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564A -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564A
KR20030019564A KR10-2003-7000336A KR20037000336A KR20030019564A KR 20030019564 A KR20030019564 A KR 20030019564A KR 20037000336 A KR20037000336 A KR 20037000336A KR 20030019564 A KR20030019564 A KR 20030019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ell
lid
ball joint
spring memb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048B1 (ko
Inventor
브뢰케르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젯에프 렘푀르더 메탈바렌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에프 렘푀르더 메탈바렌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젯에프 렘푀르더 메탈바렌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19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16C11/063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 F16C11/063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characterised by geometric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7Special 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for wear or play; Wear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52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combined with a damper other than elastic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8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 F16C11/083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 F16C11/08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with resilient bearings by means of parts of rubber or like materials with an elastomeric member in the blind end of a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13Elastomerically biased or back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37Universal ball and socket including liner, shim, or discrete se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37Universal ball and socket including liner, shim, or discrete seat
    • Y10T403/32762Spring-biased seat opposite ball stu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811Spring-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819Pivoted including tension or take-up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819Pivoted including tension or take-up means
    • Y10T403/32836Acting through tapered surface on bearing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3)으로 폐쇄된 하우징(2) 및 베어링셀(5, 6)과, 선회 및 경사 운동이 가능하고 볼 피벗(9)을 가지고 있는 조인트볼(4)로 구성된 볼조인트(1)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외측면(6a)에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이 형성된 베어링셀(6)과, 압축응력이 가해진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가 상기 뚜껑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우징(2) 속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셀은 각각 폐쇄된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5, 6)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베어링셀(6)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하부 베어링셀(5)의 중첩부분의 내측면(5b) 및 상부 베어링(6)의 외측면(6a)에 각각 돌출부들(20, 11)과 요와부(21, 12)들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뚜껑(3)을 폐쇄할 때 돌출부(20, 11)들 및 요와부(21, 12)들과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가 형상결합 및/또는 마찰결합에 의하여 서로 폐쇄상태에서 상호 작용하여, 양쪽 베어링셀들(5, 6)은 회전불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볼조인트{BALL JOINT}
그와 같은 종류의 볼조인트가 독일특허 DE 199 30 445 A1에서 공개되었다. 상기 하우징 속에 고정된 베어링셀은 축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뚜껑은 베어링셀 쪽으로 향한 내측면에 뚜껑과 베어링셀 사이에 고정되어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멤버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 스프링멤버는 상기 뚜껑에 의하여 리브들과 세로 홈들의 형태로 형성되어 방사형으로 배열된 요부 및 철부에 접하여 압착된다. 상기 베어링셀은 조인트볼의 삽입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을 가지고 있다.
그와 같은 구멍은 볼조인트에 대한 유사한 축방향 및 반경방향 부하를 받을 때 베어링셀로부터 이물질이 구멍 속으로 유입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때문에 밀폐력이 이완되어, 볼조인트는 조인트볼과 베어링셀 사이에 바람직스럽지 못한 유동을 초래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상기 구멍을 확장하면서 조인트볼을 베어링셀 속으로 압입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일정한 탄력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베어링셀을 위해서는 이러한 탄력성을 갖는 재료만이 고려되는바, 그러나 이것은 또한 내마모성에 영향을 준다.
독일특허 DE 36 19 004 C1에 의한 다른 종류의 볼조인트에 있어서 베어링셀은 동축으로 서로 결합된 2개의 베어링셀, 즉, 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내측 베어링셀과 강탄성 재료로 되는 외측 베어링셀로 구성되며, 상기 2개의 베어링셀에는 윤활유 저장장치를 결합하는 관통구멍 및 이들의 접촉면에는 동심으로 형성된 윤활유 주입홈들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외측 베어링셀에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구면단부(球面端部)를 압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등거리 축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때 강력한 반경방향 부하를 받으면 상기 외측 베어링셀의 재료는 이 방사형 홈 속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므로 써, 볼과 외측 베어링셀 사이의 유동이 불가피하게 증가한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볼조인트는 방사형 홈과 함께 외측 베어링셀 재료, 여기서는 폴리옥시메틸렌(POM)의 재료 의존성 부하능력에 국한된다. 이때 자동적으로 유동을 보상하는 보정장치가 없다.
