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484A -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484A
KR20030018484A KR1020010052595A KR20010052595A KR20030018484A KR 20030018484 A KR20030018484 A KR 20030018484A KR 1020010052595 A KR1020010052595 A KR 1020010052595A KR 20010052595 A KR20010052595 A KR 20010052595A KR 20030018484 A KR20030018484 A KR 20030018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manifold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720B1 (ko
Inventor
남영식
김순태
Original Assignee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720B1/ko
Priority to US10/191,907 priority patent/US20030042191A1/en
Priority to CNB021305781A priority patent/CN1245233C/zh
Publication of KR20030018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16K31/0627Lift valves with movable valve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체와 연계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매니폴드로서, 내부 중앙에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하방향으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유입부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출부,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제 3 및 제 4유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여과체가 결합되도록 착탈부를 갖는 본체; 상기 제 1유입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 3 및 제 4유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상기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제 3 또는 제 4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Minifold for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체와 연계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수의 공급시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급수제어밸브를 매니폴드의 유입.유출부에 각각 일체화함으로써,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의 결합시 한장소에서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공정수 및 자재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유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방향으로의 진행을 허용함에 따라 매니폴드의 사용이 안정되어 주변기기에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급수장치는 통상적으로 생활용 단일기구(예를 들면 냉장고, 정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일기구에 장착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는 입.출구를 갖는매니폴드, 여과체, 및 이 여과체를 통과한 용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급수제어밸브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매니폴드는 단일기구의 적정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입구측에서 유입한 후, 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매니폴드의 입구측을 통과한 용수는 연결관을 통해 여과체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여과체로 유입된 용수는 여과체내에 개재된 여과물질에 의해 불순물이 침전되면서 여과체에 설치된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여과체는 단일기구의 내.외측벽중 임의 개소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체의 유출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연결관을 거쳐 단일기구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제어밸브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용수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각각의 사용처(예를 들면, 냉장고에 장착된 경우에는 냉각수와 제빙기로 각각 공급되고, 정수기에 장착된 경우에는 냉수와 온수로 각각 공급되는 것임)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의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가 적용되는 여러가지의 생활용 단일기구중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냉장고에 적용되는 급수장치는 매니폴드로부터 용수를 여과체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 및 상기 여과체로부터 여과된 용수를 급수제어밸브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을 냉장고의 전체적인 형상에 적합하도록 배치하면서 상기 연결관들을 각각의 매니폴드,여과체 및 급수제어밸브에 결합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각각의 연결관들이 냉장고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매니폴드, 여과체 및 급수제어밸브들을 연결관과 상호 보수,교체 또는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관들의 위치가 냉장고내의 여러곳으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매니폴드, 여과체 및 급수제어밸브로 연결관들을 일일이 결합시킬 때, 작업시간이 길어지면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 매니폴드,여과체 및 급수제어밸브에 각각의 연결관들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연결관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자재비가 상승되어 생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
또한,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여과체를 경유하여 다시 여과체의 유출부에 결합된 연결관을 통해 급수제어밸브로 공급되고, 상기 급수제어밸브에서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용수를 냉장고의 냉각수 또는 제빙기로 공급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제어밸브의 개방에 의해 냉장고의 제빙기측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압력 즉,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압력과 연결관들의 길이가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용수의 공급압력을 저하시킬 경우, 제빙기측으로 공급중이던 용수는 연결관내에서 소량으로 공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빙기에서는 얼음의 형상을 만들기 위한 트레이의 상부로 소량의 용수가 공급되므로 인해 트레이에 담겨지면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소량으로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상부가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불규칙한 얼음이 만들어짐에 따라 얼음의 제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제빙기측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압력이 떨어지면서 연결관내에는 소량의 용수가 잔류하게 되는데, 이는 제빙기측에서 반복적으로 냉기를 발산할 경우, 연결관을 통해 잔류하고 있는 용수에 냉기를 전도시켜 연결관내의 통로를결빙시키게 되었다.
