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064A -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064A
KR20030019064A KR1020020014122A KR20020014122A KR20030019064A KR 20030019064 A KR20030019064 A KR 20030019064A KR 1020020014122 A KR1020020014122 A KR 1020020014122A KR 20020014122 A KR20020014122 A KR 20020014122A KR 20030019064 A KR20030019064 A KR 2003001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near photoconductor
photoconductor
angle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097B1 (ko
Inventor
마에다사토시
아리타케히로카즈
사타케다카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쯔 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쯔 카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광강도(light intensity)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좋은 표시 특성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표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12a, 12b) 및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 (20)에 의해 반사하고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exit side)으로부터 빛을 선형적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 (14)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에서,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 LIGHT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균일한 광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패널은 얇고 가볍기 때문에,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표시 화면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액정 패널에는, 투과형 액정 패널과 반사형 액정 패널이 있다.
도 28(a)는 투과형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a)에 나타나는 것처럼, 유리 기판 (210)과 유리 기판 (212) 사이에는 편향자 (214)가 개재되어 있다. 유리 기판 (212) 상에는 버스 라인 (216)등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 (212)와 유리 기판 (218) 사이에는, 액정 (220)이 밀봉되어 있다. 유리 기판 (218)과 유리 기판 (222) 사이에는, 컬러 필터 (224a, 224b, 224c)가 개재되어 있다. 유리 기판 (222)와 유리 기판 (226) 사이에는 편향자 (228)이 개재되어 있다.
도 28(b)는 반사형 액정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b)에 나타나는 것처럼, 반사형 액정 패널에서는, 유리 기판 (210)과 유리 기판 (212) 사이에 미러 (230)이 개재되어 있다. 미러 (230)은 반사형 액정 패널 윗면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하기 위한 것이다.
액정 자체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액정 패널에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조명이 필요하다.
투과형 액정 패널에서는, 조명 장치는 액정 패널의 아래쪽 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형 액정 패널에서는, 태양광 또는 실내등과 같은 조명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표시 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때는, 조명 장치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조명이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시각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명 장치가 필요하다. 반사형 액정 패널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는 액정 패널의 위쪽 면측에 배치된다.
도 29는 제안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에 나타나는 것처럼, 제안된 조명 장치 (110)은, 빛을 발생시키는 LED (112a, 112b) 및 LED (l12a, 112b)로부터의 빛을 선형의 빛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 (114) 및 선형 광전도체 (114)로부터 출사되는 선형의 빛을 평면형의 빛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 (116)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광전도체 (114)의 배후측, 즉 반사측에는 복수의 광반사부 (120)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형 광전도체 (114)의 반사측에는 반사 코트막 (1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30은 제안된 조명 장치의 선형 광전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LED (l12a, 112b)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선형 광전도체 (114)의 배후측, 즉 반사측에 형성된 광반사부 (120)의 면에서 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14)의 전면측, 즉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된다. 선형 광전도체(114)의 출사측으로부터 선형으로 출사되는 빛은, 면형 광전도체 (116)에 의해 평면상의 빛으로 변환되어 면형 광전도체 (116)의 평면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러한 제안된 조명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을 평면으로 조명할 수 다.
더욱이, 이러한 조명 장치는, 예를 들면 특개평 10-26040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제안된 조명 장치는, 이하에 나타내는 것처럼, 균일한 강도로 액정 패널을 조명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도 31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화면 사이즈가 2인치인 액정 패널 (108)의 표시 화면을 350mm 떨어진 위치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는 0도의 빛이 눈에 도달하며 표시 화면의 양끝으로부터는 ±3도의 빛이 눈에 도달한다.
도 32는 제안된 조명 장치의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 (114)의 중심으로부터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고, 종축은 광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14)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0도의 빛이 눈에 도달하고, 선형 광전도체 (114)의 단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3도의 빛이 눈에 도달하는 것으로 해서, 실제로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빛의 강도 분포가 구해지고 있다.
도 3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제안된 조명 장치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강도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광강도가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었다. 선형 광전도체 (1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강도 분포는, 면형 광전도체 (116)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강도 분포에 반영된다. 때문에, 면형 광전도체 (116)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강도 분포도 균일하지 않고, 면 내부에 광강도가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이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한 경우 좋은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광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좋은 표시 특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공기 중에서의 굴절율 등을 고려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투과형 액정 패널(transmission-type liquid crystal panel) 및 반사형 액정 패널(reflection-type liquid crystal panel)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안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안된 조명 장치의 선형 광전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1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제안된 조명 장치의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출사(出射)되는 빛의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제안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명 장치
12a, 12b : LED
14 : 선형 광전도체
16 : 면형 광전도체(plane photoconductor)
18 : 반사 코트막(reflection coated film)
20, 20a~20n : 광반사부
22a~22c : 영역
24 : 반사 수단
108 : 액정 패널
110 : 조명 장치
112a, 112b : LED
114 : 선형 광전도체
116 : 면형 광전도체
118 : 반사 코트막
120 : 광반사부
210 : 유리 기판
212 : 유리 기판
214 : 편향자(deflector)
216 : 버스라인(bus line)
218 : 유리 기판
220 : 액정
222 : 유리 기판
224a, 224b, 224c : 컬러 필터(color filter)
226 : 유리 기판
228 : 편향자
230 : 미러(mirror)
상기 목적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시키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 및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 및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발명의 원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제안되어 있는 조명 장치가 균일한 광강도로 액정 패널을조명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해서 예의 검토했다.