독일특허 DE 197 55 284 A1에서 또 다른 볼조인트가 공개되어 있으며, 그 조인트볼은 구간별로 베어링셀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그 베어링셀의 돔 모양의 내측면은 원통형 외측면과 함께 하우징의 착설공 속으로 삽입되어, 이때 상기 베어링셀은 그의 외각면과 함께 고무 탄력성의 탄성중합체로 제작되어 상기 착설공 속에 들어있는 통형외피 속에 매설된다. 이때 베어링셀 보다 스프링 강도가 낮은 엔트로피 탄성재료로 제작된 통형외피가 상기 조인트볼과 외측 하우징 사이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 베어링셀과 통형외피는 조인트볼에 대하여 2개의 앞뒤로 나란히 결합된 스프링을 형성하기 때문에, 그의 전체적인 스프링 강도는 베어링셀과 통형외피의 각각의 스프링 강도 보다 항상 작아진다. 이것은 바람직스럽지 못한 유동현상 외에 볼조인트의 자동감쇠능력을 저하시킨다. 구성부품들의 조기 마모시 볼조인트와 베어링셀 사이의 유동을 보정하는 보상수단이 없다.
본 발명은 뚜껑으로 폐쇄된 하우징 및 베어링셀과, 선회 및 경사 운동이 가능하고 볼 피벗을 가지고 있는 조인트볼로 구성된 볼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볼 피벗은 축과 함께 상기 뚜껑 반대편의 하우징 개구부로부터 뻗어 나와 있으며, 이때 외측면에 돌출부와 요와부가 형성된 베어링셀 및 압축응력이 가해진 엔트로피 탄성을 갖는 스프링멤버가 상기 뚜껑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의 전체 단면도로서, 외쪽 반은 압축응력을 가하지 않은 조립상태이고, 오른쪽 반은 압축응력을 가한 상태(압착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다.
도 2는 상부 베어링셀의 측면도 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III) 방향에서 본 상부 베어링셀의 평면도 이다.
도 4는 상부 베어링셀을 화살표(IV) 방향에서 본 저면도 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연하는 상부 베어링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하부 베어링셀의 플랜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VII) 방향에서 본 하부 베어링셀의 평면도 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선을 연하는 하부 베어링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환상 스프링멤버가 착설되어 그의 부분단면을 보여주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의 직경방향 확대단면도 이다.
상기 선행기술에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모두에 언급한 종류와 같이 베어링셀의 비틀림 방지장치 뿐만 아니라, 반경방향 및 축방향으로 볼 피벗의 스프링 유동보정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모두에 언급한 유사개념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베어링셀은 각각 폐쇄된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베어링셀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하부 베어링셀의 중첩부분의 내측면 및/또는 상부 베어링의 외측면에 각각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뚜껑을 폐쇄할 때 돌출부들 및 요와부들과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가 형상결합 및/또는 마찰결합에 의하여 서로 폐쇄상태에서 상호 작용하여, 양쪽 베어링셀들은 회전불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그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주하중(主荷重)을 받는 하부 베어링셀은 고내마모성재료로 유극을 작게하여 제작되며, 그와 반대로 비교적 작은 힘을 받는 상부 베어링셀은 공인된 종래의 연질 플라스틱 재료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을 형상결합 및/또는 마찰결합으로 항상 스프링 탄력성 압축응력을 가하여 스프링멤버 및 뚜껑과 엔트로피 탄력결합을 이루므로 써, 유극이 작고 압축응력에 기인하는 마모 때문에 점점 커지는 유극을 압축응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보상하는 조인트 탄력성이 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PEEK, PEI, PA66, GFK(A3WG6)등과 같은 고강도 및 고내마모성 재료를 사용하여 상부 베어링셀과 겹치기 때문에 조인트볼의 자오면 위로 도달하도록 제조된 베어링셀은 축방향 작용력 뿐만 아니라, 나타날 수 있는 반경방향 작용력의 대부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반면에 상부 베어링셀은 주로 압축응력이 가해진 스프링멤버로부터 비롯되는 조인트 탄력성을 결정하는 엔트로피 탄성력 만을 전달 받는다. 어떤 경우이든 - 차세대의 기술수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 상기 뚜껑은 장력요소로서 작용한다.