즉, 상기 연결관내의 통로상에 국부적으로 결빙이 발생된 상태에서 제빙기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이 결빙부위는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냉기에 의해 연결관을 통해 주변기기로 전도됨에 따라 제빙기측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관을 통해 전도된 냉기에 의해 주변기기가 오동작을 일으켜 냉장고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함께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수의 공급시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급수제어밸브를 매니폴드의 유입.유출부에 각각 일체화함으로써,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의 결합시 한장소에서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공정수 및 자재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유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방향으로의 진행을 허용함에 따라 매니폴드의 사용이 안정되어 주변기기에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매니폴드로서, 내부 중앙에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하방향으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유입부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출부,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제 3 및 제 4유출부가 형성되며,하부에 상기 여과체가 결합되도록 착탈부를 갖는 본체; 상기 제 1유입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 3 및 제 4유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상기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제 3 또는 제 4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의 제 1개폐수단에 의해 용수가 유입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a,7b는 발명에 따른 매니폴드의 제 2개폐수단에 의해 용수가 선택적으로 유출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에 따른 유량제어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의 결속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여과체10 : 본체
12 : 제 1유입부14 : 제 1유출부
20 : 착탈부30 : 제 1개폐수단
40 : 제 2개폐수단50 : 제 1밀폐수단
60 : 가압부재70 : 탄성부재
80 : 제 2가동부재90 : 유량제어수단
100 : 결속수단110 : 체결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는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여과체에서 여과시킨 후, 이 여과된 용수를 생활용 단일기구(예를 들면 냉장고, 정수기 등)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마실 수 있도록 공급하는 급수장치로서, 이하 본 발명에서는 여러가지의 생활용 단일기구중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매니폴드가 적용되는 단일기구의 일실시예를 냉장고로 설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벽체(8)에는 불순물이 함유된 용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체(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부에 착탈부(20)를 갖는 본체(10)가 결합되는데, 상기 본체(10)는 내부 중앙에 연결관(2)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 1유입부(12) 및 이 제 1유입부(12)의 후방에 하향되도록 제 2유입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유입부(12)(12a)의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격리되면서 상기 여과체(1)를 경유한 용수가 배출되도록 제 1 및 제 2유출부(14)(14a)가 연속해서 이어지도록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유출부(14a)의 전방에는 상호 직각을 이루면서 냉장고의 냉각수 또는 제빙기측으로 배출되도록 제 3 및 제 4유출부(14b)(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유출부(14)와 제 2유출부(14a)가 교차되는 부위에는 상기 여과체(1)를 경유한 용수가 소정량 체류하면서 제 2유출부(14a)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수용부(16)를 형성함이 좋을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착탈부(20)의 내측에는 상기 제 1유입부(12) 및 제 2유출부(14a)에 대해 각각 직교되면서 연이어지는 제 2유입부(12a) 및 제 1유출부(14)가 형성되는데, 이들 제 2유입부(12a) 및 제 1유출부(14)를 포함한 착탈부(20)는 단차를 가지면서 상기 여과체(1)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체(1)는 내부에 용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물질이 개재되면서 상부가 돌출되는 제 1원통체(4)와, 이 제 1원통체(4)의 외측으로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상부가 제 1원통체(4)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 제 2원통체(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원통체(4)의 상부 내측으로는 상기 본체(10)의 착탈부(20) 내측에 제 1유출부(14a)를 갖는 돌출부위가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 1원통체(4)의 상부에는 단차를 갖는 착탈부(20)의 하단이 안착되면서 착탈부(20)의 외측면이 상기 제 2원통체(6)의 상부 내측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 1.2원통체(4)(6)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지는 착탈부(20)의 외측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밀폐링(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개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제 1유입부(12)의 소정위치, 즉 상기 제 2유입부(12a)와 교차되는 제 1유입부(12)의 후방에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1개폐수단(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 1개폐수단(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착탈부(20)와 여과체(1)를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 1개폐수단(30)은 상기 제 2유입부(12a)의 소정 위치에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가 유입되도록 제 1관통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공(31)에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온/오프(On/Off)되면서 제 1관통공(31)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 1가동부재(32)가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가동부재(32)의 상단에는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제 1가동부재(32)를 항시 밀어주어 제 1관통공(31)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1스프링(33)이 설치되고, 상기 제 1가동부재(32)의 외주연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기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 1가동부재(32)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가동부재(32)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코일(34)이 개재된다.
