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871A - 위성위치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성위치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871A
KR20030023871A KR1020027016826A KR20027016826A KR20030023871A KR 20030023871 A KR20030023871 A KR 20030023871A KR 1020027016826 A KR1020027016826 A KR 1020027016826A KR 20027016826 A KR20027016826 A KR 20027016826A KR 20030023871 A KR20030023871 A KR 2003002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fixed
data
station
proces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사카고지
모리마사카즈
사카키가즈유키
다카스겐이치
고바야시유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붓산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붓산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filed Critical 미쓰이 붓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4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carrier phase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3Determining position using carrier phase measurements, e.g. kinematic positioning; using long or short baseline interferometry
    • G01S19/44Carrier phase ambiguity resolution; Floating ambiguity; LAMBDA [Least-squares AMBiguity Decorrelation Adjustment]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GPS위치측정시스템이,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위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소정의 위치좌표를 가지고 있으며,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고정국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및 복수의 고정국에 통신에 의해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위치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고정국의 참조위치측정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가진다. GPS 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가,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위치좌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국에서의 위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인터페이스와, 위치좌표가 이미 알려진 지점에 고정되어,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고정국에서의 위치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통신인터페이스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고정국중에서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위성위치측정시스템{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PS에서의 키네마틱(Kinematic) 위치측정이란, 한 쌍의 안테나와 수신기를 기지(旣知)의 위치좌표인 참조지점에 고정적으로 배치하고, 또 다른 쌍의 이동가능 한 안테나 및 수신기에 의해 다수의 측정지점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단시간에 측정해 나가는 측량방식이다.
이 키네마틱 위치측정의 발전형으로서, 실시간 키네마틱 위치측정(이후, RTK (Real-time Kinematic positioning)라고 한다)이 있다. RTK는, 측정결과인 위치를 실시간에 얻을 수 있는 위치측정방법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RTK에서는, 우선, 좌표가 기지의 참조지점에, 안테나 및 수신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고정국(A,B,C)을 배치하고, 안테나 및 수신기로 이루어지는 이동국(5)을 차례로 이동하면서 측정해 나간다.
RTK는, 고정국(A,B,C) 및 이동국(5)에서 동시에 복수의 위성(11)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고정국(A,B,C)에서 얻어진 위치측정데이터를 참조하고, 이동국(5)에서의 위치측정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바로 고정국(A,B,C)의 기지점으로부터 이동국(5)의 측정지점까지의 상대좌표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정정밀도를 유지하는 데에, 이동국(5)이 소정의 고정국(A,B,C)을 참조할 수 있는 범위(이후, 고정국 참조범위라고 한다)는, 그 고정국(A,B,C)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약 10km 정도의 범위가 된다. 이것은, 고정국(A,B,C)과 이동국(5)의 거리가 너무 지나치게 멀어져 버리면, 해석시의 정밀도에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쌍방으로 동시에 수신하는 위성(11)으로부터의 전파가 지상에 도달할 때까지 통과하는 전리층이나 대기의 상태가 크게 달라져 버려, 해석시의 정밀도에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고정국(A,B,C)에서의 위치측정 데이터를 이동국(5)에서 참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국(A,B,C)에서 이동국(5)으로 위치측정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지만, 이 송신을 위해, 고정국으로부터 특정주파수의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고정국(A,B,C)에 송신수단[예를 들면, 주파수 400MHz, 출력 10mW 정도의 송신기(21)]을 구비함으로써, 위치측정데이터를 항상 송신하고 있었다. 이동국(5)쪽에는, 이 송신기(21)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용의 수신기(22)를 장치함으로써, 이 송신된 위치측정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게 하고 있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기술적인 면에서의 RTK에 있어서의 고정국(A,B,C)을 이동국(5)이 참조할 수 있는 범위는 반경 10km이지만, 무선의 전파가 닿는 범위, 즉 송신기(21)의 유효출력범위는, 법률에 의한 규제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정국(A,B,C)을 중심으로 반경 1km정도이다.
