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588A -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588A
KR20030020588A KR1020010053900A KR20010053900A KR20030020588A KR 20030020588 A KR20030020588 A KR 20030020588A KR 1020010053900 A KR1020010053900 A KR 1020010053900A KR 20010053900 A KR20010053900 A KR 20010053900A KR 20030020588 A KR20030020588 A KR 2003002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ead
pressing
suppor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491B1 (ko
Inventor
김중기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 파이프 선단에 성형되는 돌출부인 비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공차 등에 흡배출 포트를 이루는 파이프의 절단이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 성형되어 일체화된 비드가 손상되어 장치에 장착된 파이프에 비드를 재성형하는 것이 종래에는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파이프(2)내에 삽입되는 지지틀구(20)와 이 지지틀구(20)에 압착되어 파이프(2) 외주면을 성형하는 압박구(22)에 의해 파이프(2) 외주면을 따라 비드(5)가 성형되도록 한 휴대용의 비드 성형장치를 제공한 것으로, 지지몸체(10)의 지지축(12)과 일측의 압박수단(16)에 통형의 지지틀구(20)와 압박구(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의 압박수단(16)에 가이드 로울러(24)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지지틀구(20)와 압박구(22) 사이에 파이프(2)를 삽입시킨 다음 압박수단(16)으로 파이프(2)에 돌출부를 성형시키고, 가이드 로울러(24)를 파이프(2) 외주면에 압착시킨 다음 성형장치를 회전시켜 돌출부가 파이프(2)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성형되면 간단하게 비드(5)가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Bead Press Device for 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에 파이프가 일체화 되어 있더라도 파이프 외주에 다른 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비드 성형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의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이 필요한 장치들, 특히 차량을 예로 들면, 엔진의 흡기계나 배기계통 냉각계통 등에는 장치간에 유체의 이송을 위한 흡배출 포트가 형성되고 흡배출 포트 사이에는 연결매체로서 플렉시블 호오스나 연질파이프가 연결되어진 것이 많다.
그 일례가 예시도면 도 1 에 나타나 있으며, 도시된 것은 엔진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와 그 배관의 배열이다.
라디에이터 본체(1)로의 흡배출포트는 파이프(2)로 되어 있으며, 엔진과의 연결을 위해 호오스(3)가 파이프(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한 이음수단으로 클립(4)이 사용되며, 호오스(3)의 이탈 방지를 위해 클립의 죄임과 연동되는 비드(5)가 파이프(2) 선단에 성형되어 있다.
즉, 파이프(2) 선단에 홈부나 턱부인 비드(5)를 성형시켜 이 비드(5) 전방에서 호오스(3)가 클립(4)에 의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클립(4)에 압착된 호오스(3)가 비드(5)에 의해 파이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의 엔진룸은 엔진을 위시한 주변부품의 집합체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부품배치가 중요하며, 엔진룸의 설계역시 부품배치의 최적화가 그 요소로 되어 있다.
그런데, 실제 배치에 있어 공차가 발생될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재배치를위해 흡배출 포트를 구성하는 파이프(2)의 절단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파이프(2)의 절단으로 인해 호오스(3) 등과 같은 연결관과의 재연결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 1 을 살펴볼때, 라디에이터 본체의 흡배출 포트를 이루는 파이프(2)의 선단을 절단하는 경우 그 선단의 비드(5)가 손상되며, 이때의 파이프(2)는 라디에이터 본체(1)와 일체화된 부품이므로, 선단의 프레스 가공이 곤란하다.