물론, 상기 제 1가동부재(32) 및 제 1스프링(33)은 하우징(35)내에 설치되어 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5)과 본체(10)의 결합부위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밀폐링(36)이 개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a,7b에는 상기 제 1개폐수단(30)에 의해 진입이 허용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냉장고의 냉각수 또는 제빙기 즉, 제 3 및 제 4유출부(14b)(14c)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유출부(14a)의 전방에 제 2개폐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개폐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전방 내측에 상기 제 2유출부(14a)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체류시키면서 상기 제 3 및 제 4유출부(14b)(14c)와 연통시키도록 챔퍼(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41)의 바닥면(42)에는 상기 제 3유출부(14b)와 연통되어 용수를 냉각수측으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 2연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챔퍼(41)의 내측으로는 제 1밀폐부재(50)가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 1밀폐부재(50)는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안착홈(52)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52)의 바닥으로부터 하향되게 다수개의 슬라이드홈(54)이 형성되며, 저면부의 중앙으로부터 상향되게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기 제 4유출부(14c)와 연통되도록 제 1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밀폐부재(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홈(54)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압부재(60)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부재(6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홈(54)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도록 작동편(6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편(62)의 하부측 외주연에는 제 2유출부(14a)를 통해 공급된 용수가 상기 챔버(41)에 체류됨과 동시에 통과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 2통공(6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60)의 하단부 내측에는 기밀성이 우수한 제 2밀폐부재(66)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3유출부(14b)의 제 2연통공(43)과 제1밀폐부재(50)에 형성된 제 1통공(56)을 상.하이동되면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챔퍼(41)의 바닥면(42)과 상기 제 2밀폐부재(66)의 사이에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70)가 개재되는데, 상기 탄성부재(70)의 하단은 상기 바닥면(42)에 안착되고, 상단은 상기 제 2밀폐부재(66)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2밀폐부재(66)를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70)는 제 2밀폐부재(66)를 갖는 가압부재(60)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 1밀폐부재(50)의 제 1통공(56)을 제 2밀폐부재(66)가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유출부(14a)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는 제 2연통공(43)을 통해 제 3유출부(14b)로 공급되어 냉장고내의 냉각수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밀폐부재(50)의 안착홈(52)으로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부에 제 2스프링(82)을 갖는 제 2가동부재(8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 2스프링(82)의 상단부는 상단이 고정된 고정부재(84)의 하단부에 안착되어 제 2가동부재(80)의 이동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스프링(82)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부재(70)의 상방향 탄성력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가동부재(80)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드홈(54)에 끼워진 가압부재(60)의 작동편(62) 상단부와 면접촉되어 작동편(62)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 2가동부재(80)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가동부재(80)를 이동시키는 제 2코일(86)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제 2코일(86)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될 경우, 상기 제 2가동부재(8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부재(60)의 작동편(62)을 슬라이드홈(54)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가압부재(60)의 하부에 개재된 탄성부재(70)는 제 2밀폐부재(66)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고, 제 2밀폐부재(66)의 저면부위는 제 2연통공(43)을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밀폐부재(50)의 제 1통공(56)으로부터 개방됨에 따라 제 2유출부(14a)를 통해 공급된 용수는 챔퍼(41), 가압부재(60)의 제 2통공(64) 및 제 1밀폐부재(50)의 제 1통공(56)을 통해 제 4유출부(14c)로 공급되어 냉장고의 제빙기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개폐수단(30)(40)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를 냉장고의 냉각수 또는 제빙기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작동설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착탈부(20)로 여과체(1)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개폐수단(30)을 온(On)시키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용수는 제 1유입부(12)를 통해 제 1관통공(31)을 폐쇄하고 있던 제 1가동부재(32)가 제 1코일(33)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1관통공(31)을 개방시켜 용수를 제 2유입부(12a)로 공급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유입부(12a)를 통해 공급된 용수는 여과체(1)의 제 2원통체(6)를 통해 제 1원통체(4)내의 여과물질을 거쳐 불순물이 침전된상태로 상기 본체(10)의 제 1유출부(14)로 