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048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048A
KR20030022048A KR1020020053433A KR20020053433A KR20030022048A KR 20030022048 A KR20030022048 A KR 20030022048A KR 1020020053433 A KR1020020053433 A KR 1020020053433A KR 20020053433 A KR20020053433 A KR 20020053433A KR 20030022048 A KR20030022048 A KR 20030022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pattern
needles
needle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사 요코미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04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with mechanisms for needle-bar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복수의 봉제패턴을 프로그램 재봉할 때 임의로 전환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복수의 바늘 이동 패턴(30∼33)이 소정의 순서로 봉제되어 프로그램 재봉이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데이터의 각 STEP1∼4는, 각 바늘 이동 패턴에 대응되는 데이터(50)와 그 패턴을 종료시키는 종료조건(51)으로 이루어진다.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은 설정 바늘 수까지 봉제되었을 때(53), 천 단부 센서 혹은 조작 스위치 등의 외부입력(52)이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 종료되고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바늘 수의 설정 혹은 외부입력에 의해 봉제 패턴을 전환하여 프로그램 재봉할 수 있으므로, 봉제물에 맞는 봉제 패턴의 전환이 이루어져 외관이 미려한 봉제로 완성할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 특히 복수의 봉제패턴(바늘 이동 패턴)을 소정 순서로 프로그램 재봉할 수 있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바늘 이동 재봉기에서 복수의 바늘 이동 패턴을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프로그램 재봉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10(A)은, 각종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1∼4)와, 이들 바늘 이동 패턴을 데이터 2, 4, 1, 3의 순서로 연결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나타내며, 프로그램 재봉은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늘 이동 재봉기에서 바늘의 이동은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에 근거하여 바늘 이동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되며, 천은 재봉기의 기계적 기구에 의해 이송된다. 따라서, 각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는 도10(B)와 같이 바늘 낙하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 내용은, 바늘 낙하의 순번을 결정하는 「nNo.」, 그 때의 바늘 낙하 위치「n position」, 바늘 이동과 동시에 천의 이송을 결정하는 「이송방향」의 3개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각 데이터의 설정범위는 「nNo.」가 1∼64까지의 값을 가지며, 「n position」은 0.0을 중심으로 ±5.0의 값을 갖고, 「이송방향」은 정방향 이송(F)과 역방향 이송(B)의 데이터로 되어 있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작성할 경우, 각 패턴 데이터를 STEP마다 배열하는 처리를 하여 데이터를 작성한다. 각 STEP1∼4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조건, 즉 1개의 바늘 이동 패턴의 재봉을 종료시키는 조건은, 정지 모드와 연속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여 정지가 선택된 경우에는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에 따른 봉제를 종료하면 재봉기는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연속이 선택된 경우에는 재봉기는 정지하지 않고 다음의 STEP으로 이행하며, 최종 STEP이 종료됐을 경우에는 다시 STEP1로 되돌아가 이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천의 이송은 천과 이송 톱니 등의 기계기구와의 마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 소재의 차이나 재봉속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이송오차로 인해 각 패턴의 바늘 수의 봉제 종료위치가 원하는 봉제위치와 달라지고 마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프로그램 재봉에서는 각 패턴의 바늘 수의 봉제 종료에 의해서만 패턴을 종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봉제위치에서 다음 단계의 봉제패턴으로의 전환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프로그램 재봉에서는 1STEP의 바늘 수를 패턴의 바늘 수로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2점 지그재그 패턴이나 3점 지그재그 패턴과 같은 반복패턴에 의해 1STEP분의 바늘땀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는 프로그램의 작성 시에 각 단계를 구성하는 바늘 땀 길이만큼 동일한 패턴 데이터를 반복 입력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효율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입력작업의 부담이 커지게 되었다. 