이러한 경우 파이프(2) 선단의 비드(5) 형성을 위해 덧살붙이기 용접을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용접작업이 번거로울뿐더러, 용접으로 인한 파이프(2)의 변형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매우 취약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치에 파이프가 일체화 되어 있더라도 파이프 외주에 비드 성형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휴대용의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내에 삽입되는 지지틀구와 이 지지틀구에 압착되어 파이프 외주면을 성형하는 압박구에 의해 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비드가 성형되도록 한 것으로, 지지몸체의 지지축과 일측의 압박수단에 통형의 지지틀구와 압박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의 압박수단에 가이드 로울러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지지틀구와 압박구사이에 파이프를 삽입시킨 다음 압박수단으로 파이프에 돌출부를 성형시키고, 가이드 로울러를 파이프 외주면에 압착시킨 다음 성형장치를 회전시켜 돌출부를 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성형시키면 간단하게 비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 라디에이터의 분해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의 프레스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파이프,5 - 비드,
10 - 지지몸체,12 - 지지축,
14 - 지지대,16 - 압박수단,
18 - 프레스구,20 - 지지틀구,
22 - 압박구,24 - 가이드 로울러,
26 - 가이드레일,28 - 압박대,
30 - 나사기어부,32 - 압박로드,
34 - 손잡이,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성형장치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가능한 휴대용의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로, 먼저 지지몸체(10)가 마련되어 이 지지몸체(10)의 중간부에 지지축(12)이 형성되고 지지몸체(10)의 양단에 지지대(14)가 형성되며 지지대(14)에 이를 지점으로 하는 압박수단(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2)과 어느 하나의 압박수단(16)에 프레스구(18)가 설치된다.
여기서, 프레스구(18)는 파이프(2) 외주면을 따라 비드(5)가 성형되게 요부와 철부를 1조로 하는 통형의 지지틀구(20)와 압박구(22)로 분리되어 지지축(12)과 압박수단(1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지지축(12)에 철부가 형성된 통형의 지지틀구(20)가 설치되고, 이 철부에 맞물리는 요부가 형성된 통형의 압박구(22)가 압박수단(16)에 설치되어 압박구(22)와 지지틀구(20)에 파이의 외주면이 삽입되고 압박구(22)가 압박수단(16)에 의해 압박되면 파이프(2) 외주면의 일부에 비드(5)가 성형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한편, 비드(5)를 파이프(2) 외주면 전체에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스구(18)가회전되도록 되어지며, 이를 위해 상기 압박구(22)와 지지틀구(20)가 통형으로 마련되고 지지축(12)과 압박수단(1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틀구(20)는 파이프(2)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고 이와 1조인 압박구(22)는 파이프(2) 외주면을 따라 회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다른 하나의 압박수단(16)에는 상기 프레스구(18)가 파이프(2)를 외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비드(5)가 성형되는 것을 보조하게 가이드 로울러(24)가 설치된 것이다.
즉, 가이드 로울러(24)는 압박수단(16)에 의해 파이프(2) 외주면에 압착되어 가이드 로울러(24)의 진행방향에 의해 비드(5)의 성형방향을 보조해 주는 것이다.
상기 압박수단(16)은 상기 지지몸체(10)에 파이프(2)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26)이 설치되어 이 가이드레일(26)을 매개로 압박대(28)가 지지몸체(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나사기어부(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압박대(28)를 이동시키는 압박로드(32)가 지지대(14)를 관통하여 이를 지점으로 설치되어 상가 압박대(28)와는 공회전되게 결합되고, 압박로드(32)의 외단에는 압박로드(32)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4)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나사기어부(30)와 손잡이(34)의 회전반경에 의한 압박로드(32)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력이 배력되어 압박대(28)를 이동시키게 되고, 압박대(28)에 설치된 압박구(22)가 지지틀구(20)와 맞물려 비드(5)가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압박수단(16)은 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서, 지지몸체(10)에마련된 압박수단(16)의 이동범위 내에서 성형시키고자 하는 파이프(2)의 두께와 직경이 다르더라도 본 발명의 성형장치의 성형작업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종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형하고자 하는 파이프(2)의 선단을 지지틀구(20)과 압박구(22) 사이에 삽입시키고, 이 압박구(22)가 설치된 압박수단(16)의 핸들을 돌려 압박구(22)를 압착시킨다.
압박수단(16)의 핸들을 돌리게 되면, 상기 나사기어부(30)에 의해 압박로드(32)가 압박대(28)를 이동시키며, 지지틀의 철부와 압박구(22)의 요부간 압박에 의해 파이프(2)에 돌출부가 성형된다.
