶)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좋으며, 도 4E 중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웨브 20 또는 20'에 대하여 그것이 권관유닛(23)에 있어서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서 대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대 형상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수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대 형상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경계도 명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은, 대 형상 이외의 여러가지 임의의 분포(패턴이나 수를 포함)로웨브 20 또는 20'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연소조절제의 다수의 작은 점에 의해 구성하는 것으로, 보다 정밀한 연소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은:
담배용의 권지를 반송(搬送)하는 권지 반송공정과;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권지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과 ;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권지에 대하여 얇게 썬 담배(이하, 살담배라고 한다)를 공급하는 살담배 공급공정과;
살 담배 공급공정에 있어서 살 담배가 공급된 권지를 살담배와 함께 담배용으로 마는 권관(卷管)공정과 ; 그리고, 권관공정에 있어서 살담배를 수반하는 담배용으로 말린 권지를 상기 담배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담배 절단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연소성 담배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각각의 폭 이나 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착화후에 방치된 때로부터 자기(自己)소화할 때 까지 필요로하는 시간이나 자기소화하지 않고 연소를 계속한다고 하더라도 그 연소의 온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과로서, 연소하고 있는 동안에 잘못하여 가연물 위에 방치되어도 연소가 연소조절제에 의해 자기소화 되든지, 또는 연소열이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경우 없이 가연물에 의해 빼앗겨, 가연물에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시키지 않든지,또는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시켜도 종래와 같이 심하게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권지는 개개의 담배용으로 절단되기 전(前) 장척(長尺)의 웨브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척의 웨브 형상의 권지가 권지반송 공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동안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따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소망하는 패턴으로 소망하는 수나 소망하는 농도로 정확하게 형성할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은, 담배 절단공정에 있어서 권지 절단동작에 동기(同期)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과 살담배 공급공정 사이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권지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대(帶)의 분포(패턴이나 수를 포함한다)와 농도를 검사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공정을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장척의 웨브 형상의 권지 사이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소망하는 패턴으로 소망하는 수와 소망하는 농도로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패턴이나 수를 포함)와 농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경우에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공정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용 권지의 한 쪽면으로부터 빛을 투사하고,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용 권지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투과광을 검출하고, 투과광의 강도분포에 의해 권지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 권지에 있어서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內面)으로 되는 쪽의 표면에 상기 복수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따라, 담배의 외관을 종래와 위화감 없도록 할 수 있고, 권지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담배의 보존 중에 어떠한 이유로 손상되고 마는 가능성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또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또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벌려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은 개개의 담배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권지에 있어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은, 상기 권지가 개개의 담배용으로 절단된 때에 착화단으로 되는 단으로부터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담배 착화단에 착화된 직후는 담배가 방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또한 착화할 때에 불 붙이기가 나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거리는 약 10mm와 25mm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이, 권지 반송공정에 의한 권지의 반송방향이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이므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에 롤러가 접촉하여 상기 반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에 대응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轉寫)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연소조절제 부착기로부터 연소조절제가 공급되어서 연소조절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이 롤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롤러의 폭이나 직경(즉, 외주면의 원주방향 길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 결과로서,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 반송공정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에 노즐부재가 접촉 또는 접근되어 있고, 노즐부재에는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부재에는 연소조절제 공급기로부터 연소조절제가 공급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이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노즐부재의 노즐공으로부터 연소조절제를 분사시키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결과로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이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벌려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를 형성할 때의 상기 소정간격의 조절이, 전자(前者)의 롤러를 이용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의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는:
담배용의 권지를 반송하는 권지 반송유닛과;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에 의해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권지에 대하여 살담배를 공급하는 살담배 공급유닛과;
살담배 공급유닛에 의해 살담배가 공급된 권지를 살담배와 함께 담배용으로 말린 권관유닛과; 그리고,
