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270A -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구동장치 및 이것을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구동장치 및 이것을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270A
KR20030020270A KR1020027013657A KR20027013657A KR20030020270A KR 20030020270 A KR20030020270 A KR 20030020270A KR 1020027013657 A KR1020027013657 A KR 1020027013657A KR 20027013657 A KR20027013657 A KR 20027013657A KR 20030020270 A KR20030020270 A KR 2003002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ower
power supply
switching
invert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321B1 (ko
Inventor
나카무라마코토
사토에이지
오키료지
고마츠마사유키
샤모토스미카즈
모리야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eversible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e.g. NTC, PTC or bimetal devices; characterised by control of the internal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lls, e.g. by swi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orque ripple, e.g. providing reduced torque ripp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6Temperature of vehicle component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60L2240/525Temperature of converter or compon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5Structure borne vib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전원(32)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모터(2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동력을 출력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류전원(32)이 저온일 때에 직류전원(32)을 신속하게 가온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다.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음극모선(28)을 접속하도록 콘덴서(30)를 설치함과 동시에 인버터회로(24)의 음극 모선(28)과 모터(22)의 중섬점을 접속하도록 직류전원(32)을 설치한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전자제어유닛(40)은 온도센서(50)에 의하여 검출된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가, 모터(22)에 필요 전력을 공급 가능한 한계값(Tblow) 이하일 때에는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함과 동시에 반송파의 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트랜지스터(T1∼T6)를 스위칭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직류전원(32)에 흐르는 중성점 전류의 리플을 크게 할 수 있어, 직류전원(32)의 발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구동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POWER OUTPUTTING DEVICE AND VEHICLE MOUNTING IT, CONTROL METHOD, STORING MEDIUM AND PROGRAM FOR THE POWER OUTPUTTING DEVICE, DRIVE DEVICE AND VEHICLE MOUNTING IT, AND, CONTROL METHOD, STORING MEDIUM AND PROGRAM FOR THE DRIVE DEVICE}
종래의 동력 출력장치로서는 전동기에 3상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과 접속된 콘덴서와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또는 음극 모선과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직류전원을 구비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337047호 공보나 특개평11-178114호 공보 등). 이 장치에서는 전동기의 각 상의 코일과 인버터회로의 각 상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직류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콘덴서에 전하를 축적하는 승압 초버회로로서 기능시킴과 동시에 축전된 콘덴서를 직류전원으로 간주하여 전동기를 구동한다. 이 전동기의 구동제어와 콘덴서에의 축전제어는 전동기에 3상 교류를 인가할 때에 이루어지는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력 출력장치에서는 소망의 출력으로 전동기를 구동할 수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직류전원의 온도가 상온에 있을 때에는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으나, 전동기의 시동시 등 직류전원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직류전원 내부에서의 화학반응속도가 지연되어 직류전원의 내부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지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것에 의거하고 있다.
또 직류전원의 출력은 고온일 때에도 저하하기 때문에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직류전원의 온도를 적절한 범위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승압 초퍼회로로서 기능하는 전력변환부분의 승압동작을 안정되게 행하기 위하여 그 부위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사정은 전동기의 각 상코일과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지는 회로의 승압동작을 DC/DC 컨버터로 치환한 장치, 즉 직류전원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DC/DC 컨버터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콘덴서에 축적함과 동시에 축전된 콘덴서로부터의 직류전력을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3상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동기에 공급하는 동력 출력장치나, 직류전원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DC/DC 컨버터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콘덴서에 축적함과 동시에 축전된 콘덴서로부터 직류전력을 전기기기(부하)에 공급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직류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동력 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전원이나 전력변환부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력 출력장치는 저온시의 전원을 신속하게 가온하여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력 출력장치는 전력변환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력 출력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은 동력 출력장치내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원이나 전력변환부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는 제어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전원이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저온시의 전원을 신속하게 가온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DC/DC 컨버터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탑재하는 차량은 구동장치내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여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원이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정한 상태로 관리하는 제어장치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동기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출력 가능한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부하를 구동 가능한 구동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모터(22)의 3상 코일의 u상에 착안한 동력 출력장치(20)의 회로도,
도 3은 동력 출력장치(20)의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원온도 상승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는 가온운전시의 중성점 전류의 파형을 예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모터(22)의 3상 코일의 u상에 착안한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의 회로도,
도 7은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회로온도조절 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리액터온도(Tl)와 전압 상한값(Vlmax)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 (Tt)와 전압 상한값(Vtmax)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회로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발열량과 모터(22)의 코일의 발열량과 스위칭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전자제어유닛(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원온도 상승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전자제어유닛(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 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리액터온도(Tl2)와 전압 상한값(Vlmax2)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 (Tt2)와 전압 상한값(Vtmax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전자제어유닛(140)에 의해 실행되는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트랜지스터(T7, T8)의 발열량과 리액터(L)의 발열량과 스위칭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동력 출력장치는,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1 동력 출력장치에서는 온도조절수단이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전원」 및 「제 2 전원」은 충방전 가능한 것도 포함되고, 「전동기」에는 발전 가능한 발전 전동기로서 기능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 「제 2 전원」은 「제 1 전원」보다도 큰 용량을 가지는 전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 1 전원」과 「제 2 전원」과 「전동기」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상기 내용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동력 출력장치는,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 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2 동력 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동력 출력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은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이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상기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 도 있다. 