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048A - 편향 요크 장치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048A
KR20030019048A KR1020020001492A KR20020001492A KR20030019048A KR 20030019048 A KR20030019048 A KR 20030019048A KR 1020020001492 A KR1020020001492 A KR 1020020001492A KR 20020001492 A KR20020001492 A KR 20020001492A KR 20030019048 A KR20030019048 A KR 2003001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eflection
band
neck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9638B1 (ko
Inventor
아베다다시
마츠바라도오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1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8Coil separators and former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억제와 유지 구조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고, 보다 고품위의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편향 코일로서, 프론트 부분에만 소규모 밴드(14)를 설치한 편향 코일(10)을 사용한 것이다. 이 편향 코일(10)의 프론트측 소규모 밴드(14)와,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측 박스부(23)에 설치한 설편(26) 또는 협착부를 이용하여 편향 코일(10)을 코일 세퍼레이터(20)에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자계를 억제하는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편향 요크 장치{DEFLECTION YOKE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수평 편향 코일(horizontal deflection coil)로서 밴드리스 타입(bendless type)을 채용한 경우에도, 코일 장착 프레임으로 수평 편향 코일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편향 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텔레비전 수상기(television receiver) 등의 표시 장치로서는 주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이나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CRT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에서는, CRT의 전자빔(electron beam)을 편향시키기 위해서 편향 요크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 편향 요크 장치에 있어서도 각종 개량이 행하여지고 있고, 최근에는 고정밀도이면서 조립이 용이한 편향 요크 장치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종래의 편향 요크 장치는 CRT의 네크부로부터 콘(cone)부로 이행(移行)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2 분할된 한 쌍의 환상 코어(a pair of segmented troidal cores)에, 각각 코일을 트로이덜(troidal)형으로 감아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vertical deflection coil)을 구성하며, 또한 수평 편향 코일에 대해서도 2개로 나누어 각각 코일을 새들(saddle)형으로 감아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을 형성하고, 그 콘측 및 네크측 단부를 관축(管軸)에 대하여 외측으로 상승시켜 각각 프론트 밴드(front bend)부 및 네크 밴드(neck bend)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은 2 분할된 합성 수지로 구성된 코일 장착 프레임으로서의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의 내외측면에 장착되고, 양 편향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리하며, 또한 위치 결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으로 확대되는 형상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측에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을 배치하고, 이 수평 편향 코일의 네크측 및 프론트측의 각 밴드부를 코일 세퍼레이터의 각 밴드 수납 부분에 수납하여 수평 편향 코일의 유지와 위치 규제를 행하고 있다. 한편, 수직 편향 코일은 코어(core)의 주위에 트로이덜형으로 감은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의 외측에 배치하여 위치 결정한 후에, 코어를 고정함으로써 편향 요크 장치를 구성하고 있었다.
도 6은 상기한 밴드부를 갖는 수평 편향 코일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는 수평 편향 코일(60)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측면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수평 편향 코일(60)은 편향 요크의 기능으로서의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부분(61, 61)과,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밴드 부분(62, 63)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64는 권선된 코일의 윈도우부이다.
이러한 편향 코일의 장점은 밴드부(62, 63)를 관축 방향의 위치 결정 기구에 이용할 수 있는 것 및 수평 편향 코일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밴드부(62, 63)를 형성함으로써 수평 편향 코일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반면에, 밴드부(62, 63)에는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621, 631: 도 6의 (b) 참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밴드부(62, 63)를 평탄하게 한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도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에서는, 코일 전체가 CRT의 관면을 따르는 형상이기 때문에, 밴드부를 갖는 편향 코일에 비해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편향 감도를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밴드리스 구조이기 때문에, 편향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에 유지할 때에 위치 결정이 어렵게 되고, 코일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일 전선의 피막 파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밴드업 타입(bend-up type)의 편향 코일을 갖춘 편향 요크의 선행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0-6444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 공보에는 수평 편향 코일 및 또는 수직 편향 코일을 안장형으로 권선하는 편향 요크에 적용하여 컨버전스 특성과 화상 왜곡의 특성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양립시킬 수 있도록, 음극선관의 표시 화면측으로부터 볼 때, 퍼넬 밴드[funnel bend: 즉 프론트측 밴드(front-bend)]가 동글한 직사각형이 되도록 편향 코일(H)을 형성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 및 이러한 편향 코일을 채용한 경우의 유지 구조나, 프론트측에 밴드를 형성한 경우에 발생하는 불필요 자계를 억제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는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특히, 수평 편향 코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코일 세퍼레이터로의 유지 구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억제와 유지 구조의 용이함을 양립시킬 수 있고, 보다 고품위의 편향 요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편향 요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편향 요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소규모 밴드를 유지하는 유지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소규모 밴드를 유지하는 유지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편향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의 관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밴드업 타입의 수평 편향 코일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
14 : 소규모 밴드