권관유닛에 의해 살담배를 수반하는 담배용으로 말린 권지를 상기 담배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담배 절단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따라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하는 것으로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연소성 담배에 있어서 얻어 질 수 있는 모든 이점을 갖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는 개개의 담배용으로 절단되기 전 장척의 웨브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담배 절단유닛에 있어서 권지 절단동작에 동기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에 의한 권지에 대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형성 후 이고, 살담배 공급유닛에 의한 살담배의 공급 전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에 의해 권지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패턴이나 수를 포함)와 농도를 검사하는 연소조절제 대 검사유닛을 또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지 반송유닛에 있어서 반송되는 장척의 웨이버 형상의 권지 사이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소망하는 패턴으로 소망하는 수와 농도로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패턴이나 수를 포함)와 농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유닛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용 권지의 한 쪽면으로부터 빛을 투사하고,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용 권지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투과광을 검출하여, 투과광의 강도분포에 의해 권지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에 대한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권지 접리(接離)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는, 권지 접리유닛은 권지 반송유닛에 의한 권지의 반송이 정지되어 있는 사이에 상기 권지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으로부터 서로 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도,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에 있어서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으로 되는 쪽의 표면에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따라, 담배의 외관을 종래와 위화감이 없도록 할 수 있고, 권지에 형성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담배의 보존 중에 어떠한 이유로 손상되고 마는 가능성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도,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 대(帶)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개개의 담배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권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소조절제의 대(帶)는, 상기 권지가 개개의 담배용으로 절단된 때에 착화단으로 되는 단으로부터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 담배의 착화단에 착화된 직후는 담배가 방치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또한 착화할 때에 불 붙기가 나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거리는 약 10mm 와 25mm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이, 권지 반송유닛에 의한 권지의 반송방향이 권지가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이므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에 접촉하여 상기 반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과,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여 연소조절제를 부착시키는 연소조절제 부착기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은, 권지 반송유닛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노즐부재와, 노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공과, 상기 노즐부재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는 연소조절제 공급기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자(前者)의 롤러를 이용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경우에는, 롤러의 폭이나 직경(즉, 외주면의 원주방향 길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과로서,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후자(後者)의 노즐부재를 이용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경우에는, 노즐부재의 노즐공으로부터 연소조절제를 분사시키는 타이밍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과로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이 권지에 대하여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복수본의 연소조절제의 대(帶)를 형성할 때의 상기 소정 간격의 조절이, 전자(前者)의 롤러를 이용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의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따라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형예도 섞어 가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상 상술한 사항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에 따라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는, 연소하고 있는 동안에 잘못하여 가연물 위에 방치되어도, 연소가 연소조절제에 의해 소화될 때 까지의 사이에, 또는 연소조절제에 의해 제어되고 있는 연소열이 가연물에 의해 빼앗기는 것에 의해, 가연물에 타서 눌은 자국을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타서 눌은 자국을 종래에 비해서는 심하게 발생시키지 않는, 저연소성 담배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4)

  1. 담배(CG)용의 권지(卷紙: 20a, 20a')를 반송(搬送)하는 권지 반송공정과;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살담배(T)를 공급하는 살담배 공급공정과;
    살담배 공급공정에 있어서 살담배(T)가 공급된 권지(20a, 20a')를 살담배(T)와 함께 담배(CG)용으로 마는 권관(卷管)공정과; 그리고, 권관공정에 있어서 살담배(T)를 수반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권지(CB)를 상기 담배(CG)의 길이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담배 절단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은, 담배 절단공정에 있어서 권지 절단동작에동기(同期)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과 살담배 공급공정의 사이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 권지(20a, 20a')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공정을 또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공정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CG)용의 권지(20a, 20a')의 한 쪽면으로부터 빛을 투사하고,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CG)용의 권지(20a, 20a')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투과광을 검출하고, 투과광의 강도분포에 의해 권지(20a, 20a')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대(帶)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권지(20a, 20a')에 있어서 권지가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內面)으로 되는 쪽의 표면에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 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벌려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권지(20a, 20a')에 있어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상기 권지가 개개의 담배(CG)용으로 절단된 때에 착화단(着火端)으로 되는 단(端)으로부터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가 약 10mm와 약 25mm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 반송(搬送)공정에 있어서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20a, 20a')에 롤러(30a)가 접촉하여 상기 반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에 대응하고 있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轉寫)영역(3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는 연소조절제 부착기(36)로부터 연소조절제가 공급되어 연소조절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공정에서는, 권지 반송공정에 있어서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20a, 20a')에 노즐부재(40a)가 접촉 또는 접근되어 있고, 노즐부재에는 복수의 노즐공(4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부재에는 연소조절제 공급기(42)로부터 연소조절제가 공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제조방법.