이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1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통상보다도 높게 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2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통상보다도 낮게 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축전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가 제 3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에 제한을 가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수단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서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4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5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에 포함되는 상기 전동기의 코일의 온도가 제 6 한계값 이상 일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에 포함되는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제 7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동력 출력장치는,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 2 전원의 온도가 소정의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2 전원을 가온하는 가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3 동력 출력장치에서는 가온수단이 제 2 전원의 온도가 소정의 한계값 이하일 때에 제 2 전원을 가온하기 때문에, 저온시의 제 2 전원을 신속하게 가온할 수 있어,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동력 출력장치는,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제 2 전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 2 전원의 온도가 소정의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2 전원을 가온하는 가온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4 동력 출력장치에서는 상기 제 3 동력 출력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차량은 상기 각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이나 제 2, 제 3, 제 4 동력 출력장치를 탑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내의 온도를 더욱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1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 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2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상기 제 1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로서의 상기 제 1 전원의 축전전압을 상기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의 조절에 의하여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에 있어서의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의 변경에 의하여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기억매체는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그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1 기억매체에서는 컴퓨터를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동력 출력장치에 조립하여 실행시켰을 때에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고,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기억매체는, 컴퓨터를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이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는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2 기억매체에서는 상기 제 1 기억매체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그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1 프로그램에서는 컴퓨터를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 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 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때문에 동력 출력장치에 조립하여 실행시켰을 때에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력변환부의 온도나 제 2 전원의 온도를 보다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이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2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제 1 프로그램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는 직류전류를 에너지로 하여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 축적수단을 가지고, 그 에너지 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이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서는 온도조절수단이 전원의 온도 또는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은 충방전 가능한 것도 포함된다. 이하,「전원」은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상기 내용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본 발명의 제 1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1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이 통상보다도 높아질수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2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이 통상보다도 낮아지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축전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가 제 3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에 제한을 가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의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4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5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 DC/DC 컨버터의 스위칭소자에 있어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는 형태의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제 6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에너지 축적수단의 온도가 제 7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DC/DC 컨버터의 스위칭소자에 있어서의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을 조절함으로써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이고,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전력을 다상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차량은 부하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로 하는 형태의 구동장치와 그 전동기를 탑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장치내의 온도를 더욱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은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 축적수단을 가지고, 이 에너지 축적수단을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이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전원의 온도 또는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부재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 하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충전가능한 축전장치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그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여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DC/DC 컨버터의 스위칭소자에 있어서의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을 조절함으로써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기억매체는 컴퓨터를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가능한 에너지축적수단을 가지고, 이 에너지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이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직류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3 기억매체에서는 컴퓨터를 전원의 온도 또는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에 조립하여 실행시켰을 때에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 축적수단을 가지고, 이 에너지 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가능한 DC/DC 컨버터와, 이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직류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인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본 발명의 제 3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원의 온도 또는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온도조절하도록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므로, 구동장치에 조립하여 실행시켰을 때에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원의 온도나 DC/DC 컨버터의 온도를 더욱 적절한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 장치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동력 출력장치(2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는 3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모터(22)와, 직류전력을 3상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22)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24)와,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음극 모선(28)에 접속된 콘덴서(30)와, 모터(22)의 중성점과 인버터회로(24)의 음극 모선(28)과 접속된 직류전원 (32)과, 직류전원(3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0)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40)을 구비한다.