도 33은 제안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선형 광전도체 (114)의 중심인 위치 A에 형성된 광반사부 (120)의 면에 대해서, 출사각을 0도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광선의 궤도를 추적해 보았더니, 광선의 궤도는 LED (112a)의 거의 중심에 도달했다.
또한, 선형 광전도체 (114)의 왼쪽 끝 근처의 위치 C에 형성된 광반사부 (120)의 면에 대해, 출사각을 예를 들면 3도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빛의 궤도를 추적해 보았더니, 궤도는 LED (l12a)의 거의 중심으로 도달했다. 여기서 출사각을 3도로 하여 역광선 추적을 했던 것은, 표시 화면으로부터 350mm 떨어진 위치로부터 2인치의 액정 패널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인간의 눈에 도달하는 빛은 출사각이 거의 3도인 빛이기 때문이다.
또한, 위치 A와 위치 C와의 중간 위치인 위치 B에 형성된 광반사부의 면에 대해서, 출사각을 예를 들면 1.5도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빛의 궤도를 추적해 보았더니, 궤도는 LED (l12a)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도달했다.
한편, 위치 A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각이 약 0도인 빛의 강도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더니, 출사되는 빛의 강도는 강했다. 또한, 위치 C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각이 약 3도인 빛의 강도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더니, 출사되는 빛의 강도는 강했다. 그리고, 위치 B로부터 출사되는 출사각이 약 1.5도인 빛의 강도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더니, 출사되는 빛의 강도는 약했다.
이상으로부터, 인간의 눈에 빛이 도달할 수 있는 각도를 출사각으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얻어지는 빛의 궤도가 LED의 중심 근방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빛의 강도는 강하고, 인간의 눈에 빛이 도달할 수 있는 각도를 출사각으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얻어지는 빛의 궤도가 LED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는 경우에는,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빛의 강도는 약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검토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자들은 인간의 눈에 빛이 도달할 수 있는 각도를 출사각으로 하여 역광선 추적에 의해 얻어지는 빛의 궤도가, LED의 중심 근방에 도달하도록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을 각각 설정하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하여, 균일한 광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는 구상을 하게 되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경사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공기 중에서의 굴절율 등을 고려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 (10)은 빛을 발생시키는 LED (12a, 12b) 및 LED (12a, 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선형의 빛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 (14) 및 선형 광전도체 (14)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선형의 빛을 면형의 빛으로 변환하여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 (16)을 포함하고 있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는 반사 코트막 (18)이 형성되어 있다.
LED (12a, 12b)는 선형 광전도체 l4의 양 끝에 배치될 수 있다.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 (도 2참조)은, 예를 들면 0mm로 설정되어 있다.
선형 광전도체 (14)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유리나 플라스틱 등이 이용된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 Ng는, 예를 들면 1.51이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는, 예를 들면 3mm이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은, 예를 들면 2인치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조명 장치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37mm로 설정되어 있다. 2인치의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폭은 35mm 정도이지만,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에 설정하면 2mm의 마진(margin)이 확보된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는, 복수의 광반사부 (20)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반사부 (20)은 LED (12a, 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하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출사하기 위한 것이다. 광반사부(20)은 예를 들면 0.23mm의 피치(pitch)로, 예를 들면 150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광반사부 (20a, 20b)의 면 경사각(n)은, 출사 위치에 따라 원하는 출사각 OUT(n)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설정된다. 더욱이, 광반사부 (20a, 20b)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지만, 도 2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350mm 떨어진 위치로부터 2인치의 액정 패널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인간의 눈에는, 표시 화면의 중심으로부터는 O도의 빛이 입사되고 화면의 양 끝으로부터는 ±2.8도의 빛이 입사된다.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OUT(n)은 면형 광전도체 (16)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에 반영된다. 때문에,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출사각 OUT(n)이, 예를 들면 O도가 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설정하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과 끝부분 사이의 위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출사각 OUT(n)이 각각의 출사 위치에 따른 각도가 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각각 설정하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끝부분 근방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출사각 OUT(n)이 예를 들면 ±2.8도가 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설정하면, 매우 좋은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OUT(n)을 출사 위치에 따른 각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식에 근거해 경사각(n)을 구하면 된다.
도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광반사부 (20a)에 대해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된 빛이 광반사부 (20a)에 의해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 위치에 따른 출사각 OUT(n)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a)의 면 경사각(n)을 설정한다.
이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1]
여기서, n는 n번째의 광반사부를 의미한다. 그리고, X(n)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면으로부터 n번째의 광반사부까지의 거리이다. 또한, OUT(n)은 n번째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빛의 출사각이다.
수식 (1)을 변형하면, 광반사부 (20a)의 면 경사각(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2]
광반사부 (20b)에 대해서는, LED (12a)로부터 직접 광반사부 (20b)에 입사되는 빛이 광반사부 (20b)의 면에서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 위치에 따른 출사각 OUT(n)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b)의 면 경사각(n)을 설정한다.