공급되고, 제 1유출부(14)로 공급된 용수는 제 2유출부(14a)를통해 챔퍼(41)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 2개폐수단(40)은 제 3유출부(14b)의 제 2연통공(43)을 개방시킨 상태 즉, 냉장고의 냉각수측을 개방시킨 상태이므로 제 2개폐수단(40)의 오프(On)상태는 용수를 냉각수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개폐수단(40)을 온(On)상태로 전환할 경우, 제 2코일(86)로 전기적신호가 전달되면서 제 2가동부재(80)에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 2가동부재(80)의 이동에 의해 가압부재(60)내의 제 2밀폐부재(66)가 제 3유출부(14b)의 제 2연통공(43)을 폐쇄시킴에 따라 제 2유출부(14a)를 통해 공급된 용수는 챔퍼(41)에서 가압부재(6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 2통공(64)을 통해 제 1밀폐부재(50)의 제 1통공(56)을 거쳐 제 4유출부(14c) 즉, 냉장고의 제빙기측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개폐수단(30)(40)의 온/오프(On/Off)작동에 의해 용수를 냉장고의 냉각수 또는 제빙기측으로 공급할 때 발생되는 워터해머(water hammer)현상을 본 발명에서는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제 1개폐수단(30)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제 2개폐수단(40)을 온(On/Off)시킬 때 적정한 시간의 간격으로 제어부에서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도록 제어함에 따라 제 2개폐수단(40)에서 온/오프(On/Off)시킬 때 발생되는 용수의 압력차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므로써 여과체(1)내를 경유하고 있던 용수의 압력에 의해 여과물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기측에서 발생되었던 종래의 결빙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냉장고의 제빙기측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압력 즉,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압력이 낮아질 경우, 상기 여과체(1)를 통과한 용수는 제 4유출부(14c)의 진입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제 3유출부(14b)로만 이동을 하므로 제빙기측으로 공급되던 용수가 연결관(2)내에서 잔류하면서 결빙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연결관(2)의 사용을 적게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에 제 1 및 제 2개폐수단(30)(40)을 일체로 구비한 상태에서 여과체(1)를 통과한 용수를 냉각수측과 연계시킴에 따라 일시적으로 용수의 공급이 차단될 때 발생되었던 소량의 누설이 제빙기측이 아닌 냉각수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연결관이 냉기에 의해 결빙되는 현상을 차단되어 냉장고내의 주변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소량의 누설로 인한 결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는 냉장고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제빙기와 냉각수의 설치높이에 따른 수압의 차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및 제 4유출부(14b)(14c)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90)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데, 여기서 냉장고의 제빙기측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제 4유출부(14c)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량제어수단(90)은 상기 제 4유출부(14c)의 내측에 걸림부(9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91)에 일측이 지지되도록 곡면부(92)를 이루고, 그 내측 중앙에는 유량조절공(93)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곡면부(92)의 반대편에는 곡면부(92)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9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개폐수단(40)의 온(On)작동에 의해 용수가 제 4유출부(14c)를 통해 압력이 증가한 상태로 유량제어수단(90)인 유량조절공(93)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유량조절공(93)은 제 4유출부(14c)에 접하고 있는 곡면부(92)가 용수의 유체압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되는데, 이때 수평상태로 형성된 유량조절공(93)은 곡면부(92)의 변형에 의해 후방이 좁아지고 전방이 넓어지면서 용수의 공급량이 제빙기에 적합하도록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3 또는 제 4유출부(14b)(14c)를 통해 제빙기 또는 냉각수로 공급되는 용수라든지 또는 상기 본체(10)의 제 1유입부(12)로 공급된 용수는 별도의 연결관(2)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유입부(12) 및 제 3,제 4유출부(14b)(14c)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관(2)은 결속수단(100)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결속수단(100)은 상기 제 1유입부(12) 및 제 3,제 4유출부(14b)(14c)의 내측에 연결관(2)의 외측면이 진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재(102)가 개재되고, 이 탄성고정부재(102)의 하부에는 탄성고정부재(10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내부에 유동공(105)을 갖는 고정캡(104)이 제 1유입부(12) 및 제 3,제 4유출부(14b)(14c)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부재(102)는 내측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상단이 탄성력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되는 다수개의 탄성편(101)이 외주연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연결관(2)의 외측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탄성고정부재(102)의 탄성편(101)과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캡(104)의 유동공(105)내에서 전.