모터(22)는 예를 들면, 그 외표면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로우터와, 3상 코일이감겨진 스테이터로 이루어지는 발전 가능한 동기 발전전동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모터(22)의 회전축은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의 출력축으로 되어 있고, 이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이 출력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모터(22)는 발전전동기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터(22)의 회전축에 동력을 입력하면 모터(22)에 의하여발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가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에는 모터(22)의 회전축은 차륜의 차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인버터회로(24)는 6개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와 6개의 다이오드(D1 내지 D6)로 구성되어 있다. 6개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는 각각 양극 모선(26)과 음극 모선(28)에 대하여 소스측과 싱크측이 되도록 2개씩 쌍으로 배치되고, 그 접속점에 모터(22)의 3상 코일(uvw)의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30)는 모터(22)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직류전원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직류전원(32)은 예를 들면 니켈수소계나 리튬이온계의 2차 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직류전원 (32)은 예를 들면 전압을 동일하게 한 경우의 콘덴서(30)의 용량보다도 큰 축전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자제어유닛(40)은 CPU(42)를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고,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44)과,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46)과, 입출력포트(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이 전자제어유닛(40)에는 직류전원(3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0)로부터의 전원온도(Tb)나, 모터(22)의 동작에 관한 지령값 등이 입력포트를 거쳐 입력되어 있고, 전자제어유닛(40)으로부터는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신호 등이 출력포트를 거쳐 출력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설명한다. 먼저, 콘덴서(30)를 모터(22)에 전력공급하는 직류전원으로서 기능시킬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모터(22)의 3상 코일의 u 상에 착안한 동력 출력장치(20)의 회로도이다. 지금 인버터회로(24)의 u 상의 트랜지스터(T2)를 온한 상태를 생각하면 이 상태에서는 도면 중 파선화살표로 나타내는 단락회로가 형성되어, 모터(22)의 3상 코일의 u 상은 리액터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로부터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면, 리액터로서 기능하고 있는 3상 코일의 u 상에 축적된 에너지는 도면 중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에 의하여 콘덴서(30)에 축적된다. 이 때의 전압은 직류전원(32)의 공급전압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한편 이 회로에서 콘덴서(30)의 전위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을 충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직류전원(32)의 에너지를 승압하여 콘덴서(30)에 축적함과 동시에 콘덴서(30)의 전위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을 충전 가능한 승강압 초퍼회로라고 간주할 수 있다. 모터(22)의 3상 코일의 vw 상도 u 상과 마찬가지로 승강압 초퍼회로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2, T4, T6)를 온/오프함으로써 콘덴서(30)를 충전하거나, 콘덴서(30)에 축적된 전하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을 충전할 수 있다. 이 콘덴서(30)에의 충전에 의하여 생기는 전위차는 콘덴서(30)에 축적되는 전하의 양, 즉 리액터에 흘리는 전류에 따라 변동하므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2, T4,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여 리액터에 흘리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에 의하여 모터(22)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모터(22)의 3상 코일에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에의하여 유사적인 3상 교류를 공급하면 좋다. 그 때 이 3상 교류에 직류성분을 가하여, 즉 3상 교류의 전위를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측에 옵셋하여 모터(22)에 공급하면 교류성분으로 모터 (22)를 회전구동함과 동시에 직류성분으로 콘덴서(30)에 축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조절하면서 모터(22)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은 예를 들면 직류전원(32)의 단자간 전압의 약 2배가 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다음에 직류전원(32)이 저온의 상태에 있을 때에, 직류전원(32)을 가온하기 위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동력 출력장치(20)의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원온도상승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루틴은 소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전원온도상승처리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유닛(40)의 CPU(42)는 먼저 온도센서(50)로부터의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를 판독하고(단계 S100), 이 판독된 전원온도(Tb)가 소정의 한계값(Tblow)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여기서 한계값(Tblow)은 직류전원(32)이 정격출력 또는 모터(22)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출력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한계값이고, 전원의 사양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원온도(Tb)에 의거하여 필요전력 등을 출력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가 낮아지면 이에 따라 내부저항이증가하여 모터(22)에 출력 가능한 전력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판정의 결과,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low)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필요전력을 모터 (22)에 공급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통상의 모터(22)의 구동제어(통상운전)를 행한다 (단계 S104). 구체적으로는 모터(22)의 요구출력에 의거하여 토오크지령값을 설정하고, 이 설정에 의거하여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여 모터(22)를 구동한다. 이 때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주파수, 즉 반송파의 주파수는 모터(22)의 토오크리플이 적고, 또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하는 데 적합한 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low)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저온이므로 직류전원(32)이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직류전원(32)의 내부온도를 상승시키는 가온운전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6). 이 가온운전의 처리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22)의 중성점에 흐르는 중성점 전류의 리플을 통상의 모터(22)의 구동제어에 의하여 생기는 중성점 전류의 리플보다도 크게 하는 처리 이고, 이 크게 한 중성점 전류가 직류전원(32)에 흐름으로써 직류전원(32)을 신속하게 가온할 수 있어,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 (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의 모터(22) 구동제어시의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 예를 들면 직류전원(32)의 단자간 전압의 약 2배의 단자간 전압보다도 커지도록설정함과 동시에 반송파의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여, 이들의 설정에 의거하여 트랜지스터 (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한다. 이들 중 전자는 모터(22)의 중성점에 흐르는 중성점 전류가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여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주파수를 낮게 함으로써 중성점 전류가 크게 진동, 즉 전류 리플이 커지는 것에 의거하고, 후자는 모터(22)의 중성점의 전위가 순간적으로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범위로 변동하므로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중성점 전류의 리플이 커지는 것에 의거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모터(22)를 구동하면서 직류전원(32)을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온도로 까지 신속하게 가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에 의하면 직류전원(32)의 온도가 낮을 때에는 반송파의 주파수를 낮게 설정함과 동시에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높게 설정하고, 이들 설정에 의거하여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므로, 직류전원(32)에 비교적 큰 리플의 전류를 흘릴 수 있어, 저온의 직류전원 (32)을 신속하게 가온할 수 있다. 이 결과, 직류전원(32)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에서는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음극 모선(28)을 접속하도록 콘덴서(30)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 5의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콘덴서(30B)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 있어서는 콘덴서(30B)에 의한 단자간 전압과 직류전원 (32)에 의한 단자간 전압과의 합의 전압의 직류전원을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 (26)과 음극 모선(28)을 접속하도록 설치한 구성, 즉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의 콘덴서(30)를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음극 모선(28)을 접속하 도록 설치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간주할수 있다. 이하, 콘덴서(30B)의 단자간 전압의 설정에 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모터(22)의 3상 코일의 u 상에 착안한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의 회로도이다. 지금 트랜지스터(T2)를 온으로 한 상태를 생각하면 도면 중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단락회로가 형성되어, 모터(22)의 3상 코일의 u 상은 리액터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로부터 트랜지스터(T2)를 오프하면 리액터로서 기능하고 있는 3상 코일의 u 상에 축적되어 있는 에너지는 도면 중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에 의하여 콘덴서(30B)에 축적된다. 한편 이 회로에서 트랜지스터(Tl)를 온한 상태로부터 오프로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콘덴서(30B)의 전하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을 충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직류전원(32)의 에너지를 콘덴서(30B)에 축적함과 동시에 콘덴서(30B)의 전위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에 충전 가능한 초퍼회로로 간주할 수 있다. 모터(22)의 vw 상도 u 상과 마찬가지로 초퍼회로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온/오프함으로써 콘덴서(30B)를 충전하거나, 콘덴서(30B)에 축적된 전하를 사용하여 직류전원(32)을 충전할 수 있다.