따라서, 고정국(A,B,C)에서 1km이상 떨어진 지점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는, 무선의 중계국(도시하지 않음)을 새롭게 설치하여, 고정국(A,B,C)으로부터의 위치측정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위치측정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무선의 주파수는, 각 고정국 (A,B,C)에서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었다. 이것은, 송신주파수가 같으면, 측정점이 고정국 참조범위의 경계부분, 또는 그 근방에 해당하는 경우, 고정국(A,B,C)을 구별(특정)하는 것이 곤란하고, 오측정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참조해야 할 고정국(A,B,C)이 다른 경우에는, 소정의 고정국(A,B,C)의 송신주파수로, 이동국(5)의 수신주파수를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통상적으로는, 측정작업계획을 참조하여 미리 측정지점에 적합한 고정국(A, B,C)을 선택하여, 측정작업 전에 주파수를 조정하지만, 이 경우, 측정하는 지점에 따라 다른 고정국(A,B,C)을 참조해야만 한다. 그리고, 측정점의 현재지와 고정국 (A,B,C)의 위치, 더욱이 위치측정데이터의 수신상황 등도 고려하면서, 참조 가능한 고정국(A,B,C)의 수신주파수의 수신상태를 측정자가 적절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항상 현재위치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한편, 무선의 경우, 고정국(A,B,C)에서 이동국으로의 한 방향 통신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측정결과는 이동국(5)쪽에서 기억되기 때문에, 이동국(5)의 기억 용량에 의해 측정작업이 한정된다.
측정결과를 맵 등에 가공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측정작업이 종료한 후에, 이동국(5)으로부터 측정결과를 추출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위치좌표를 구할 수 있는 GPS위치측정시스템(위성위치측정시스템)과 GPS위치측정(위성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국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RTK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내는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RTK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데이터서버에 있어서의 처리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도 6은, 원하는 고정국을 거리에 따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원하는 고정국을 지역에 따라 선택하는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간편하게 위치측정할 수 있는 GPS위치측정시스템(위성위치측정시스템)과 GPS위치측정(위성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예시하면, 상기에 게재한 각 청구항의 기재와 같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위성위치측정시스템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GPS위치측정시스템(위성위치측정시스템)은, 적어도 1개의 이동국(5)과, 복수의 고정국(A,B)과, 그들 이동국(5) 및 고정국(A,B)이 통신수단(4,8)에 의해 접속된 연산처리장치[바람직한 예는 데이터서버(3)]를 가진다.
GPS위치측정(위성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3)는, 중앙연산처리부(31), 기억부 (32), 통신인터페이스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고정국(A,B)의 각각으로부터의 위치측정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통신인터페이스(9)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5)과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를 구비한다.
제 1 통신인터페이스(9)는, 고정국(A,B)에서 통신수단(4)을 통해 보내지는 위치측정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서, 위치측정데이터란, 위성측량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는 포맷 데이터, 예를 들면, 수신 데이터, 또는 해석후의 위치정보 등, 취급될 가능성이 있는 데이터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위치측정데이터는, 바이너리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고정국(A,B)은, 통례, 위치좌표가 기지(旣知)인 지점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위성(11)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설치위치에 관한 위치측정 데이터를 얻고 있다.
이 고정국(A,B)에는, 측정한 위치측정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4)이 구비되어 있고,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위치측정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제 1 통신인터페이스(9)에 있어서의 통신수단(4)은, 고정국(B)이 기지의 위치에 고정배치되어 있는 것과, 위치측정데이터를 고속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 1 통신인터페이스(9)에 있어서의 통신수단(4)은, WAN이나 전용선 등의 상시 접속된 회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신수단(4)으로는, 일반적으로는 위성(11)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와 기지의 좌표를 조합시킨, CMR라고 하는 데이터형식으로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CRM데이터는, RTK에 있어서의 이동국(5)의 보정데이터로도 불린다.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는, 이동국(5)과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외부 인터페이스(33)는 인터넷 등에 접속되는 것이다.
수신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이동국(5)은 위성(11)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측정데이터를 얻는다. 그 위치측정데이터는, 이동국(5)에 구비된 통신수단에 의해 송신된다. 또한, 이동국(5)은, 그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한 간이한 방법으로 계산된 위치정보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해석에 사용하는 적절한 고정국(A,B,C)에서의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한 보정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제 2 통신인터페이스(9)에 있어서의 통신수단(8)은, 이동국(5)이 측량범위 내를 이동하면서 측정하기 때문에, 휴대전화, PHS나 무선 LAN 등의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수단(쌍방향통신수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말하면, 통신수단(8)으로서 고속인 통신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동국 (5)에서의 해석시의 타임 래그(Time Lag)를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중앙연산처리부(31)는,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를 통해 얻어진 이동국(5)의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이 이동국(5)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고정국(A 또는 B)을 선택하여, 선택한 고정국(A 또는 B)의 위치측정데이터, 또는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한 보정정보를 이동국(5)으로 송신한다.