후이동을 이루도록 록킹부재(106)가 설치되는데, 상기 록킹부재(106)를 전방으로 밀면 록킹부재(106)의 선단이 상기 탄성편(101)을 가압하여 연결관(2)의 외측면을 가압하고 있던 탄성편(101)을 해제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관(2)은 제 1유입부(12) 및 제 3,제 4유출부(14b)(14c)내에서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냉장고의 벽체(8)로 본체(1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1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수단(110)은 벽체(8)의 임의 개소에 원주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삽입홈(111)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지지축(112)을 갖는 고정돌기(11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113)는 상기 벽체(8)의 삽입홈(111)에 끼워진 후, 본체(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을 이루게 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돌기(113)가 끼워지는 삽입홈(111)에 상기 고정돌기(113)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삽입홈(111)이 일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13)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돌기(113)를 지지하는 지지축(112)을 수용할 수 있도록 2차적인 삽입홈(111)이 원주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1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113)의 후면은 삽입홈(111)의 내측면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밀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돌기(113)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112)은 2차적인 삽입홈(111)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됨에 따라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8)의 삽입홈(111)으로 결합되는 본체(10)의 일측에는 제 1유입부(12) 및 제 4유출부(14c)가 외향으로 돌출구성됨에 따라 상기 벽체(8)에는 이들 제 1유입부(12) 및 제 4유출부(14c)를 수용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공(114)에는 제 1유입부(12) 및 제 4유출부(14c)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에 의해 열교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부에 단열재(11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가 결합된 벽체(8)의 반대편에는 단열재(11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개(116)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돌기(113)가 삽입홈(111)에 결합될 때, 상기 본체(10)의 틀어짐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일측면에는 결합공(114)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턱(117)을 형성함이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입.유출부를 갖는 매니폴드에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 1 및 제 2개폐수단을 각각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결관의 결합시 한장소에서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함에 따라 작업공정수 및 자재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출부를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일방향으로의 진행을 허용함에 따라 매니폴드의 사용이 안정되어 주변기기에 오동작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매니폴드로서,
    내부 중앙에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하방향으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유입부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출부,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제 3 및 제 4유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여과체가 결합되도록 착탈부를 갖는 본체;
    상기 제 1유입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 3 및 제 4유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상기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제 3 또는 제 4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폐수단은
    상기 제 1유입부의 후방에 상기 제 2유입부와 연통되도록 제 1연통공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 1연통공의 상단에 면접촉되면서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개폐시키도록 상부에 제 1스프링이 개재된 제 1가동부재; 및
    상기 제 1가동부재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으로 상기 제 1가동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 1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가 상기 제 1연통공을 통해 제 2유입부로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 1코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개폐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방 내측에 상기 제 2유출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체류시키면서 상기 제 3 및 제 4유출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그 바닥면에 상기 제 3유출부와 연통되도록 제 2연통공이 형성된 챔퍼;
    상기 챔퍼의 내측에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안착홈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수개의 슬라이드홈이 하향되게 형성되며, 그 저면부의 중앙으로부터 소정높이 상향되어 상기 제 4유출부와 연통되도록 제 1통공을 갖는 제 1밀폐부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상.하이동되도록 상부에 작동편을 가지며, 상기 작동편의 하부측 외주연으로 상기 챔버에 체류중인 용수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제 2통공이 형성되고, 그 하단부의 내측에 제 2밀폐부재를 갖는 가압부재;
    상기 챔퍼의 바닥면에 하단이 안착되고, 그 상단이 상기 제 2밀폐부재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제 1통공을 상기 제 2밀폐부재의 상단면이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연통공을 개방시켜 제 2유출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제 3유출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제공되는 탄성부재;
    상기 제 1밀폐부재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것으로, 그 하단이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편에 면접촉되면서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연통공을 제 2밀폐부재의 저면부가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통공을 개방시켜 제 2유출부를 통해 공급된 용수를 제 4유출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순차적으로 제 2스프링 및 이 제 2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개재된 제 2가동부재; 및