또한, 작성된 패턴을, 예컨대 2점 지그재그에서 3점 지그재그로 변경할 경우에도, 작업자는 최초부터 3점 지그재그 재봉의 데이터를 2점 지그재그로 작성된 패턴과 동일한 재봉 길이만큼 반복 입력해야만 하므로 이 또한 작업효율을 저하시켰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봉제 패턴을 전환하여 봉제하는 프로그램 재봉에 있어서, 임의의 봉제위치에서 실행중인 봉제 패턴으로부터 다음 봉제 패턴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패턴 입력작업의 효율화, 경감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바늘 이동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재봉기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조작패널의 각종 스위치, 표시기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5는 바늘 이동 패턴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 재봉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6은 1STEP의 데이터 내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7은 프로그램 재봉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설정하는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8은 프로그램 재봉을 실행하는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9는 외부입력을 종료조건으로 하여 프로그램 재봉했을 때의 패턴 재봉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10은 종래의 프로그램 재봉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 메인 모터 10 : 조작 패널
11 : 바늘 이동 모터20 : 페달 지령
21 : 제어장치21a : 재봉기 회전 제어부
21b : 바늘 이동 제어부21c : 바늘 수 계수수단
30∼33 : 바늘 이동 패턴52 : 외부입력
52a : 천 단부 지령수단52b : 조작지령수단
53 : 바늘 수 지령수단57 : 선택수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진 봉제 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패턴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된 봉제패턴중 복수의 봉제 패턴에 대해 실행순서를 설정하는 실행순서 설정수단과,
실행중인 봉제패턴을 상기 실행순서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다음의 봉제패턴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이행지령수단과,
상기 이행지령수단에 의해 이행지령이 출력될 때까지는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반복 실행하고, 이행지령이 출력되면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상기 다음의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부분에서 봉제 패턴을 전환할 수 있어 봉제물에 적합한 봉제패턴으로 전환되므로 완성된 봉제가 미려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진 봉제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패턴 기억수단과,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바늘 수를 계수하는 바늘 수 계수수단과,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총 바늘 수를 설정하는 총 바늘 수 설정수단과,
상기 계수된 바늘 수가 상기 총 바늘 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반복 실행하고, 상기 계수된 바늘 수가 상기 총 바늘 수에 도달하면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음의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도 채용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실행중인 봉제패턴에서 다음의 봉제패턴으로의 전환이, 봉제패턴을 구성하는 단위패턴의 바늘 수에 관계없이 설정된 총 바늘 수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2점 지그재그 패턴이나 3점지그재그 패턴과 같은 단위패턴의 데이터를 반복 입력할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한 번 작성한 패턴의 단위패턴을 변경할 때에도, 작업자는 단위패턴을 반복 입력할 필요가 없고, 총 바늘 수를 변경하지 않고도 원하는 단위패턴을 선택하거나 혹은 1패턴분만 작성, 변경하여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된 재봉기의 개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동 도면에 있어서 주축을 회전시키는 메인 모터(1)에 의해 바늘대(2)에 지지된 바늘(3)이 상하로 운동한다. 이 바늘(3)의 상하운동과 관련하여 바늘판(4)위에 천 이송장치의 이송톱니(도시생략)가 출몰하고, 이로 인해 누름판(5)에 의해 눌린 천이 이송하며, 천 이송장치와 협동하여 천에 바늘땀이 형성된다. 천의 봉제 이송량은 이송 눈금 다이얼(6)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재봉의 시작 혹은 종료 시에 이루어지는 고정 박기(stay stitching)는 콘덴스 눈금 다이얼(7)로 콘덴스 이송량을 설정하고, 그 설정한 이송량으로 이송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콘덴스 이송량은 정방향 이송량과 동일한 양의 역방향 이송량으로부터 제로로 설정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설정량으로서 미세 이송 또는 지그재그 박기 이송량이 설정된다. 이 경우, 박음질 레버(8)를 조작하거나 또는 고정 박기 재봉 시에 도시되지 않은 박음질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이송량을 전환함으로써 박음질할 수 있다. 또한, 도면 부호 9는 전원 스위치이고, 10은 후술되는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이다.
본 발명의 재봉기에는 도2에 도시된 바늘 이동 기구가 설치되며, 바늘(3)을지지하는 바늘대(2)는 바늘 이동 모터(가령, 스테핑 모터 혹은 서보 모터 ; 11)로 구동되는 링크기구(12)에 의해, 천 이송장치의 작용과 동기하면서 천 이송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2의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이로써 소정의 바늘 이동 패턴의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늘 이동 기구에는 바늘 이동 모터(1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차폐판(11a)을 검지하는 원점 센서(13)가 설치되어 바늘 이동 위치의 원점을 검출한다.