기억수단(32)은, 중앙연산처리부(31)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외에, 이동국 (5)으로부터 수신한 각종 데이터, 측정자, 이용자에 관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유연하게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억수단(32)은, 고정국(A,B,C)의 위치정보, 수신하는 위치측정데이터, 이동국(5)으로부터의 위치측정데이터, 혹은 위치정보 외에, 측량작업범위, 이동국(5)에 있어서의 환경정보 등도 기억하여, 나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국(A,B,C)은, 수신용의 안테나(41)와, 수신기(42)와, 위치측정데이터를 데이터서버(3)에 송신하는 데이터회선장치(43)를 가진다.
이동국(5)은, 수신용의 안테나(6)와, 수신기(7)와, 데이터서버(3)에 쌍방향통신가능한 통신수단(44)(또는 통신수단을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또, 이들 장비품은, 조작자가 운반 가능하도록 휴대성을 가지고 있으며, 배터리를 전원으로서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로서는 화학이차전지가 일반적이지만, 안정된 출력과 수명 때문에 전기 2중층 커패시터에 의한 물리전지 (Energy capacitor System)가 성능열화도 적고 바람직하다.
또한, 안테나(6)는, 측정점 상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을 검지할 수 있는 기포관(Bubble tube)을 가지며, 하단을 뾰족하게 하고, 상단에 안테나(6)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막대형상부재(10)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막대형상부재(10)의 하단을 측정점에 두고, 기포관 등에 의해 수직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안테나(6)를 측정점의 위쪽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면은, 데이터서버(3)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적인 측량작업의 예를 예시하여 기술한다.
고정국(A,B)은, 수신용의 안테나(1)와, 수신기(2)와, 위치측정데이터를 데이터서버(3)에 송신하는 데이터회선장치(4)를 구비한다.
이동국(5)은, 수신용의 안테나(6)와, 수신기(7)와, 데이터서버(3)에 쌍방향통신가능한 통신수단(8), 또는 통신수단(8)을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9)를 구비한다. 한편, 이들 장비는 조작자가 운반 가능하도록 휴대성을 가지고 있으며, 배터리를 전원으로서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동국(5)의 안테나(6)는 측정점 상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을 검지할 수 있는 기포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하단을 뾰족하게 하고, 상단에 안테나(6)를 장착할 수 있게 한 막대형상부재(10)에 부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막대형상부재(10)의 하단을 측정점에 두고, 기포관 등에 의해 수직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안테나(6)를 측정점의 위쪽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예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측량작업에 대하여 기술한다.
(1) 이동국(5)의 초기화와 설정을 한다.
일반적인 키네마틱 측량의 작업순서에 의해, 이동국(5)을 기준지점에 배치하여 초기화작업을 한다.
이 때, 구비된 통신수단(8)에 의한, 서버(3)와의 제 2 통신인터페이스(9)와의 통신의 설정, 통신상태의 확인 등을 한다.
(2) 측정계획을 기초로 하여 이동국(5)을 이동하면서, 위성(11)으로부터의 단파를 수신하면서 단독위치측정을 한다. 이 단독위치측정으로 얻은 위치좌표정보는, 통례, 기본적으로 20m ∼ 100m의 오차를 가진다.
이동국(5)은 이 단독위치측정으로 얻어진 위치측정데이터를 통신수단(8)에 의해 데이터서버(3)로 송신한다.
이 때, 이동국(5)으로부터 보내지는 위치측정데이터는 GPS에서 표준화된 NMEA라고 하는 형식(Format)으로 송신된다.
(3) 이동국(5)으로부터 송신된 위치측정데이터는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를 통해 데이터서버(3)에 수신된다.
데이터서버(3)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9)와 데이터 회선장치(4)를 통해, 복수의 고정국(A,B)으로부터, 위성(11)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얻은 참조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다. 이 참조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수신데이터와 고정국(A,B)의 위치좌표를 합한 "CRM"형식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서버(3)는, 이동국(5)으로부터의 위치측정 데이터에 있어서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이동국(5)의 현재위치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국 A 또는 B를 선택한다.