이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3]
수식 (3)을 변형하면, 광반사부 (20b)의 면 경사각(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수식 4]
더욱이, 도 2(b)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광반사부의 지면 좌측(left plane)의 면 경사각 L(n)에 대해서는, 지면 좌측에 배치된 LED (12a)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원하는 출사각 OUT(n)으로 출사되도록 설정한다. 한편, 광반사부의 지면 우측 (right plane)의 면 경사각 R(n)에 대해서는, 지면 우측에 배치된 LED (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원하는 출사각 OUT(n)으로 출사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엄밀하게는 도 4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이 0mm가 아닌 경우에는, 공기 중의 굴절율 Na와 선형 광전도체의 굴절율 Ng의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빛의 경로의 차이가 생긴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에 의한 빛의 경로의 차이는,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를 구하는 데 있어서는,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여기에서는 계산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요인에 의한 영향을 무시하고 계산식을 세우고 있다.
그리고, 엄밀하게는, 도 4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빛은 LED (12a, 12b)의 중심 근방으로부터 면형으로 출사된다. 그러나,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구하는 데 있어서는, LED (12a, 12b)의 중심점으로부터 빛이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계산식을 세워도, 오차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적다. 때문에, 여기서는 계산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LED (12a, 12b)의 중심점으로부터 빛이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계산식을 세웠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의 구체적인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5는, 상기의 식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 (20)까지의 거리 X(n)를 나타내고, 종축은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5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1.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도 5와 같이 설정하면, 도 6과 같은 광강도 분포가 얻어진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광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0도의 빛이 눈에 도달하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에 대해서는 ±2.8도의 빛이 눈에 도달하는 것으로 하여, 실제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광강도 분포가 구해지고 있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거의 균일한 광강도 분포가 얻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 위치에 따라, 원하는 출사각 OUT(n)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이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도 29에서 나타나는 제안된 조명 장치에서는, 광반사부의 면이 모두 동일한 경사각(도 31참조)로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출사 위치에 따라 원하는 출사각으로 빛을 출사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때문에, 제안된 조명 장치에서는,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빛의 강도 분포를 균일화 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 위치에 따라, 원하는 출사각 OUT(n)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을 수렴하는 것이 가능하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인간의 눈에 도달할 수 있는 빛의 강도 분포를 균일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좋은 표시 특성을 실현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OUT(n)을 0도, 즉,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이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출사 위치에 따라 출사각 OUT(n)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각각 설정하고 있었지만,표시 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의 위치는 반드시 면형 광전도체 (16)의 법선 방향(normal direction)과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 편, 출사각 OUT(n)을 일률적으로 O도에 설정했다고 해도, 표시 화면으로부터 350mm 떨어져 있는 인간의 눈에 이르기까지 빛은 어느 정도 퍼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광강도 분포가 얻어진다. 또한, 출사각 OUT(n)을 일률적으로 설정하면, 광반사부 (20)의 면 경사각(n)을 구할 때 계산은 용이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출사각 OUT(n)을 일률적으로 O도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사각 OUT(n)을 0도에 설정하기 때문에, 식 (4)에서 OUT(n) = O도를 대입하면 된다.
수식 (2)에 OUT(n) = 0도를 대입하면, 광반사부 (20a)의 면 경사각(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5]
또한, 수식 (4)에 OUT(n) = 0도를 대입하면, 광반사부 (20b)의 면 경사각(n)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6]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n)의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9는 상기 식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 (20a, 20b)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광반사부 (20a, 20b)의 면 경사각(n)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5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1.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광반사부 (20a, 20b)의 면 경사각(n)을 도 9와 같이 설정하면,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OUT(n)은 모두 O도가 되고, 제 1 실시예와 거의 같은 균일한 광강도 분포가 얻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좋은 표시 특성을 실현 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난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어느 광반사부 (20c)에 대해서도, LED (12a, 12b)로부터 직접 광반사부 (20)으로 입사되는 빛이 광반사부 (20c)에서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c)의 면 경사각(n)이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의 면에서 전반사된 빛을 더욱 전반사하도록 경사각(n)이 설정된 광반사부 (20a)와 LED (12a, 12b)로부터 직접 입사되는 빛을 전반사 하도록 경사각(n)이 설정된 광반사부 (20b)가 혼재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어느 광반사부 (20c)에 대해서도, LED (12a, 12b)로부터 직접 입사되는 빛을 전반사하도록 광반사부 (20c)의 면 경사각(n)이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광반사부 (20c)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다수 형성되어 있지만, 도 10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광반사부 (20c)의 면 경사각(n)은 상술한 수식 (4) 또는 수식 (6)에 의해 설정하면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n)의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1은 상기의 식 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n)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 (20c)까지의 거리 X(n)을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광반사부 (20c)의 면 경사각(n)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5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1.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이와 같이 광반사부 (20c)의 면 경사각(n)을 설정한 경우라 하더라도,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 OUT(n)은 모두 0도가 되고, 제 1및 제 2 실시예와 거의 같은 균일한 광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좋은 표시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2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나타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 (22a, 22b, 22c)로 구분되어 있고, 영역 (22a, 22b, 22c)내에 각각 복수 형성된 광반사부 (20d∼20f)의 면 경사각이, 구분된 영역 (22a, 22b, 22c)내에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더욱이, 광반사부 (20d∼20f)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으나, 도 12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 (22c)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 위치 L/2을 기준으로 하여, 광반사부 (20f)의 면 경사각 O을 설정한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 면에서 전반사된 빛이, 광반사부 (20f)에 의해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광반사부 (20f)의 면 경사각 O를 설정하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7]