  12. 담배(CG)용의 권지(20a, 20a')를 반송하는 권지 반송유닛(18)과;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 30에 의해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살담배(T)를 공급하는 살담배 공급유닛(12)과; 살담배 공급유닛(12)에 의해 살담배(T)가 공급된 권지(20a, 20a')를 살담배(T)와 함께 담배(CG)용으로 마는 권관(卷管)유닛(23)과; 그리고,
    권관유닛(23)에 의해 살담배(T)를 수반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권지(20a, 20a')를 상기 담배(CG)의 길이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절단하는 담배 절단유닛(28)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은, 담배 절단유닛(28)에 있어서 권지 절단동작에 동기하여 권지(20a, 20a')에 대하여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의한 권지(20a, 20a')에 대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 후이고, 살담배 공급유닛(12)에 의한 살담배(T)의 공급전에,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의해 권지(20a, 20a')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하는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유닛(11)을 또 다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검사유닛(11)이,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CG)용의 권지(20a, 20a')의 한쪽 면으로부터 빛을 투사하고,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형성된 후의 담배(CG)용의 권지(20a, 20a')의 다른 쪽 면으로부터 투과광을 검출하고, 투과광의 강도분포에 의해 권지(20a, 20a')에 대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의 분포와 농도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은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대한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는 권지(20a, 20a')의 접촉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권지 접리(接離) 유닛(18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권지 접리 유닛(18b)은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20a, 20a')의 반송이 정지되고 있는 사이에 상기 권지를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으로부터 사이를 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8. 제 12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있어서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 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있어서는, 권지(20a, 20a')에 대하여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벌려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연소조절제 대(帶, 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20.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에 있어서는, 상기 권지(20a, 20a')에 있어서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이, 상기 권지가 개개의 담배(CG)용으로 절단된 때에 착화단(着火端)으로 되는 단으로부터 담배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X) 만큼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X)가 약 10mm와 약 25mm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22.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30, 30')은, 권지(20a, 20a')에 있어서 권지가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내면으로 되는 쪽의 표면에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23. 제 12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20a, 20a')의 반송방향은 권지가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 30은,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에 접촉하고 상기 반송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30a)와, 상기 롤러(30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조절제 도포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전사영역(42)과, 상기 롤러(30a)의 외주면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고 연소조절제를 부착시키는 연소조절제 부착기(36)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24. 제 12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한 권지(20a, 20a')의 반송방향은 권지가 담배(CG)용으로 말린 때에 길이방향으로 되는 방향에 있어서,
    연소조절제 도포영역 형성유닛 30'은 권지 반송유닛(18)에 의해 반송되고 있는 상기 권지(20a, 20a')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노즐부재(40a)와, 노즐부재(40a)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즐공(40b)과, 상기 노즐부재(40a)에 연소조절제를 공급하는 연소조절제 공급기(4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KR10-2003-7003274A 2000-09-08 2001-09-07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KR100498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73800 2000-09-08
JP2000273801 2000-09-08
JPJP-P-2000-00273801 2000-09-08
JPJP-P-2000-00273800 2000-09-08
PCT/JP2001/007796 WO2002019848A1 (fr) 2000-09-08 2001-09-07 Procede et dispositif permettant de produire une cigarette a faible propagation de la fla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929A true KR20030024929A (ko) 2003-03-26
KR100498622B1 KR100498622B1 (ko) 2005-07-01

Family

ID=2659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274A KR100498622B1 (ko) 2000-09-08 2001-09-07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04917B2 (ko)
EP (1) EP1329165B1 (ko)
JP (1) JP3782394B2 (ko)
KR (1) KR100498622B1 (ko)
CN (1) CN1248605C (ko)
AT (1) ATE315340T1 (ko)
AU (1) AU2001284488A1 (ko)
CA (1) CA2421717C (ko)
DE (1) DE60116641T2 (ko)