도3은 재봉기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재봉기에는 재봉기 회전제어부(21a)와 바늘 이동 제어부(21b)로 이루어지고 CPU로 구성되는 제어장치(제어수단;21)가 설치된다. 페달 지령(20)에 의해 재봉기 회전 제어부(21a), 재봉기 주축 구동회로(22)를 통해 메인 모터(1)가 구동되고, 이로 인해 재봉기의 주축이 구동되며 이송 톱니가 이른바 4이송 운동하여 이송 눈금 다이얼(6)로 설정한 이송량으로 천을 이송하는 동시에, 바늘(3)이 상하 운동하여 바늘땀을 형성한다. 싱크로나이저(23)는 주축 위치를 검출하여 1바늘의 바늘땀을 검출하는 동시에, 바늘(3)의 상하위치를 검출하고 그 신호는 재봉기 회전 제어부(21a) 및 바늘 이동 제어부(21b)로 입력된다. 바늘 이동 제어부(21b)는 바늘 이동 구동회로(25)를 통해 바늘 이동 모터(11)를 구동하며, 원점 센서(13)의 신호를 받아 바늘 이동 기구를 제어한다. 고정 박기할 때에는 박음질 솔레노이드(27)가 작동하여 콘덴스 눈금 다이얼(7)로 설정한 이송량이 된다.
조작 패널(10)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봉제패턴(바늘 이동 패턴)을 프로그램 봉제할 때, 각 봉제 패턴의 실행순서를 설정하거나(실행순서 설정수단), 1개의 봉제 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총 바늘 수를 설정하거나(총 바늘 수 설정수단), 재봉기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들 설정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일단 메모리(기억수단 ; 26)에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26)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진 봉제 패턴이 복수 기억되어 있고, 제어장치(21)는 조작패널(10)에서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메모리(26)로부터 판독되는 봉제패턴에 따라 재봉기 회전 제어부(21a)를 통해 재봉기의 메인 모터(1)를 제어하며, 바늘 이동 제어부(21b)를 통해 바늘 이동 모터(11)를 제어하여, 복수의 봉제 패턴을 소정의 순서로 봉제하며 프로그램 봉제를 실행한다.
재봉기에는, 천 단부 센서(24) 및 재봉기의 소정 부분 혹은 조작 패널(10)에 배치되는 조작 스위치(28)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장치(21)는 프로그램 재봉의 실행 시에 천 단부 센서(24) 혹은 조작 스위치(28)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실행중인 봉제 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다음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한다. 또한, 재봉기 회전 제어부(21a)에는 바늘 수 계수수단(21c)이 설치되어 있어, 봉제중인 패턴의 바늘 수가 상기 바늘 수 계수수단(21c)에 의해 계수되고, 그 계수된 바늘 수가 총 바늘 수 설정수단에서 설정한 총 바늘 수에 도달했을 경우에도, 제어장치(21)는 실행중인 봉제 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다음 봉제 패턴에 따라 봉제를 개시한다.
도4는 표시패널(10)에 배치된 각종 스위치 및 표시기가 도시되어 있고, 프로그램 재봉 스위치(48)는 프로그램 재봉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조작할 때마다 프로그램 재봉과 통상적인 재봉이 전환되며,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된 경우에는 LED(49)가 점등된다. 41은 설정 스위치(SW)로서 프로그램 재봉의 파라미터 설정 등 각종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42는 바늘 이동 패턴으로 봉제되는 총 바늘 수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 43은 후술되는 STEP 번호, 모드, 바늘 이동 패턴의 번호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이다. 44, 45는 표시기(42,43)로 표시되는 수치 혹은 번호를 증감시키는 + - 스위치이다. 46은 바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된 총 바늘 수까지 봉제가 종료되었을 때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스위치이고, 47은 커스텀 패턴 스위치로서 바늘 이동 패턴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도5,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계된 프로그램 재봉의 프로그램 데이터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종류의 바늘 이동 패턴(30∼33)이 31, 33, 30, 32의 순서로 실행된다. 각각의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는 도5(B)와 같이 나타내어지며 도10(B)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재봉할 때의 프로그램 데이터는 「STEP」마다 나뉘고, 1STEP당 정보는 도6과 같이 단위패턴으로서의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50)와 「패턴 종료조건」(51)의 2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50)는 바늘 이동 패턴(30∼33)의 데이터이고, 「패턴 종료조건」(51)은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50)에 관계없이 각 STEP의 바늘 이동 패턴을 종료시키고, 다음 STEP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이행시키는 패턴 종료조건이다. 각 STEP의 바늘 이동 패턴은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의 바늘 수에 관계없이, 설정된 총 바늘 수까지 봉제가 이루어졌을 때 바늘 수 지령수단(53)에 의해 종료되거나 또는 「외부입력」(52)에 의해 종료된다.
바늘 수 지령수단(53)은 실행중인 봉제 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바늘 수가 바늘 수 계수수단(21c)에 의해 계수되고 그 계수된 바늘 수가 설정 총 바늘 수에 도달하면,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을 종료 내지는 중단시키고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이행시키는 이행지령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바늘 수가 설정 바늘 수에 도달했을 때 바늘 이동 패턴을 이행시키는 제어는, 이하에서는 바늘 수 제어라고도 칭한다.