20 : 코일 세퍼레이터(코일 장착 프레임)
23 : 프론트측 박스부
26 : 설편
27 : 돌기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 장치는 음극선관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이루며,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본체부와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 및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가지며, 상기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고, 상기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의 대부분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여 프론트측 단부에 소규모 밴드를 형성한 편향 코일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 장치는 음극선관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이루며,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본체부와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 및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가지며, 상기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고, 상기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의 대부분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여 프론트측 단부에 소규모 밴드를 형성한 편향 코일과,
상기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편향 코일이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으로서, 그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측에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춘 코일 장착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편향 코일의 프론트 부분에만 소규모 밴드를 설치함으로써, 밴드리스 타입 코일의 이점인 편향 요크에 있어서 불필요한 자계를 억제하는 효과를 거의 유지하면서, 편향 코일을 코일 장착 프레임에 유지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창조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수납하여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네크측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부여하는 탄력성이 있는 설편(舌片)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끼워 넣어 위치 결정을 하는 협착부(挾着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유지부에 따르면, 코일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편향 코일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편향 요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편향 코일로서 밴드리스 타입의 수평 편향 코일(1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는 수평 편향 코일(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서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코일 부분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a)에서 프론트측(대직경부)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1의 (d)는 도 1의 (a)에서 코일 윈도우부측으로부터 본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밴드리스 타입의 수평 편향 코일(10)은 편향 요크의 기능으로서의 수평 편향 자계를 전자빔에 부여하는 부분(11, 11)과,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오버헤드 접속 전선(12,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12)은 밴드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밴드리스 타입이고,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13)은 대부분이 밴드리스로 형성되어 있지만 프론트측에 불필요 자계를 발생시킬 우려가 없을 정도의 소규모 밴드(14)를 설치하고 있다. 부호 15는 권선된 코일의 윈도우부이다.
도 1의 구성에서는, 밴드리스 타입의 코일을 기본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13)에 소규모 밴드(14)를 설치함으로써, 밴드리스 타입 편향 코일의 장점인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도 1의 (b)의 자계(121, 131) 참조], 또한 프론트측 소규모 밴드(14)에 의해 편향 코일(10)을 코일 장착 프레임으로서의 코일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유지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소규모 밴드(14)를 이용하여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면에 대하여 수평 편향 코일(10)을 관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프론트측에 형성한 상기 소규모 밴드(14)는 매우 소규모이고, 코일 세퍼레이터와의 결합에 필요한 최소한의 폭밖에 갖고 있지 않으며(면적면에서는 종래의 1/4 정도임),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불필요한 자계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코일의 유지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동시에, 불필요 자계의 발생을 상쇄시키는데 필요한 여분의 파워를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편향 요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편향 요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편향 요크 장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2 분할 구조(1/2체 구성)의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20, 20')와, 이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내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10, 10')과, 상기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외측에 배열 설치되는 한 쌍의 트로이덜형 수직 편향 코일(30, 30')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코일 세퍼레이터(20, 20')에 대하여 상기 수평 편향 코일(10, 10')을 세퍼레이터 내측에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수직 편향 코일(30, 30')을 세퍼레이터 외측에 장착하며, 한 쌍의 장착 금구(金具)(41, 41')를 이용하여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네크 부분을 일체화하고, 이에 따라 완성된 편향 요크 장치를 대직경부측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CRT의 네크측으로부터 콘측에 걸쳐 삽입한 후, 체결 밴드(42: clamp band)를 이용하여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네크측의 통 형상 설편(22, 22')을 체결함으로써 편향 요크 장치를 CRT 네크부에 장착한다.
조립된 편향 요크 장치에서는, 코일 세퍼레이터(20, 20')는 네크측의 소직경부로부터 프론트측의 대직경부로 순차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내외측에 배열 설치되는 수평 편향 코일(10, 10') 및 수직 편향 코일(30, 30')도 마찬가지로 소직경부로부터 대직경부로 순차 확대되는 형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네크측에는 각각 배선 권선 등에 이용되는 박스부(21, 21')가 설치되어 있고, 코일 세퍼레이터(20, 20')의 프론트측에는 각각 수평 편향 코일(10, 10')의 프론트측 일부[소규모 밴드(14, 14')]를 유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에 이용되는 박스부(23, 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네크측의 박스부(21, 21')에 연접(連接)하여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설편(22, 22')이 설치되어 있고, 편향 요크 장치를 도시하지 않은 CRT에 고정할 때에 이들 설편(22, 22')을 CRT의 네크부 외주위(外周圍)에 접촉시켜 체결 밴드(42)에 의해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편향 요크 장치의 대직경부의 내면은 CRT의 콘부에 접촉하지 않고 개재하여 CRT 외면에 고정된다. 또, 부호 31 및 부호 31'는 수직 편향 코일(30, 30')이 권선되는 페라이트(ferrite) 등의 코어이다.