DK (1) DK1329165T3 (ko)
ES (1) ES2256287T3 (ko)
WO (1) WO20020198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93B1 (ko) * 2011-11-08 2013-02-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 가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발화성 궐련지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9156701A (en) 2000-09-18 2002-04-02 Rothmans Benson Low sidestream smoke cigarette with combustible paper
US7448390B2 (en) * 2003-05-16 2008-11-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75548B2 (en) * 2001-06-27 2007-10-0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6854469B1 (en) 2001-06-27 2005-02-15 Lloyd Harmon Hancock Method for producing a reduced ignition propensity smoking article
US7073514B2 (en) * 2002-12-20 2006-07-11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37559B2 (en) * 2001-08-14 2007-07-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US6929013B2 (en) * 2001-08-14 2005-08-1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US20040238136A1 (en) * 2003-05-16 2004-12-02 Pankaj Patel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6976493B2 (en) * 2002-11-25 2005-12-2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US6779530B2 (en) 2002-01-23 2004-08-24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Smoking articles with reduced ignition proclivity characteristics
NZ535029A (en) * 2002-03-15 2007-04-27 Rothmans Bensons & Hedges Inc Low sidestream smoke cigarette with combustible paper having modified ash characteristics
US6997190B2 (en) * 2002-11-25 2006-02-1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rapping materials for smoking articles
US7117871B2 (en) * 2002-12-20 2006-10-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195019B2 (en) * 2002-12-20 2007-03-2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40122547A1 (en) * 2002-12-20 2004-06-24 Seymour Sydney Keith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077145B2 (en) * 2002-12-20 2006-07-1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75549B2 (en) * 2002-12-20 2007-10-0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Garniture web control
US7281540B2 (en) * 2002-12-20 2007-10-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34471B2 (en) * 2003-10-09 2007-06-2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GB0310034D0 (en) * 2003-04-30 2003-06-0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Improvements relating to material application to rod wrappers
US7047982B2 (en) * 2003-05-16 2006-05-2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for registering pattern location on cigarette wrapping material
US7276120B2 (en) * 2003-05-16 2007-10-0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50087202A1 (en) * 2003-10-28 2005-04-2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measuring a property of a cigarette paper wrapper and associated method
US7434585B2 (en) * 2003-11-13 2008-10-14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50115575A1 (en) * 2003-12-01 2005-06-02 Seymour Sydney K. Cigarette paper tes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8151806B2 (en) * 2005-02-07 2012-04-10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Smoking articles having reduced analyte level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A90299C2 (uk) * 2005-03-15 2010-04-26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Сигаретний папір з низьким поширенням полум'я
US7600518B2 (en) * 2005-04-19 2009-10-13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s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US7479098B2 (en) 2005-09-23 2009-01-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Equipment for insertion of objects into smoking articles
US20070084475A1 (en) * 2005-10-14 2007-04-19 Oglesby Robert L Smoking articles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US20070137668A1 (en) * 2005-12-15 2007-06-21 Borschke August J Smoking articles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US20070246055A1 (en) * 2006-04-21 2007-10-25 Oglesby Robert L Smoking articles and wrapping materials therefor
WO2007143101A2 (en) * 2006-06-01 2007-12-13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Free air burning smoking articles with reduced ignitiion proclivity characteristics
US20080017203A1 (en) * 2006-07-19 2008-01-24 Barry Smith Fagg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 tubes
US7740019B2 (en) * 2006-08-02 2010-06-22 R.J. Reynolds Tobacco Company, Inc. Equipment and associated method for insertion of material into cigarette filters