이 콘덴서(30B)에의 충전에 의해 생기는 전위차는, 콘덴서(30B)에 축적되는 전하의 양, 즉 리액터에 흘리는 전류에 의하여 변동하므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여 리액터에 흘리는 전류를 조절함으로써 콘덴서(30B)의 단자간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로에 의하여 모터(22)를 구동하는 데는 모터(22)의 3상 코일에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T6)의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유사적인 3상 교류를 공급하면 좋다. 그 때 이 3상 교류에 직류성분을 가하여 즉, 3상 교류의 전위를 플러스측 또는 마이너스측에 옵셋하여 모터(22)에 공급하면, 교류성분으로 모터(22)를 회전구동함과 동시에 직류성분으로 콘덴서(30B)에 축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조절하면서 모터(22)를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서도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와 마찬가지로 콘덴서(30B)의 단자간 전압을 설정할 수 있어, 도 3에 예시하는 온도상승제어처리루틴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콘덴서(30B)의 단자간 전압은 통상의 모터(22)의 구동에서는 예를 들면 직류전원(32)의 단자간 전압과 거의 동일하게 조절하여 직류전원(32)의 저온시에는 직류전원(32)의 단자간 전압보다도 높게 설정하게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에서는 인버터회로(24)의 음극 모선(28)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직류전원(32)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직류전원(32)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서는 인버터회로(24)의 음극 모선(28)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직류전원(32)을 설치함과 동시에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26)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콘덴서 (30B)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인버터회로(24)의 음극 모선(28)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콘덴서(30B)를 설치함과 동시에 인버터회로(24)의 양극 모선 (26)과 모터(22)의 중성점을 접속하도록 직류전원(32)을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나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서는 직류전원(32)을 가온하는 데 반송파의 주파수를 낮게 설정함과 동시에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높게 설정하여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어느 한쪽만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콘덴서(30, 30B)의 단자간 전압을 높게 하는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콘덴서(30, 30B) 대신에 니켈수소계나 리튬이온계의 2차 전지 등의 충전 가능한 직류전원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나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서는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직류전원(32)을 가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밖의 어떠한 방법, 예를 들면 히터 등을 사용하여 직접 직류전원을 가온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나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에서는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low) 이하일 때에 직류전원(32)을 가온하는 가온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hi) 이상일 때에 직류전원(32)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온도상승 억제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온도상승 억제운전의 처리는 도 3의 루틴의 단계(S106)에 있어서의 가온운전의 처리와 반대의 처리, 즉 중성점 전류의 리플을 도 3의 루틴의 단계(S104)에 있어서의 통상운전의 처리에 의하여 생기는 중성점 전류의 리플보다도 작게 하는 처리이고, 리플을 작게 한 중성점 전류가 직류전원(32)에 흐름으로써 직류전원(32)의 내부저항에서의 발열량을 억제할 수 있어, 그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직류전원(32)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 운전시에 요구되는 단자간 전압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예를 들면 직류전원(32)의 단자간 전압의 2배의 전압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반송파의 주파수를 통상 운전시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이들의 설정에 의거하여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상승 억제운전의 처리는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설정과 반송파의 주파수의 설정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음은 물론이다.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및 변형예의 동력 출력장치(20B)나 이들의 변형예에서는 직류전원(32)의 전원온도(Tb)에 따라 직류전원(32)의 가온하는 처리나 그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승강압 리액터로서 기능하는 모터(22)의 각 상 코일과 승강압 초핑용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로 이루어지는 승강압 초퍼회로의 온도, 예를 들면 모터 (22)의 각 상 코일이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온도에 따라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도 7은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회로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루틴은 소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회로온도조절처리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유닛(40)의 CPU(42)는 먼저, 온도센서(52)에 의하여 검출된 모터(22)의 각 상 코일의 온도[리액터온도(Tl)]나 온도센서(54)에 의하여 검출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온도[트랜지스터온도(Tt)]를 판독하고(단계 S110), 판독한 리액터온도(Tl)와 트랜지스터온도(Tt) 에 의거하여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을 설정하고(단계 S112),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이 설정된 상한값(Vmax)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스위칭제어하여(단계 S114) 본 루틴을 종료한다.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의 설정은 실시예에서는 리액터온도 (Tl)와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lmax)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 (Tt)와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tmax)과의 관계를 각각 미리 실험 등에 의하여 구하여 맵으로서 ROM(44)에 기억하여 두고, 리액터온도(Tl)와 트랜지스터온도(Tt)가 주어지면 각각 맵에 대응하는 상한값(Vlmax, Vtmax)이 도출되어, 이들 중 작은 쪽의 값을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으로서 도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는 것은 모터(22)의 각 상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리플을 억제함과 동시에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 (T1 내지 T6)의 스위칭에 의한 발열량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리액터온도 (Tl)와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lmax)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 (Tt)와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tmax)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나 인버터회로(24)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온도에 따라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이들의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모터(22)의 각 상 코일의 리액터온도(Tl)와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트랜지스터온도(Tt)에 의거하여 콘덴서 (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리액터온도(Tl)와 트랜지스터온도(Tt) 중 어느 한쪽에 의거하여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콘덴서(30)의 단자간 전압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모터 (22)의 각 상 코일이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과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도 9는 전자제어유닛(40)에 의하여 실행되는 회로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회로온도조절처리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유닛(40)의 CPU(42)는 먼저 온도센서(52, 54)에 의하여 검출된 리액터온도(Tl)나 트랜지스터온도(Tt)를 판독하고 (단계 S120), 판독한 리액터온도(Tl)와 트랜지스터온도(Tt)에 의거하여 트랜지스터 (T1 내지 T6)의 스위칭주파수(반송파의 주파수)를 설정하고(단계 S122),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트랜지스터(T1 내지 T6)를 스위칭제어하여(단계 S124), 본 루틴을 종료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은 이 변형예에서는 리액터온도(Tl)가 한계값(Tlhi) 이상이 되면 스위칭주파수를 예를 들면 도 3의 루틴의 단계(S104)의 통상운전시에 설정되는 스위칭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하고, 트랜지스터온도(Tt)가 한계값(Tthi) 이상이 되면 스위칭주파수를 통상운전시에 설정되는 스위칭주파수보다도 낮게 설정하는 처리이다. 