상기 하부 베어링셀은 상부 베어링셀과 겹치는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그 플랜지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단부와 뚜껑 사이를 고정시켜 비틀림 방지장치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한 상기 뚜껑의 하부면에 돌출부와 요부를 형성하고, 그 속으로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를 삽입하여 양쪽의 베어링셀들을 형상결합 하거나 내지는 회전불능하게 뚜껑과 결합한다. 그렇게 하므로 써 뚜껑 및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와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의 전체적인 요건을 충족시키는 안정된 비틀림 방지장치가 이루어진다. 유리하게도 상기 양쪽의 베어링셀과 뚜껑의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은 공지된 리브(ribs)와 홈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모두 종축에 대하여 방사상 및 등거리로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엔트로피 스프링멤버는 양쪽의 베어링셀과 뚜껑의 홈들 속으로 삽입되어 형상결합을 이루고, 따라서 형상 및 마찰 결합에 의한 연결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유리하게는 상기 하부 베어링셀은 상기 플랜지 근방의 내측면에 리브들과 홈들로 이루어진 테두리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상부 베어링셀은 그 자체가 잘 알려진 원개형(圓蓋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은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의 형상결합을 위하여 상부 베어링셀의 돌출부들은 방사형으로 둘러싼 대략 부등변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요부를 형성하며, 이때 전체 요부들은 원형으로 둘러싼 환상부를 형성하여, 이 환상부에 상기 등거리 철부들과 요부들이 인접되어 있다. 그렇게 하므로 써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이때 상기 스프링멤버는 유리하게 탄성중합체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멤버의 단면형태는 외측으로는 사각로, 내측으로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전체 모서리 부위는 응력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경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는 상기 뚜껑을 장착하기 전에 상기 하부 베어링셀의 플랜지의 상부 모서리를 소정의 스프링 압축응력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초과하여 위로 돌출한다. 상기 뚜껑을 하부 베어링셀의 환상 플랜지의 상부면에 대고 압축하자마자, 상기 스프링멤버는 소정의 압축응력의 작용을 받으며, 이 과정은 뚜껑을 폐쇄할 때 자동적으로 작용력 또는 경로가 제어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는 그의 삼각면들 중 하나와 평탄한 직각면들 중 하나가 상부 베어링셀의 리브들의 요부 위에 놓이고, 상기 스프링멤버의 평탄한 외주면은 하부 베어링셀의 리브들과 홈들의 테두리와 면접하며, 이때 어떤 경우이든 상기 스프링멤버가 조립최종위치에 위치한 다음에는 스프링압축응력의 작용 하에 상기 돌출부들에 대하여, 그리고 요와부들 속으로, 또한 뚜껑에 경우에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들에 대하여, 그리고 요와부들 속으로 압착된다.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는 80 ±5의 쇼어강도-A를 갖는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중합체로 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볼조인트(1)는 기본적으로 하우징(2), 뚜껑(3) 및 조인트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인트볼은 하부 베어링셀(5)과 상부 베어링셀(6) 속에 결합되어 있다. 양쪽 베어링셀(5, 6)들은 우측 반쪽 도면에 도시한 조립최종상태에서 상기 뚜껑(3)의 저면(3a)에 의하여 양쪽 베어링셀(5, 6)에 대하여 압착되는 환상체 형태의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와 협동작용을 한다. 상기 뚜껑(3)의 반대쪽 구멍(8)을 통하여 하우징(2)으로부터 조인트볼(4)의 피벗저널(9)이 솟아 나와 있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셀(6)은 외측면(6a)에 볼조조인트(1)의 종축(10)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뻗은 돌출부(11)들과 요와부(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들에는 방사형으로 둘러싼 사다리꼴 요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요부(13) 속으로 후술하는 환상 엔트로피 탄성스프링멤버(7)가 결합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원개형(圓蓋形)으로 형성된 상부 베어링셀(6)의 상부면에는 원형 관통구멍(14)이 형성되고, 하부면(15)에는 방사형으로 장치된 6개의 윤활유 주입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베어링셀(6)은 공인된 POM, PA66 또는 고내마모성의 PEEK 또는 PEI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어링셀(5)은 상부 베어링셀(6)과 중첩되는 단부(5a)에 플랜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7)는 하우징(2)의 단부)(18)와 뚜껑(3) 사이에 비틀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특히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베어링셀(5)에는 플랜지(17)에 인접한 내측면(5b) 위에 돌출부(20)와 요와부(21)의 외주 테두리(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베어링셀 5의 내측면 5b 속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총6개의 윤활유 주입홈(20)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환상 스프링멤버(7)는 단면이 바깥쪽으로 사각형(23)이고, 안쪽은 등변삼각형(2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전체 모서리부위(25)는 반경방향으로 둥글게 만들었다.