US7789089B2 (en) 2006-08-04 2010-09-0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cigarette possessing tipping material
US8171941B2 (en) * 2007-02-26 2012-05-0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customiz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7972254B2 (en) 2007-06-11 2011-07-0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inserting objects into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CN101636537B (zh) * 2007-08-10 2012-04-11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低火焰蔓延性的香烟用包装纸
US7836897B2 (en) * 2007-10-05 2010-11-2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having configured lighting end
US7967018B2 (en) * 2007-11-01 2011-06-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s for sculpting cigarettes, and associated apparatuses
US8186359B2 (en) 2008-02-01 2012-05-2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ystem for analyzing a filter element associated with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ES2420685T5 (es) 2008-05-21 2017-02-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arato y método asociado para formar un componente de filtro de un artículo para fumar y artículos para fumar fabricados a partir del mismo
US8613284B2 (en) 2008-05-21 2013-12-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ilter comprising a degradable fiber
US8079369B2 (en) 2008-05-21 2011-12-2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of forming a cigarette filter rod member
KR101050100B1 (ko) * 2008-06-26 2011-07-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연소 강하제를 처리한 궐련지와 이를 포함하는화재안전 담배
US20100059074A1 (en) * 2008-09-05 2010-03-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Inspection System for a Smoking Article Having an Object Inserted Therein, and Associated Method
US8308623B2 (en) * 2008-10-28 2012-11-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enhancing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20100108081A1 (en) * 2008-10-31 2010-05-06 Leigh Ann Blevins Joyce Filtered cigarette with flavored tipping material
US20100108084A1 (en) * 2008-10-31 2010-05-06 Norman Alan B Filtered cigarette with diffuse tipping material
US8522515B2 (en) * 2009-01-26 2013-09-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cigarette packages
GB0903136D0 (en) * 2009-02-25 2009-04-0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moking articles
US8262550B2 (en) 2009-03-19 2012-09-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inserting objects into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DE102009016499A1 (de) 2009-04-08 2010-10-21 Hauni Maschinenbau Ag Verfahren zur optischen Kontrolle eines Umhüllungspapierstreifens der Tabak verarbeitenden Industrie
CN102469833B (zh) * 2009-07-07 2014-01-22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烟用卷纸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US8808153B2 (en) * 2009-07-14 2014-08-19 Aiger Group Ag Apparatus for assembly of multi-segment rod-like articles
US9220297B2 (en) 2009-08-07 2015-12-2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aterials,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8434498B2 (en) 2009-08-11 2013-05-0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Degradable filter element
US20110108042A1 (en) * 2009-11-10 2011-05-12 Philip Morris Usa Inc. Registered banded cigarette paper, cigaret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997755B2 (en) 2009-11-11 2015-04-0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 element comprising smoke-altering material
US9131730B2 (en) 2010-01-07 2015-09-15 Aiger Group Ag System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of different objects in rod shaped articles
US8760508B2 (en) 2010-01-13 2014-06-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ed smoking article insp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10180084A1 (en) 2010-01-27 2011-07-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orming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US9445627B2 (en) 2010-04-23 2016-09-2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rod manufacturing apparatus
US20110271968A1 (en) 2010-05-07 2011-11-10 Carolyn Rierson Carpenter Filtered Cigarette With Modifiable Sensory Characteristics
US8950407B2 (en) 2010-06-30 2015-02-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Degradable adhesive compositions for smoking articles
US20120017925A1 (en) 2010-06-30 2012-01-26 Sebastian Andries D Degradable cigarette filter
US20120000480A1 (en) 2010-06-30 2012-01-05 Sebastian Andries D Biodegradable cigarette filter