도 10에 스위칭주파수와 모터(22)의 각 상 코일의 발열량과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발열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주파수가 높아질수록각 상 코일의 발열량은 감소하고, 스위칭주파수가 낮아질수록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발열량은 감소하므로 예를 들면 냉각장치의 고장 등에 의하여 리액터로서 기능하는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 과열하였을 때에는 스위칭주파수를 높게 하고, 트랜지스터(T1 내지 T6)가 과열하였을 때에는 스위칭주파수를 낮게 함으로써 승강압 초퍼회로로서 기능하는 부위를 과열로부터 보호하여 그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 직류전원(32)의 온도조절처리나,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나 트랜지스터(T1 내지 T6)의 온도조절처리를 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예를 들면 CD-ROM이나 DVD-ROM, flexibility디스크등의 여러가지의 기억매체로 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억매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을 전자제어시스템에 인스톨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에 있어서의 모터(22)의 각 상 코일이나 인버터회로(24)의 각 상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6), 다이오드(D1 내지 D6)를 승강압 초퍼회로로서 기능시키는 대신에 승강압동작을 행하는 DC/DC 컨버터(148)를 구비한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즉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는 3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모터(122)와, 직류전력을 3상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122)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124)와, 인버터회로(124)의 양극 모선(126)과 음극 모선(128)에 접속된 콘덴서(130)와, 충방전 가능한 직류전원(132)과, 직류전원(132)으로부터의 직류전압을 승압하여 콘덴서(130)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148)와, 직류전원(13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150)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140)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구성 중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100을 더하여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C/DC 컨버터(148)는 인버터회로(124)의 양극 모선(126)과 음극 모선(128)에 대하여 소스측과 싱크측이 되도록 배치된 2개의 트랜지스터(T7, T8)와, 이 트랜지스터(T7, T8)에 각각 역병렬 접속된 2개의 다이오드(D7, D8)와, 트랜지스터(T7, T8)끼리의 접속점(M)에 접속된 리액터(L)를 구비한다. 또 전자제어유닛(140)은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를 스위칭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출력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동작, 특히 직류전원(132)이 저온의 상태에 있을 때에 직류전원(132)을 가온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의 전자제어유닛(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전원온도상승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루틴은 소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전원온도 상승처리 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유닛(140)의 CPU(142)는 먼저 직류전원(132)의 전지온도(Tb2)를 판독하고(단계 S200), 판독한 전원온도(Tb2)가 한계값(Tblow2)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02). 판정의 결과,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low2)을 초과할 때에는 직류전원(132)은 충분한 전력을 모터 (122)에 공급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통상의 모터(122)의 구동시에 설정되는 콘덴서 (130)의 단자간 전압과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를 사용하여 DC/DC 컨버터(148)를 구동제어(통상운전의 처리)하여(단계 S204), 전원온도(Tb)가 한계값 (Tblow2)이하일 때에는 저온 때문에 직류전원(132)이 모터(122)에 충분한 전력공급을 할 수 없다라고 판단하여 직류전원(132)을 가온하는 가온운전의 처리를 행하여 (단계 S206) 본 루틴을 종료한다. 이 가온운전의 처리는 리액터(L)를 흐르는 전류의 리플을 단계(S204)에 있어서의 통상운전의 처리에 의하여 생기는 리플보다도 크게하는 처리이고, 이 크게 한 전류리플이 직류전원(132)에 흐름으로써 직류전원 (132)의 내부저항에 있어서의 발열을 촉진시켜 직류전원(132)을 신속하게 가온할 수있어,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의 모터(122)의 구동시에 요구되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보다도 높게 설정함과 동시에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 (반송파의 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고, 이들 설정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148)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행한다. 이는 트랜지스터(T7, T8)끼리의 접속점(M)의 전위가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범위에서 또한 트랜지스터(T7,T8)의 스위칭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변동하는 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을 높게 할수록, 또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를 낮게 할수록 직류전원(132)을 흐르는 전류 리플이 커지는 것에 의거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에 의하면 직류전원(132)이 저온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을 통상 운전시보다도 높게 설정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반송파의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고, 이들 설정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148)의 구동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직류전원(132)에 비교적 큰 리플의 전류를 흘릴 수 있어 직류전원(132)을 신속하게 가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에서는 직류전원(132)의 전원온도(Tb2)가 한계값(Tblow2) 이하일 때에 직류전원(132)을 가온하는 가온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직류전원(132)의 전원온도(Tb)가 한계값(Tbhi2) 이상일 때에 직류전원 (132)의 고온시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류전원(132)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온도상승억제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이 온도상승억제운전의 처리는 도 12의 루틴의 단계(S206)에 있어서의 가온운전의 처리와 반대의 처리, 즉 직류전원(132)을 흐르는 전류의 리플을 도 12의 루틴의 단계(S204)에 있어서의 통상운전의 처리로부터 생기는 전류 리플보다도 작게 하는 처리이고, 리플을 작게 한 전류가 직류전원(132)에 흐름으로써 직류전원(132)의 내부저항에서의 발열량을 억제할 수 있어 그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모터(122) 구동제어시(통상운전시)에 요구되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보다도 낮게 설정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반송파의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고, 이들 설정에 의거하여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제어를 행한다. 또한 온도상승억제운전의 처리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설정과 반송파의 주파수의 설정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음은 물론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나 그 변형예에서는 직류전원(132)의 전원온도(Tb2)에 따라 직류전원(132)을 가온하는 처리나 그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DC/DC 컨버터(148)의 온도, 예를 들면 리액터(L)나 트랜지스터(T7, T8)의 온도에 따라 트랜지스터(T7, T8)를 스위칭제어함으로써 DC/DC 컨버터(148)의 온도관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도 13은 전자제어유닛 (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루틴은 소정시간마다 반복하여 실행된다.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유닛(140)의 CPU(142)는 먼저 온도센서(152)에 의하여 검출된 리액터(L)의 온도[리액터온도(T12)]나 온도센서(154)에 의하여 검출된 트랜지스터(T7, T8)의 온도[트랜지스터온도(Tt2)]를 판독하고(단계 S210), 판독한 리액터온도(Tl2)와 트랜지스터온도(Tt2)에 의거하여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2)을 설정하고(단계 S212),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이 설정된 상한값(Vmax2)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를 스위칭제어하여(단계 S214) 본 루틴을 종료한다.