한편, 「외부입력」(52)은 천 단부 지령수단(52a)과 조작지령수단(52b)으로 구성되고, 천 단부 지령수단(52a)은 천 단부 센서(24)로 이루어지며, 천 단부 센서(24)에 의해 봉제가 종료된 천의 단부가 검출되어 재봉기 회전제어부(21a)에 의해 재봉기가 정지되었을 경우,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을 종료시키고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이행시키는 이행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지령수단(52b)은 조작 스위치(28)로 구성되며, 재봉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조작 스위치(28)가 조작되었을 때,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을 종료시키고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이행시키는 이행지령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이행지령수단은 바늘 수 지령수단(53), 천 단부 지령수단(52a), 조작지령수단(52b)에 의해 실현되는데, 이들 지령수단은 제어장치(21)에 설치되는 선택수단(57)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실행중인 봉제 패턴을 종료시키기 위해 천 단부 지령수단(52a), 조작지령수단(52b)이 선택되었을 경우, 천 단부 센서(24) 혹은 조작스위치(2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각 STEP은 갱신되지 않는다. 그 동안 바늘 이동 패턴의 바늘 수가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다시 패턴의 선두로 복귀하여 천 단부 센서(24) 혹은 조작 스위치(28)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한다.
한편, 실행중인 봉제 패턴을 종료시키기 위해 바늘 수 지령수단(53)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바늘 수가 제어되고 각 STEP마다 설정된 총 바늘 수(설정 바늘 수)의 봉제가 종료된 후, 「정지」(54), 「연속」(55), 「실 절단」(56)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정지」모드를 선택했을 때에는, 설정 바늘 수의 봉제가 종료된 후 재봉기를 정지시키고 다음 STEP으로 진행한다. 또, 「연속」모드를 선택했을 때에는, 설정 바늘 수의 봉제가 종료된 후 재봉기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다음 STEP으로의 갱신이 가능하다.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의 바늘 수보다 STEP마다 설정된 설정 바늘 수가 클 경우에는,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의 바늘 수가 종료된 시점에서 다시 패턴의 선두로 복귀하여 동일한 패턴을 반복하고, 설정 바늘 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다음 STEP으로 이행한다. 또한, 「실 절단」모드를 선택했을 때에는, 설정 바늘 수의 봉제가 종료된 후 실을 절단하고 프로그램 종료에 의해 STEP1로 복귀한다. 「실 절단」모드의 선택은 최종 STEP으로 판단된다.
도5(A)의 우측, 도6의 좌측에는 이와 같이 설정된 각 STEP의 종료조건이 도시되어 있으며, 「STEP1」은 바늘 이동 패턴(31)이 총 바늘 수로서 설정된 100 바늘 봉제되었을 때 재봉기를 정지시켜 종료되고, 「STEP2」는 바늘 이동 패턴(33)에 의한 봉제가 외부입력에 의해 종료되며, 「STEP3」은 바늘 이동 패턴(30)이 총 바늘 수로서 설정된 50바늘 봉제되었을 때 재봉기를 정지시키기 않고 다음 STEP으로 이행하는 형태로 종료되며, 「STEP4」는 바늘 이동 패턴(32)이 총 바늘 수로서 설정된 100바늘 봉제되었을 때 재봉기를 정지시켜 종료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도7은 상기한 바늘 이동 패턴을 프로그램 재봉할 때의 프로그램 설정을 위한 처리순서를 나타낸다. 도4의 조작패널(10)에서, 설정 스위치(41)를 누르면(단계 S10) 설정 모드가 된다. 이 때, 프로그램 설정 모드로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재봉 스위치(48)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되어 있어야 한다(단계 S11).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상적인 재봉의 설정모드로 이행하고(단계 S12) 처리를 종료한다.
프로그램 재봉을 설정하는 설정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재봉의 LED(49)가 점등된다. 조작 패널의 표시기(43)에 STEP 번호가 표시되고(단계 S13), 표시기(42)에 바늘 수가 표시되므로(단계 S14), + - 스위치(44)에 의해 현재 선택되어 있는 STEP에 대한 총 바늘 수를 설정하고 변경(단계 S15)이 있으면 단계(S14)로 복귀하여 표시를 갱신한다.