도 9와 관련하여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는 양쪽 삼각면들 중의 하나, 즉, 삼각면(26)들과, 평탄한 사각면들 중 하나, 즉, 사각면(27)들이 상부 베어링셀(6) 돌출부(11)의 요부(13) 위에 놓이고, 평탄한 외주면(28)은 하부 베어링셀(5)의 돌춥부(20)들과 요와부(21)들이 형성된 테두리(19)에 면접하여 있으며, 이때 스프링멤버(7)는 최종조립상태(도 1의 우측 반쪽도면 참조)에서 상기 뚜껑(3)에 의하여 스프링 압축응력(Fv)의 작용 하에 - 면접하고 있는 - 접촉면들과 그리고 또한 뚜껑(3)의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에 대하여 압착된다.
이때 스프링 압축응력(Fv)은 도 1의 좌측 반쪽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랜지(17)의 상부 둘레(17a) 위로 솟아 초과하는 높이(f) 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의 우측 반쪽 도면과 같이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를 조립한 후에 스프링멤버(7)의 재료 일부가 상부 베어링셀(6)의 요와부(12)들 속으로 뿐만 아니라 하부 베어링셀(5)의 요와부(21)들 및 경우에 따라 뚜껑(3)에 형성되는 홈들 속으로 압착된다. 상기 압입작용을 형상결합식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얄에 따라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의 접촉면(27, 28, 29)에 마찬가지로 상기 요와부(12, 21)들과 꼭 맞게 대응하는 돌출부들을 형성시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조인트 종축(10)에 평행하게 초기압축력을 일으키는 폐쇄력(Fv)은 힘의 평행사변형에서 반경방향으로 베어링셀(6)에 작용하는 힘의 성분과, 하부 베어링셀(5)의 내측벽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으로 나뉜다. 하부 베어링셀(5)에 대한 분력(FrU)은 하우징(2)에 의하여 흡수 되므로 써, 화살표(FrU) 방향으로의 바람직하지 않는 굴곡이 방지된다. 한편 분력(FrO)은 항상 상부 베어링셀(6)로 지향되므로 써, 상부 베어링셀(6)은 항상 적절하게 유동이 없이 조인트볼(4)에 대하여 압착된다. 그렇게 하므로 써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는 뚜껑(3) 및 상부 베어링셀(6)과 협동하여 볼조인트(1)의 조인트볼(4)에 대하여 유동보상 시스템을 형성하여 조인트의 탄력성을 결정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동보상 시스템과의 결합은 상기 뚜껑(3)의 저면(3b)과 인접한 상부 베어링셀(6)의 돌출부(11) 사이의 간극의 크기(SM)가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간격크기는 0과 최대허용치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압축부하가 빈번하게 가해질수록 이 간극크기가 작게 나타난다. 이러한 압축부하는 볼조인트의 종축(10)에 평행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5, 6)들의 끊임없는 비틀림방지장치가 작용할 때, 상기 볼 피벗(9)이 회전 또는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 가해지는 회전모멘트(MD)는 상기 볼 피벗(9)이 볼조인트 하우징(2)에 대하여 볼조인트 종축(10)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노정(Sax) 및 상기 조인트볼(4)이 볼조인트 하우징(2)에 대하여 화살표(30)와 같이 축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노정(Srad)과 함께 압축응력(f) 및 간극크기(SM)를 통하여 쉽게 조정된다. 그에 따라서 상기 회전 내지 경사 모멘트 또는 노정(Sax내지 Srad)들은 구면외각(球面外殼)에 압축응력을 가하므로 써 발생시킬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볼조인트(1)하우징(2)
뚜껑(3)뚜껑 저면(3a)
조인트볼(4)하부 베어링셀(5)
베어링셀 상부면(5a)베어링셀 내측면(5b)
상부 베어링셀(6) 상부 베어링셀 외측면(6a)
스프링멤버(7)구멍(8)
피벗저널 (볼 피벗)(9)볼조인트 종축(10)
돌출부(11, 20) 요와부(12, 21)
요부(13)관통구멍(14)
하부면(15)윤활유 주입홈(16, 22)
플랜지(17)플랜지의 상부 둘레(17a)
하우징 단부(18)테두리(19)
사각부(23)삼각부(24)
모서리 부위(25)삼각면(26)
직각면(27)외주면(28)
직각측면(29)화살표(30)
회전 모멘트(MD)높이(f)
스프링 압축응력(Fv)수평방향 분력 화살표(FrU)
간극 크기(SM)반경방향 분력 화살표(FrO)
노정(Sax, Srad)

Claims (14)

  1. 뚜껑으로 폐쇄된 하우징 및 베어링셀과, 선회 및 경사 운동이 가능하고 볼 피벗을 가지고 있는 조인트볼로 구성된 볼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볼 피벗은 축과 함께 상기 뚜껑 반대편의 하우징 개구부로부터 뻗어 나와 있으며, 이때 외측면에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이 형성된 베어링셀과, 압축응력이 가해진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가 상기 뚜껑에 의하여 고정되는 볼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셀은 각각 폐쇄된 상부 및 하부 베어링셀(5, 6)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베어링셀(6)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하부 베어링셀(5)의 중첩부분의 