다음으로, 가이드 로울러(24)를 압박수단(16)을 이용해 파이프(2) 외주에 압착시키고, 핸들이나 지지몸체(10)를 파지하여 파이프(2)외주를 따라 성형장치를 회전시키게 되면 성형된 돌출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파이프(2) 외주에 비드(5)가 간단히 성형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틀구와 압박수단에 의한 압박구 및 가이드 로울러에 의해 클립을 이용하는 파이프 연결을 위한 비드를 간단한 현장작업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지지몸체(10)가 마련되어 이 지지몸체(10)의 중간부에 지지축(12)이 형성되고 지지몸체(10)의 양단에 지지대(14)가 형성되며 지지대(14)에 이를 지점으로 하는 압박수단(16)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2)과 어느 하나의 압박수단(16)에 프레스구(18)가 설치되어 지되, 프레스구(18)는 파이프(2) 외주면을 따라 비드(5)가 성형되게 요부와 철부를 1조로 하는 통형의 지지틀구(20)와 압박구(22)로 분리되어 지지축(12)과 압박수단(1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다른 하나의 압박수단(16)에는 상기 프레스구(18)가 파이프(2)를 외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비드(5)가 성형되는 것을 보조하게 가이드 로울러(24)가 설치된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압박수단(16)은 지지몸체(10)에 파이프 외주에서 내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26)이 설치되어 이 가이드레일(26)을 매개로 압박대(28)가 지지몸체(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나사기어부(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압박대(28)를 이동시키는 압박로드(32)가 지지대를 관통하여 이를 지점으로 설치되어 상가 압박대(28)와는 공회전되게 결합되고, 압박로드(32)의 외단에는 압박로드(3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KR10-2001-0053900A 2001-09-03 2001-09-03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KR10044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900A KR100448491B1 (ko) 2001-09-03 2001-09-03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900A KR100448491B1 (ko) 2001-09-03 2001-09-03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588A true KR20030020588A (ko) 2003-03-10
KR100448491B1 KR100448491B1 (ko) 2004-09-13

Family

ID=2772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900A KR100448491B1 (ko) 2001-09-03 2001-09-03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93B1 (ko) * 2011-03-24 2011-08-0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피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048A (en) * 1969-01-30 1971-07-27 Teddington Bellows Ltd Bellows
JP2559584B2 (ja) * 1987-02-20 1996-12-04 カナエ工業株式会社 ビ−ド付パイプの製造法並びに装置
US4870847A (en) * 1988-05-20 1989-10-03 Ihly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outwardly projecting beads on cylindrical objects
DE9015247U1 (ko) * 1990-11-06 1991-01-17 Mabi Ag Isoliermaschinen, Windisch, Ch
JPH0775747B2 (ja) * 1990-12-28 1995-08-16 シンニチ工業株式会社 ビード部付金属薄円筒体及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393B1 (ko) * 2011-03-24 2011-08-0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피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491B1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177B2 (en) Tool for the connection of tubes by means of connection sleeves
US6338476B1 (en) Clamp apparatus
US6199847B1 (en) Cylinder apparatus
CN101414039B (zh) 夹持装置
KR20030020588A (ko) 파이프 비드 성형장치
JP5343284B2 (ja) 拡張プライヤ
JP3536062B2 (ja) 複合パイプ加工装置
JP3026620B2 (ja) 流体動力線の連結装置
CN212264243U (zh) 管路批量弯制工具
JP3507369B2 (ja) テーパー管の曲げ加工装置
CA1037847A (en) Pipe bending apparatus
CN211839683U (zh) 一种新型折弯加工装置
CN109268601B (zh) 一种气管接头
NL1004099C2 (nl) Buisverbindings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tot stand brengen van een onder een hoek in de wand van een buis lopende buisverbinding.
CN213002251U (zh) 一种开口式压管机扣压结构
JP3150142U (ja) 管継ぎ手
CN216520177U (zh) 一种便于安装的波纹软管连接装置
JP2019210926A (ja) チューブポンプ
CN219911843U (zh) 一种管道状态切换器以及清洁机器人
US20180328511A1 (en) Valve Body Structure Facilitating Maintenance of Hose
CN208841220U (zh) 固定装置
JP2001355747A (ja) パイプ挟圧具
TWM547054U (zh) 旋轉加強結合固定件及應用其的水龍頭裝置
CN217530050U (zh) 一种弯头镗孔用工装
CN216461292U (zh) 滚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