수식 (7)을 더 변형하면, 광반사부 (20f)의 면 경사각 O는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8]
또한,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부 근방 영역 (22a)에 있어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부로부터 거리가 L/6인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광반사부 (20d)의 면 경사각 O를 설정한다. LED (12a)로부터 직접 광반사부 (20d)에 입사되는 빛이 광반사부 (20d)에서 전반사되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광반사부 (20d)의 면 경사각를 설정하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9]
수식 (9)를 변형하면, 광반사부 (20d)의 면 경사각는,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수식 10]
여기서, 수식 (8)과 수식 (10)을 비교하면 △L의 값은 매우 작기 때문에,△L 또는 3·△L은 무시 할 수 있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11]
따라서,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부 근방의 영역 (22a)에 있어서도, 식(8)에 의해 광반사부 (20d)의 면 경사각을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 (22c)의 광반사부 (20f)의 면 경사각 및 선형 광전도체 (14)의 단부 근방의 영역 (22a)의 광반사부 (20d)의 면 경사각을 어느 것이나 동일하게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역 (22a)와 영역 (22c) 사이의 영역 (22b)에 있어서는, 해당 영역 (22b)의 중심 위치(Xc)를 기준으로 하여, 광반사부 (20e)의 면 경사각 1을 설정한다. LED (12a)로부터 직접광반사부 (20e)에 입사되는 빛이 광반사부 (20e)에서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광반사부 (2Oe)의 면 경사각 1을 설정하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12]
수식 (12)를 변형하면, 광반사부 (20e)의 면 경사각 1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시된다.
[수식 13]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상기의 식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까지의 거리 X(n)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를 가리킨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5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l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l.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이와 같이, 식 (8) 및 식 (13)에 의해, 광반사부 (20d∼20f)의 면 경사각 0, 1을 설정하면, 도 14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광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 (14) 중심에 대한 위치를 가리키고 있고, 종축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350mm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때의광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분된 영역 (22a, 22b, 22c) 내에서는 광반사부 (20d, 20e, 20f)의 면 경사각 0, 1이 일률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반사부 (20d, 20e, 20f)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위치 L/2, Xc, L/6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에 따라,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빛이 출사될 때의 출사각이 서서히 크게 된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광강도 분포가 된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정도의 광강도 분포의 균일화는 할 수 없지만, 도 29에 나타나는 제안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와 비교하면, 광강도 분포는 큰 폭으로 균일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 (22a, 22b, 22c)로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영역 (22a, 22b, 22c) 내에 광반사부 (20d∼20f)의 면 경사각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의 하나가 있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을 광반사부의 위치에 따라 각각 설정하는 경우에는 선형 광전도체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cast) 등의 제작 비용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반사부 (20d, 20e, 20f)의 면 경사각의설정이 0, 1의 두 종류로 매우 적기 때문에, 선형 광전도체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 등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강도 분포를 균일화 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공 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5 내지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나는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제 4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선형 광전도체 (14)가 길이 방향으로 더 구분되어 있어, 영역 (22a, 22c, 22d, 22e) 내에 각각 복수 형성된 광반사부 (20d, 20f, 20g, 20h)의 면 경사각이, 구분된 영역 (22a, 22c, 22d, 22e) 내에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더욱이, 광반사부 (20d, 20f, 20g, 20h)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있지만, 도 15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영역 (22d)에 있어서는, 영역 (22d)의 중심 위치 XC1을 기준으로, 광반사부 (20g)의 면 경사각 1을 설정한다. LED(12a)로부터 직접 광반사부 (20g)에 입사된빛이, 광반사부 (20g)의 면에서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으로서, 광반사부 (20g)의 면 경사각 1을 설정하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14]
수식 (14)를 변형하면, 광반사부 (20g)의 면 경사각 1은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수식 15]
영역 (22e)에 있어서는, 영역 (22e)의 중심 위치 XC2를 기준으로 하여, 광반사부 (20h)의 면 경사각 2를 설정한다.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에서 전반사된 빛이 광반사부 (20h)의 면에서 다시 전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출사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으로 하여, 광반사부 (2Oh)의 면 경사각 2를 설정하면, 이하와 같은 식이 성립한다.
[수식 16]
수식 (16)을 변형하면, 광반사부 (20h)의 면 경사각 2는 이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수식 17]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6은 상기 식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까지의 거리 X(n)을 나타내고 있고, 세로축은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을 가리키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5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1.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분된 영역 (22a, 22c, 22d, 22e) 내에서는, 광반사부 (20d, 20f, 20g, 20h)의 면 경사각 0, 1, 2,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반사부 (20d, 20f, 20g, 20h)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위치 L/2, XC1, XC2, L/6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에 따라,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빛이 출사될 때의 출사각이 서서히 크게 된다.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강도 분포가 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강도 분포에 비해, 광강도가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의 차이가 적다.