    상기 제 2가동부재의 외주연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적신호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으로 상기 제 2가동부재를 이동시키는 제 2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유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제어수단은
    상기 제 4유출부의 일측으로 면접촉되는 일단에 곡면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 중앙으로 용수량의 압력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도록 유량조절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입부 및 제 3,제 4유출부의 일단에 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제 1유입부 및 제 3,제 4유출부의 내측에 연결관의 외측면이 진입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을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에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의 탄성편이 형성된 탄성고정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하부에는 탄성고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유동공을 갖는 고정캡이 제 1유입부 및 제 3,제 4유출부에 각각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캡의 유동공내에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탄성고정부재의 탄성편에 면접촉되어 연결관을 고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벽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벽체의 임의 개소에 원주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삽입홈이 대칭되게형성되고, 이 삽입홈에 끼워진 후 회전에 의해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일단이 돌출되도록 지지축을 갖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10. 벽체에 결합되어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의 공급을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매니폴드로서,
    내부 중앙에 용수가 유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하방향으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유입부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연이어지는 제 1 및 제 2유출부, 및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제 3 및 제 4유출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여과체가 결합되도록 착탈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
    상기 제 1유입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제 1개폐수단;
    상기 제 3 및 제 4유출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설치되어 용수를 적정량으로 일정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유량제어수단;
    상기 제 2유출부의 전방에 형성된 제 3 및 제 4유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개폐수단의 개방시 상기 여과체를 경유한 용수를 전기적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제 3 또는 제 4유출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 2개폐수단; 및
    상기 제 1유입부 및 제 3,제 4유출부의 일단에 용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10-2001-0052595A 2001-08-29 2001-08-29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10046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95A KR100463720B1 (ko) 2001-08-29 2001-08-29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US10/191,907 US20030042191A1 (en) 2001-08-29 2002-07-09 Manifold adapted for replaceable fluid filter cartridge
CNB021305781A CN1245233C (zh) 2001-08-29 2002-08-16 适用于可更换液体过滤器盒的歧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595A KR100463720B1 (ko) 2001-08-29 2001-08-29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484A true KR20030018484A (ko) 2003-03-06
KR100463720B1 KR100463720B1 (ko) 2004-12-29

Family

ID=1971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595A KR100463720B1 (ko) 2001-08-29 2001-08-29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042191A1 (ko)
KR (1) KR100463720B1 (ko)
CN (1) CN124523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5058A (zh) * 2018-10-26 2022-11-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器具的过滤器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5946A1 (en) * 2002-09-20 2004-03-25 Sid Harvey Industries, Inc. Dual filtration system
EP1663442A2 (en) * 2003-08-27 2006-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filter manifold with integral valve
JP2007508926A (ja) * 2003-10-17 2007-04-12 スリーエム イノベーティブ プロパティーズ カンパニー 一体型バルブを有する水フィルタマニホールド
JP2007509748A (ja) * 2003-10-28 2007-04-19 スリーエム イノベーティブ プロパティーズ カンパニー 機器内のろ過装置の改良設計
KR100521117B1 (ko) * 2005-03-11 2005-10-12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유체차단수단
CN101267869B (zh) * 2005-07-20 2012-07-04 3M创新有限公司 流体过滤系统
JP5677958B2 (ja) * 2008-09-16 2015-02-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直線状作動を使用した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WO2010117799A2 (en) * 2009-03-31 2010-10-14 Donaldson Company, Inc. Liquid filter assemblies; features; components; and, methods