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2)의 설정은 실시예에서는 리액터온도(Tl2)와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lmax2)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Tt2)와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tmax)과의 관계를 각각 미리 실험 등에 의하여 구하여 맵으로서 ROM(144)에 기억하여 두고, 리액터온도(Tl2)와 트랜지스터온도 (Tt2)가 주어지면 맵에 대응하는 상한값(Vlmax2, Vtmax2)이 도출되어, 이들 중 작은 쪽의 값을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2)으로서 도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리액터(L)에 흐르는 전류리플을 저레벨로 억제함과 동시에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도 14에 리액터온도(Tl2)와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lmax2)과의 관계 및 트랜지스터온도(Tt2)와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tmax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리액터(L)의 온도나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의 온도에 따라 콘덴서 (130)의 단자간 전압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DC/DC 컨버터(148)를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그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리액터온도(Tl2)와 트랜지스터온도(Tt2)에 의거하여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 (Vmgx2)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리액터온도(Tl2)와 트랜지스터온도(Tt2) 중 어느 한쪽에 의거하여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2)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 리액터(L)나 트랜지스터(T7, T8) 이외의 DC/DC 컨버터 (148)의 내부온도에 의거하여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의 상한값(Vmax2)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콘덴서(130)의 단자간 전압에 제한을 가함으로써, DC/DC 컨버터(148)를 과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DC/DC 컨버터148를 과열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5는 전자제어유닛(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루틴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DC/DC 컨버터 온도조절처리루틴이 실행되면 전자제어 유닛(140)의 CPU(142)는 먼저 온도센서(152, 154)에 의하여 검출된 리액터온도 (Tl2)나 트랜지스터온도(Tt2)를 판독하고(단계 S220), 판독한 리액터온도(Tl2)와 트랜지스터온도(Tt2)에 따라 트랜지스터(T7, T8)의 스위칭주파수(반송파의 주파수)를 설정하고(단계 S222),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DC/DC 컨버터(148)의 트랜지스터(T7, T8)를 스위칭제어하여(단계 S224) 본 루틴을 종료한다. 여기서 스위칭주파수의 설정은 이 변형예에서는 리액터온도(Tl2)가 한계값(Tlhi2)이상이 되면 스위칭주파수를 예를 들면 도 12의 루틴의 단계(S204)의 통상운전시에 설정되는 스위칭주파수보다도 높게 설정하고, 트랜지스터온도(Tt2)가 한계값(Tthi2) 이상이 되면 스위칭주파수를 통상운전시에 설정되는 스위칭주파수보다도 낮게 설정하는 처리이다. 도 16에 스위칭주파수와 리액터(L)의 발열량과 트랜지스터(T7, T8)의 발열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칭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리액터(L)의 발열량은 감소하고, 스위칭주파수가 낮아질수록 트랜지스터(T7, T8)의 발열량은 감소하므로 예를 들면 DC/DC 컨버터(148)의 냉각장치의 고장 등에 의하여 리액터(L)가 과열되었을 때에는 스위칭주파수를 높게 하고, 트랜지스터(T7, T8)가 과열되었을 때에는 스위칭주파수를 낮게 함으로써 DC/DC 컨버터(148)를 과열로부터 보호하여 그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120)나 그 변형예에서는 모터(122)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원으로서의 직류전원(132)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전력을 소비하는 일반적인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원으로서의 직류전원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또 직류전원(132)의 온도조절처리나 DC/DC 컨버터(148)[리액터(L)나 트랜지스터(T7, T8)]의 온도조절처리를 행하는 제어시스템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컴퓨터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예를 들면 CD-ROM이나 DVD-ROM, 플렉시블디스크 등의 여러가지의 기억매체로 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기억매체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프로그램을 제어시스템에 인스톨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 1, 제 2 실시형태의 동력 출력장치(20, 120)나 이들의 변형예에서는 모터 (22, 122)로서 3상 교류에 의하여 구동하는 동기 발전전동기를 사용하였으나, 다상교류에 의하여 구동하는 어떠한 타입의 전동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않은 범위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출력장치나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이나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본 발명에 관한 구동장치나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이나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은 자동차 등의 차량의 구동원으로서 탑재되는 모터나 그 밖의 전기기기의 전력원으로서의 전원의 온도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또 전원과 전기기기 사이에 개재하는 전력변환기의 온도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39)

  1.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
  2.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은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이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상기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1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통상보다도 높게 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2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통상보다도 낮게 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가 제 3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축전장치의 축전전압에 제한을 가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4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가 제 5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에 포함되는 상기 전동기의 코일의 온도가 제 6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력변환부에 포함되는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제 7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동력 출력장치.
  12.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 2 전원의 온도가 소정의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2 전원을 가온하는 가온수단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
  13.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 2 전원의 온도가 소정의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제 2 전원을 가온하는 가온수단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기재의 동력 출력장치를 탑재하는 차량.
  15.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6. 다상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정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로서의 상기 제 1 전원의 축전전압을 상기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19.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20.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21.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과 음극 모선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22. 컴퓨터를,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와, 복수의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다상 교류전력을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와, 상기 인버터회로의 양극 모선 및 음극 모선 중 어느 한쪽의 모선과 상기 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1 전원과, 상기 인버터회로의 상기 한쪽의 모선과는 다른 다른쪽의 모선과 상기전동기의 중성점에 접속된 제 2 전원을 구비하는 동력 출력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기의 코일과 상기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원에 공급 가능한 전력변환부의 온도 또는 상기 제 2 전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23.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에너지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과;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구동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1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이 통상보다도 높아지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26.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2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이 통상보다도 낮아지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27. 제 2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가 제 3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에 제한을 가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28. 제 23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4 한계값 이하일 때, 상기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30. 제 28항 또는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전원의 온도가 제 5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31. 제 28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가 제 6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낮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인 구동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에너지축적수단의 온도가 제 7 한계값 이상일 때,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통상보다도 높게 설정하여 스위칭제어하는 수단 인 구동장치.
  33. 제 23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다상 교류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전동기이고,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하여 변환된 직류전력을 다상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 가능한 인버터회로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34. 제 33항 기재의 구동장치와 전동기를 탑재하는 차량.