이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4 실시예에 비해, 광강도의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과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4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 비해, 선형 광전도체가 길이 방향으로 보다 세분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실시예에 비해서, 광강도의 강한 부분과 약한 부분과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변형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영역(22d)와 영역 (22e)의 경계 영역에서 경사각이 1인 광반사부 (20g)와 경사각이 2인 광반사부 (20h)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영역 (22d)와 영역 (22e)의 경계 영역에서 경사각이 1인 광반사부 (20g)와 경사각이 2인 광반사부 (20h)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 (22d)와 영역 (22e)의 경계에서 극단적으로 광강도가 다른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에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 즉 광반사부 (20)이 형성되어 있는 측에, 선형 광전도체 (14)와 별개로 반사 수단 (24)가 배치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도 19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선형 광전도체 (14)와 별개로 반사 수단 (24)가 배치되어 있다. 반사 수단 (24)로서는, 적어도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을 덮는 알루미늄제의 홀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반사 코트막(20)을 형성하여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으로부터 빛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와 별개로 배치된 반사 수단 (24)에 의해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으로부터 새어 나가는 빛이 선형 광전도체 (14) 내로 돌아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사 코트막 (20) 대신에 반사 수단 (24)를 배치한 경우에도,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으로부터 새어 나가는 빛을 선형 광전도체 (14) 내로 돌아가게 할 수 있으므로, 조명이 전체적으로 어둡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반드시 반사 코트막 (20)을 형성할 필요는 없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형 광전도체 (14)와 별개로 반사 수단 (24)를 배치해도 좋다.
[제 7 실시예]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20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9에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광반사부 (20i)가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광반사부 (20)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광반사부 (20i)가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광반사부 (20i)가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광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화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에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a)의 반사측, 즉 광반사부 (20)이 형성되어 있는 면 쪽이 만곡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LED (12a, 12b)로부터 멀리 있는 위치의 광반사부 (20)에서는, 다른 광반사부 (20)에 의해 빛의 입사가 방해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형 광전도체 (14a)의 반사측이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LED (12a, 12b)로부터 멀리 있는 위치의 광반사부 (20)이라 하더라도 다른 광반사부 (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빛이 입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균일한 광강도 분포를 얻을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1에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LED (12a, 12b)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록 광반사부 (20)의 면의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즉, LED (12a, 12b)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록 광반사부 (20)을 구성하는 홈(groove)이 깊게 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도 22로 나타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LED (12a, 12b)의 근방에서는 광반사부 (20)을 구성하는 홈의 깊이가 d1으로 설정되어 있고, LED (12a, 12b)로부터 떨어져 있을수록, 광반사부 (20)을 구성하는 홈의 깊이가 깊게 되고 있다. 그리고 선형 광전도체 (14a)의 중심에서는 광반사부 (20)을 구성하는 홈의 깊이는 d1보다 깊은 d2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7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LED (12a, 12b)로부터 멀리 있는 광반사부 (20)에 있어서는, 다른 광반사부 (20)에 의해 빛의 입사가 방해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LED (12a, 12b)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록 광반사부 (20)의 면의 폭이 서서히 넓게 되고 있기 때문에, LED (12a, 12b)로부터 멀리 있는 위치의 광반사부 (20)라 하더라도, 다른 광반사부 (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빛이 입사된다.
[제 10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22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9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 영역이 상하 방향, 즉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2단으로 구분되어 있어, 상단측 영역 (22f)에서는 광반사부 (20k)의 경사각이 0로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하단측 영역 (22g)에서는 광반사부 (20l)의 경사각이 1으로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제 4 실시예나 제 5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가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 (14)가 상하 방향, 즉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형 광전도체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 내에서 광반사부의 경사각을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라 하더라도, 광강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다.
[제 1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도 24 및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23으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10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는, 광반사부 (20m, 20n)을 구성하는 V자형의 홈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보다 지면 좌측에 배치된 광반사부 (20m)에 대해서는, 지면 좌측에 배치된 LED (12a)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m)의 지면 좌측의 면 경사각 L(n)이 설정되어 있고,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보다 지면 우측에 배치된 광반사부 (20n)에 대해서는, 지면 우측에 배치된 LED(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n)의 지면 우측의 면 경사각 R(n)이 설정되고 있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다.
더욱이, 광반사부 (20m, 20n)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반사측에 각각 다수 형성되고 있지만, 도 24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24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 보다 지면 좌측에 배치된 광반사부 (20m)에 대해서는, 지면 좌측에 배치된 LED (12a)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광반사부 (20m)의 지면 좌측 면에서 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m)의 지면 좌측의 면 경사각 L(n)이 설정되어 있다.
광반사부 (20m)의 지면 좌측의 면 경사각 L(n)은, 예를 들면 상술한 수식 (2) 또는 수식 (4)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선형 광전도체 (14)의 지면 좌측의 단면이 거리 X(n)의 기준이 된다.
한편, 선형 광전도체 (14)의 중심 보다 지면 우측에 배치된 광반사부 (20n)에 대해서는, 지면 우측에 배치된 LED (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이 광반사부 (20n)의 지면 우측 면에서 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광반사부 (20n)의 지면 우측의 면 경사각 R(n)이 설정되어 있다.
광반사부 (20n)의 지면 우측의 면 경사각 R(n)은, 예를 들면 상술한 수식 (2) 또는 수식 (4)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 선형 광전도체 (14)의 지면 우측의 단면이 거리 X(n)의 기준이 된다.