설정 바늘 수가 「0」인 경우(단계 S16), 그 STEP 번호에 관계된 바늘 이동 패턴의 종료조건을 외부입력으로 한다(단계 S17). 설정 바늘 수가 「0」이외일 경우에는 설정 바늘 수의 재봉이 종료되었을 때의 모드를 모드 설정 스위치(46)에 의해 설정한다(단계 S18). 종료 시의 모드는 + - SW(45)를 누를 때마다 「정지」,「실 절단」,「연속」으로 전환되고, 설정된 모드의 내용이 표시기(43)에 표시된다(단계 S19, S20). 다시 모드 설정 스위치(46)를 누르면 모드 설정이 완료된다(단계S21).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가령 도5(A), 도6의 「STEP1」에 대해 바늘 이동 패턴(데이터 2)을 선택하고, + - 스위치(44)에 의해 총 바늘 수를 100 바늘로 설정하며 + - SW(45)에 의해 모드를 「정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위패턴으로서의 바늘 이동 패턴의 변경은, 커스텀 패턴 선택스위치(47)를 눌러(단계 S22) 표시기(43)에 바늘 이동 패턴의 번호를 점멸표시한다(단계 S23). 이 때, + - 스위치(45)로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번호를 변경하고(단계 S24) 다시 커스텀 패턴 선택스위치(47)를 눌러(단계 S25) 바늘 이동 패턴의 선택을 종료한다. 또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겠으나, 단위 패턴으로서의 각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는 조작 패널(10)을 조작함으로써 작성,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 - 스위치(45)를 눌러(단계 S26) 표시기(43)의 STEP번호를 변경하고(단계 S27), 단계 S13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모든 설정을 종료할 경우에는 설정 스위치(41)를 누르도록 한다(단계 S28).
이상의 처리에 의해 STEP 번호를 갱신하고(단계 S27), 각 STEP 번호에 바늘 이동 패턴을 할당하여(단계 S23) 각각의 바늘 이동 패턴에 대해 종료조건을 설정(단계 S19)할 수 있다. 「STEP1」에 이어서 「STEP2」에 대해서는, 바늘 이동 패턴(데이터(4))을 선택하고 패턴 종료를 「외부입력」으로 하며, 「STEP3」에 대해서는 바늘 이동 패턴(데이터(1))을 선택하고 총 바늘 수를 50바늘로 설정하여 「연속」모드를 선택하고, 또한 「STEP4」에 대해서는 바늘 이동 패턴(데이터(3))을선택하고 총 바늘 수를 100바늘로 설정하여 「정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프로그램 재봉의 설정이 종료되고, 작성된 프로그램 데이터는 메모리(26, 도3)에 저장된다.
도8은 도7의 처리에 의해 작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프로그램 재봉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프로그램 재봉 스위치(48)에 의해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되면(단계 S40) 프로그램 재봉이 동작하게 되어 STEP 카운터(Ⅰ)를 초기화하며(Ⅰ=1, 단계 S41), 제어장치(21)는 페달지령(20)에 응답하여 프론트부 페달링에 의해(단계 S42) 메모리(26)로부터 「STEPⅠ」의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단계 S43), 읽어들인 데이터에 따라 메인 모터(1)와 바늘 이동 모터(11)를 제어하여 「STEPⅠ」의 바늘 이동 패턴의 봉제를 개시한다.