데이터서버(3)는 고정국(A 또는 B)을 선택하면, 선택한 고정국(A 또는 B)에서 제 1 통신인터페이스(9)를 통해 수신한 참조데이터를, 위치해석시의 보정정보로서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를 통해 이동국(5)으로 송신한다.
(4) 이동국(5)은, 데이터서버(3)로부터 송신된 적절한 고정국(A,B)으로부터의 참조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독위치측정으로 얻은 위치측정데이터와 함께 해석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하여, 엄밀한 위치정보를 얻는다.
이 보정에 의해, 10mm 전후의 위치측정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결과는 이동국(5)에 구비된 기억수단(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여, 작업종료 후에 다른 장소에서 맵의 작성 등의 처리를 한다. 또한, 이동국(5)의 통신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데이터서버(3)(또는 다른 위치측정결과를 처리 가능한 장소)로 송신하여도 좋다.
다음은, 데이터서버(3)가 이동국(5)에 대하여 최적의 고정국(A 또는 B)을 선택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거리에 의한 선택에 대하여 기술한다.
수신한 이동국(5)의 위치좌표데이터와, 복수의 고정국(A,B)이 설치된 기지의 위치좌표로부터, 이동국(5)과 각 고정국(A,B) 사이의 거리를 각각 구하여, 그 중에서 가장 거리가 짧은 고정국(A 또는 B)을 선택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국(5)이 단독위치측정으로 얻은 위치좌표데이터를 M1(X1,Y1,Z1)로 한다.
복수의 고정국(A,B,C)의 기지의 위치좌표를 하기와 같이 한다.
고정국 A:FA(XA,YA,ZA)
고정국 B:FB(XB,YB,ZB)
고정국 C:FC(XC,YC,ZC)
이 때, 이동국(5)과 고정국(A)의 거리를 거리 LA로 하면,
가 된다. 고정국(B,C)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 거리 LB 및 거리 LC를 구하여 가장 값이 작은, 즉 이동국(5)과 가장 거리가 가까운 고정국(A, B 또는 C)을 선택한다.
연속측정 중에, 정기적으로 이동국(5)과 복수의 고정국(A,B,C)과의 거리를 산출하여, 만약 직선거리가 짧은 고정국(A, B 또는 C)이 그 외에 나타나면, 이동국 (5)과의 관련을 변경하여, 이후 새로운 고정국(A, B 또는 C)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지역에 따른 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고정국(A,B,C)에 관해서, 참조 가능한 지역(Ea,Eb,Ec)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이동국(5)의 현재위치가 포함된 지역(Ea,Eb,Ec)에 따라서 고정국(A, B 또는 C)을 선택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정국마다 참조 가능한 지역(Ea,Eb,Ec)을 미리 설정한다.
기본적으로 고정국(A,B,C)에서 반경 10Km의 원형의 지역(Ea,Eb,Ec)이 되지만, 이들 지역(Ea,Eb,Ec)이 겹치는 경우, 그 지점의 환경 등에 의해 참조하는 고정국(A, B 또는 C)을 1개 선택해 둔다.
이동국(5)으로부터, 위치좌표 데이터가 보내져 오면, 데이터서버(3)는 이 위치좌표가 어떤 지역(Ea,Eb,Ec)에 해당하는지를 구한다. 그 결과, 이동국(5)이 해당하는 지역(Ea,Eb,Ec)에 따라 참조하는 고정국(A, B 또는 C)이 선택되고, 데이터서버(3)는 선택한 고정국(A, B 또는 C)으로부터의 참조데이터를 제 2 통신인터페이스(9)를 통해 이동국(5)으로 송신한다.
상기 지역(Ea,Eb,Ec)에 관해서는, 위치측정작업을 하는 지역과 관련지어지는 것으로, 작업자가 지역을 인식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 고정국(A,B,C)의 선택은, 소정 시간마다 하거나, 또는 미리 시간을 정해 두고, 정기적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일반적인 측정작업에서의 이동속도로는, 참조해야 할 고정국(A,B,C)은 빈번히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이동국에서의 단독위치측정정보는, 이동국에서 항상 송신되어 오는 NMEA데이터(관측 데이터)중에, 10초에 1도(度)(설정에 따라 변경가능)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경우, 단독위치측정정보의 송신을 서버쪽에서 이동국으로 요구하는 일은 없다.