광반사부 (20m, 20n)을 형성하는 V자형의 홈의 면의 교각 P는 모두 동일한 각도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반사부를 형성하는 V자형의 홈의 면의 교각 P가 모두 동일한 각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반사부 (20m)의 지면 우측의 면 경사각은 180도에서 경사각 L(n)과 교각 P를 뺀 각도가 된다. 때문에, LED (12b)로부터 광반사부 (20m)의 지면 우측의 면에 도입되는 빛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대해서 반드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LED (12b)로부터 도입되는 빛에 대해서는, 광반사부 (20n)의 지면 우측의 면에 의해 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반사부를 구성하는 V자형의 홈의 면의 교각 P를 모두 동일한 각도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광반사부 (20n)의 지면 좌측의 면 경사각은 180도에서 경사각 R(n)과 교각 P를 뺀 각도가 된다. 때문에, LED (12a)로부터 광반사부 (20n)의 지면 좌측의 면에 도입되는 빛은,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반드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LED (12a)로부터 도입되는 빛은, 광반사부 (20m)의 지면 좌측의 면에 의해 반사되어,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의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의 설정값의 예에 대해서 도 2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상기의 식에 의해 구해진 광반사부의 경사각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선형 광전도체의 단면으로부터 광반사부까지의 거리 X(n)을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광반사부의 면 경사각을 가리키고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 사이즈를 2인치, 표시 화면의 폭을 35mm, 광반사부 (20)의 수를 170개, 광반사부 (20)의 피치를 0.21mm, 선형 광전도체 (14)의두께 t를 3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길이 L을 37mm, LED (12a, 12b)와 선형 광전도체 (14) 사이의 거리 △L을 0mm, 선형 광전도체 (14)의 굴절율을 1.51,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과 표시 화면과의 거리를 350mm로 하여 계산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반사부 (20m, 20n)을 구성하는 V자형의 홈의 형상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선형 광전도체 (14)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절삭 공구가 한 종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형 광전도체 (14)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을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광강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저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조명 장치와 반사형 액정패널의 결합을 포함한다.
도 26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반사형 액정 패널 (26) 상에는,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조명 장치 (10)이 배치되어 있다.
조명 장치 (10)의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면형 광전도체 (l6)을 통해 반사형 액정 패널 (26)으로 입사되고 반사형 액정 패널 (26)에 배치되어 있는 미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반사되어, 인간의 눈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 (10)은 프런트 라이트(front light)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조명 장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사형 액정 패널을 균일한 광강도로 조명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특성이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6에서 나타내는 제 1 내지 제 12 실시예에 의한 조명 장치 등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결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조명 장치와 투과형 액정 패널의 결합이 포함되어 있다.
도 27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제 1 내지 제 11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조명 장치 (10) 상에는 투과형 액정 패널 (28)이 배치된다.
선형 광전도체 (14)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면형 광전도체 (16)을 통해 투과형 액정 패널 (28)로 입사되어, 투과형 액정 패널 (28)을 투과하여, 인간의 눈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투과형 액정 패널을 이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표시 특성이 좋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0 실시예에서는, 선형 광전도체를 상하 방향, 즉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분했지만, 더욱 많은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광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구분하는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광반사부 각도를 설정하는 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요구되는 광강도 분포의 균일성과 허용되는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절한 수의 구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기 1)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2)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3)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는, 한쪽 면이 상기 광반사부의 면인, 서로 동일한 형상의 V자형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4)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상기 영역 내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5)
부기 4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 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끝부분 근방의 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6)
부기 4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분된 제 1 영역에서는 상기 광반사부의 면이 제 1 각도로 동일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과 인접하는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제 1 각도와 다른 제 2 각도로 동일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 근방의 영역에서는 그 면이 상기 제 1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기 광반사부와, 그 면이 상기 제 2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기 광반사부가 혼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7)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상기 영역 내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8)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는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9)
부기 1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은, 상기 광원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0)
부기 2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은, 상기 광원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1)
부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2)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재의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상기 반사측이 만곡되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3)
부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광반사부의 면의 폭과, 다른 상기 광반사부의 면의 폭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4)
부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상기 반사측에, 반사 코트막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5)
부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상기 반사측에,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별개로 반사 수단이 더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6)
부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거의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부기 17)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부기 18)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출사각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광반사부의 각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한 광강도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 특성이 좋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10)