이어서, 리어부 페달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44), 리어부 페달링일 경우에는 단계 S56으로 이행하여 실의 절단을 제어하고, 리어부 페달링이 아닌 경우에는 그 STEP에서 설정되어 있는 총 바늘 수가 0인지 여부, 즉 그 STEP의 재봉이 실행중인 STEP에서의 봉제패턴으로 봉제된 바늘 수가 설정 바늘 수에 도달했을 때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바늘 수 지령수단(53)에 의해 종료되는지(설정 바늘 수는 0이 아님), 혹은 외부입력(52, 설정 바늘 수=0)에 의해 종료되는지가 판단된다(단계 S45). 바늘 수 지령수단(53)에 의해 패턴 종료되는 경우에는(단계 S45의 부정), 실행중인 봉제 패턴으로 봉제된 바늘 수와 설정 바늘 수의 비교를 통해 설정 바늘 수까지 봉제가 종료되었는지가 판단되며(단계 S46), 설정 바늘 수 미만이면 단계S48로 전진하여 바늘 이동 패턴의 바늘 수로 봉제가 종료되었는지가 판단된다. 바늘 이동 패턴의 바늘 수로 봉제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4로 복귀하고, 종료됐을 경우에는 바늘 이동 패턴을 초기화하여 바늘 이동 패턴의 제 1 바늘 낙하점으로 복귀하며(단계 S49), 마찬가지로 단계 S44로 복귀하여 지금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의 처리를 도5, 6의 예로 설명하면, 「STEP1」에서는 총 바늘 수가 10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단계 S45로부터 단계 S46으로 이행하고, 「STEP1」의 봉제 시에, 바늘 수 계수수단(21c)에 의해 계수되는 총 바늘 수가 100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8로 전진하여 「STEP1」에 대응되는 바늘 이동 패턴(데이터(2))의 바늘 수(4바늘)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 바늘 수에 도달하면 바늘 이동 패턴이 초기화되고(단계 S49), 그 바늘 이동 패턴의 최초 바늘 낙하점으로 복귀하고 단계 S44로 복귀하여, 그 봉제 패턴에 의한 봉제가 최초부터 반복된다. 또, 바늘 이동 패턴 데이터의 바늘 수(4바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48의 부정)에도 단계 S44로 복귀하여, 「STEP1」의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에 있어서 총 바늘 수가 100에 도달할 때까지 그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46에서, STEP에 대해 설정된 총 바늘 수에 도달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패턴 종료 시의 모드가 「연속」인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50). 「연속」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실 절단」인지 여부가 판단되고(단계 S55), 「실 절단」일 경우에는 실 절단을 제어하며(단계 S56), 단계 S40의 프로그램 선택으로 복귀하여 초기상태가 된다. 또한, 「정지」모드인 경우에는 단계 S55에서 단계 S54로 진행하여 재봉기를 정지시킨다. 그 후, 바늘 이동 패턴의 최종 STEP인지 여부가 판단되고(단계 S52), 최종 STEP인 경우에는 단계 S40의 프로그램 재봉의 선택으로 복귀하여 초기상태가 되며, 한편 최종 STEP이 아닌 경우에는 STEP 카운터(Ⅰ)를 증분하는 Ⅰ=Ⅰ+1의 처리를 한 후(단계 S53), 단계 S42로 복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 단계 S40에서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7의 통상의 봉제 모드가 되어 프로그램에 의하지 않은 통상적인 봉제가 이루어진다.
이상의 처리를 다시 도5(A), 도6의 예로 설명하면, 「STEP1」에서는 봉제 바늘 수가 100에 도달하면 「정지」모드가 되므로, 단계 S46, S50, S55에서 단계 S54로 진행하여 재봉기는 정지한다. 또, 「STEP1」은 최종 STEP이 아니므로 단계 S52, S53을 거쳐 단계 S42로 복귀하며, 제어장치(21)는 메모리(26)로부터 다음 STEP2의 바늘 이동 패턴을 읽어 들여 봉제를 개시한다.
「STEP2」의 패턴 종료조건은 「외부입력」이므로, 단계 S45에서 「외부입력」의 조건인 설정 바늘 수 = 0이 검출되고 단계 S47로 이행한다. 여기서는 바늘 수의 카운트는 이루어지지 않고, 외부 입력 스위치(천 단부 센서(24), 조작 스위치(28)))의 ON을 대기한다. 외부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바늘 수 제어와 마찬가지로 단계 S48의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외부입력 스위치가 ON일 경우에는 재봉기가 정지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1), 재봉기가 정지중이 아니라면 외부입력은 무효가 된다. 한편 재봉기의 정지중에 외부입력 스위치가 ON된경우, 단계 S52에서 그 STEP이 최종 STEP인지 여부가 판단되며, 최종 STEP이 아니라면 STEP 카운터(Ⅰ)를 증분하는 Ⅰ=Ⅰ+1의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53) 단계 S42로 복귀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도5(A), 도6의 「STEP2」의 봉제 시에는 바늘 수에 관계없이, 외부입력에 의해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이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전환된다. 예컨대, 천 단부 센서(24)가 천의 단부를 검출하면, 센서(24)로부터의 신호가 제어장치(21)에 입력되어 제어장치(21)가 재봉기를 정지시키므로, 단계 S47, S51의 조건이 만족되고 천 단부 지령수단(52a)으로부터 이행지령이 출력된다. 이로써, 제어장치(21)는 실행중인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한다. 또한, 작업자가 재봉기를 정지시키고 조작 스위치(28)를 조작하면, 마찬가지로 단계 S47, S51의 조건이 만족되고 조작지령수단(52b)으로부터 이행지령이 출력되며, 제어장치(21)는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를 개시한다.