US9242195B2 (en) * 2012-11-29 2016-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filter with features for reduced spilling
US20150157967A1 (en) * 2013-12-06 201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 Filter Cartridge and Assembly
US10874981B2 (en) * 2015-01-07 2020-12-29 Norgren Limited Dual filter for moisture removal from a fluid flow
CN108261832B (zh) * 2016-12-30 2023-10-20 福州品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不断流滤芯更换结构
KR102591791B1 (ko) 2018-06-27 2023-10-23 케이엑스 테크놀러지스, 엘엘씨 상관 자기 토크 구조를 이용한 필터 연결
US11931679B2 (en) 2019-05-17 2024-03-19 Kx Technologies Llc Filter interconnect utilizing a magnetic repulsion force
WO2020236706A1 (en) 2019-05-17 2020-11-26 Kx Technologies, Llc Filter interconnect utilizing correlated magnetic actuation for downstream system function
EP4021610A4 (en) 2019-08-28 2023-08-02 KX Technologies LLC FILTER INTERCONNECTIONS USING MAGNETIC SHEAR FORCE GENERATED BY CODED PROGRAMMED MAGNETS (POLYMAGNETS)
EP4096805A4 (en) 2020-04-21 2023-12-20 KX Technologies LLC GRAVITY FED FILTER CONNECTION USING CODED POLYMAGNETS
GB2608043A (en) 2020-04-27 2022-12-21 Kx Technologies Llc Filter interconnect using a magnetic shear for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1805A (en) * 1930-02-01 1932-06-07 Lawrence R Lentz Filter
US4529514A (en) * 1983-12-19 1985-07-16 Oil-Rite Corporation Filter assembly with shut off and filter element therefor
US4923601A (en) * 1987-09-18 1990-05-08 Mordeki Drori Filter system having multiple filter elements and backflushing assemblies
US4915831A (en) * 1989-01-23 1990-04-10 Cuno, Incorporated Filter assembly featuring displaceable filter head plunger for locking into filter cartridge detent
US5354464A (en) * 1990-03-14 1994-10-11 Water Factory Systems Multi-port connecting device
US5336408A (en) * 1993-03-29 1994-08-09 Sizetec, Inc.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fluid stream
KR950023815A (ko) * 1994-01-31 1995-08-18 솅크 루돌프 가정용 급수 스테이션
US5695168A (en) * 1995-05-31 1997-12-09 Williams; Richard T. Automatic valving unit, and pressure vessel having automatic valving
US5753107A (en) * 1996-08-08 1998-05-19 Wtc Ecomaster Corporation Dripless purification manifold and cartridge
KR20000018919A (ko) * 1998-09-07 2000-04-06 박종배 급수밸브 자동 제어장치
JP2000220764A (ja) * 1999-01-29 2000-08-08 Techno Excel Co Ltd 3連式電磁給水弁装置
AU751875B2 (en) * 1999-06-08 2002-08-29 Lg Electronics Inc. Filter housing assembly for refrigerators
JP3661987B2 (ja) * 1999-12-16 2005-06-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電磁式給水弁装置
US6360764B1 (en) * 2000-07-18 2002-03-26 Pentapure Incorporated Cartridge adapter
KR100433033B1 (ko) * 2001-08-27 2004-06-07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5058A (zh) * 2018-10-26 2022-11-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器具的过滤器组件
CN115265058B (zh) * 2018-10-26 2023-11-1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冷藏器具的过滤器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6658A (zh) 2003-04-02
KR100463720B1 (ko) 2004-12-29
CN1245233C (zh) 2006-03-15
US20030042191A1 (en)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720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KR950004144B1 (ko) 수도 꼭지용 샤워헤드
KR100804302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구조
CA2293966C (en) Water filtering system with replaceable cartridge for a refrigerator
KR100433034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US5299593A (en) Mixer valve for hot and cold water incorporating a pressure balancer
EP0774605A1 (en) Multi-way valve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JPH0718496B2 (ja) 衛生混合ア−マチユアのための制御組立体
EP1554437B1 (en) A pillar sink mixer with hand spray
WO1986007431A1 (en) Cartridge with separate bottom for a mixing valve
MXPA01001773A (es) Grupo de montaje mejorado para valvula distribuidora.
KR100433033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매니폴드
JP2022085869A (ja) 冷媒回路の制御のための多方向弁
KR100433035B1 (ko) 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장치
US7546999B2 (en) Solenoid valve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KR101862489B1 (ko) 냉,온수 자동제어 구조를 갖춘 수전금구 몸체
KR200190745Y1 (ko) 정수기용 필터어셈블리
MXPA03009524A (es) Unidad de tuberia de grifo con topes integrados en linea.
KR102378621B1 (ko) 필터를 구비한 수도전
JP4348655B2 (ja) 減圧弁を備えた吐水管
JP3620190B2 (ja) 水栓
CN218208019U (zh) 一种龙头主体及龙头
CN217153099U (zh) 一种阀芯组件及换向阀
CN218164915U (zh) 一种净热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6