  35.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에너지축적수단을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스위칭소자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출력된 전력을 충전 가능한 축전장치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축전장치의 축전전압을 스위칭제어에 의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37.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주파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스위칭주파수로 스위칭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38. 컴퓨터를,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에너지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직류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39. 컴퓨터를,
    직류전류를 에너지로서 일시적으로 축적 가능한 에너지축적수단을 가지고, 상기 에너지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입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의하여 DC/DC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 가능한 DC/DC 컨버터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직류전력을 공급 가능한 전원을 구비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직류전원의 온도 또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온도에 의거하여 상기 온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위칭소자를 스위칭제어하는 온도조절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2-7013657A 2001-02-14 2001-10-04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구동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0486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7007 2001-02-14
JPJP-P-2001-00037007 2001-02-14
PCT/JP2001/008751 WO2002065628A1 (fr) 2001-02-14 2001-10-04 Dispositif de production de puissance et dispositif d'entrainement, vehicule sur lequel lesdits dispositifs sont montes, et procedes de commande, supports de stockage et programmes desdits dispositif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270A true KR20030020270A (ko) 2003-03-08
KR100486321B1 KR100486321B1 (ko) 2005-04-29

Family

ID=1890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657A KR100486321B1 (ko) 2001-02-14 2001-10-04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구동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20037B2 (ko)
EP (1) EP1286459B1 (ko)
JP (1) JP3732828B2 (ko)
KR (1) KR100486321B1 (ko)
CN (1) CN1211908C (ko)
DE (1) DE60113832T2 (ko)
WO (1) WO20020656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13B1 (ko) * 2005-12-06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의 구동장치
KR101323921B1 (ko) * 2012-04-24 2013-10-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993B2 (ja) * 2001-10-04 2005-09-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動力出力装置
US6917179B2 (en) 2001-10-25 2005-07-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Load driver and control method for safely driving DC loa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allowing computer to execute the control
JP3661689B2 (ja) * 2003-03-11 2005-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それを備えるハイブリッド車駆動装置、モータ駆動装置の制御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37658B2 (en) * 2003-10-27 2010-06-15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s having a charging mode and a discharging mode
JP4461824B2 (ja) * 2004-02-13 2010-05-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自動車の制御方法、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FI119579B (fi) * 2004-08-13 2008-12-31 Abb Oy Menetelmä jännitevälipiirillisessä taajuusmuuttajassa ja taajuusmuuttaja
JP4113527B2 (ja) * 2004-11-25 2008-07-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839780B2 (ja) * 2004-12-28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車両
US7792860B2 (en) * 2005-03-25 2010-09-0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for change notification and persistent caching of dynamically computed membership of rules-based lists in LDAP
JP4797476B2 (ja) * 2005-07-12 2011-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制御装置
DE102005042324A1 (de) * 2005-09-06 2007-03-15 Siemens Ag Weitspannungs-Umrichter
DE602006010156D1 (de) * 2005-12-07 2009-12-17 Denso Corp Steuergerät für ein Elektrofahrzeug
JP2007166874A (ja) * 2005-12-16 2007-06-28 Toyota Motor Corp 電圧変換装置
JP4640200B2 (ja) * 2006-02-10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圧変換装置および電圧変換器の制御方法
JP4479919B2 (ja) * 2006-03-29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4544273B2 (ja) * 2007-06-20 2010-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および車両用電源装置における蓄電装置の充電状態推定方法
JP4274271B2 (ja) 2007-07-26 2009-06-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圧変換装置
EP2195912A1 (de) 2007-09-24 2010-06-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elektromotors
JP4380755B2 (ja) * 2007-10-10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装置
US8556011B2 (en) * 2007-11-01 2013-10-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diction strategy for thermal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power electronic hardware
JP5221119B2 (ja) * 2007-12-14 2013-06-26 株式会社東芝 インバータ装置
JP4957538B2 (ja) * 2007-12-27 2012-06-2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コンバータ装置,回転電機制御装置および駆動装置
JP4708483B2 (ja) * 2008-03-18 2011-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同期電動機の駆動装置
US8625315B2 (en) * 2008-05-09 2014-01-07 Etm Electromatic Inc Inverter modulator with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JP5412974B2 (ja) * 2009-03-13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三相交流同期電動機の駆動装置
JP5304423B2 (ja) * 2009-05-08 2013-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動力出力システムを搭載する車両
JP4840481B2 (ja) * 2009-07-08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昇温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二次電池の昇温制御方法
JP4811503B2 (ja) * 2009-07-08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昇温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二次電池の昇温制御方法
EP2453514B1 (en) * 2009-07-08 2017-11-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condary-battery temperature-rais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same
DE102009045147A1 (de) * 2009-09-30 2011-04-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chutz eines Kraftfahrzeuggenerators vor einer Überhitzung
US8749090B2 (en) * 2010-02-03 2014-06-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source automotive propuls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2538531B1 (en) * 2010-02-17 2015-04-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JP5375715B2 (ja) * 2010-03-31 2013-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中性点昇圧方式の直流−三相変換装置
JP5059160B2 (ja) * 2010-04-19 2012-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Dc/dc電圧変換装置
JP5502603B2 (ja) * 2010-06-04 2014-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電池加温装置
JP5294335B2 (ja) * 2010-06-18 2013-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102010042328A1 (de) * 2010-10-12 2012-04-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des Ladebetriebs eines Energiespeichers in einem Fahrzeug und Ladesystem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in einem Fahrzeug
CN102479983B (zh) * 2010-11-30 2016-03-0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动力电池的充电控制方法及装置
CN103403952B (zh) * 2011-01-07 2015-09-30 三菱电机株式会社 充放电装置
EP2680434B1 (en) 2011-02-25 2020-09-30 NTN Corporation Electric automobile
JP5925425B2 (ja) * 2011-04-07 2016-05-25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5834768B2 (ja) * 2011-10-25 2015-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電電動機の制御装置
DE102011088974A1 (de) * 2011-12-19 2013-06-2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Anlaufsteuerung einer elektrischen Unterdruckpumpe
JP5973173B2 (ja) * 2012-01-23 2016-08-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352656B2 (en) * 2012-08-31 2016-05-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based electric machine control
EP2896121A1 (en) * 2012-09-13 2015-07-22 Moog Inc. Method and apparatae for controlling and providing a voltage converter with a pulse-width-modulated switch
DE102012216659A1 (de) * 2012-09-18 2014-03-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chienenfahrzeugs
DE102013200674A1 (de) * 2013-01-17 2014-07-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r elektrischen Maschine und zwei Teilbordnetzen
DE102013205870A1 (de) * 2013-04-03 2014-10-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teuerverfahren für elektrische Maschine
CN103332192B (zh) * 2013-06-28 2016-08-10 广东戈兰玛汽车系统有限公司 Amt动力链控制器
JP2015080343A (ja) * 2013-10-17 2015-04-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
US9625921B2 (en) * 2015-04-03 2017-04-18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Life of a semiconductor by reducing temperature changes therein via switching frequency
AT517459B1 (de) 2015-07-31 2017-02-15 Avl List Gmbh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s DC/DC-Wandlers mittels einer PWM-Steuerung
US10097130B2 (en) * 2015-12-02 2018-10-09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Energization control system and sensor unit
JP6269647B2 (ja) * 2015-12-14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
CN105489964B (zh) * 2015-12-22 2018-04-06 重庆科鑫三佳车辆技术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动态温升控制方法和装置
JP6835043B2 (ja) * 2018-06-26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駆動システム
DE112018008175T5 (de) * 2018-11-29 2021-08-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tierende elektrische Maschinentreibervorrichtung
CN111354998B (zh) * 2018-12-21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及其温度控制装置
CN111376795A (zh) * 2018-12-29 2020-07-07 比亚迪汽车工业有限公司 用于加热电动汽车的电池的控制方法、系统及电动汽车
WO2020246038A1 (ja) * 2019-06-07 2020-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送風機、圧縮機及び空気調和機
CN112133987A (zh) * 2019-06-25 2020-12-25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的加热控制方法及装置
CN112644339B (zh) * 2019-09-25 2022-01-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能量转换装置的协同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EP3799296A1 (de) * 2019-09-27 2021-03-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antrieb mit schaltfrequenzgeregelter motortemperatur
CN111884531B (zh) * 2020-06-24 2022-07-19 华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逆变器开关频率调节方法、动力总成系统及电动车辆
EP4096086A1 (en) * 2021-05-28 2022-11-30 Thermo King Corporation A power converter
CN114537226B (zh) * 2022-03-07 2023-11-07 臻驱科技(上海)有限公司 电动汽车的动力总成电路及动力电池加热方法
DE102022112903B4 (de) 2022-05-23 2023-12-21 Sma Solar Technology Ag Verfahren zur erhöhung der lebensdauer von wandlerschaltern sowi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8898A (en) * 1978-11-16 1980-05-23 Japanese National Railways<Jnr> Inverter for synchronous motor
JPS5972991A (ja) 1982-10-19 1984-04-25 Fanuc Ltd モ−タの制御装置
NL8702363A (nl) 1987-10-05 1989-05-01 Philips Nv Elektrisch scheerapparaat.