도5(A), 도6의 「STEP3」과 같이 바늘 수의 제어에 의해 「연속」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46 후에 단계 S50에서 「연속」모드로 판단되므로 재봉기를 정지시키지 않고 단계 S52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때 「STEP3」은 최종 STEP이 아니므로, 단계 S53으로 진행하여 Ⅰ=4가 되며 단계 S42로 복귀한다. 이로써, 제어장치(21)는 메모리로부터 다음의 STEP4의 바늘 이동 패턴을 읽어들여 그 바늘 이동 패턴에 의한 봉제를 개시한다.
또, 리어부 페달링에 의한 실의 절단은 프로그램 제어중에 유효하며(단계S44), 실 절단 동작 후(단계 S56)에는 단계 S40으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S46에서 당해 STEP의 설정 바늘 수의 봉제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계 S48로 이행하지만, 그 대신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47로 이행시켜 바늘 수의 제어로도 외부입력 스위치가 ON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바늘 수의 제어중에 외부입력에 의해 다음의 바늘 이동 패턴으로 이행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9는 (C)와 같은 단위 패턴으로서의 바늘 이동 패턴(P1, P2) 데이터로부터 (B)와 같은 프로그램(61)을 작성하고, 그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A)와 같은 라벨(60)을 봉제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STEP1에 의해 A의 봉제 개시위치로부터 바늘 이동 패턴(P1)을 대략 2회 반복 봉제하여 B점에 도달한 후, B점에서 외부입력을 수행한다. 이 외부입력은 가령 천 단부 지령수단(52a)에 의해 수행되는데 라벨의 단부(E)가 검출되어 재봉기가 정지하고, 천 단부 센서(24)의 신호가 제어장치(21)에 입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A)에 도시된 B점이나 C점은, 바늘 이동 패턴(P1)의 제 1 바늘 낙하위치(nNo. 1)로서 패턴(P1)의 도중에 해당하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이와 같이 임의의 봉제위치(바늘 낙하 위치)에서 봉제 패턴을 이행할 수 있다.
상기한 외부입력에 의해 바늘 이동 패턴(P1)은 다음의 STEP2의 바늘 이동 패턴(P2)으로 전환되고, 바늘 이동 패턴(P2)이 반복되어 C점까지 봉제가 이루어진다. C점에 도달했을 때, 마찬가지로 천 단부 지령수단(52a)에 의한 외부입력이 실시되고, STEP3으로 이행하여 바늘 이동 패턴(P1)으로 전환되어 D점까지 봉제가 이루어졌을 때, 다시 천 단부 지령수단(52a)에 의한 외부입력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프로그램은 STEP4로 이행되고 바늘 이동 패턴(P2)에 의해 A점까지 봉제된 후 봉제가 종료된다.
상기한 예에서는 천 단부 지령수단(52a)에 의해 외부입력이 이루어졌으나, 라벨의 단부까지 봉제가 진행됐을 때 작업자가 재봉기를 정지하고 조작 스위치(28)를 조작하여 조작지령수단(52b)에 의해 외부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예에 나타낸 패턴(P1이나 P2)은 단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령 도9(D)와 같은 복수의 단위패턴(G1, G2)으로 구성되는 패턴(P3)과 다른 패턴을 순차적으로 이행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그램 재봉 선택 스위치(48)에 의해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1종의 프로그램 재봉만이 실행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복수종류의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프로그램 재봉이 선택된 경우에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프로그램중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총 바늘 수의 설정 혹은 외부입력에 의해 봉제 패턴을 전환하여 프로그램 재봉이 이루어지므로, 소재에 따라 이송량이 변화되는 경우나 혹은 재단의 오차로 인해 봉제 길이가 변할 경우에도, 소정의 부분에서 봉제패턴을 전환할 수 있어 봉제물에 맞는 봉제패턴의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미려하게 재봉하여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행중인 봉제 패턴으로부터 다음 봉제 패턴으로의 전환이, 봉제 패턴을 구성하는 단위패턴의 바늘 수에 관계없이 설정된 총 바늘 수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패턴을 구성하는 단위 패턴의 데이터를 반복 입력할 필요없이, 당해 패턴으로 봉제되는 총 바늘 수를 입력하는 동시에, 원하는 단위패턴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혹은 1단위패턴분을 작성하는 것 만으로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 한번 작성된 봉제 패턴의 단위패턴을 변경할 때에도, 작업자는 단위패턴이 동일한 패턴 데이터를 반복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총 바늘 수를 변경하지도 않고도 원하는 단위패턴을 선택 혹은 1단위패턴분의 패턴 데이터를 작성, 변경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Claims (4)

  1.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진 봉제 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패턴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된 봉제패턴 중 복수의 봉제 패턴에 대해 실행순서를 설정하는 실행순서 설정수단과,
    실행중인 봉제패턴을 상기 실행순서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다음의 봉제패턴으로 이행시키기 위해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이행지령수단과,