다음에, 도 1의 수평 편향 코일(10)을 코일 장착 프레임인 코일 세퍼레이터에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 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일 세퍼레이터에 대해서는 1/2체의 코일 세퍼레이터(20)만을 도시하고 있다.
밴드리스 타입의 수평 편향 코일(10)에는 그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에 소규모 밴드(14)가 형성되어 있고, 한편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 부분의 박스부(23)에는 수평 편향 코일(10)에 설치한 소규모 밴드(14)를 유지하는 구조를 설치하고 있다.
도 3은 상기 소규모 밴드(14)를 유지하는 유지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는 코일 세퍼레이터(20)에 대하여 그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 리브(24: center rib)의 좌우에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10, 10')을 배열 설치하고,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20)의 외측에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30, 30')을배치한 상태의 측면도[단, 수직 편향 코일(30, 30')에 대해서는 단면을 도시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는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측 박스부(23)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c)는 도 3의 (b)의 박스부(23)내에 수평 편향 코일(10)의 프론트측 상기 소규모 밴드(14)를 배치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성이 있는 설편(26)을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 부분의 박스부(23)에 설치하고 있다. 즉, 프론트측 박스부(23)는 단면이 ㄷ자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ㄷ자형 개방측의 선단 부분에 탄성을 갖게 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설편(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설편(26)에 수평 편향 코일(10, 10')에 설치한 소규모 밴드부(14, 14')를 접촉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수평 편향 코일(10, 10')에 대하여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폐구부(閉口部)(네크측 소직경부) 방향[f: 도 3의 (c) 참조]으로 누르는 힘을 부여하여 수평 편향 코일(10, 10')을 코일 세퍼레이터(20)의 중간 부분인 커브면(curved surface)으로 누르거나 또는 코일 세퍼레이터(20)의 네크측의 기준이 되는 면[예컨대 박스부(21)의 내면(25)]으로 눌러 위치 결정을 한다.
이와 같이 소규모 밴드(14, 14')를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측 설편(26)에 의해 수납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편향 코일(10, 10')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코일 세퍼레이터에 장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소규모 밴드(14)를 유지하는 유지 구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a)는 코일 세퍼레이터(20)에 대하여 그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 리브(24)의 좌우측에 한 쌍의 수평 편향 코일(10, 10')을 배열 설치하고, 또한 코일 세퍼레이터(20)의 외측에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30, 30')을 배치한 상태의 측면도[단, 수직 편향 코일(30, 30')은 단면을 도시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는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측 박스부(23)의 내부에 편향 코일(10)의 프론트측 소규모 밴드(14)를 배열 설치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에서의 실시 형태는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 부분의 박스부(23)에, 편향 코일(10, 10')에 설치한 소규모 밴드(l4, 14')를 끼울 수 있도록 돌기(27)를 설치한다. 즉, 프론트측의 단면이 ㄷ자형으로 구성된 박스부(23)에 있어서 그 ㄷ자형의 배면측 내면(23a)에 돌기(27)를 설치하고, 그 돌기(27)와 ㄷ자형 개방측 내면(23b) 사이에 상기 소규모 밴드(14, 14')를 끼울 수 있는 협착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돌기(27)의 선단면과 박스부(23)의 프론트측 내면(23b)에서 상기 소규모 밴드(14, 14')를 끼워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규모 밴드(14, 14')를 코일 세퍼레이터(20)의 프론트측 협착부에 끼우는 구조로 함으로써, 편향 코일(10, 10')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코일 세퍼레이터에 장착할 수 있다.