JPH01107621A (ja) * 1987-10-19 1989-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漏れ電流低減回路
JPH04168973A (ja) 1990-10-31 1992-06-17 Toshiba Corp 電源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駆動回路
DE69324970T2 (de) 1992-03-06 1999-12-09 Hino Motors Ltd Brems- und hilfsenergie-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5420777A (en) 1993-06-07 1995-05-30 Nec Corporation Switching type DC-DC converter having increasing conversion efficiency at light load
FR2714233B1 (fr) 1993-12-16 1996-01-12 Telemecanique Système de contrôle d'alimentation d'un moteur asynchrone.
JPH09247992A (ja) 1996-03-13 1997-09-19 Toshiba Corp 制御装置付きモータ
US5710699A (en) * 1996-05-28 1998-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electronic interface circuits for batteries and ultracapacitors in electric vehicles and battery storage systems
JPH1094182A (ja) * 1996-09-13 1998-04-10 Honda Motor Co Ltd 電源装置および電気自動車
JP3365254B2 (ja) 1997-06-03 2003-01-08 富士電機株式会社 単相−多相電力変換回路
DE19823917A1 (de) 1997-06-03 1998-12-10 Fuji Electric Co Ltd Stromrichtervorrichtung
JP3223842B2 (ja) 1997-06-03 2001-10-29 富士電機株式会社 多相出力電力変換回路
JP3454691B2 (ja) 1997-09-26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回路
JP3219039B2 (ja) 1997-12-15 2001-10-15 富士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JPH11280512A (ja) * 1998-03-30 1999-10-12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
JP3410022B2 (ja) * 1998-05-20 2003-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3496532B2 (ja) 1998-08-18 2004-02-16 日立工機株式会社 遠心機用モータの制御装置
JP4078754B2 (ja) 1999-05-20 2008-04-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パワースイッチング装置
JP3566151B2 (ja) * 1999-10-04 2004-09-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モータ制御装置
JP3552614B2 (ja) * 1999-11-11 2004-08-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
US6700802B2 (en) * 2000-02-14 2004-03-02 Aura Systems, Inc. Bi-directional power supply circuit
JP2001298990A (ja) * 2000-04-07 2001-10-26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インバータモー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13B1 (ko) * 2005-12-06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의 구동장치
KR101323921B1 (ko) * 2012-04-24 2013-10-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변환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6459A4 (en) 2003-05-14
CN1211908C (zh) 2005-07-20
WO2002065628A1 (fr) 2002-08-22
DE60113832D1 (de) 2006-02-16
EP1286459A1 (en) 2003-02-26
US20030057914A1 (en) 2003-03-27
CN1436395A (zh) 2003-08-13
DE60113832T2 (de) 2006-07-06
JP3732828B2 (ja) 2006-01-11
JPWO2002065628A1 (ja) 2004-06-17
KR100486321B1 (ko) 2005-04-29
US7120037B2 (en) 2006-10-10
EP1286459B1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321B1 (ko) 동력 출력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동력 출력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구동장치 및 이것을 탑재하는 차량, 구동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3692993B2 (ja) 駆動装置および動力出力装置
CN110970965B (zh) 开关控制装置及方法、电机控制器和电池组加热控制系统
KR101190337B1 (ko) 2차 전지 승온 제어 장치, 이를 구비하는 차량, 및 2차 전지 승온 제어 방법
JP4462243B2 (ja) 負荷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EP2322376A2 (en) Apparatus for driving motor of electric vehicle
US7675192B2 (en) Active DC bus filter for fuel cell applications
JP5338799B2 (ja) バッテリ昇温システム
JPWO2003015254A1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2013037859A (ja) 蓄電池装置
CN115868065B (zh) 加热电池的方法、电池加热系统及用电装置
US20200009980A1 (en) Charge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KR20190039811A (ko) 특히 차량용의 구동 시스템 및 구동 시스템의 가열 방법
JP2009038958A (ja)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9278794A (ja) 電力変換装置
JP4591741B2 (ja) 車両用回転電機駆動装置
CN116061765B (zh) 电池加热系统和电动卡车
JP7113095B2 (ja) パワースイッチング回路
JP5062245B2 (ja) 負荷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
JP2015149853A (ja) モータジェネレ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6671402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4120965A (ja) インバータシステム
JP2020137347A (ja) 電圧変換装置
JP2021090260A (ja) 電力変換装置
JP2017112785A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