  1.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는 한쪽 면이 상기 광반사부의 면인, 서로 동일한 형상의 V자형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상기 영역 내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 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단부 근방의 영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서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으로 구분된 제 1 영역에서는, 상기 광반사부의 면이 제 1 각도로 동일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과 인접하는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제 1 각도와 다른 제 2 각도로 동일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의 경계 근방의 영역에서는, 그 면이 상기 제 1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기 광반사부와 그 면이 상기 제 2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기 광반사부가 혼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광전도체는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구분된 상기 영역 내에서는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동일한 각도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부는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9.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 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눈에 빛이 수렴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반사측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부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반사측과 대향하는 출사측으로부터 빛을선형으로 출사하는 선형 광전도체와, 상기 선형 광전도체와 광학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선형 광전도체로부터 도입되는 빛을 평면형으로 출사하는 면형 광전도체를 갖는 조명 장치와, 상기 조명 장치에 의해 조명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광반사부의 면이, 상기 선형 광전도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각도로, 각각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14122A 2001-08-31 2002-03-15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17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3922 2001-08-31
JP2001263922A JP4671562B2 (ja) 2001-08-31 2001-08-31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064A true KR20030019064A (ko) 2003-03-06
KR100817097B1 KR100817097B1 (ko) 2008-03-26

Family

ID=1909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122A KR100817097B1 (ko) 2001-08-31 2002-03-15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83924B2 (ko)
EP (2) EP1288702B1 (ko)
JP (1) JP4671562B2 (ko)
KR (1) KR100817097B1 (ko)
CN (3) CN1920640A (ko)
CA (2) CA2376387C (ko)
DE (2) DE60208934T2 (ko)
TW (1) TW5834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53B1 (ko) * 2004-12-28 2007-04-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봉 형상 도광체,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5721B2 (ja) * 2002-07-17 2008-11-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141766B2 (ja) * 2002-08-23 2008-08-27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1566590B1 (en) * 2002-11-29 2011-07-13 Fujitsu Limited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200128A (ja) * 2002-12-20 2004-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補助光源及びそれを用いたフロントライト
TWI289708B (en) 2002-12-25 2007-11-1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interference type color display
TWM243658U (en) * 2003-06-13 200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Planar light source device
US6929391B2 (en) * 2003-07-17 2005-08-16 Apple Computer, Inc. Light guide panel and method of use
JPWO2005017407A1 (ja) * 2003-08-13 2006-10-12 富士通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WO2005054936A1 (en) * 2003-12-05 2005-06-16 Nokia Corporation A display and a method of providing a display
CN100371789C (zh) * 2004-01-14 2008-02-27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面状光源结构
US7342705B2 (en) 2004-02-03 2008-03-11 Idc, Llc Spatial light modulator with integrated optical compensation structure
JP2005308789A (ja) * 2004-04-16 2005-11-04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7355780B2 (en) 2004-09-27 2008-04-08 Idc, Llc System and method of illuminating interferometric modulators using backlighting
US7750886B2 (en) * 2004-09-27 2010-07-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lighting displays
US7813026B2 (en) * 2004-09-27 2010-10-1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reducing color shift in a display
US7561323B2 (en) * 2004-09-27 2009-07-14 Idc, Llc Optical films for directing light towards active areas of displays
JP2007041605A (ja) * 2005-08-04 2007-02-15 Boe Hydis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構造体
US7603001B2 (en) * 2006-02-17 2009-10-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ack-lighting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device
KR100903159B1 (ko) * 2006-07-04 2009-06-17 노키아 코포레이션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방법
EP1943551A2 (en) 2006-10-06 2008-07-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WO2008045363A2 (en) * 2006-10-06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bar with reflector
EP2069838A2 (en) * 2006-10-06 2009-06-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built-in light coupler
US8107155B2 (en) * 2006-10-06 2012-01-3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sual artifacts in displays
US20090231877A1 (en) * 2006-10-06 2009-09-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hin light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O2008045200A2 (en) 2006-10-06 2008-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Optical loss structure integrated in an illumination apparatus of a display
KR100818278B1 (ko) * 2006-10-16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용 조명장치
US7864395B2 (en) 2006-10-27 2011-01-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including optical scattering elements and a method of manufacture
KR101318253B1 (ko) * 2007-03-30 2013-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7733439B2 (en) * 2007-04-30 2010-06-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ual film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displays
US8068710B2 (en) 2007-12-07 2011-11-2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oupled holographic film and diffuser
US7949213B2 (en) 2007-12-07 2011-05-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illumination of displays with front light guide and coupling elements
US8721149B2 (en) 2008-01-30 2014-05-1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 having a tapered light guide
JP2011512006A (ja) * 2008-01-30 2011-04-14 デジタル オプティク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薄型照明システム
WO2009102731A2 (en) 2008-02-12 2009-08-2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brightness of displays using angle conversion layers
US8654061B2 (en) * 2008-02-12 2014-02-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grated front light solution
US8049951B2 (en) 2008-04-15 2011-11-0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with bi-directional propagation
WO2009154957A2 (en) * 2008-05-28 2009-12-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Front light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US8358266B2 (en) 2008-09-02 2013-01-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turning device with prismatic light turning features