내측면(5b) 및 상부 베어링(6)의 외측면(6a)에 각각 돌출부(20, 11)와 요와부(21, 12)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뚜껑(3)을 폐쇄할 때 돌출부(20, 11) 및 요와부(21, 12)와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가 형상결합 및/또는 마찰결합에 의하여 서로 폐쇄상태에서 상호 작용하여, 양쪽 베어링셀들(5, 6)은 회전불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셀(5)은 상부 베어링셀(6)과 중첩되는 단부(5a)에 플랜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7)는 하우징(2)의 단부(18)와 뚜껑(3) 사이에 비틀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뚜껑(3)의 하부면(3a)에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을 형성하고, 그 속으로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를 삽입하여 양쪽의 베어링셀(5, 6)을 형상결합 하거나 내지는 회전불능하게 뚜껑(3)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4. 제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베어링셀(5, 6)과 뚜껑(3)의 돌출부들과 요와부들은 공지된 리브(ribs)(11, 20)와 홈(grooves)(12, 21)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모두 종축(10)에 대하여 방사상 및 등거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5.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셀(5)에는 플랜지(17)에 인접한 내측면(5b) 위에 돌출부(20)와 요와부(21)의 외주 테두리(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6. 제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셀(6)은 그 자체가 잘 알려진 원개형(圓蓋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6a)은 돌출부(11)들과 요와부(12)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 베어링셀(6)의 돌출부(11)들은 방사형으로 둘러싼 대략 부등변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요부를 형성하며, 이때 전체 요부들은 원형으로 둘러싼 환상부를 형성하여, 이 환상부에 상기 등거리 철부들과 요부들이 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8. 제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는 탄성중합체 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멤버의 단면형태는 외측으로는 사각형으로, 내측으로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전체 모서리 부위는 반경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9. 제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는 상기 뚜껑(3)을 장착하기 전에 상기 하부 베어링셀(5)의 플랜지(17)의 상부 모서리(17a)를 소정의 스프링 압축응력(Fv)에 해당하는 높이(f)만큼 초과하여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10. 제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는 그의 삼각면(26)들 중 하나와 평탄한 직각면(27)들 중 하나가 상부 베어링셀(6)의 돌출부(11)들의 요부(13) 위에 놓이고, 상기 스프링멤버(7)의 평탄한 외주면(28)은 하부 베어링셀(5)의 돌출부(20)들과 요와부(21)들의 테두리(19)와 면접하며, 상기 뚜껑(3)에 의하여 스프링멤버가 조립최종위치에 위치한 다음에는 스프링압축응력의 작용 하에 상기 돌출부(11, 20)들에 대하여, 그리고 요와부(12, 21)들 속으로, 또한 뚜껑에 경우에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들에 대하여, 그리고 요와부들 속으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11. 제1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7)의 접촉면(27, 28, 29)에는 마찬가지로 하부 및 상부 베어링셀(5, 6)와 뚜껑(3)의 서로 인접하는 요와부(21, 12)들 속으로 결합될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12. 제1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어링셀(5)은 PEEK, PEI, PA66, GFK(A3WG6)와 같은 고내마모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13. 제1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셀(6)은 POM과 PA66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PEEK 또는 PEI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14. 제1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트로피 탄성 스프링멤버는 80 ± 5의 쇼어 A-강도를 갖는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중합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조인트.