US20120000481A1 (en) 2010-06-30 2012-01-05 Dennis Potter Degradable filter element for smoking article
WO2012012053A1 (en) 2010-06-30 2012-01-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Biodegradable cigarette filter
US8720450B2 (en) 2010-07-30 2014-05-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 element comprising multifunctional fibrous smoke-altering material
US8622882B2 (en) 2010-09-27 2014-01-07 Aiger Group A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on of capsules into filter tows
US8475348B2 (en) 2010-09-28 2013-07-02 Aiger Group A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of multi-segment rod-like articles
US20120120229A1 (en) 2010-11-16 2012-05-1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package insp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102199902B (zh) * 2011-05-13 2014-02-12 民丰特种纸股份有限公司 一种低引燃倾向性卷烟纸及制备方法
WO2012160628A1 (ja) * 2011-05-20 2012-11-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低延焼性シガレット及びその製造のための包材
US8973588B2 (en) 2011-07-29 2015-03-1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Plasticizer composition for degradable polyester filter tow
JP5347002B2 (ja) * 2011-09-22 2013-11-20 ミカエル イ コスタス アンド ミカエル ソシエダット アノニマ 自己消火巻きタバコ用の巻き紙の製造方法
US10064429B2 (en) 2011-09-23 2018-09-0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ixed fiber product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US20130085052A1 (en) 2011-09-29 2013-04-04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Inserting Microcapsule Objects into a Filter Element of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8831764B2 (en) 2011-10-17 2014-09-09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package cod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JP5762568B2 (ja) * 2011-12-21 2015-08-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紙管および、これを用いた香味吸引具
US20130167849A1 (en) 2011-12-28 2013-07-04 Balager Ademe Method of tipping for smoking article
US20130167851A1 (en) 2011-12-28 2013-07-04 Balager Ademe Method of filter assembly for smoking article
US9854833B2 (en) 2012-02-16 2018-01-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orming a filter component of a smoking article
US9179709B2 (en) 2012-07-25 2015-11-1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Mixed fiber sliver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igarette filter elements
AT513412B1 (de) 2012-09-17 2014-07-15 Tannpapier Gmbh Mundstückbelagspapier
WO2014059286A1 (en) 2012-10-11 2014-04-17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Wrapper having reduced ignition proclivity characteristics
EP2845499B1 (en) * 2012-10-31 2019-10-16 Japan Tobacco, Inc. Paper tube manufacturing machine,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paper tube manufactured by said manufacturing method
US9664570B2 (en) 2012-11-13 2017-05-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ystem for analyzing a smoking article filter associated with a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9019500B2 (en) 2012-12-28 2015-04-28 Altria Client Services Inc. Heat lamp test for identification of oil spots
US20150157052A1 (en) * 2013-12-05 2015-06-11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US9844232B2 (en) 2014-03-11 2017-12-1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insp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10063814B2 (en) 2014-03-12 2018-08-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package insp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WO2016028566A1 (en) 2014-08-20 2016-02-2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eam-sealing adhesive applic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20160073686A1 (en) 2014-09-12 2016-03-17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filter element
JP6310829B2 (ja) * 2014-09-24 2018-04-11 株式会社東芝 ラベル処理装置及びラベル処理プログラム
US20160120213A1 (en) 2014-10-31 2016-05-0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 product component recovery system
KR101796661B1 (ko) 2016-01-21 2017-11-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 위치 보정 제어장치 및 방법
US10492522B2 (en) 2017-05-03 2019-12-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Flavored menthol-containing objects for application to smoking article components
US11388927B2 (en) 2018-04-05 2022-07-19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filter object inser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CN108729302A (zh) * 2018-05-25 2018-11-02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软包硬化烟包纸及其制作方法