US20100051089A1 (en) * 2008-09-02 2010-03-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ight collection device with prismatic light turning features
EP2351464A4 (en) * 2008-10-10 2013-10-0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ECENTRALIZED LIGHTING CONTROL SYSTEM
KR101542915B1 (ko) * 2008-10-10 2015-08-07 퀄컴 엠이엠에스 테크놀로지스, 인크. 분산 조명 시스템
WO2010082952A1 (en) 2009-01-13 2010-07-2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Large area light panel and screen
US20100195310A1 (en) * 2009-02-04 2010-08-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haped frontlight reflector for use with display
US8172417B2 (en) * 2009-03-06 2012-05-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haped frontlight reflector for use with display
JP5449539B2 (ja) 2009-05-29 2014-03-19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照明デバイスおよび照明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10138762A1 (en) * 2009-05-29 2010-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llumination devices for reflective displays
WO2010141388A1 (en) * 2009-06-01 2010-12-0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Front light based optical touch screen
US20110169428A1 (en) * 2010-01-08 2011-07-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dge bar designs to mitigate edge shadow artifact
US8402647B2 (en) 2010-08-25 2013-03-2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illumination systems
US8902484B2 (en) 2010-12-15 2014-12-0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Holographic brightness enhancement film
CN202165943U (zh) * 2011-07-21 2012-03-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源及显示装置
KR101968552B1 (ko) * 2011-11-18 2019-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TWI477855B (zh) * 2012-01-20 2015-03-2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US10338302B2 (en) * 2012-11-14 2019-07-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ight source device
US9423552B2 (en) 2014-02-24 2016-08-23 Google Inc. Lightguide device with outcoupling structures
JP6689000B2 (ja) * 2014-11-10 2020-04-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掃除機用照明装置
KR102019888B1 (ko) * 2019-04-05 2019-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위치 검출 방법
CN111256094B (zh) * 2020-01-22 2022-09-23 广州市焦汇光电科技有限公司 光学装置、光学系统和光学幕墙投影系统
JP7225272B2 (ja) * 2021-01-12 202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745A (ja) * 1994-04-25 1995-11-10 Fanuc Ltd バックライトパネル
DE19521254A1 (de) * 1994-06-24 1996-01-04 Minnesota Mining & Mfg Anzeigesystem mit Helligkeitsverstärkungsfilm
AU4409496A (en) 1994-11-29 1996-06-19 Precision Lamp, Inc. Edge light for panel display
US5980054A (en) * 1996-05-09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nel-form illuminating system
JPH10260405A (ja) * 1997-03-18 1998-09-29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H11271767A (ja) * 1998-03-20 1999-10-08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付液晶表示装置
JP3379043B2 (ja) * 1998-06-29 2003-02-17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2000089031A (ja) * 1998-09-10 2000-03-31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面発光装置
CN2358336Y (zh) 1998-10-08 2000-01-12 广州市荔湾区华安堡电子灯饰厂 发光二极管发光反射板
KR100419373B1 (ko) * 1998-11-27 2004-02-2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조명 장치, 조명 소자, 전면 발광체 및 액정 표시 장치
JP3421603B2 (ja) * 1999-01-21 2003-06-30 三洋電機株式会社 導光板、その導光板を用いた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3366589B2 (ja) * 1999-01-28 2003-01-14 京セラ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592308U (en) * 1999-02-17 2004-06-11 Enplas Corp Light guiding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268616A (ja) * 1999-03-15 2000-09-29 Seiko Epson Corp 面状発光体、フロントライト、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0268622A (ja) * 1999-03-16 2000-09-29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01014921A (ja) * 1999-06-28 2001-01-19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01035227A (ja) 1999-07-19 2001-02-09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JP2001043718A (ja) * 1999-07-28 2001-02-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光源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1236811A (ja) * 2000-02-23 2001-08-31 Fujitsu Kasei Kk 照明装置
JP4404424B2 (ja) * 2000-01-21 2010-01-27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線状光源ユニット
JP2001222906A (ja) 2000-02-08 2001-08-17 Minebea Co Ltd 面状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53B1 (ko) * 2004-12-28 2007-04-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봉 형상 도광체,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US7210840B2 (en) 2004-12-28 2007-05-01 Fujitsu Limited Rod-shaped light transmission body,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3924B2 (en) 2005-04-26
CN1403858A (zh) 2003-03-19
DE60208934T2 (de) 2006-07-27
DE60208934D1 (de) 2006-04-13
CN1920640A (zh) 2007-02-28
JP2003077326A (ja) 2003-03-14
JP4671562B2 (ja) 2011-04-20
CA2692580A1 (en) 2003-02-28
EP1288702A1 (en) 2003-03-05
CN101118044A (zh) 2008-02-06
KR100817097B1 (ko) 2008-03-26
CA2376387A1 (en) 2003-02-28
EP1367430A2 (en) 2003-12-03
EP1367430A3 (en) 2004-05-26
CA2376387C (en) 2010-05-04
CA2692580C (en) 2015-09-15
DE60202410D1 (de) 2005-02-03
US20030058632A1 (en) 2003-03-27
EP1367430B1 (en) 2006-01-25
DE60202410T2 (de) 2005-06-30
EP1288702B1 (en) 2004-12-29
TW583436B (en) 200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097B1 (ko)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893349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0345505B2 (en)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color backlighting
US6592233B1 (en) Lighting device for non-emissive displays
US10459147B2 (en) Dual surface collimator and 3D electronic display employing grating-based backlighting using same
CN109031512B (zh) 导光膜组件、前置光源和反射式显示装置
KR20090009051A (ko) 광 가이드 바, 선광원장치, 면광원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
US20180164489A1 (en) Dual-direction collimator
KR100901682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JPH10510929A (ja) フラットパネル液晶表示バックライト装置のプリズム屈折光学アレイ
JPWO2005017407A1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9310546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2365438A (ja) 線状導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ならびに電子装置、線状導光体の製造方法
EP3296616B1 (en) Surface-light-source illumination device
JP5454454B2 (ja)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82680B1 (ko)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23350A (ko)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