KR1020037000336A 2001-05-22 2002-05-21 볼 조인트 KR100891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5227.7 2001-05-22
DE10125227A DE10125227C2 (de) 2001-05-22 2001-05-22 Kugelgelenk
PCT/DE2002/001857 WO2002095247A1 (de) 2001-05-22 2002-05-21 Kugelgele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564A true KR20030019564A (ko) 2003-03-06
KR100891048B1 KR100891048B1 (ko) 2009-03-31

Family

ID=768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336A KR100891048B1 (ko) 2001-05-22 2002-05-21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1047B2 (ko)
EP (1) EP1390627B1 (ko)
JP (1) JP4138495B2 (ko)
KR (1) KR100891048B1 (ko)
DE (1) DE10125227C2 (ko)
ES (1) ES2259708T3 (ko)
WO (1) WO2002095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22A1 (de) * 2002-01-11 2003-07-24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DE10329804B4 (de) * 2003-07-01 2006-03-02 Auto-Entwicklungsring-Sachsen Gmbh Kugelgelenk
JP4347682B2 (ja) * 2003-12-25 2009-10-21 株式会社ソミック石川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ベアリングシート
DE102004022533B4 (de) * 2004-05-05 2006-08-03 Zf Friedrichshafen Ag Lagerschale
DE102004048753A1 (de) * 2004-10-05 2006-04-06 Wulf Gaertner Autoparts Ag Kugelgelenk
DE102004056575B4 (de) * 2004-11-23 2010-09-23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und/oder Lageranordnung
ATE384201T1 (de) * 2004-11-25 2008-02-15 Ind Aux Alavesa S A Inauxa S A Kugelgelenk
EP1733861A3 (en) * 2005-06-14 2007-11-28 Industria Auxiliar Alavesa, S.A. (Inauxa) Ball joint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and apparatus
DE102006002395B4 (de) * 2006-01-17 2008-10-16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lenkgehäuses
DE102006061974A1 (de) * 2006-12-21 2008-07-10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Verschlussring
DE102008003463A1 (de) * 2008-01-08 2009-07-09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agerschalenbaugruppe, sowie Lagerschalenbaugruppe für ein Kugelgelenk
KR101077631B1 (ko) 2009-08-10 2011-10-27 주식회사 일진 스태빌라이저 링크
EP2465713B1 (en) * 2009-08-10 2016-12-07 Iljin Co. Ltd. Ball joi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85604B2 (en) * 2010-07-07 2015-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 axis joint with elastomeric isolation
KR20140069382A (ko) * 2012-10-29 2014-06-10 주식회사 티앤지 볼 조인트
DE102015221046A1 (de) * 2015-10-28 2017-05-04 Zf Friedrichshafen Ag Radialkugelgelenk für ein Fahrzeug
JP6282300B2 (ja) * 2016-03-14 2018-02-21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US10371195B2 (en) * 2016-06-01 2019-08-06 Federal-Mogul Motorparts Llc Socke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 socket assembly
US10711830B2 (en) * 2017-03-01 2020-07-14 Federal-Mogul Motorparts Llc Socket assembly
JP6832206B2 (ja) 2017-03-29 2021-02-24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JP7007404B2 (ja) * 2017-06-27 2022-01-24 広東美的環境電器制造有限公司 ファン用の駆動アセンブリ及びファン用の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るファン
KR101958433B1 (ko) * 2017-08-18 2019-03-20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
DE102017216488A1 (de) * 2017-09-18 2019-03-21 Zf Friedrichshafen Ag Radialkugelgelenk für ein Lenkerbauteil eines Kraftfahrzeugs
KR102065003B1 (ko) * 2017-10-30 2020-01-10 주식회사 센트랄 윤활 성능이 개선된 사출형 볼 조인트
CN110735851B (zh) * 2019-11-26 2020-12-0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转向拉杆球头结构和转向拉杆总成
US11795994B1 (en) * 2019-12-16 2023-10-24 Zhejiang Ruitai Suspension System Technology Ltd Socket assembly with antirotation spring 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0581A (en) 1927-03-10 1928-11-06 Akron Lamp Company Window cleaner
DE1937933U (de) * 1965-12-14 1966-05-05 Ehrenreich & Cie A Druckring fuer kugelgelenke.