고정국의 선정기준에는, '직선거리'외에도'이 지역은 이 고정국'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현재위치를 의식하지 않고, 최적의 고정국을 참조할 수 있고, 고정밀도의 RTK위치측정이 가능해진다.
(2) 무선에 의한 송신에서 필요하였던, 조작자에 의한 무선의 수신주파수의 조정이 불필요해진다.
(3) 복수의 참조고정국 범위에 걸친 측정을 하는 경우에도, 사전준비를 요하지 않고 측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이동국의 위치측정시의 환경데이터(기상데이터 등)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위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소정의 위치좌표를 가지고 있으며,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고정국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및 복수의 고정국에 대하여 통신에 의한 접속이 이루어져,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서 송신되는 위치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고, 그 선택한 고정국의 참조위치측정 데이터를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가진 GPS위치측정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국은 각각의 위치좌표가 기지의 지점에 고정되어 있고, 이동국에서 연산처리수단으로 송신된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한 GPS위치측정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산처리수단이, 복수의 고정국 중에서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는 구성을 가진 GPS위치측정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산처리수단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참조위치측정 데이터가, 고정참조위치측정수단에 있어서의 위성으로부터의 수신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위치측정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에서 연산처리수단으로 송신되는 위치측정데이터가, 위성에서 수신한 수신데이터인 GPS위치측정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에서 연산처리수단으로 송신되는 위치측정데이터가, 이동국의 단독위치측정에 의해 얻어진 위치좌표데이터인 GPS위치측정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고정국이 변경되었을 때, 그 고정국의 변경을 전하는 신호가, 연산처리수단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위치측정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위치측정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복수인 경우, 연산처리수단은, 각 이동국마다 적절한 참조고정위치측정수단을 선택하는 구성을 가진 GPS위치측정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복수인 경우, 연산처리수단은, 각 이동국에 적절한 고정국으로부터의 참조위치측정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을 가진 GPS위치측정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안테나와 수신기가 이동가능한 키네마틱 위치측정용 이동국인 GPS위치측정시스템.
  12. 위치좌표가 기지의 지점에 고정되고,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고정국에서의 위치측정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인터페이스와,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위치좌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국에서의 위치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2 통신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위치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고정국 중에서 적절한 고정국을 선택하는 연산처리수단을 가진 GPS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선택된 고정국으로부터의 참조위치측정데이터를, 연산처리수단에서 제 2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GPS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인터페이스는, 쌍방향통신이 가능한무선통신수단인 GPS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안테나와 수신기가 이동가능한 키네마틱 위치측정용 이동국인 GPS위치측정용 데이터서버.
KR1020027016826A 2001-04-11 2002-04-10 위성위치측정시스템 KR20030023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2863 2001-04-11
JP2001112863A JP2002311124A (ja) 2001-04-11 2001-04-11 衛星測位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871A true KR20030023871A (ko) 2003-03-20

Family

ID=1896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26A KR20030023871A (ko) 2001-04-11 2002-04-10 위성위치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44474A1 (ko)
EP (1) EP1378761A1 (ko)
JP (1) JP2002311124A (ko)
KR (1) KR20030023871A (ko)
CN (1) CN1461416A (ko)
WO (1) WO2002084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331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제이콤 원격 지피에스 수신장치
JP2004333254A (ja) * 2003-05-06 200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地面測位装置
DE102004005152A1 (de) * 2004-02-03 2005-08-18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gabe von Positionsdaten an ein mobiles Endgerät
US7176835B2 (en) * 2005-01-28 2007-02-13 Motorola, Inc. Selecting an optimal antenna in a GPS receiver and methods thereof
JP4965149B2 (ja) 2006-03-31 2012-07-04 株式会社トプコン Rtk−gps測位システム
JP4912739B2 (ja) * 2006-05-16 2012-04-11 株式会社トプコン Rtk−gps測量システム
JP5060831B2 (ja) * 2007-05-30 2012-10-31 中日本航空株式会社 路面高測定方法
JP5028287B2 (ja) * 2008-01-28 2012-09-1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Gpsデータ処理装置