도3 또는 도 4 중 어느 하나의 유지 구조를 채용한 코일 세퍼레이터와 본 발명 실시 형태에서 제안한 코일 형상을 조합시키면, 유지가 용이하면서 확실한 밴드리스 타입의 코일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꿔 말하면, 전자빔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억제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유지 구조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밴드리스 코일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기술한 코일 세퍼레이터에 대한 코일 고정 방법은 관축 방향의 고정 방법이었지만, 관축 방향 이외의 방향의 고정 방법은,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편향 코일을 코일 세퍼레이터에 장착할 때의 관축 방향 이외의 방향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1/2체를 구성하는 코일 세퍼레이터(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서 내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a)에서 프론트(대직경부)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편향 코일(도시하지 않음)을 관축 방향 이외의 방향[특히 코일 세퍼레이터(20)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 리브(24)로 누르는 방향]으로의 고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종래예의 코일 형상도 포함시킨 모든 코일 형상에 공통이다. 그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20)의 중간 부분의 커브 부분에 복수(도 5에서는 4개)의 돌기(28)를 설치하거나 또는 프론트측의 박스부(23)내에 복수(도 5에서는 2개)의 탄성의 리브(29)를 설치하여 수평 편향 코일(예컨대, 10, 10')을 코일 세퍼레이터(20) 내의 센터 리브(24)로 누르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새들형 수평 편향 코일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새들형으로 구성된 수직 편향 코일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밴드리스 타입의 편향 코일이지만 코일 장착 프레임으로의 유지 구조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전자빔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의 억제와 유지 구조의 용이함을 양립시켜 보다 고품위의 편향 요크 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음극선관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neck)측으로부터 프론트(front)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이루며,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본체부와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neck-portion overhead connecting wire) 및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front-portion overhead connecting wire)을 가지며, 상기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밴드리스(bend-less) 구조로 하고, 상기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의 대부분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며, 프론트측 단부에 소규모 밴드(bend)를 형성한 편향 코일(deflection coi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2. 음극선관 외주에 장착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이루며,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본체부와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 및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가지며, 상기 네크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고, 상기 프론트측 오버헤드 접속 전선의 대부분을 밴드리스 구조로 하며, 프론트측 단부에 소규모 밴드를 형성한 편향 코일과,
    상기 네크측으로부터 프론트측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편향 코일이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으로서, 그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측에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춘 코일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수납하여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네크측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부여하는 탄력성이 있는 설편(舌片:tougue)으로 구성되는 것인 편향 요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코일 장착 프레임의 프론트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편향 코일의 밴드를 끼워 넣어 위치 결정을 하는 협착부(挾着部)로 구성되는 것인 편향 요크 장치.
KR10-2002-0001492A 2001-08-27 2002-01-10 편향 요크 장치 KR100439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6808A JP2003068228A (ja) 2001-08-27 2001-08-27 偏向ヨーク装置
JPJP-P-2001-00256808 2001-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048A true KR20030019048A (ko) 2003-03-06
KR100439638B1 KR100439638B1 (ko) 2004-07-12

Family

ID=190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492A KR100439638B1 (ko) 2001-08-27 2002-01-10 편향 요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068228A (ko)
KR (1) KR100439638B1 (ko)
CN (1) CN14040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5574B2 (en) 2007-04-13 2012-11-20 Broadcom Corporation Management of variable-rate communication links
US8001445B2 (en) 2007-08-13 2011-08-16 Provigent Ltd. Protected communication link with improved protection indication
US8040985B2 (en) 2007-10-09 2011-10-18 Provigent Ltd Decoding of forward error correction codes in the presence of phase noi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7293B2 (ja) * 1988-10-31 1998-01-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陰極線管表示装置の漏洩磁束低減方法及びその装置
JPH11345579A (ja) * 1998-03-31 1999-12-14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陰極線管装置および偏向ヨ―ク
JP2000353479A (ja) * 1999-06-09 2000-12-19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受像機
JP2001093439A (ja) * 1999-09-22 2001-04-06 Sony Corp 偏向ヨー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陰極線管受像機
JP2002216625A (ja) * 2001-01-16 2002-08-02 Sony Corp 偏向ヨーク用巻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9638B1 (ko) 2004-07-12
CN1404095A (zh) 2003-03-19
JP2003068228A (ja) 200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638B1 (ko) 편향 요크 장치
KR100374165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JPH04102149U (ja) 偏向装置
KR017911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코어
KR100609195B1 (ko) 편향요크 및 그것을 이용한 컬러수상관장치
JPS594431Y2 (ja) 偏向ヨ−ク
US20040032197A1 (en) Deflection yoke and CRT device
US5838098A (en) Deflecting apparatus with one piece core and one piece coil bobbin
JP3041903B2 (ja) 偏向ヨーク
JPH08129972A (ja) 偏向ヨーク
JPH057724Y2 (ko)
JPH0454675Y2 (ko)
KR200144628Y1 (ko) 편향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페라이트 코아 조립구조
JPS5810285Y2 (ja) 偏向ヨ−ク
KR100356290B1 (ko) 편향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
JP333467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
JP3061937U (ja) 電子ビ―ム偏向装置
KR100696652B1 (ko)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를 갖는 편향 요크
JP2682333B2 (ja) 偏向ヨーク装置
KR920001579Y1 (ko) 슬리트(Slit)형 세퍼레이터
KR20010007408A (ko) 편향 요크 및 편평형 음극선관
JPH07211260A (ja) 偏向装置
JP2000057974A (ja) 偏向装置
JPH117891A (ja) 偏向ヨーク
KR20030017299A (ko) 편향 요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