    상기 이행지령수단에 의해 상기 이행지령이 출력될 때까지는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반복 실행하고, 상기 이행지령이 출력되면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상기 다음의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지령수단은, 조작에 의해 상기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조작지령수단, 천의 단부가 검출되면 상기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천 단부 지령수단 및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있어서 봉제된 바늘 수가 설정된 바늘 수에 도달하면 상기 이행지령을 출력하는 바늘 수 지령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로부터 상기 다음의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로 이행할 때, 상기한 지령수단 중 소정의 지령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행지령에 근거하여 이행할 지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단수 또는 복수의 단위패턴으로 구성되는 소정의 바늘 수로 이루어진 봉제패턴을 복수 기억하는 패턴 기억수단과,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바늘 수를 계수하는 바늘 수 계수수단과,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있어서 봉제되는 총 바늘 수를 설정하는 총 바늘 수 설정수단과,
    상기 계수된 바늘 수가 상기 총 바늘 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반복 실행하고, 상기 계수된 바늘 수가 상기 총 바늘 수에 도달하면 상기 실행중인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중단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음의 봉제패턴에 의한 봉제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재봉기.
KR1020020053433A 2001-09-07 2002-09-05 재봉기 KR20030022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1163 2001-09-07
JP2001271163A JP2003071167A (ja) 2001-09-07 2001-09-07 ミ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048A true KR20030022048A (ko) 2003-03-15

Family

ID=1909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433A KR20030022048A (ko) 2001-09-07 2002-09-05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71167A (ko)
KR (1) KR20030022048A (ko)
CN (1) CN125457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607A (ja) * 2006-01-10 2007-07-19 Juki Corp ミシン
JP6432899B2 (ja) * 2014-06-18 2018-12-05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ジグザグミシンおよびジグザグミシンの自動一時停止制御方法
JP2017046830A (ja) * 2015-08-31 2017-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2017099729A (ja) * 2015-12-03 2017-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針数管理システム、及び針数管理方法
TWI663303B (zh) * 2018-08-27 2019-06-21 陳儀聰 可快速改變車縫針距和圖形的車縫方法及車縫機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158B1 (ko) * 1984-02-29 1990-09-29 도교쥬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미싱의 제어장치
JPH09299634A (ja) * 1996-05-14 1997-11-25 Juki Corp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H11290563A (ja) * 1998-04-11 1999-10-26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の制御装置及び模様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52273B1 (ko) * 1999-10-05 2006-11-29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158B1 (ko) * 1984-02-29 1990-09-29 도교쥬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미싱의 제어장치
JPH09299634A (ja) * 1996-05-14 1997-11-25 Juki Corp パターン縫いミシン
JPH11290563A (ja) * 1998-04-11 1999-10-26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の制御装置及び模様データ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52273B1 (ko) * 1999-10-05 2006-11-29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7160A (zh) 2003-04-02
JP2003071167A (ja) 2003-03-11
CN1254577C (zh)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23293A (ja) ミシンの制御装置
US20070199492A1 (en) Sewing machine
KR100402537B1 (ko) 단추구멍 재봉기
KR20030022048A (ko) 재봉기
JPH09140974A (ja) ミシン
JP2011083455A (ja) ミシン
CN101153433B (zh) 缝纫机及其控制装置
KR100652273B1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틀
US6167824B1 (en) Sewing machine having work holder
US5899158A (en) Programmable electronic sewing machine
JPH09140972A (ja) ミシン
JP3002589B2 (ja) 多色式刺繍機
KR20040094371A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기
US5752458A (en) Stitching data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optionally displaying stitching period of time
KR20010050305A (ko) 전자 새발뜨기 재봉틀
US20240026584A1 (en)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JP4769351B2 (ja) 電子千鳥ミシン
JP3146458B2 (ja) 電子制御式模様縫いミシン
JP4220635B2 (ja) 電子ミシン
CN1332087C (zh) 电子缝纫机
JP3292439B2 (ja) ミシン
JP2006272011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984453B2 (ja) 模様縫いにおける自動ブロック縫いミシン
JP2001187286A (ja) 電子千鳥ミシン及び針振りデータ作成装置
JP4217084B2 (ja) 電子千鳥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