CN102540228B (zh) * 2012-03-02 2015-09-16 重庆九洲星熠导航设备有限公司 一种单频gps高精度单点定位系统及方法
TW201431343A (zh) * 2013-01-31 2014-08-01 Chunghwa Telecom Co Ltd 認證系統及認證方法
JP6431467B2 (ja) * 2014-11-18 2018-11-28 ネムコ株式会社 変位監視システム及び変位監視方法
JP2016194417A (ja) * 2015-03-31 2016-11-17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位置情報把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把握方法
JPWO2017122253A1 (ja) * 2016-01-15 2018-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Gnss補正データ配信装置、gnss補正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gnss補正データ配信方法
JP6634142B1 (ja) * 2018-11-30 2020-01-22 Ales株式会社 測位システム、サーバ、測位方法、測位対象の装置及び移動体
JP7311461B2 (ja) * 2020-05-21 2023-07-19 Kddi株式会社 連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9815B2 (ja) 2020-08-21 2024-03-14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測位装置、作業車両、測位方法、及び測位プログラム
JP2021073449A (ja) * 2021-01-05 2021-05-13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基準局
CN115184863B (zh) * 2022-09-13 2023-01-24 北京易控智驾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322A (en) * 1992-03-05 1994-06-21 Trimble Navigation Limited Networked differential GPS system
JPH0712918A (ja) * 1993-06-28 1995-01-17 Sokkia Co Ltd Gps測量システム
US5519620A (en) * 1994-02-18 1996-05-21 Trimble Navigation Limited Centimeter accurate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for on-the-fly real-time kinematic measurement and control
US5935194A (en) * 1994-02-18 1999-08-10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for using external constraints to improve the speed and reliability of phase ambiguity resolution in real-time kinematic initialization
JP3209090B2 (ja) * 1996-05-22 2001-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US5936573A (en) * 1997-07-07 1999-08-10 Trimble Navigation Limited Real-time kinematic integrity estimator and monitor
US6061632A (en) * 1997-08-18 2000-05-09 Trimble Navigation Limited Receiver with seamless correction capacity
JP3296261B2 (ja) * 1997-09-02 2002-06-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情報提供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125278A (en) * 1998-07-27 2000-09-26 Wieczorek; Alfred A. Method for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subscriber transmission history
US6507738B1 (en) * 1999-05-21 2003-01-14 Trimble Navigation, Ltd. Long baseline RTK using a secondary base receiver a non-continuous data link and a wireless internet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11124A (ja) 2002-10-23
WO2002084321A1 (fr) 2002-10-24
US20040044474A1 (en) 2004-03-04
EP1378761A1 (en) 2004-01-07
CN1461416A (zh) 200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3871A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KR100910890B1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EP2149227B1 (en)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by using beacon
CN102778685B (zh) 协作定位
KR101019717B1 (ko) 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gps 측량시스템
CN101071168B (zh) 双模位置标定系统
KR101247964B1 (ko) 비콘을 이용한 전파식별 리더의 위치 측정 방법 및 그를 위한 전파식별 시스템
KR100984688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입력을 통한 소형 기지국의 위치 설정 장치 및 방법
RU2004126968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в кинематическом режиме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CN108696931B (zh) 基于移动通信网络的定位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413161A1 (en) Indoor-outdoor dual-use high precision positioning system
CN112526483A (zh) 一种融合空间定位的三维激光扫描设备及其定位定向方法
CN102547974A (zh) 一种分层异构无线协同定位方法
CN101615946B (zh) 一种在td-scdma系统中校准gps标准时间的方法与装置
US20090201200A1 (en) Positioning method, positioning arrangement, bear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be used in a positioning system
CN207675158U (zh) 一种基于光学测距的倾斜测量装置
KR101183653B1 (ko) 스마트폰 및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착탈식 디지피에스 측량시스템
CN104581850B (zh) 无线通信网络中有效避免乒乓效应的基站切换控制方法
KR101723120B1 (ko) 실내 공간에서의 위치 안내 방법
JP2012010294A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情報取得方法及び中継装置情報表示方法
Raja et al. We know where you are [cellular location tracking]
CN215768991U (zh) 一种融合空间定位的三维激光扫描设备
CN110839276A (zh) 一种定位方法、装置和通信设备
US20210116557A1 (en) Radio-Based Object Detection
JP2003194912A (ja) 測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