US4076344A (en) * 1976-05-07 1978-02-28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Bearing assembly for a ball and socket joint
FR2444192A2 (fr) * 1978-12-13 1980-07-11 Perrier Jean Liaison mecanique a rotule
JPS60237216A (ja) * 1984-05-11 1985-11-26 Toyota Motor Corp ボ−ルジヨイント
DE3619004C1 (en) * 1986-06-05 1987-12-17 Trw Ehrenreich Gmbh Ball-and-socket joint
JPH0730781B2 (ja) * 1991-04-17 1995-04-10 株式会社ソミック石川 ボールジョイント
DE29509566U1 (de) * 1995-06-10 1995-08-24 Lemfoerder Metallwaren Ag Axialgelenk für ein Gestänge in Kraftfahrzeugen
US5772337A (en) * 1997-05-01 1998-06-30 Dana Corporation Polywedge bearing for use with ball and socket
DE19755284A1 (de) * 1997-12-22 1999-06-24 Schaeffler Waelzlager Ohg Kugelgelenk
US6164861A (en) 1998-03-13 2000-12-26 Dana Corporation Bearing set for a ball joint assembly
US6019541A (en) * 1998-11-09 2000-02-01 Dana Corporation Radial ring bearing set for ball and socket joints
DE19930445C2 (de) * 1999-07-02 2002-03-07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Radialkugelgele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19642A (ja) 2004-07-02
US20030152420A1 (en) 2003-08-14
US6821047B2 (en) 2004-11-23
DE10125227A1 (de) 2002-12-12
EP1390627B1 (de) 2006-03-29
EP1390627A1 (de) 2004-02-25
DE10125227C2 (de) 2003-06-05
JP4138495B2 (ja) 2008-08-27
WO2002095247A1 (de) 2002-11-28
KR100891048B1 (ko) 2009-03-31
ES2259708T3 (es) 200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048B1 (ko) 볼 조인트
EP1645760B1 (en) A bearing assembly
US4671678A (en) Resilient radial sliding bearing
US5904436A (en) Dry wedge ball and socket joint
US3530495A (en) Universal joint construction
US6439794B2 (en) Compliant pivot socket for automotive steering
JPH0670442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4695181A (en) Ball joint
KR101134667B1 (ko) 스러스트 슬라이드 베어링
US6413003B1 (en) Compliant pivot socket for automotive steering
US6171012B1 (en) Radial ball-and-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JPS63246512A (ja) 自在継手の軸受ブッシュの密封装置
CA1303657C (en) Self-aligning bearing
US5637041A (en) Coupling with connected resilient element and bearing
US6152640A (en) Ball joint
FR2572146A1 (fr) Coussinet, en particulier pour joints de cardan
JP4118690B2 (ja) 玉継ぎ手
JPH0364728B2 (ko)
US4752149A (en) Pretensioned ball and socket joint
CA1066904A (en) Ball and socket joint
CA1092838A (en) Ball joint with slotted spring
US20060293107A1 (en) U-joint seal spring system
JPH0434254Y2 (ko)
JPS6246898Y2 (ko)
KR20230032410A (ko) 더스트 커버와 볼 스터드 사이에 배치된 이너 스토퍼 구조를 통해 더스트 커버의 마모 감소 기능을 갖는 볼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