US11033049B2 (en) 2018-08-01 2021-06-1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pparatus for recovering tobacco material and related method
CN109215048B (zh) * 2018-09-21 2021-05-0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基于机器视觉的烟丝长度确定方法及系统
US11397175B2 (en) 2020-01-27 2022-07-2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a paper web wound on a bobbin
US11533946B2 (en) 2020-06-22 2022-12-27 R. J. Reynolds Tobacco Co.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characteristic of a smoking article
DE102020134003A1 (de) * 2020-12-17 2022-06-23 Hauni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b- oder rohrförmigen Artike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02594D0 (en) * 1983-01-31 1983-03-02 Gallaher Ltd Smoking rod wrapper
JPS59151880A (ja) * 1983-02-04 1984-08-30 ハウニ−ウエルケ・ケ−ルベル・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ける棒状物品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DE3631227C2 (de) * 1986-09-13 1994-09-01 Hauni Werke Koerber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Zigaretten
US4739775A (en) 1986-09-26 1988-04-26 Kimberly-Clark Corporation Wrapper constructions for self-extinguishing and reduced ignition proclivity smoking articles
DE3725364A1 (de) * 1987-07-31 1989-02-09 Hauni Werke Koerber & Co K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ilden eines stranges aus fasern von tabak oder einem anderen rauchfaehigen material
EP0483998A1 (en) * 1990-10-30 1992-05-06 Philip Morris Products Inc. Wrapper making process for smoking articles
US5263999A (en) * 1991-09-10 1993-11-23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article wrapper for controlling burn r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450863A (en) * 1992-03-18 1995-09-19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article wrapp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820998A (en) * 1994-03-08 1998-10-13 Schweitzer-Mauduit International, Inc. Coated pap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6020969A (en) * 1997-07-11 2000-02-01 Philip Morris Incorporated Cigarette making machine including band inspection
ES2271059T3 (es) * 2000-08-29 2007-04-16 Japan Tobacco Inc. Metodo de fabricacion de un articulo para fumar con baja propagacion de fuego.
PT2127544E (pt) * 2000-11-13 2012-09-24 Schweitzer Mauduit Internat Invólucro em papel e artigo de fumar com propriedades de tendência de ignição reduzida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93B1 (ko) * 2011-11-08 2013-02-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저발화성 궐련지 가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발화성 궐련지 제조 장치
WO2013069869A1 (en) * 2011-11-08 2013-05-16 Kt & G Corporation Device of processing low ignition propensity cigarette paper and device of manufacturing low ignition propensity cigarette paper including the same
RU2573812C1 (ru) * 2011-11-08 2016-01-27 КейТи энд Дж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игаретной бумаги с низкой горючестью и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игаретной бумаги с низкой горючесть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329165T3 (da) 2006-03-06
EP1329165A1 (en) 2003-07-23
US6904917B2 (en) 2005-06-14
CN1248605C (zh) 2006-04-05
WO2002019848A1 (fr) 2002-03-14
KR100498622B1 (ko) 2005-07-01
ATE315340T1 (de) 2006-02-15
AU2001284488A1 (en) 2002-03-22
DE60116641D1 (de) 2006-04-06
CA2421717A1 (en) 2003-03-07
US20030150466A1 (en) 2003-08-14
ES2256287T3 (es) 2006-07-16
DE60116641T2 (de) 2006-08-10
EP1329165A4 (en) 2004-12-08
EP1329165B1 (en) 2006-01-11
CN1452463A (zh) 2003-10-29
JP3782394B2 (ja) 2006-06-07
CA2421717C (en) 200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8622B1 (ko) 저연소성 담배 제조방법 및 저연소성 담배 제조장치
KR100524295B1 (ko) 저연소성 끽연물품의 제조방법
KR880000723B1 (ko) 담배봉 포장지
RU2542548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US7281540B2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75548B2 (e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117871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40118417A1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40118416A1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20040122547A1 (en) Equip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cigarettes
US7275549B2 (en) Garniture web control
JP2010239966A (ja) たばこ加工産業の被覆紙テープの光学的検査方法
US20200187552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fetch an end portion of a sheet of material wound in a bobbin
JP4257851B2 (ja) 低延焼性シガレット用巻紙、この巻紙を用いたフィルタシガレットおよびこの巻紙の製造方法
JP2006211901A (ja) 巻紙検査装置及びたばこ巻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